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967B1 -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967B1
KR102328967B1 KR1020190152463A KR20190152463A KR102328967B1 KR 102328967 B1 KR102328967 B1 KR 102328967B1 KR 1020190152463 A KR1020190152463 A KR 1020190152463A KR 20190152463 A KR20190152463 A KR 20190152463A KR 102328967 B1 KR102328967 B1 KR 10232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e
filter unit
filter
cleaning agent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852A (ko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5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9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01D39/12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of wire gauze; of knitted wire; of expand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081Shapes o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103Bodies or members, e.g. bulkheads, guides, in the vortex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4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ternal filters, in the cyclone chamber or in the vortex find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내에서 예를 들어 타르와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액체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필터부; 및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여과된 여과액을 재여과하고, 재여과 후 세척제를 통과시켜 세척하도록 된 메쉬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선회 흐름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격벽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여과 장치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내에서 예를 들어 타르(tar)와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가스를 생산하는 과정 중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스크러버(scrubber)를 사용한다. 이때, 스크러버에서 사용되는 포집용 액체는 스크러버에 투입된 후 정제설비를 거쳐 정제된 다음에 다시 스크러버에 투입되도록 순환한다.
재투입되는 포집용 액체의 정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성분 분석을 실시해야 하는데, 액체 내 각종 성분을 분석하기 전에는 불순물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종래에는 포집용 액체가 여러 단계의 필터링을 거치는 여과 장치를 구성하여 액체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한 후 성분 분석을 하고 있으나, 예컨대 타르와 같은 불순물의 경우에는 여과 장치 내 필터의 막힘, 및 분석 장치에 연결된 공급 라인의 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하여, 분석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고 분석값의 신뢰도가 저하되게 된다.
(특허문헌 1) KR 2002-0087215 A
이에 본 발명은 액체 내에서 예를 들어 타르와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는, 액체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필터부; 및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여과된 여과액을 재여과하고, 재여과 후 세척제를 통과시켜 세척하도록 된 메쉬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액체를 도입하여 선회 흐름을 일으키는 액체 도입관; 상기 액체 도입관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선회 흐름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위에 배치되어, 불순물과 분리되고 상승하는 여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관을 포함하고, 복수의 여과액 배출관이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과액이 유출되기 시작할 때 아래의 여과액 배출관은 개방하고 위의 여과액 배출관은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는, 액체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필터부; 및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여과된 여과액을 재여과하고, 재여과 후 세척제를 통과시켜 세척하도록 된 메쉬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필터부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여과액을 공급하는 여과액 공급라인; 여과액을 재여과하는 한 쌍의 필터부재; 상기 여과액 공급라인과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액 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삼방 밸브; 재여과된 여과액을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라인; 및 상기 여과액 배출라인과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여과액 배출라인에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삼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내에서 예를 들어 타르와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청결한 라인을 통해 액체를 후속의 분석 장치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분석 장치의 긴 수명을 보장하고 분석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클론 필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원심 분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쉬 필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는, 액체(1)에서 불순물(2)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필터부(10); 및 이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여과된 여과액(3)을 재여과하고, 재여과 후 세척제를 통과시켜 세척하도록 된 메쉬 필터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사이클론 필터부(10)는 원심력으로 액체(1) 속에 섞여 있는 타르 등과 같은 불순물(2)을 필터링해서 하부로 상시 배출을 하고, 상부로는 불순물이 분리된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을 메쉬 필터부(20) 및 분석 장치(30; 도 4 참조) 쪽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론 필터부(10)는, 산업현장에서 액체의 공급 압력이 높지 않은 라인에서 저속(예를 들어 0.3m/s)으로 운영되고 있는 곳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메쉬 필터부(20)는 사이클론 필터부(10)를 거친 후 분석 장치(30)로 공급되는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을 적층된 복수의 필터링 수단에 의해 재여과하는 한편, 여과액을 정량으로 공급할 때 사용하는 공급라인과 밸브 등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세척제로 세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클론 필터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원심 분리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필터부(10)는, 상부를 형성하는 원통부(11), 이 원통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방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부(12), 및 이 원뿔부의 아래에 배치된 불순물 배출구(1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원통부(11)는, 원통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불순물을 포함한 액체(1)를 도입하여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선회 흐름을 일으키는 액체 도입관(14); 액체 도입관 주변에 설치되고,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선회 흐름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격벽(15); 및 이 격벽의 위에 배치되어, 불순물(2)과 분리되고 상승하는 여과액(3)을 사이클론 필터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관(16)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도입관(14)은 원뿔부(12)의 위에서 원통부(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사이클론 필터부(10)의 내부에서 원통부의 원주 접선 방향으로 여과 처리될 액체(1)를 유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도입관(14)은 펌프(미도시) 등을 매개로 하여, 불순물을 포함한 액체(1)를 저장한 공급 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이 공급 탱크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원통부(11) 내로 전달하게 된다.
격벽(15)은 예컨대 대략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원통부(11)의 내면에서 예를 들어 고리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격벽은 액체 도입관(14) 주변을 둘러싸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격벽(15)에 의해, 사이클론 필터부(10) 내에 생성된 선회 흐름은 하방으로 유도되는 한편, 원심 분리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여과액(3)은 선회 흐름의 가운데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도입되는 액체의 불순물 등의 부유물이 여과액의 흐름에 합류되지 않게 된다.
통상의 사일클론에서는, 유체가 고압 및 고속으로 공급되는 것이 입자를 분리하는 데에 유리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사이클론 필터부(10)는 전술한 격벽(15)의 작용으로 인하여 저속으로 도입되는 액체에서도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여과액 배출관(16)은 원통부(11)의 일측에서 격벽(15)의 위에 연결되어, 여과액(3)을 메쉬 필터부(20)와 이어서 분석 장치(30)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여과액 배출관(16)이 사이클론 필터부(10)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상부에 복수의 여과액 배출관(16)이 높이차를 두고 배치된 이유는, 액체(1)의 농도 및 수분 혹은 유분의 포함 정도에 따라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을 배출하는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사이클론 필터부(10)는, 원통부(11)의 최상단에서 대략 200mm 정도 아래로 이격된 높이에 맑은 액체의 성분이 추출되는 제1 여과액 배출관(16a)이 연결되고, 그 이상의 높이, 다시 말해 원통부의 최상단과 제1 여과액 배출관의 사이(예컨대 최상단의 아래로 대략 100mm 정도)에는 약간의 유분이 떠오르는 액체가 배출되는 제2 여과액 배출관(16b)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래의 제1 여과액 배출관(16a)은 개폐 밸브(17a)에 의해 폐쇄하고 위의 제2 여과액 배출관(16b)은 개폐 밸브(17b)를 개방한 상태로 둔다. 그 후에, 제2 여과액 배출관으로 여과액(3)이 유출되기 시작할 때 아래의 제1 여과액 배출관은 개방하고 위의 제2 여과액 배출관은 폐쇄한다.
이로써, 제1 여과액 배출관(16a)은 액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을 배출하여 메쉬 필터부(20)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불순물 배출구(13)는 원뿔부(12)의 아래에 배치되고, 여과 수단인 사이클론 필터부(10)에서 액체(1)로부터 분리된 불순물(2)이 섞인 농후한 슬러지를 배출 탱크(미도시)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이클론 필터부(10) 내에서 불순물 배출구(13)에 인접하게 메쉬부(18)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쉬부는 사이클론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한번 더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필터부(10)에는 불순물 배출구를 청소하거나 메쉬부를 보수 유지하는 작업을 할 때 이용 가능한 관통홀(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사이클론 필터부의 작동 및 원심 분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정제설비를 거쳐 정제되었지만 불순물이 혼입된 액체(1)가 펌프로 퍼올려져 액체 도입관(14)에서 사이클론 필터부(10)의 내부에 도입된다(도 3의 (a) 참조).
액체는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원통부(11)의 내면을 따라 그 원주 접선 방향으로 소정의 유속을 가지고 공급되기 때문에, 사이클론 필터부의 내부에서 선회 흐름을 일으킨다(도 3의 (b) 참조).
그리고 격벽(15)에 의해 사이클론 필터부(10) 내에 생성된 선회 흐름은 하방으로 유도되는 한편(도 3의 (c) 참조), 원심 분리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여과액(3)이 선회 흐름의 가운데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도입되는 액체의 불순물 등의 부유물은 여과액의 흐름에 합류되지 않고 원통부(11)의 하부 내면 및 원뿔부(12)의 내면을 타고 선회하면서 아래로 흐른다(도 3의 (d) 참조).
불순물(2)이 섞인 농후한 슬러지는 원뿔부(12)의 아래에 모여 불순물 배출구(13)를 통해 배출 탱크로 배출된다.
한편, 맑은 액체인 여과액(3)은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중앙으로 모여 상승하는 선회 와류를 형성한다. 또, 불순물이 분리된 여과액은 원통부(11) 내를 상승하여, 복수의 여과액 배출관(16) 중 개방되어 있는 제2 여과액 배출관(16b)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하게 된다.
이어서, 아래의 제1 여과액 배출관(16a)이 개방되고 위의 제2 여과액 배출관(16b)은 폐쇄됨으로써, 제1 여과액 배출관은 액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을 배출하여 메쉬 필터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쉬 필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필터부(20)는, 사이클론 필터부(10)에 연결되어 사이클론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3)을 공급하는 여과액 공급라인(21); 여과액을 재여과하는 한 쌍의 필터부재(22); 여과액 공급라인과 한 쌍의 필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여과액 공급라인으로부터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삼방 밸브(23); 분석 장치(30)로 재여과된 여과액을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라인(25); 및 여과액 배출라인과 한 쌍의 필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여과액 배출라인에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삼방 밸브(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쉬 필터부(20)는, 세척제 공급원(31)으로부터 한 쌍의 필터부재(22)에 연결되어, 여과액이 공급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에 선택적으로 세척제를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라인(26); 및 한 쌍의 필터부재로부터 세척제 탱크(32)에 연결되어, 여과액이 배출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로부터 세척제 탱크에 선택적으로 사용된 세척제를 배출하는 세척제 배출라인(2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액 공급라인(21)은 일단은 사이클론 필터부(10)의 제1 여과액 배출관(16a)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삼방 밸브(2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과액 공급라인에는 여과액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28)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필터부재(22)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예를 들면 유입구로 유입된 여과액(3)의 여과 공간을 제공하면서 재여과된 여과액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관 형상의 챔버; 및 이 챔버에 내장된 상태로 배출구를 연통 가능하게 차폐하면서 여과액을 재여과하여 배출구로 제공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메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쉬부재는 미소 구멍이 천공된 다공 판재나 철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한 쌍의 필터부재(22)는 각각 그 상류에서 여과액(3)의 공급 유로를 전환하는 제1 삼방 밸브(2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삼방 밸브는 여과액 공급라인(21)으로부터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여과액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에는 여과액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여과액의 공급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필터부재(22)는 각각 그 하류에서 여과액의 배출 유로를 전환하는 제2 삼방 밸브(24)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삼방 밸브는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여과액 배출라인(25)으로 여과액을 배출하도록, 여과액의 배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과액 배출라인(25)은 그 일단이 제2 삼방 밸브(24)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석 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필터부재(22)를 통과한 여과액은 일정 성분의 불순물이 재여과된 상태로 분석 장치(30)에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 필터부재(22)는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고, 이러한 오염이 누적되면 분석 장치(30)에서의 분석값의 신뢰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메쉬 필터부(20)는 각 필터부재(22)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제1 삼방 밸브(23)에 의해 여과액(3)의 공급이 차단된 필터부재에는 세척제를 공급하도록 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세척제 공급라인(26)의 일단은 세척제 공급원(31)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각 분기관이 해당 필터부재(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 분기관에는 세척제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28)가 설치될 수 있다.
세척제로는 예컨대 소정의 온도를 가진 증기(steam)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불순물의 성분에 따라 다른 임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세척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삼방 밸브(23)에 의해 여과액 공급라인(21)으로부터 한 쌍의 필터부재(22) 중 어느 하나에 여과액이 공급되면, 해당 필터부재에 연결된 세척제 공급라인의 해당 분기관은 폐쇄되는 반면에, 여과액이 공급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에는 해당 분기관이 개방되어 세척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세척제가 공급되는 필터부재(22)에서는 세척제에 의해 적층된 복수의 메쉬부재 또는 챔버가 세척될 수 있다.
세척제 배출라인(27)의 일단은 사용된 세척제를 보관하는 세척제 탱크(32)에 연결되고, 타단은 분기되어 각 분기관이 해당 필터부재(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 분기관에는 세척제의 배출 및 차단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28)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액이 공급되지 않은 필터부재(22)를 통과하여 이를 세척한 세척제는 불순물과 함께 세척제 탱크(32)로 배출되어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세척제 공급라인과 세척제 배출라인이 분기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복수의 세척제 공급라인 또는 복수의 세척제 배출라인이 제공되어 각각 별개로 해당 구성요소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메쉬 필터부(20)는 복수의 삼방 밸브와 복수의 온-오프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삼방 밸브와 복수의 온-오프 밸브에는 밸브를 구동시키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와 복수의 삼방 밸브 또는 제어부와 복수의 온-오프 밸브는 유무선 통신을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밸브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회전 방향과 회전 각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각 공급라인 또는 배출라인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정 펌핑 능력을 갖춘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장치의 메쉬 필터부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사이클론 필터부(10)에서 여과된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은 메쉬 필터부(20)의 여과액 공급라인(21)을 거쳐 한 쌍의 필터부재(22) 중 제1 삼방 밸브(23)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필터부재로 유입된다.
선택된 필터부재(22)를 통과한 여과액은 일정 성분의 불순물이 재여과된 상태로 여과액 배출라인(25)을 통해 분석 장치(30)에 공급된다.
차후에, 사이클론 필터부(10)에서 여과된 맑은 액체, 즉 여과액(3)은 메쉬 필터부(20)의 여과액 공급라인(21)을 거쳐 한 쌍의 필터부재(22) 중 제1 삼방 밸브(23)에 의해 선택된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로 유입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필터부재는 번갈아 사용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필터부재(22) 중 이전에 사용된 어느 하나의 필터부재에는 세척제 공급라인(26)을 통해 세척제가 공급되어, 세척제에 의해 해당 필터부재 내 적층된 복수의 메쉬부재 또는 챔버가 세척될 수 있다.
이전에 사용되고 여과액이 공급되지 않은 필터부재(22)를 통과하여 이를 세척한 세척제는 불순물과 함께, 세척제 배출라인(27)을 거쳐 세척제 탱크(32)로 배출되고 보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내에서 예를 들어 타르와 같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청결한 라인을 통해 액체를 후속의 분석 장치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분석 장치의 긴 수명을 보장하고 분석의 신뢰도가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액체 2: 불순물
3: 여과액 10: 사이클론 필터부
11: 원통부 12: 원뿔부
13: 불순물 배출구 14: 액체 도입관
15: 격벽 16: 여과액 배출관
18: 메쉬부 19: 관통홀
20: 메쉬 필터부 21: 여과액 공급라인
22: 필터부재 23: 제1 삼방 밸브
24: 제2 삼방 밸브 25: 여과액 배출라인
26: 세척제 공급라인 27: 세척제 배출라인
28: 온-오프 밸브 29: 제어부
30: 분석 장치

Claims (9)

  1. 액체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필터부; 및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여과된 여과액을 재여과하고, 재여과 후 세척제를 통과시켜 세척하도록 된 메쉬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액체를 도입하여 선회 흐름을 일으키는 액체 도입관;
    상기 액체 도입관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선회 흐름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위에 배치되어, 불순물과 분리되고 상승하는 여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관
    을 포함하고,
    복수의 여과액 배출관이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여과액이 유출되기 시작할 때 아래의 여과액 배출관은 개방하고 위의 여과액 배출관은 폐쇄하는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는,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액체 도입관이 일측에 연결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부, 및
    상기 원뿔부의 아래에 배치된 불순물 배출구
    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 내에서 상기 불순물 배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여과 장치.
  6. 액체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필터부; 및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여과된 여과액을 재여과하고, 재여과 후 세척제를 통과시켜 세척하도록 된 메쉬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필터부는,
    상기 사이클론 필터부에 연결되어 여과액을 공급하는 여과액 공급라인;
    여과액을 재여과하는 한 쌍의 필터부재;
    상기 여과액 공급라인과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액 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제1 삼방 밸브;
    재여과된 여과액을 배출하는 여과액 배출라인; 및
    상기 여과액 배출라인과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여과액 배출라인에 선택적으로 유로를 연결하는 제2 삼방 밸브
    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필터부는,
    세척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에 연결되어, 여과액이 공급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에 선택적으로 세척제를 공급하는 세척제 공급라인; 및
    상기 한 쌍의 필터부재로부터 세척제 탱크에 연결되어, 여과액이 배출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필터부재로부터 세척제 탱크에 선택적으로 세척제를 배출하는 세척제 배출라인
    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유입구로 유입된 여과액의 여과 공간을 제공하면서 재여과된 여과액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챔버; 및
    상기 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배출구를 연통 가능하게 차폐하면서 여과액을 재여과하여 상기 배출구로 제공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메쉬부재
    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는 소정의 온도를 가진 증기를 포함하는 여과 장치.
KR1020190152463A 2019-11-25 2019-11-25 여과 장치 KR10232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463A KR102328967B1 (ko) 2019-11-25 2019-11-25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463A KR102328967B1 (ko) 2019-11-25 2019-11-25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852A KR20210063852A (ko) 2021-06-02
KR102328967B1 true KR102328967B1 (ko) 2021-11-22

Family

ID=7637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463A KR102328967B1 (ko) 2019-11-25 2019-11-25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764Y1 (ko) * 2005-08-16 2005-11-22 이상렬 복합식 원심분리 필터
KR101431161B1 (ko) * 2014-05-30 2014-08-19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1603743B1 (ko) 2014-10-10 2016-03-15 이시은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623B1 (ko) * 2015-12-14 2017-12-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안수 중에 함유된 타르 에멀전 제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764Y1 (ko) * 2005-08-16 2005-11-22 이상렬 복합식 원심분리 필터
KR101431161B1 (ko) * 2014-05-30 2014-08-19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1603743B1 (ko) 2014-10-10 2016-03-15 이시은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852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3010915A (es) Aparato de filtración.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KR102348752B1 (ko)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여과공간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WO2010027166A2 (ko) 자동 세척 필터 장치 제어 방법
KR102328967B1 (ko) 여과 장치
CN103752072A (zh) 一种带自动反冲洗功能的油水分离设备
KR20060106069A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1546462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RU2290252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ный фильтр
RU250362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SU125831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масло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KR101603743B1 (ko)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JP4324784B2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
JP2018149485A (ja) バネ式異物除去装置
KR20010000766A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CN108911195B (zh) 一种油泥水浓缩净化装置
US6077426A (en)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KR101345261B1 (ko) 무역세 여과장치
US11878259B2 (en) Pneumatic-hydraulic method for back-flushing and device for back-flushing fluid filters using an integrated fluid-dynamic cleaning process
KR200171118Y1 (ko) 자동 여과장치
KR100606602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KR102263861B1 (ko)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CS264112B2 (en) Filter for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