KR101794623B1 -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623B1
KR101794623B1 KR1020150178050A KR20150178050A KR101794623B1 KR 101794623 B1 KR101794623 B1 KR 101794623B1 KR 1020150178050 A KR1020150178050 A KR 1020150178050A KR 20150178050 A KR20150178050 A KR 20150178050A KR 101794623 B1 KR101794623 B1 KR 10179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 emulsion
solvent
solid adsorbent
solid
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482A (ko
Inventor
이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6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2Porous sorbents
    • B01J20/284Porous sorbents based on 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00Apparatus in which the main direction of flow follows a flat spiral ; so-called flat cyclones or vortex cha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i.e. from the production, refining or treatment of metals, e.g. galvanic wastes

Abstract

본 발명은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는 안수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는 안수에 고체흡착제를 혼합 교반하여 타르 에멀전을 상기 고체 흡착제로 흡착하는 흡착단계, 고액 분리에 의해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안수로부터 분리하는 안수 분리단계,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에 용매 첨가하여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된 타르 에멀전을 용매 내에 용해시켜 흡수하는 용해단계, 고액 분리에 의해 상기 고체 흡착제와 타르 에멀전 흡수 용매를 분리하는 고체 흡착제 재생단계 및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수한 용매를 증류 공정에 공급하여 상기 용매를 증류하여 타르 에멀전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용매를 냉각 응축하여 용매를 회수하는 용매 분리 회수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AR EMULSION IN AMMOINA LIQUOR}
본 발명은 안수 중에 함유된 유기화합물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크스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안수(암모니아수) 중에 함유된 벤젠, 톨루엔, 자일렌, 나프탈렌 및 다양한 벤젠고리형 유기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코크 오븐에서 건류하여 코크스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코크 오븐 가스(COG, Coke Oven Gas)가 발생한다. 이러한 COG는 회수함으로써 제철소 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 오븐 가스 중에는 연료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및 유입 산소가 일부 함유되어 있어 코크 오븐 가스의 부피 증가와 함께 발열량을 감소시키며,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COG에 포함된 이산화황에 의한 대기오염 및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 현상 등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크 오븐 가스는 상기와 같은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정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COG에 암모니아를 흡수제로 포함하는 안수를 분사함으로써 황화수소, 이산화탄소 등을 흡수하고, 타르를 제거한다.
한편, COG에 분사된 안수는 포집하여 안수 중에 흡착된 황화수소, 타르 등을 제거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OG 정제용으로 사용되어 회수되는 폐안수 중에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나프탈렌 및 다양한 벤젠고리형 유기화합물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안수 중에 함유된 유기화합물 중 일부만을 필터로 제거한 후 공정으로 재공급하여 코크 오븐 가스 정제용으로 재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안수의 사용시에는 잔존하는 유기화합물 중 벤젠, 톨루엔, 자일렌, 나프탈렌이 기화 또는 승화되어 공정의 배관 및 증류탑 등의 설비에 고체상으로 부착되어 폐쇄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이 어렵게 되어 공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며, 설비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코크스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안수 중에 함유된 벤젠, 톨루엔, 자일렌, 나프탈렌 및 다양한 벤젠고리형 유기화합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함으로써, 이러한 유기 화합물을 존재로 인하여 공정 배관이나 증류탑의 폐쇄를 사전에 방지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COG에 분사된 안수 중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제거 회수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COG의 정제를 위해 사용되어 회수된 폐안수가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을 제거하여 안수를 재생함으로써 안수의 재사용에 따른 공정 배관이나 증류탑의 폐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목적은 안수 중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을 제거 및 회수함으로써 설비 고장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코크 오븐 가스의 정제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목적은 폐안수 중의 유기 성분을 회수하여 이를 유효 회수된 유기성분 및 나프탈렌을 부산물로 판매함으로써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안수 중에 함유된 유기화합물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일 견지로서,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는 안수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일 구현예로서,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는 안수에 고체흡착제를 혼합 교반하여 타르 에멀전을 상기 고체 흡착제로 흡착하는 흡착단계, 고액 분리에 의해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안수로부터 분리하는 안수 분리단계,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에 용매 첨가하여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된 타르 에멀전을 용매 내에 용해시켜 흡수하는 용해단계, 고액 분리에 의해 상기 고체 흡착제와 타르 에멀전 흡수 용매를 분리하는 고체 흡착제 분리단계 및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수한 용매를 증류 공정에 공급하여 상기 용매를 증류하여 타르 에멀전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용매를 냉각 응축하여 용매를 회수하는 용매 분리 회수 단계를 포함하는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체 흡착제는 감마 알루미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마 알루미나는 타르 에멀전 중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1.67배 이상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퀴놀린 및 케로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류는 15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수 분리 단계 및 고체 흡착제 분리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 있어서, 상기 고액 분리는 습식 싸이클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체 흡착제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고체 흡착제는 상기 흡착 단계의 고체 흡착제로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 분리 회수 단계에서 회수된 용매는 용해 단계의 용매로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견지로서,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장치를 제공하며, 일 구현예에 따르면, 타르 에멀전 함유 안수가 공급되며, 상기 안수 중에 타르 에멀전을 흡착하기 위한 고체 흡착제가 공급되는 타르 에멀전 흡착 탱크, 상기 타르 에멀전 흡착 탱크로부터 공급된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안수로부터 고액 분리하는 제1 고액 분리수단, 상기 제1 고액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와 함께 타르 에멀전을 용해하는 용매가 공급되며, 상기 용매에 의해 상기 타르 에멀전을 용해함으로써 상기 고체 흡착제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분리하는 고체 흡착제 재생 탱크, 상기 타르 에멀전 용해 탱크로부터 공급된 타르 에멀전 함유 용액으로부터 고체 흡착제를 고액 분리하는 제2 고액 분리수단 및 상기 타르 에멀전 함유 용액을 증류하여 타르 에멀전으로부터 용매를 분리하고, 타르 에멀전을 회수하는 증류탑을 포함하는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액 분리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습식 싸이클론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증류탑에서 증류되는 용매를 응축하여 회수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크스 제조시에 발생되는 COG 중에 함유된 황화수소의 포집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된 폐안수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제거함으로써 재생하여 안수를 재사용할 때에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으로 인하여 설비배관 폐쇄 및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의 따라서 설비의 보수 및 관리에 사용되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재생 안수를 사용하더라도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 함량이 제거됨으로써 안수의 재사용시 황화수소 등의 포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COG 중에 함유된 황화수소 함유량이 저감되어 연소시에 SOx의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고체 흡착제의 사용 양에 따른 타르 에멀전의 흡착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르 에멀전을 흡수한 용매의 재생을 위한 증류탑의 운전 온도에 따른 용매의 회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수 중에 함유된 유기화합물의 회수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에서 석탄을 건류함으로써 발생되는 COG를 화성공장에서 처리하는 중에 발생되는 폐안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폐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를 분리하는 타르 데칸터에서 발생한 타르 에멀전(tar emulsion)을 처리 대상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G의 정제를 위해 사용된 안수는 COG 중에 포함된 황화수소, 타르, 유기화합물 등과 함께 입자상의 고형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형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상기 여과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스트레이너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과는 안수 중에 포함된 고형물질의 입자의 크기에 따라 2회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여과에 의해 입자 사이즈가 큰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이어서 2차 여과에 의해 미세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에 의해 고형의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안수(여과 안수)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을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은 고체 흡착제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흡착제에 접촉시에 고체 표면에서 촉매 작용에 의한 화학적 흡착 효과가 동반하게 되어 안수 중의 타르 에멀전의 흡착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안수 중으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흡착제를 안수로부터 분리 제거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다.
상기 고체 흡착제로는 감마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마 알루미나는 특히 흡착성도 우수하지만 타르 에멀전을 케로진에 용해해서 분리되는 효과가 크고, 재활용시에도 성상의 변화 없이 재사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마 알루미나 이외에 추가적으로 흡착성이 우수한 활성탄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코크스의 건류 중에 발생되는 COG를 처리하고 배출되는 폐안수로서 여과된 안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타르 에멀전의 함량을 고려할 때, 상기 타르 에멀전의 약 95% 이상은 제거되어야 모든 화성 공정의 배관 등의 설비에 대하여 폐쇄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은 적어도 95% 이상 흡착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착 제거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고체 흡착제를 안수 중에 포함된 제거 대상인 타르 에멀전의 중량에 대하여 1.67배 이상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흡착제의 사용량이 타르 에멀전 함량의 1.67중량배 미만인 경우에는 타르 에멀전의 흡착 효율이 충분하지 않아 충분한 흡착효율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상기 고체흡착제는 상기 범위를 넘는 것이라면 그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타르 에멀전 중량에 대해서 3.33중량배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고체 흡착제를 첨가로 인한 추가적인 상승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거의 100%의 흡착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타르 에멀전 함유 여과 안수와 감마 알루미나의 고체 흡착제를 혼합하는 장치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으로부터 타르 에멀전의 흡착을 수행할 수 있는 곳이라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르 에멀전 흡착 탱크와 같은 탱크 내에 타르 함유 에멀전을 투입하고, 여기에 상기한 바와 같은 감마 알루미나 등의 고체 흡착제를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감마 알루미나 등의 고체 흡착제에 타르 에멀전을 흡착할 수 있다.
상기 타르 에멀전 흡착탱크에서 고체 흡착제로 타르 에멀전을 흡착시킨 후,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감마 알루미나를 안수와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를 위해 상기 타르 에멀전 흡착탱크 내의 내용물, 즉,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감마 알루미나 및 안수를 고액 분리수단으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펌프 등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액 분리수단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고상과 액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고액 분리수단으로는 습식 싸이클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싸이클론을 적용함으로써 싸이클론의 하부로 고상의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상의 흡착제를 배출하고, 상부를 통해 액상의 안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액 분리에 의해 타르 에멀전이 제거된 액상의 안수를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된 안수는 COG에 대하여 황화수소 등의 제거를 위한 흡수액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되는 안수는 필요에 따라 여과 등의 정제 과정을 거쳐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후에 COG 정제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는 상기 습식 싸이클론 등의 고액분리수단의 하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흡착제의 재사용을 위해 고체 흡착제가 흡착한 타르 에멀전을 분리하여 고체 흡착제를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흡착제의 재생을 위한 고체 흡착제 재생탱크에 공급하고, 이와 함께, 상기 고체 흡착제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제거하기 위해 타르 에멀전에 대한 용해능을 갖는 용매를 공급한다. 상기 케로진 등의 용매는 흡착제 내에 흡착된 타르 에멀전을 용해시킴으로써 흡착제를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타르 에멀전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케로진 또는 퀴놀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로 퀴놀린과 케로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혼합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퀴놀린과 케로진을 1: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흡착제 재생 탱크에서 타르 에멀전을 용해시킨 후에는 고상의 흡착제와 액상의 타르 에멀전 및 용매를 분리함으로써 재생된 고체 흡착제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는 고액분리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한 고체 흡착제를 안수로부터 고액 분리하는데 사용된 제1 고액 분리수단과 동일한 고액분리수단을 제2 고액 분리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습식 사이클론을 들 수 있다.
상기 고액 분리수단에 의해 고체 흡착제를 습식 싸이클론의 하부로 회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재생 회수된 고체 흡착제는 폐안수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타르 에멀전 흡착 탱크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액 분리수단의 상부로는 케로진 등의 용매와 함께 상기 용매에 의해 용해된 타르 에멀전이 배출된다. 상기 액상 성분은 케로진 등의 용매와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을 분리함으로써 용매를 재생할 수 있음은 물론, 타르 에멀전을 분리하여 수집하고, 이로부터 BTX(벤젠, 톨루엔, 자일렌), 나프탈렌 및 다양한 벤젠 고리형 유기 화합물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습식 싸이클론 등의 고액 분리수단의 상부로 배출되는 성분은 펌프 등에 의해 증류탑을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탑에서 용매와 타르 에멀전의 비점 차이를 이용하여 증류함으로써 상기 용매를 분리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증류탑에서의 증류 과정에 의해 케로진 등의 용매는 증류탑 상부로 배출되며, 이들 성분을 응축기에 의해 응축함으로써 다시 액상의 용매로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저장조에서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고체 흡착제의 재생을 위한 재생탱크에 공급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류탑에 잔류하는 성분들은 타르 에멀전으로서, 이들은 회수하여 별도 처리함으로써 유효한 유기화합물로 회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을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스트레이너를 통과한 폐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 함량에 따른 고체 흡착제의 사용량을 변화시켜 안수 중의 타르 에멀전 흡착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안수 1000ml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함량이 3중량%인 폐 안수에 대하여 고체 흡착제로 분말상의 감마 알루미나를 폐 안수 중량 100%에 대하여 1, 3, 5, 7 및 10중량%로 변화시켜 첨가하여 안수 중의 타르 에멀전을 흡착시켰다.
이어서, 습식 싸이클론을 이용하여 고상의 감마 알루미나와 액상의 안수를 분리하여 회수하고, 회수된 액상의 안수를 분석하여, 잔류 타르 에멀전의 함량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감마 알루미나 사용량이 5중량%인 경우에 약 95% 이상의 타르 에멀전 흡착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폐 안수 중의 타르 에멀전 흡착 제거를 위해서는 고체 흡착제의 사용량이 폐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 중량의 1.67배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체 흡착제의 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흡착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그로 인한 효과의 상승은 보여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체 흡착제는 폐 안수 중에 포함된 타르 에멀전 중량의 1.67배 이상 포함되는 것이 약 95% 이상의 흡착율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고액 분리에 의해 분리된 감마 알루미나를 고체 흡착제 재생 탱크에 투입하고, 이어서 케로진 500ml를 함께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되도록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체 흡착제 재생 탱크에 포함된 성분들을 펌프를 이용하여 습식 싸이클론의 고액 분리기로 이송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습식 싸이클론의 상층으로 액상의 성분을 배출하고, 이들을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탑의 온도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5℃, 150℃, 175℃의 세가지 온도 조건 하에서 증류 공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증류탑 상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기로 이송하여 응축함으로써 케로진을 액상으로 수집하였다. 증류탑에서의 운전 온도에 따라 회수된 케로진의 함량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류탑 온도 125℃에서는 회수량이 70% 정도였으나, 150℃ 이상에서는 전량 회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2)

  1.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는 안수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르 에멀전을 포함하는 안수에 감마알루미나의 고체흡착제를 타르 에멀전 중량의 1.67배 이상으로 혼합 교반하여 타르 에멀전을 상기 고체 흡착제로 흡착하는 흡착단계;
    습식 싸이클론에 의한 고액 분리에 의해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안수로부터 분리하는 안수 분리단계;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에 용매 첨가하여 상기 고체 흡착제에 흡착된 타르 에멀전을 용매 내에 용해시켜 흡수하는 용해단계;
    습식 싸이클론에 의한 고액 분리에 의해 상기 고체 흡착제와 타르 에멀전 흡수 용매를 분리하는 고체 흡착제 재생단계; 및
    상기 타르 에멀전을 흡수한 용매를 증류 공정에 공급하여 상기 용매를 증류하여 타르 에멀전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용매를 냉각 응축하여 용매를 회수하는 용매 분리 회수 단계
    를 포함하는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알루미나와 함께 활성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퀴놀린 및 케로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는 150℃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인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흡착제 재생단계에서 분리된 고체 흡착제는 상기 흡착 단계의 고체 흡착제로 재사용하는 것인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분리 회수 단계에서 회수된 용매는 용해 단계의 용매로 재사용하는 것인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방법.
  10. 타르 에멀전 함유 안수가 공급되며, 상기 안수 중에 타르 에멀전을 흡착하기 위한 감마알루미나의 고체 흡착제가 타르 에멀전 중량의 1.67배 이상의 함량으로 공급되는 타르 에멀전 흡착 탱크;
    상기 타르 에멀전 흡착 탱크로부터 공급된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를 안수로부터 고액 분리하는 습식 싸이클론인 제1 고액 분리수단;
    상기 제1 고액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타르 에멀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와 함께 타르 에멀전을 용해하는 용매가 공급되며, 상기 용매에 의해 상기 타르 에멀전을 용해함으로써 상기 고체 흡착제로부터 타르 에멀전을 분리하는 고체 흡착제 재생 탱크;
    상기 고체 흡착제 재생 탱크로부터 공급된 타르 에멀전 함유 용액으로부터 고체 흡착제를 고액 분리하는 습식 싸이클론인 제2 고액 분리수단; 및
    상기 타르 에멀전 함유 용액을 증류하여 타르 에멀전으로부터 용매를 분리하고, 타르 에멀전을 회수하는 증류탑
    을 포함하는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에서 증류되는 용매를 응축하여 회수하는 응축기를 더 포함하는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 장치.
KR1020150178050A 2015-12-14 2015-12-14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KR10179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050A KR101794623B1 (ko) 2015-12-14 2015-12-14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050A KR101794623B1 (ko) 2015-12-14 2015-12-14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82A KR20170070482A (ko) 2017-06-22
KR101794623B1 true KR101794623B1 (ko) 2017-12-01

Family

ID=5928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050A KR101794623B1 (ko) 2015-12-14 2015-12-14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220B1 (ko) * 2018-12-19 2021-11-11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에 포함된 타르 제거장치 및 타르 제거방법
WO2020130655A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에 포함된 타르 제거장치 및 타르 제거방법
KR102328967B1 (ko) * 2019-11-25 2021-11-22 주식회사 포스코 여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8580A (ja) 1998-06-25 2002-06-25 エス ケー コーポレイション 低公害燃料油の生産方法
JP2012240009A (ja) * 2011-05-21 2012-12-10 Negishi Seisakusho:Kk コークス製造廃液の浄化剤および浄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8580A (ja) 1998-06-25 2002-06-25 エス ケー コーポレイション 低公害燃料油の生産方法
JP2012240009A (ja) * 2011-05-21 2012-12-10 Negishi Seisakusho:Kk コークス製造廃液の浄化剤および浄化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흡착에 의한 코크스폐수내의 잔류 페놀 제거. 환경경영정보포털 DICER TechInfo Part III. 2007, vol.6, no.9, pp614-6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82A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4137B2 (ja) 硫化ナトリウムの分離及び精製方法
EP0372761A2 (en) Process for separating extractable organic material from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tractable organic material intermixed with solids and water
KR101794623B1 (ko)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TWI432565B (zh) 用於對萃取製程的溶劑進行再生的新穎方法
US20090312176A1 (en) Methods and system for regeneration of adsorbent material
KR20110010701A (ko) 수용성 추출 용매를 사용한 개선된 추출 증류 공정
TWI488680B (zh) 萃取程序中選擇性溶劑的再生
CA2751719A1 (en) Extraction of oil sand bitumen with two solvents
WO2019201314A1 (zh) 处理含油含水物质的方法和装置
CN111675405B (zh) 一种吡虫啉生产中含氮杂环有机物废水的处理方法
JP6211013B2 (ja) 水蒸気を含有する流体の流れからの酸性ガスの除去
NL2013015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metal carbonyls from gas mixtures.
EP1947165A1 (de) Verfahren zum Aufbereiten von Altölen und/oder Öl/Wassergemischen oder ähnlichen flüssigen Gemischen
CN110935281B (zh) 一种吸附挥发性有机物的固体吸附剂的吸附和再生装置和方法
MX2015002256A (es) Eliminacion de hidrocarburos de los flujos de alimentacion del proceso de gas mediante filtros regenerables.
CN111018219A (zh) 一种废剥离液的再生处理工艺和装置
JP3909599B2 (ja) 油分脱離方法
CN111246928B (zh) 用于清洁气体流的洗涤塔
CN106318430A (zh) 一种利用低阶煤的系统和方法
WO2008046298A1 (fr) Procédé de récupération de gaz de combustion dans un processus régénératif du matériau filtrant absorbant
US4562165A (en) Regenerating sorbents
JP6414470B2 (ja) 水処理装置
JP2019122888A (ja) 有機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0694478B1 (ko) 화성공장 안수에 함유된 유기성에멀전의 제거방법
US3112258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inor amounts of solvent from solventextracted hydrocarb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