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045B1 - 연료 유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유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045B1
KR101794045B1 KR1020160067077A KR20160067077A KR101794045B1 KR 101794045 B1 KR101794045 B1 KR 101794045B1 KR 1020160067077 A KR1020160067077 A KR 1020160067077A KR 20160067077 A KR20160067077 A KR 20160067077A KR 101794045 B1 KR101794045 B1 KR 10179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duction
unit
abatemen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6006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내측에 장착되는 작동부와, 작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연료의 유동을 억제하는 저감부와, 작동부에 장착되고 연료의 유동에 따른 저항을 작동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여, 연료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유동 저감장치{REDUCTION DEVICE OF FUEL FLOATING}
본 발명은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장된 연료가 유동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소실의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폭발력을 이용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엔진은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차량에는 일정량의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가 구비된다.
연료탱크는 스틸(steel) 재질의 상판 및 하판이 서로 용접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판과 하판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배플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배플 플레이트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연료가 연료탱크의 일부분에 치우칠 때 연료의 유동 및 유동에 의한 소음을 능동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6085호(2009.02.20. 공개, 발명의 명칭 : 연료탱크의 배플 플레이트)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저장된 연료가 유동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내측에 장착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연료의 유동을 억제하는 저감부; 및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유동에 따른 저항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작동회전부; 및 상기 작동회전부에 결합되고, 연료탱크의 바닥에 근접하는 작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감부는 상기 작동부에 관통되고, 상기 연료에 뜨는 저감판부; 상기 저감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저감돌기부; 및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고, 상기 저감돌기부와 연결되는 저감내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돌기부에 감기고, 상기 저감내장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감내장부를 탄성 지지하는 저감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판부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탱크의 내측과 충돌 소음을 완화하는 저감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저감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전달결합부; 및 상기 전달결합부에 결합되고,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료의 저항을 전달하는 전달저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는 연료가 일방향으로 유동될 때 연료의 저항에 의해 밀려나는 전달부가 작동부를 이동시켜 주므로, 저감부는 연료의 유동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유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는 저감탄성부가 저감내장부를 탄성 지지하여, 저감내장부와 작동부 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는 저감완충부가 저감판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연료탱크와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서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서 저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1)는 작동부(10)와, 저감부(20)와, 전달부(30)를 포함한다.
작동부(10)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100) 내측에 장착된다. 작동부(10)는 연료탱크(100)의 중앙부에 상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 외, 복수개의 작동부(10)가 연료탱크(100)에 골고루 배치될 수 있다.
저감부(20)는 작동부(10)에 장착되고, 연료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연료의 유동을 억제한다. 일 예로, 저감부(20)는 연료에 뜨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료의 표면에 떠다니면서 연료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전달부(30)는 작동부(10)에 장착되고, 연료에 잠겨 연료의 유동에 따른 저항을 작동부(10)에 전달한다.
따라서, 차량이 기울어지거나 요철 지역을 통과할 때 연료탱크(100)에 저장된 연료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전달부(30)에 의해 저감부(20)가 연료의 이동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료의 표면에 위치되어 연료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서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0)는 작동회전부(11)와 작동축부(12)를 포함한다.
작동회전부(11)는 연료탱크(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작동회전부(11)는 연료탱크(100)와 볼조인트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그 외, 작동회전부(11)는 고리 형상을 하고, 연료탱크(100)의 내측에 걸려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축부(12)는 작동회전부(11)에 결합되고, 연료에 잠긴다. 작동축부(12)는 작동회전부(11)에 결합되고, 연료탱크(100)의 바닥에 근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축부(12)는 상단부가 작동회전부(11)에 결합되고, 관 형상을 하여 내부가 중공된 축관부(121)와, 축관부(121)의 표면에 개구된 형상을 하여 축관부(121)의 내부와 연통되고 축관부(12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축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서 저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20)는 저감판부(21)와, 저감돌기부(22)와, 저감내장부(23)를 포함한다.
저감판부(21)는 작동부(10)에 관통되고, 연료에 뜨는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 저감판부(21)는 작동축부(12)가 관통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부(212)가 형성되는 원판 형상을 하며, 플라스틱 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저감판부(21)에는 복수개의 저감홀부(211)가 형성되어 연료가 통과하면서 연료의 유동이 완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저감돌기부(22)는 저감판부(21)에서 연장되어 작동부(10)를 관통한다. 일 예로, 축홀부(122)와 상응하는 개수의 저감돌기부(22)가 저감판부(21)에서 연장되어 축홀부(122)를 관통할 수 있다.
저감내장부(23)는 작동부(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고, 저감돌기부(22)와 연결된다. 일 예로, 구 형상의 저감내장부(23)는 작동축부(12)에 내장되고, 저감돌기부(22)에 의해 저감판부(21)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저감내장부(23)는 작동축부(12)의 내부에서 작동축부(12)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저감내장부(23)와 연결된 저감판부(21)도 저감내장부(23)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20)는 저감탄성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감탄성부(24)는 저감돌기부(22)에 감기고, 저감내장부(23)와 작동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저감내장부(23)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저감탄성부(24)는 저감돌기부(22)를 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하고, 저감내장부(23)와 축관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감탄성부(24)는 연료의 유동에 의해 저감내장부(23)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저감내장부(23)와 작동축부(12) 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및 마모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저감탄성부(24)는 작동축부(12)의 내측과 이격되고, 저감판부(21)의 이동시 작동축부(12)의 내측과 접촉되어 저감내장부(23)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부(20)는 저감완충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감완충부(25)는 저감판부(21)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연료탱크(100)의 내측과 충돌시 충돌 소음을 완화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판부(21)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에서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30)는 전달결합부(31)와 전달저항부(32)를 포함한다.
전달결합부(31)는 작동부(10)에 결합된다. 일 예로, 전달결합부(31)는 원뿔 형상을 하며, 작동축부(12)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축관부(121)의 하단부 외측에는 축관돌기부(129)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축관부(121)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전달결합부(31)의 내측에는 축관돌기부(129)가 삽입되어 걸리는 결합홈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전달저항부(32)는 전달결합부(31)에 결합되고, 한 쌍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연료의 저항을 전달결합부(31)에 전달한다. 일 예로, 전달저항부(32)는 전달결합부(3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연료의 유동에 의한 과도한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달홀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축부(12)의 하단부 개구된 부분을 통해 저감내장부(23)를 삽입하면, 저감내장부(23)에 연결된 저감돌기부(22)가 축홀부(12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저감판부(21)의 내측에 연결되어, 저감부(20)가 작동부(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저감부(20)가 작동부(10)에 장착되면, 전달결합부(31)가 작동축부(12)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작동부(10)의 하단부에 전달부(30)가 장착된다.
작동부(10)에 저감부(20)와 전달부(30)가 장착되면, 작동부(10)를 연료탱크(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작동부(10)가 연료탱크(100)에 장착된 후 연료탱크(100)에 연료가 저장되면, 연료에 의해 저감판부(21)가 뜬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중 연료가 유동되면, 연료가 전달부(30)를 밀어내고, 전달부(30)에 연결된 작동부(10)는 연료의 유동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저감판부(21)는 연료의 표면 높이와 상응하도록 상하 이동되면서 연료의 과도한 유동을 제한하므로, 연료가 연료탱크(100)와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1)는 연료가 일방향으로 유동될 때 연료의 저항에 의해 밀려나는 전달부(30)가 작동부(10)를 이동시켜 주므로, 저감부(20)는 연료의 유동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유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1)는 저감탄성부(24)가 저감내장부(23)를 탄성 지지하여, 저감내장부(23)와 작동부(10) 간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동 저감장치(1)는 저감완충부(25)가 저감판부(21)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연료탱크(100)와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작동부 11 : 작동회전부
12 : 작동축부 20 : 저감부
21 : 저감판부 22 : 저감돌기부
23 : 저감내장부 24 : 저감탄성부
25 : 저감완충부 30 : 전달부
31 : 전달결합부 32 : 전달저항부
33 : 전달홀부 100 : 연료탱크

Claims (6)

  1.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내측에 장착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연료의 유동을 억제하는 저감부; 및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유동에 따른 저항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부는
    상기 작동부에 관통되고, 상기 연료에 뜨는 저감판부;
    상기 저감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저감돌기부; 및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고, 상기 저감돌기부와 연결되는 저감내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작동회전부; 및
    상기 작동회전부에 결합되고, 연료탱크의 바닥에 근접하는 작동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돌기부에 감기고, 상기 저감내장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감내장부를 탄성 지지하는 저감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판부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탱크의 내측과 충돌 소음을 완화하는 저감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저감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전달결합부; 및
    상기 전달결합부에 결합되고,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료의 저항을 전달하는 전달저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유동 저감장치.
KR1020160067077A 2016-05-31 2016-05-31 연료 유동 저감장치 KR10179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77A KR101794045B1 (ko) 2016-05-31 2016-05-31 연료 유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77A KR101794045B1 (ko) 2016-05-31 2016-05-31 연료 유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045B1 true KR101794045B1 (ko) 2017-11-07

Family

ID=6038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077A KR101794045B1 (ko) 2016-05-31 2016-05-31 연료 유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0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383A (ja) * 2007-04-16 2008-11-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構造
US20160137058A1 (en) 2014-11-18 2016-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tank baff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383A (ja) * 2007-04-16 2008-11-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構造
US20160137058A1 (en) 2014-11-18 2016-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tank baff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323B2 (en) Fuel damper
US10753328B2 (en) Fuel supply devices
RU2440522C1 (ru) Поворотный демпфер
JP6488272B2 (ja) 燃料供給管の給油部構造
KR101413622B1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US20110259688A1 (en) Friction shock absorber
US20120138035A1 (en) fall away arrow rest system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JP6301234B2 (ja) 燃料供給装置
US20140333018A1 (en) Hydro bush
KR101794045B1 (ko) 연료 유동 저감장치
JP5912031B2 (ja) 流量制御弁
JP5036798B2 (ja) 油圧シリン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推進機
JP3891584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WO2013153658A1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KR100608567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댐퍼 어셈블리
KR101897067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JP4736917B2 (ja) 内燃機関の懸架装置
CN102472333A (zh) 流体储存室
KR101750815B1 (ko) 플레어 가이드
KR100489128B1 (ko)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 방지장치
CN206707907U (zh) 一种起动机单向器用套筒结构
JP5215219B2 (ja) 車両用緩衝器
KR20160097067A (ko) 로드 가이드 어셈블리
JP6908469B2 (ja) 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