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228B1 -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228B1
KR101793228B1 KR1020170089869A KR20170089869A KR101793228B1 KR 101793228 B1 KR101793228 B1 KR 101793228B1 KR 1020170089869 A KR1020170089869 A KR 1020170089869A KR 20170089869 A KR20170089869 A KR 20170089869A KR 101793228 B1 KR101793228 B1 KR 10179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extending
directional
l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08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228B1/ko
Priority to PCT/KR2017/009618 priority patent/WO20190133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228B1/ko
Priority to US16/201,567 priority patent/US104679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63Portable signs, board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81Signs, boards or panels having a curved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05Scented advert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09F2013/0463
    • G09F2013/048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는 이미지 장착면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쉐이드; 상기 쉐이드로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기립형태로 장착되는 조명기둥; 상기 쉐이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Advertising Device With Changeable Shade}
본 발명은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조명을 중앙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 조명을 둘러싸는 쉐이드와, 쉐이드 및 조명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베이스 및 커버으로 구성되는 광고 장치를 제공하여 쉐이드의 자유로운 교체를 통해 다양한 광고나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P(Point Of Purchase) 광고, 즉 구매 시점 광고라 함은 소매점의 점두, 점내 그 주변에 설치하는 일체의 광고를 말한다. 이러한 POP 광고는 소매점의 옥외 사인, 포스터, 패널, 점포의 디스플레이 등 전반을 포함하는 것으로 현대의 광고 매체로서 상당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설치의 편의성과 보관의 간편함을 추구하기 위한 조립식 POP 광고 장치는 선행기술로 상당수 게시되어 있는 상황인바,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광고 패널을 탈착하거나 조립이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고, 어두운 설치장소에서도 광고 이미지의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을 구비하는 경우도 많다 할 것이다.
그런데 조명을 구비한 광고 장치의 경우 조명이 구비되면서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아 의도한 바와 같이 설치 및 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례가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광고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광고물을 입체적으로 제작할 경우 불필요하게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따랐다.
나아가, 이러한 광고 장치는 조명을 끈 낮시간이나 광고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그저 자리를 차지하기만 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기존의 광고판과 대비하였을 때 빠른 교체가 가능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큰 이점을 가져오는 구성이 없다는 것도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다.
따라서 조명을 구비하되 조립 및 설치의 편의성을 증강하고, 동시에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편리하여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광고의 역할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부가적인 기능을 통해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광고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선행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671호 "견고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피오피진열대"는 물품을 진열하는 트레이(211)와 진열판의 다단 구성을 위한 연결홈(213)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214)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도록 진공성형 제작된 다수개의 진열판(210)과,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다단 구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대(250)를 포함하며, 트레이에는 그 상면으로 개방되며 다른 부위에 비해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진공성형된 보강홈(212)이 형성되고, 보강홈에는 제1 보강재(220)가 삽입 고정되어 트레이를 보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 발명은 연결홈에 삽입되어 보강하는 제2 보강재(230)와, 돌출부의 둘레에 삽입되어 보강하는 제3 보강재(240), 및 진열판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광고판(26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217)를 구비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제작하는 효과가 있는 피오피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진열대는 별도의 조명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어두운 곳에서의 활용 시 문제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3-0084878호 “접철가능한 스텐드타입 베너”에 따르면, 접철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베너베이스(31)와; 상기 베너베이스(31)의 중앙부위에 광고내용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광고면(32)과; 상기 광고면(32)의 양측에는 광고면(32)의 후방으로 접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광고면(32)의 양 끝부분에 접철선(33)을 형성하여 다단으로 구비되는 연결구(34,35)로 구성된 배너(30)와 상기 연결구(34,35)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끼움돌기(36)와 끼움슬로트(37)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34,35)에는 광고면(32)이 지속적으로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수단(38)을 연결하기 위한 끼움부(39)를 더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베너의 보관은 물론 물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의 설치와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접철가능한 스텐드타입 베너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 배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광고면의 교체는 용이하나 이 광고면을 비추기위한 별도의 조명장치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 해당 배너를 활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와 조명기둥, 쉐이드, 커버가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간단한 조립을 통해 하나의 광고 장치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쉐이드의 교체가 용이한 광고 장치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장치 내부에 방향제를 추가로 장착하고, 이 방향제를 통해 방향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향제의 향이 용이하게 외부로 퍼질 수 있으면서도 쉐이드의 외형을 해치지 않는 그립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는 이미지 장착면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쉐이드; 상기 쉐이드로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기립형태로 장착되는 조명기둥; 상기 쉐이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쉐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개방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의 양 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입된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명기둥은, 상기 조명기둥의 둘레를 따라 돌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조명기둥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상기 조명기둥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단부에 터치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LED의 on/off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에 의하면,
1) 간단한 끼움조립을 통해 완성 가능한 광고 장치를 제공하고,
2) 쉐이드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광고나 이미지를 사용자가 교체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3) 광고 장치 내부에 방향제를 더 장착하여, 방향작용을 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4) 나아가 방향제의 향이 용이하게 외부로 퍼질 수 있으면서도 쉐이드의 외형을 해치지 않고, 동시에 쉐이드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는 그립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확장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방향제를 적용한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방향제를 적용한 확장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스페이서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필터시트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의 확장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광고 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100);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는 이미지 장착면(210)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쉐이드(200); 상기 쉐이드(200)로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일 측에서 기립형태로 장착되는 조명기둥(300); 상기 쉐이드(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쉐이드(200)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탄성)로 형성된 것으로서, 코팅/약품 처리된 종이나 천, 합성수지 등을 의미하되, 원하는 사이즈의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이미지 장착면(2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부착되길 원하는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이 쉐이드(200)의 면적을 가변하여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이미지는 이미지 장착면(210)에 부착되거나 인쇄 혹은 직접 그려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쉐이드(200)의 이미지 장착면(210)은 도 2의 (a), (b)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쉐이드(200)는 도 3, 도 4의 (a)와 (b)에서 나타나는 구조처럼 쉐이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된 2개의 접철부(211)를 더 갖출수도 있다. 이 접철부(211)를 통해 쉐이드(200)를 접어 납작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혹은 접철부(211)를 펼쳐 쉐이드(200)를 입체적인 구조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접철부(211)는 기본적으로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1개의 접철부(211)가 구비되되, 추가로 접철부(211)가 더 구비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입체적인 구조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접철부(211) 구조는 예를 들면 하나의 종이를 단면이 타원형상인 기둥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접철부(211)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접철부(211)를 접어 직사각형 형태로 접어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접철부(211)를 기본으로 하되, 더 많은 접철부(211)를 형성하게 되면 그에 따른 복잡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도 4의 (a)와 (b)를 참조하면, 쉐이드(200)는 말린 형태로 구성되므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조명기둥(300)이 위치한다. 이 조명기둥(300)은 기둥과 기둥 내에 구비되는 LED(310)(또는 백열전구나 형광등 등의 조명장치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를 포함하되, LED(3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외부로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기둥은 광투과성 재질(투명, 반투명 등)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이렇게 쉐이드(200)와 조명기둥(300)이 구비된 상태에서 나머지 상부와 하부의 개방된 공간을 가릴 수 있는 부재가 더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하부에는 베이스(100)를, 상부에는 커버(400)의 구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베이스(100)는 조명기둥(30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조명 장착부(110)를 구비하되, 이 조명 장착부(11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0)의 중앙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조명 장착부(110)는 조명기둥(30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조명기둥(300)이 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더욱 나아가서는 이 조명 장착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조명기둥(300)으로 전달하는 전원선이나 제어선 등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조명 장착부(110)는 소켓의 형태와 같이 단순히 함입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조명 장착부(110)를 제외하더라도 조명 장착부(110)와 이격된 위치이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0)의 둘레 영역을 따라 함입 연장되어(혹은 일정 간격마다 함입되어) 쉐이드(200)의 하부 일 측이 끼움 결합되는 장착 가이드(120)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쉐이드(200)는 베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도 있지만, 이 장착 가이드(120)를 사용하면 쉐이드(200)가 끼워지는 홈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쉐이드(200)의 하부를 전부 끼워 고정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혹은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극단적으로는 하나의 장착 가이드(120)만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베이스(100)에 조명기둥(300)과 쉐이드(200)를 모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개방된 상면을 가리기 위한 커버(400)의 구성이 더 포함된다. 이 커버(400)은 조명기둥(30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조명 결합부(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 결합부(410) 역시도 베이스(100)와 마찬가지로 커버(40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도, 조명 결합부(410)는 소켓의 형태와 같이 단순히 함입되어 형성되거나 혹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베이스(100)와 커버(400)는 쉐이드(200)를 통해 입체적으로 구현할 형태에 대응되는 상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베이스(100)와 커버(400)를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베이스(100)의 장착 가이드(120)를 통해 고정된 쉐이드(200)는 역시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로 고정될 수 있어 최종적으로는 육면체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며, 베이스(100)와 커버(400)를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쉐이드(2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원통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응용하여 커버(400)에 복잡한 형태의 조각을 올려두어 조각상처럼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도 4의 (a) 및 (b)와 같이 쉐이드(200)는 일 측이 개방된 상태로 베이스(10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개방 측 양 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연장부(220)(다시 말해 쉐이드(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개방부(663)를 형성하고, 이 개방부(663)의 양 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연장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어 베이스(100)에도 표면에서 연장부(220)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장착 가이드(120)의 일 측에서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추가 함입 연장되어 연장부(220)의 하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 홈(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쉐이드(200)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연장부(220)는 쉐이드(200)의 끝단에서 접혀 쉐이드(2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며, 나아가 연장부(220)의 하부가 고정 홈(130)에 추가로 끼워짐으로써 형태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하겠다.
나아가 조명기둥(300)의 외주면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조명기둥(300)이 커버(400)의 조명 결합부(410)에 삽입되었을 때, 조명기둥(300)과 커버(400)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것이며 커버(400)와 평행을 이루도록 일정한 면적으로 연장되어 커버(4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32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지지부(320)는 커버(400)에 조명 결합부(410)만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버(400)가 회전해 버림으로써 커버(400)와 조명기둥(300)이 이탈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400)와 조명 결합부(410)의 결합 이외에도 지지부(320)를 통해 커버(400)를 추가로 지지함으로써 결합도 용이할뿐더러 결합력도 기존 구성 대비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때, 커버(400)에는 지지부(3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저면을 함입하여 지지부(320)가 위치하는(바람직하게는 삽입되는)영역을 특정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명 결합부(410)를 저면에서 함입하여 형성하지 않고 관통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할 뿐더러, 지지부(320)와 커버(400) 간에 자성결합을 형성하여 자성간의 인력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잠시 도 6을 참조하면, 조명 결합부(410)가 커버(400)를 관통하도록 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조명기둥(300)에서 조명 결합부(410)에 삽입되는 단부에 터치식 스위치(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터치식 스위치(322)는 조명결합부를 통해 커버(4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출된 터치식 스위치(322)를 터치함으로써 조작이 가능하다. 이 터치식 스위치(322)는 LED(310)와 연계되어 LED(310)의 on/off제어를 수행토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 터치 시 LED(310)에서 전구색(주색광)으로 발광되고, 2회 터치 시 LED(310)에서 백색광이 발광되며, 3회 터치 시에는 두 색이 섞인 혼색이 발광되며, 4회 터치 시에는 조명이 꺼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지정된 시간 이상의 긴 터치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조명이 꺼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선행기술의 설명에서도 잠시 밝혔다시피 본 광고 장치는 조명을 끈 상태에서는 주변 광량이 충분한 상태에서만 주변인들이 광고를 인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더욱 광고에 사용된 이후에는 공간만 차지하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방향제(510)를 적용한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방향제(510)를 적용한 확장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100)에는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510)와, 베이스(100)의 표면에 안착되는 원형의 홀더 베이스(520)와, 홀더 베이스(520)의 둘레를 원형으로 둘러싸서 방향제(510)가 보관되는 방향제(510)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가이드(530)가 구비된 방향제 홀더(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제(510)는 겔 형태나 고체 형태로 형성 가능한 것이며, 혹은 가루나 액체 상태로 형성되더라도 이를 막으로 코팅하거나 보관백, 망 등에 넣어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코팅이나 보관백 등의 구성은 방향제(510)의 목적인 향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홀더 베이스(520)와 안착가이드를 통해 형성되는 방향제(510) 보관공간이 원통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방향제(510)의 보관되는 형상은 되도록 원통 형태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홀더 베이스(520)의 경우에는 방향제(510)가 베이스(100)의 표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방향제(510)가 베이스(100)를 부식시키거나 혹은 방향제(51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안착 가이드(530)는 홀더 베이스(520)의 둘레를 따라 기립 연장되어 방향제(510)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라 하겠다. 이 홀더 베이스(520)의 높이에 따라 방향제(510) 보관공간의 깊이(최종적으로는 크기)가 달라지게 되므로, 홀더 베이스(520)의 높이는 이러한 보관능력을 충분히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커버(400)에는 표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방향 홈(420)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 방향 홈(420)을 통해 방향제(510)에서 승화된 향기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다. 이 방향 홈(420)은 그 크기나 형태가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방향 홈(420)을 통해 특정한 문양을 형성하거나 글씨의 형태로 홈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도 5와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지지부(320)에도 이 방향 홈(420)과 대응되는 통공(32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321) 역시도 방향 홈(42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나 크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로, 방향제 홀더(5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의 경우에는 방향제(510)의 바로 옆에서 그 향을 맡았을 때 향이 너무 강해 두통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항시 향을 방출하게 된다면 방향제(510)의 사용가능 기한이 다소 짧아져 방향제(510)의 교체주기가 빨라지게 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방향제(510)의 사용 중지를 원하는 시점에는 방향제 홀더(5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향제 커버(54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방향제 커버(540)는 방향제 홀더(500)의 상부를 가릴 수 있는 판 형상을 갖춘 상태에서, 추가로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끼움결합이 가능한 벽체를 더 구비하거나 혹은 힌지결합 등을 통해 방향제 커버(540)가 방향제 홀더(5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벽체를 구비한 방향제 커버(540)는 본원이 추구하는 방향제 커버(540)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방향제 커버(540)의 둘레를 따라 기립 연장된 커버벽(541)과, 커버벽(541)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542)과, 이 걸림턱(542)에 의해 지지되는 망체(550)와, 망체(550)에 안착되는 흡습패드(560)로 구성된다. 즉, 방향제 커버(540) 내부에 흡습패드(560)를 구비하여 방향제(510)를 보관할 때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흡습패드(560)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흡습패드(560)의 구성물은 대표적으로 실리카겔을 들 수 있으며, 이 실리카겔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형태의 가공이 자유롭기 때문에, 원하는 형상이나 크기로 가공하여 흡습패드(560)로서 활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스페이서(600)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방향제(510)가 추가되는 구성에서는 연장부(220)를 활용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장착면(210)과 연장부(220) 사이 공간에서 쉐이드(200)의 내측을 향해 연장부(220)의 길이보다 길게 경사지게 연장된 방향 보조면(640)과, 방향 보조면(640)의 내측 단에서 한 쌍의 연장부(220)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수평하게 절곡 연장된 삽입 보조면(630)과, 삽입 보조면(630)의 내측 단에서 연장부(220)의 사이공간을 향해 방향 보조면(64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수직 절곡 연장된 연장 보조면(620)과, 각 연장 보조면(620)의 외측 단을 잇는 것으로서, 쉐이드(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방향공(650)을 포함하는 방향 연장면(610)을 포함하는 스페이서(600)의 구성이 더 포함되는 것이다.
이 스페이서(600)는 도 7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개의 연장부(220) 사이에 삽입되어 연장부(220)간의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간격을 넓힌 연장부(220)의 양 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방향 연장면(610)의 전방에 방향 보조면(640)의 외측 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스페이서(600)를 통해 연장부(220) 사이를 벌릴 때에 입구(231)부위가 내측보다 간격이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볼 때에는 작은 너비의 슬릿이 형성된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쉐이드(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큰 홈을 갖추도록 한 것이다. 이 때, 방향제(510)에서 방출된 향이 이 스페이서(600) 사이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방향 연장면(610)의 표면에는 쉐이드(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관통된 복수개의 방향공(650)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의 (b)를 통해 그립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방향 보조면(640)과 삽입 보조면(630) 및 연장 보조면(620)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에 연장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을 갖추는 것이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향 보조면(640)이 방향 연장면(610)의 전방 영역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하면, 이 방향 보조면(640)에 의해 연장부(220)가 동일하게 경사지게 지지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에는 연장부(220)와 연장부(220) 사이의 간격이 좁아 내부에 위치하는 넓은 방향 연장면(610)의 구성이 잘 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이 경우 연장부(220)와 연장부(22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각 방향 보조면(640)의 외측 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스페이서(600)의 형태에 의해 쉐이드(200)에서 이미지 장착면(210)과 연장부(220)의 경계영역은 항상 뾰족한 형태를 띄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뾰족한 형태는 연장부(220)가 쉽게 찢겨나갈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방향 보조면(640)의 외측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탄성재질의 이격돌기(64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 보조면(6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단으로부터 외측 단으로 혹은 그 반대로 각 이격돌기(641)의 돌출된 높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뾰족한 형태가 아닌 원하는 형상이나 각도로 이미지 장착면(210)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방향제(510) 구성의 경우, 일정 시간 이상 방향제(510)를 거치하였을 때 이미 주변에 방향제(510)가 충분히 퍼져 방향제(510)의 방향수명이 종료되더라도 이를 빠르게 알아채기는 어렵다. 특히 액체상태나 방향제(510)만을 고체로 굳힌 것은 광고 장치의 내부를 자주 관찰하는 것으로, 방향제(510)의 크기가 줄어든 것을 판단할 수 있지만, 석고 등에 방향제(510)를 섞어 만든 방향제(510)의 경우, 방향기능만 상실할 뿐 그 부피나 형태가 변하지는 않기 때문에 일일이 꺼내 향을 맡아보는 수 밖에는 방향제(510)의 수명을 알아볼 방법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방향제(510)는 메톡시벤조산 및 나트륨벤조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메톡시벤조산 또는 나트륨벤조산은 알콜이나 물에 방향성분을 섞은 경우보다 방향제(510)의 방향수명을 늘릴 수 있는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약 5~20% 정도의 비율로 방향제(510)의 성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벤조산 계열의 물질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산도가 pH 5~7 사이를 띄는 것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제(510)에 이러한 물질을 포함시키게 되면 방향 성분이 방출될 때 함께 기화되므로, 방향제(510)가 동작하는 중에는 이 산성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방향제(510)의 수명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산성 검출을 위해, 스페이서(600)의 방향공(65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방향공(650)보다 면적이 큰 서브공(661)으로 형성하되, 이 서브공(661)에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서브공(661)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661)와, 고정부(661)의 둘레를 따라 쉐이드(20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부(661)와의 사이에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벽(662)과, 고정벽(662)에서 고정부(661)의 대향측이 개방된 개방부(663)와, 안착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메타닐옐로우 및 메틸오렌지 및 메틸레드 및 크레졸프탈레인 및 티몰프탈레인 및 브로모티몰블루 및 알리자린엘로우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제와, 아크릴 점착제 및 실리콘 점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점착제를 혼합한 지시체(664)로 형성되는, 방향제 교체 안내장치(6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661)는 서브공(661)을 막아 외부로부터 공기나 이물질이 지시체(664)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 고정부(66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고정벽(662)을 통해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이 안착공간에는 산성물질과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메타닐옐로우나 메틸오렌지 등의 지시제가 아크릴 점착제 혹은 실리콘 점착제 중 어느 하나와 혼합되어 고체나 겔 상태로 안착공간에 내장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착제는 지시제가 산성과 반응하여 색이 변화되었다가 산성이 사라졌을 때에도 다시 원래의 색상으로 돌아오게 되는 복원시간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지시제가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시제는 연장부(220)와 연장부(220) 사이 공간을 통해 육안으로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600)와 연장부(220)가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색상이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고 장치에 필터시트(700)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렇게 방향제(510)를 활용하는 구성 이외에도, 본격적으로 쉐이드(200)를 활용하는 다른 구성도 추가로 적용 가능하다. 먼저, 이미지 장착면(210)의 후면에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일 측에 입구(231)가 형성된 상태로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필터포켓(230)과, 이 필터포켓(23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투과된 광의 조도를 낮추어 이미지 장착면(210)으로 제공하는 필터시트(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포켓(230)은 쉽게 말해 비닐과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 포켓이되, 이 필터포켓(230) 내부에 필터시트(700)를 내장시켜 필터시트(700)에 의해 조명기둥(300)에서 조사된 광을 1차적으로 변조하여 이미지 장착면(210)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때, 필터포켓(230)과 필터시트(700)는 모두 이미지 장착면(210)과 동일한 면적을 갖출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이미지 장착면(210)에 장착된 이미지의 일부만 이러한 광효과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 때, 필터시트(700) 또한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온도 변화에 따라 투명도가 변화되는 시온안료가 도포된 변색층(710)과, 이 변색층(710)의 상층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변색층(710)의 온도 변화구간과 상이한 온도 변화구간을 갖는 감온안료가 도포된 감응층(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온안료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온잉크는 특정 온도 범위에서 색을 발현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잉크를 의미한다. 이 시온잉크는 열을 흡수하면 화합물의 구조가 변하여 발색 또는 소색되며, 열을 차단시키면 다시 원래의 화합물 구조로 되돌아오게 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열에 의해 소색 또는 발색되는 잉크는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조명기둥(300)에 의해 광이 조사됨에 따라 열이 누적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색이 발색되거나 거꾸로 소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온도가 증가하면 해당 부위가 특정 색상을 띄도록 하거나 혹은 더욱 투명하게 보여지도록 구성 가능한 것이다.
나아가, 감온안료는 시온안료와 동일한 특징을 갖되, 다만 시온안료와 발색 또는 소색되는 온도 변화구간이 상이한 안료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온잉크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시온잉크가 5~15 중량부 정도로 다른 잉크나 용제에 섞여 구성되면 25~30도에서 변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시온잉크의 비중을 좀 더 낮추면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변색되기 때문에 이러한 비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광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스페이서(600)와 연장부(220)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터포켓(230)의 입구(231)는 이미지 장착면(210)과 연장부(220)의 경계부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미지 장착면(210)과 연장부(220)의 경계부위에는 필터포켓(230)의 입구(231)와 대응되도록 절개된 보조입구(2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필터시트(700)를 필터포켓(230) 내부로 삽입할 때에 커버(400)를 연 상태에서 쉐이드(200)를 떼어내어 필터시트(700)를 삽입할 필요 없이 바로 보조입구(221)를 통해 쉐이드(200)를 관통하여 필터시트(700)를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나아가, 필터시트(700)의 일 측면에는 조광부(73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조광부(730)는 프리즘과 유사한 것으로서,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을 따라 광이 반사될 수 있는 성질을 활용하여 스페이서(600)와 연장부(220)를 통해 반사된 광을 이미지 장착면(210)을 향해 굴절시켜 이미지 장착면(210)의 전면을 추가로 비출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미지 장착면(210)에는 광의 투과가 용이한 재질에 이미지를 직접 그리거나 혹은 인쇄된 이미지가 장착될 수도 있지만 사진용지에 프린트된 사진과 같은 두껍고 광의 투과가 거의 되지 않는 이미지가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 조광부(730) 구성을 통해 이미지의 전면을 향해 추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가 보다 잘 보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조광부(730)의 적용을 위해 스페이서(600) 및 상기 연장부(220)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조광부(730)에 용이하게 광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필터포켓(230)의 입구(231)는 이미지 장착면(210)과 연장부(220)의 경계부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연장부(220)에서 이미지 장착면(210)과의 경계부위에도 필터포켓(230)의 입구(23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필터시트(700)가 유통될 수 있는 보조입구(221)가 더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시트(700)는 보조입구(221)를 통해 필터포켓(2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쉐이드(200)나 커버(400)를 벗기지 않고도 필터시트(700)의 유통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조광부(730)의 폭을 보조입구(221)의 폭보다 크게 형성한다면 조광부(730)는 자연스럽게 보조입구(22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필터포켓(230)을 끼운 것 만으로도 조광부(730)가 용이한 위치(연장부(220)와 이미지 장착면(210) 사이의 전방)에 위치하여 투과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사광은 기본적으로 이미지를 비추는 것에 활용되되 추가적으로 앞서 필터시트(700)에 적용된 변색층(710) 및 감응층(720)과 대응되어 원하는 위치에 빛을 집중하여 온도를 높임으로서 투명도(또는 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활용 가능한 것이다.
나아가 이 조광부(730)는 필터시트(700) 자체의 휨성을 활용하여 간단히 손가락으로 누르는 등의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기울기 제어가 기본적으로 가능하지만, 이러한 제어는 필터시트(700)의 원래 형태로 돌아오려는 복원성에 의해 쉽게 각도를 잡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시트(700)에서 조광부(730)가 장착되는 부위에는 조광 수용부(74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조광 수용부(740)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조광부(730)에 광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되, 복수의 광 투과면(741)들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되어 마치 다면체의 표면과 같은 형태를 갖되, 각 광 투과면(741)마다 중앙부위에 조광 수용부(740)의 일부(바람직하게는 하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입된 수용홈(74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원하는 위치의 수용홈(742)에 조광부(730)를 삽입 고정시킨 이후 추가적인 미세조정만 약간의 힘을 가하여 필터시트(700)를 휘는 것으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기존의 제어방식보다 훨씬 용이하고 쉽게 조광부(730)의 광반사 영역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나아가, 필터시트(700)에도 이러한 휨(또는 꺾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의 절개선(미도시)을 더 형성하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연장부(220)와 스페이서(600)에서 방향 보조면(640)에는 각각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표면을 관통하는 공기 유통홈(75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기 유통홈(751)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유통홈처럼 활용되는 것이 가장 좋되, 다른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연장부(220)와 방향 보조면(640)의 사이로 충분히 공기가 유통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이 때, 스페이서(600)는(특히 방향 보조면(640)은) 재질을 탄성 재질(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 등)로 형성하여 공기 유통홈(751)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방향 보조면(640)이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밀폐된 공간 내부에서 조명기둥(300)에 의해 열이 발생할 때 공기가 데워지면서 대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 대류현상은 바람개비를 회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흐름이 생긴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공기 유통홈(751)을 통해 흘러들어온 공기는 방향 보조면(640)에 부딪히면서 방향 보조면(640)을 좌우로 회동시키게 된다.
나아가, 방향 보조면(640)의 용이한 회동을 위해 방향 보조면(640)에는 공기 유통홈(751)의 주변 영역에서 방향 보조면(640)의 높이 방향으로 함입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752)를 더 포함하며, 이 절개부(752)를 기준으로 방향 보조면(640)이 용이하게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 때, 앞서 스페이서(600)는 투명재질로서 빛이 외부로 반사되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따라서 이 통로가 좌우로 흔들리게 되면 일종의 반짝거리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광 수용부(740)를 통한 조광부(730)의 반사위치 조절 및 내부에서 방향 보조면(640)의 회동으로 인한 반짝거림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보다 극적인 조명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베이스 110: 조명 장착부
120: 장착 가이드 130: 고정 홈
200: 쉐이드 210: 이미지 장착면
211: 접철부 220: 연장부
221: 보조입구 230: 필터포켓
231: 입구 300: 조명기둥
310: LED 320: 지지부
321: 통공 322: 터치식 스위치
400: 커버 410: 조명 결합부
420: 방향 홈 500: 방향제 홀더
510: 방향제 520: 홀더 베이스
530: 안착 가이드 540: 방향제 커버
541: 커버벽 542: 걸림턱
550: 망체 560: 흡습패드
600: 스페이서 610: 방향 연장면
620: 연장 보조면 630: 삽입 보조면
640: 방향 보조면 641: 이격돌기
650: 방향공 651: 서브공
660: 방향제 교체 안내장치 661: 고정부
662: 고정벽 663: 개방부
664: 지시체 700: 필터시트
710: 변색층 720: 감응층
730: 조광부 740: 조광 수용부
741: 광 투과면 742: 수용홈
751: 공기 유통홈 752: 절개부

Claims (14)

  1.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로서,
    표면에 안착되는 원형의 홀더 베이스 및,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와, 상기 홀더 베이스의 둘레를 둘러싸 상기 방향제가 보관되는 방향제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가이드가 구비된 방향제 홀더를 구비한, 베이스;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서, 이미지가 부착될 수 있는 이미지 장착면을 구비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양 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한 쉐이드;
    상기 쉐이드로 둘러싸인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 측에서 기립형태로 장착되는 조명기둥;
    상기 쉐이드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
    상기 이미지 장착면과 상기 연장부 사이 공간에서 상기 쉐이드의 내측을 향해 상기 연장부의 길이보다 길게 경사지게 연장된 방향 보조면과, 상기 방향 보조면의 내측 단에서 한 쌍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수평하게 절곡 연장된 삽입 보조면 및, 상기 삽입 보조면의 내측 단에서 상기 연장부의 사이공간을 향해 상기 방향 보조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수직 절곡 연장된 연장 보조면과, 각 연장 보조면의 외측 단을 잇는 것으로서 상기 쉐이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방향공을 포함하는 방향 연장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상기 방향 보조면 각각의 끝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보조면과 상기 삽입 보조면 및 상기 연장 보조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연장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입된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둥은,
    상기 조명기둥의 둘레를 따라 돌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둥은 LED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상기 조명기둥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단부에 터치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LED의 on/off제어를 수행하는 터치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표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방향 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보조면의 외측 면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이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기는,
    상기 방향 보조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장착면은,
    상기 이미지 장착면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일 측에 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필터포켓과,
    상기 필터포켓에 삽입되어 투과된 광의 조도를 낮추어 상기 이미지 장착면으로 제공하는 필터시트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시트는,
    온도 변화에 따라 투명도가 변화되는 시온안료가 도포된 변색층과,
    상기 변색층의 상층에 적층 형성되고 상기 변색층의 온도 변화구간과 상이한 온도 변화구간을 갖는 감온안료가 도포된 감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연장부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포켓의 입구는,
    상기 이미지 장착면과 상기 연장부의 경계부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이미지 장착면과의 경계부위에는,
    상기 필터시트가 인입될 수 있는 보조입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필터시트는,
    광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장착면을 향해 굴절시키는 입체 형상의 조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광부의 폭은 상기 보조입구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시트는,
    광 투과성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복수의 광 투과면이 서로 다른 기울기로 형성되되, 함입된 수용홈이 각각 형성된 조광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방향 보조면에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표면을 관통하는 공기 유통홈이 더 포함되며,
    상기 방향 보조면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공기 유통홈의 주변에서 상기 방향 보조면의 높이 방향으로 함입 연장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기 방향 보조면이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메톡시벤조산 및 나트륨벤조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방향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방향공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된 서브공이되,
    상기 서브공에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서브공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쉐이드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와의 사이에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벽 및,
    상기 고정벽에서 상기 고정부의 대향측이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안착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메타닐옐로우 및 메틸오렌지 및 메틸레드 및 크레졸프탈레인 및 티몰프탈레인 및 브로모티몰블루 및 알리자린엘로우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시제와, 아크릴 점착제 및 실리콘 점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점착제를 혼합한 지시체를 포함하는 방향제 교체 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KR1020170089869A 2017-07-14 2017-07-14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KR10179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69A KR101793228B1 (ko) 2017-07-14 2017-07-14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PCT/KR2017/009618 WO2019013389A1 (ko) 2017-07-14 2017-09-01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US16/201,567 US10467930B2 (en) 2017-07-14 2018-11-27 Image-replaceable functional advertis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869A KR101793228B1 (ko) 2017-07-14 2017-07-14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228B1 true KR101793228B1 (ko) 2017-11-02

Family

ID=6038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869A KR101793228B1 (ko) 2017-07-14 2017-07-14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67930B2 (ko)
KR (1) KR101793228B1 (ko)
WO (1) WO20190133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658A (ko) * 2018-04-18 2019-10-28 정상휘 자석을 이용한 화면교체기능이 구비된 커스터마이징 간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5151S1 (en) * 2018-07-23 2019-10-29 Brandywine Product Group International, Inc. Air freshener diffuser
CN209500353U (zh) * 2018-12-18 2019-10-18 东莞市意诺威尔照明有限公司 一种改良的香薰机
US11250739B2 (en) * 2019-10-30 2022-02-15 Guojun Pan Portable cylindrical light box
CN113077732B (zh) * 2021-04-12 2022-12-02 红河学院 一种led插画灯箱
CN113903277B (zh) * 2021-09-15 2023-04-28 北京天卓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广告内容的宣传用广告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663A (ja) * 2004-01-29 2005-08-11 Eemon:Kk 両面表示用のスタンド型表示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7160A (en) * 1923-05-07 1925-07-28 De Vilbiss Mfg Co Novelty article
US3587185A (en) * 1968-04-29 1971-06-28 Oliver E Deal Omnidirectional sign
US4346059A (en) * 1981-03-03 1982-08-24 Donald Spector Aroma-generating lamp structure
US5309338A (en) * 1992-10-29 1994-05-03 Liu Zuo H Rotatable lighting equipment
US5651942A (en) * 1996-01-11 1997-07-29 Christensen; Arthur E. Aromatic fragrance generator
US6135622A (en) * 1998-07-15 2000-10-24 Downing; George M. Changeable visual display lamp
KR19990017483U (ko) * 1999-01-11 1999-05-25 장수환 민속입체등
KR20030084878A (ko) 2003-10-15 2003-11-01 김재훈 접철가능한 스텐드타입 베너
US7314293B2 (en) * 2004-07-30 2008-01-01 Frederick Steier Lamp hav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panels
US7204618B1 (en) * 2004-08-13 2007-04-17 World Factory, Inc. Light with interchangeable panels
JP4279834B2 (ja) * 2005-12-16 2009-06-17 株式会社青木製紙所 シェードの交換可能な照明器具
KR100843671B1 (ko) 2007-03-30 2008-07-04 최상현 견고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피오피진열대
KR100970413B1 (ko) * 2008-09-26 2010-07-15 주식회사 부강금속조명 열순환배출이 가능한 조명 등기구
TWM377989U (en) * 2009-04-28 2010-04-11 Jin-Sheng Yang Scent water lamp structure
KR20090012941U (ko) * 2009-12-03 2009-12-23 손광수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US10139058B2 (en) * 2010-10-01 2018-11-27 Robert L. Santiago Ornament with backlit film image
KR101444194B1 (ko) 2013-02-22 2014-09-26 권영준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US8960975B2 (en) * 2013-03-14 2015-02-24 Chin-Sheng Yang Light-transmitting candle structure
DE102014010528A1 (de) * 2014-07-18 2016-02-18 Mahle International Gmbh Pleuel sowie Baueinheit aus einem Kolben und einem Pleuel
US9779640B2 (en) * 2015-05-11 2017-10-03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uch self-erectable displ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5663A (ja) * 2004-01-29 2005-08-11 Eemon:Kk 両面表示用のスタンド型表示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658A (ko) * 2018-04-18 2019-10-28 정상휘 자석을 이용한 화면교체기능이 구비된 커스터마이징 간판
KR102099003B1 (ko) 2018-04-18 2020-04-08 정상휘 자석을 이용한 화면교체기능이 구비된 커스터마이징 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96293A1 (en) 2019-03-28
WO2019013389A1 (ko) 2019-01-17
US10467930B2 (en)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228B1 (ko)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US8100540B2 (en) Light array projection and sensing system
CA2571861A1 (en) Volatile material dispensing system with illuminating device
BE1018388A5 (nl) Inrichting voor het visualiseren van beelden.
CA2797156C (en) Light activated try-me packaging
WO2001017637A1 (en) Single and multiple image display apparatus for works of art and photographs
BR0302383A (pt) Dispositivo de afixação
KR102103028B1 (ko) 투과/불투과 광고간판
JP3052358U (ja) 照明具を用いた光輝表示装置
JP3177559U (ja) 掲示具
WO2014060624A1 (es) Escaparate interactivo con pantalla incorporada
JP200531257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RU46376U1 (ru) Световой экран
TWM391284U (en) Plant lighting
JP2003255864A (ja) 内照式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85391Y1 (ko) 도어용 액자
KR200488057Y1 (ko) 투명 네온 보드
KR100890795B1 (ko) 반사수단을 갖는 엘이디 표시장치
JPH0536703U (ja) ハーフミラーの照明装置
JPH0739012Y2 (ja) 自動販売機などにおけるダミー体展示部
JP2000210000A (ja) 薬剤蒸散装置の照明装置
KR20220118757A (ko) 무전원 홀로그램장치
KR200416665Y1 (ko) 정보 표시장치
ES1189983U (es) Dispositivo de mercadotecnia adaptable y luminoso
JP2003091249A (ja) 自立型掲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