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194B1 -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194B1
KR101444194B1 KR1020130019346A KR20130019346A KR101444194B1 KR 101444194 B1 KR101444194 B1 KR 101444194B1 KR 1020130019346 A KR1020130019346 A KR 1020130019346A KR 20130019346 A KR20130019346 A KR 20130019346A KR 101444194 B1 KR101444194 B1 KR 10144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se
folded
advertisement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287A (ko
Inventor
권영준
Original Assignee
권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준 filed Critical 권영준
Priority to KR102013001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19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81Signs, boards or panels having a curved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 측면에 광고 이미지를 부착한 것으로, 베이스에 결합이 될 때 펼쳐지고 보관 시에 접히도록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당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된 2개의 접철부와, 상기 접철부 주변의 일 측단에 형성되어 본체 양단을 부착 결합시키는 부착부로 이루어져, 상기 접철부를 펼쳐 베이스에 결합됨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둥 내에 LED를 구비한 LED 기둥; 상기 LED 기둥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조명 결합부와, 내외 거리 차이를 두고 둘레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 사이에 상기 본체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제 1,2 본체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POP-UP ADVERTISING DEVICE WITH LIGHTS}
본 발명은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휴대 및 설치/ 보관이 간편하고 조명을 통해 야간에도 우수한 식별력을 자랑하면서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편리하여 하나의 광고 장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광고 이미지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P(Point Of Purchase) 광고, 즉 구매 시점 광고라 함은 소매점의 점두, 점내 그 주변에 설치하는 일체의 광고를 말한다. 이러한 POP 광고는 소매점의 옥외 사인, 포스터, 패널, 점포의 디스플레이 등 전반을 포함하는 것으로 현대의 광고 매체로서 상당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국내 특허/실용신안출원 현황을 살펴보아도, 여러 설치장소와 다양한 기능을 특화하여 수많은 선행기술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예를 들어 3차원 동영상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장치인 특허 제 1226944호, 시식대를 겸용하는 POP 광고물인 실용신안등록 제 449834호, 설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POP 광고 설치대인 특허 제 843671호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게시되어 있다.
특히, 설치의 편의성과 보관의 간편함을 추구하기 위한 조립식 POP 광고 장치 역시 상당수 게시되어 있는 상황인바,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광고 패널을 탈착하거나 조립이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고, 어두운 설치장소에서도 광고 이미지의 높은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을 구비하는 경우도 많다 할 것이다.
그런데 조명을 구비한 광고 장치의 경우 조명이 구비되면서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아 의도한 바와 같이 설치 및 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례가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광고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광고물을 입체적으로 제작할 경우 불필요하게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따랐다.
따라서 조명을 구비하되 조립 및 설치의 편의성을 증강함과 동시에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편리하여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입체형 POP 광고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전력/고조도 성능의 LED 조명을 구비한 상태에서 광고물과 본체 간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가 편리한 구조를 갖는 입체형 광고물을 디스플레이 하는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물의 입체화를 극대화하여 광고 효과를 증강하면서 입체 광고물의 안전한 지지와 기립 상태를 담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매점의 벽, 냉장고, 유리창과 같은 스탠딩(standing) 구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이 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설치 장소의 다양성과 광고 효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 측면에 광고 이미지를 부착한 것으로, 베이스에 결합이 될 때 펼쳐지고 보관 시에 접히도록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당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된 2개의 접철부와, 상기 접철부 주변의 일 측단에 형성되어 본체 양단을 부착 결합시키는 부착부로 이루어져, 상기 접철부를 펼쳐 베이스에 결합됨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둥 내에 LED를 구비한 LED 기둥; 상기 LED 기둥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조명 결합부와, 내외 거리 차이를 두고 둘레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 사이에 상기 본체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제 1,2 본체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기 본체의 단부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 2 본체 가이드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착부와 상기 2 본체 가이드의 접촉 면 간에 자력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에 의하면,
1) 설치 및 보관, 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심플한 구조에 의해서도 안전한 기립 상태를 담보할 수 있고,
2) 광고 패널의 분리가 가능하여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양한 광고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3) 벽에 부착을 하거나 입체적 광고물을 구비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4) 외력으로부터 본체 중 접철부를 탄력적으로 보호하여 쉽사리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기본적인 접철 기능을 보장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투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투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철부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입체 광고 장치는 광고 이미지가 인쇄되거나 부착된 본체가 접철되어 납작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관과 운송의 편의성을 담보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 상태에서 이 본체와 결합되는 베이스(커버도 포함 가능)의 입체적 디자인에 따라 입체적인 구조로 변형되도록 하여 입체 광고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고 대상 자체의 입체 형상을 본체 형상으로 화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비자에게 광고 대상에 대한 강인한 인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입체 형상의 본체를 다시 접어 평평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상당히 용이하여 보관의 편의성과 제작 비용의 절감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입체 광고 장치는 후술할 구성요소의 조합에 따라 기본 타입, 입체 타입, 부착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순서대로 제 1,2,3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하고,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업자의 설계 변경에 따라 별도의 변형이 가능하여 또 다른 여러 실시예로 도출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투시 정면도이다.
도 1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 타입(스탠딩 타입)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 시에는 광고 이미지를 구비한 본체가 입체적으로 기립하고 분리 및 보관 시에는 상기 본체(10)를 납작하게 접어 보관의 편의성을 추구한 것이며, 이는 후술할 제 2,3 실시예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입체 광고 장치는 광고 이미지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를 지지하는 베이스(60) 및,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LED 기둥(50)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본체(10)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7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10)는 그림, 문자, 사진 등의 다양한 시각적 컨텐츠로 이루어진 광고 이미지가 인쇄되거나 부착된 것으로, 특히 광고 이미지가 부착된 경우는 광고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지가 접착제 또는 패스너에 의하여 본체(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내측 면 내지 외측 면)에 일체적으로 밀착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본체(10)는 휨성을 구비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부러지지 않고 접철이 가능한 수준의 얇은 두께(재질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2 내지 8mm)로 이루어지며 조명 또는 광고 이미지를 외부로 투과할 수 있는 투명/반투명체로 이루어지는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하나의 패널(여기서, 패널이란 본체를 구성하는 구성)에 두 개의 접철부(20)가 발생하도록 접철하거나 아니면 두 개의 패널을 부착해서 완성이 된다. 중요한 점은 1 내지 2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에 관계없이 2개의 접철부(20)와 적어도 하나의 부착부(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접철부(20)는 본체(10)가 접힌 상태로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개의 패널로 본체(10)를 제작할 시에 프레스 등의 장치를 통해 본체(10) 내 특정 부위의 세로 방향을 따라 압력을 주어 형성할 수 있고 2개의 패널로 제작이 되는 경우에는 2개의 패널이 부착되는 부착부(30) 주변에 프레스 등의 장치의 압력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철부(11)는 후술할 베이스(60)에 본체(1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10)가 납작한 상태로 접철이 되도록 하고, 베이스(60)에 본체(1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본체(10) 자체의 탄성에 의해 베이스(60)의 형상에 따라 본체(10)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1에서는 베이스(60)의 상단이 원반(또는 타원) 형태를 가지므로 베이스(60)에 결합된 본체(10)가 원기둥(또는 타원 기둥)에 유사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접철부(20)에는 그 연장라인을 따라 본체(10)의 내측면 내부로 함입 처리된 요입 홈(21)이 형성되어 접철의 편의성과 탄성력을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착부(30)는 본체(패널)의 양단을 부착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접철부(20) 일 측 주변에 구비가 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결합공이 형성이 되어 이에 패스너(볼트 등)를 체결하여 탈착 방식으로 결합을 하거나 아니면 접착제를 도포하여 일체적으로 부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체(10)가 1개의 패널로 이루어진 경우 어느 일 측에 1개의 부착부(30)가 형성되고 본체(10)가 2개의 패널을 접착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2개 패널 양 단에 각각, 즉 총 2개로서 형성이 된다.
또한 본체(10)는 베이스(60) 또는 커버(40)를 향한 양 단부 부위(도면에서는 상하 단)에 탈착부(40)를 구비한다. 탈착부(40)는 베이스(60) 또는 커버(70)와의 탈착 가능한 결합 관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자성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탈착부(40)는 본체(10)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 본체(10)의 단부 내 공간이 협소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 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적절한 물리적인 사이즈(예를 들어 1 내지 3cm 가량의 정육면체 형태)가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드시 본체(10)의 하부의 모서리 부위에만 형성될 필요 없이 본체(10)의 내외면 일부 부위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LED 기둥(50)은 중공 구조의 기둥(52)에 그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LED(또는 복수의 LED 모듈)(51)를 삽입한 것으로, 기둥(52)은 LED(51)의 조명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내지 반투명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LED 기둥(50)은, 베이스(60)에 결합됨으로 입체 구조로 변형된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가 되어, 어두운 장소 또는 심야에 광고 이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즉 광고 이미지 부각 기능을 제공한다.
베이스(60)는 본체(10)의 하부 모서리 부위 내지 하부 일 측면과 결합이 되어 본체(10)를 기립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체(10)를 원기둥 또는 타원 기둥 형상으로 말았을 때 그 지름과 비슷하거나 이보다 더 큰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이스(60)는 도 1에서는 타원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삼각기둥, 반원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60)에 결합된 본체(10)의 형상도 베이스(6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60)는 조명 결합부(61), 제 1,2 본체 가이드(62,63)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 결합부(61)는 상술한 LED 기둥(50)의 단부를 수용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중공 구조를 가진 구조물이 일정 높이 돌출되어 이에 LED 기둥(50)을 삽입하여 LED 기둥(50)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 1,2 본체 가이드(62,63)는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60)의 안팎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1에서는 베이스(60)의 내측 둘레 부위를 따라 형성된 것이 제 1 본체 가이드(62), 상기 제 1 본체 가이드(63)의 외측에서 베이스(60)의 외측 둘레 부위를 따라 형성된 것을 제 2 본체 가이드라 한다.
여기서 일정 간격이라 함은 본체(10)의 두께에 상응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즉, 제 1,2 본체 가이드(62,63) 사이에 본체(10)의 단부(모서리 부위)가 끼움 결합되는 것이며, 특히 제 1,2 본체 가이드(62,63) 중 어느 하나(도 1에서는 제 2 본체 가이드)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본체(10)의 탈착부(40)와 자성 결합을 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베이스(60)에는 전원 공급부(배터리, 외부 전원 공급 방식 모두 가능)가 구비되어 LED(5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LED(51)를 ON/OFF 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니면, 이러한 전원 공급부 내지 스위치는 LED 기둥(5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7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구성으로, 베이스(6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즉, 조명 결합부(71), 제 1,2 본체 가이드(72,73)를 구비하면서 베이스(60)와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이루어져 본체(10)의 하부 공간에 베이스(60)와 결합되는 작용과 동일하게 본체(10)의 상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이러한 커버(70)는 베이스(60)만이 본체(10)와 결합되면서 그 대향 단부가 벌어지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는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본체의 안정적인 입체 구조를 보강 및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기능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체(10)의 2개의 접철부(20)에 의해 베이스(60)에 결합되기 전의 본체(10)는 납작한 형태를 유지한다. 이 후, 베이스(60)의 제 1,2 본체 가이드(62,63) 사이에 본체(10)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면서 베이스(60)에 본체(10)를 기립 지지시킨다.
이 때, 본체(10)는 베이스(60)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게 되는데 조작자가 손으로 일정 힘을 가해 2개의 접철부(20) 부위를 압박하면서 베이스(60)의 제 1,2 본체 가이드(62,63) 사이에 끼움 결합을 하면 본체(10)의 단면이 베이스(6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변형이 된다.
도 1에서는 베이스(60)가 원반 또는 타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체(10)는 원기둥 또는 타원체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된 것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본체(10)는 마치 맥주 캔과 같은 형상을 띤다.
물론 본체(10)는 접철부(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베이스(60)와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되지 않고 접철부(20) 부위가 약간 눌려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나, 베이스(6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체(10)가 베이스(60)의 상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데 큰 문제가 따르지 않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2개의 접철부(20)를 기준으로 발생되는 2개의 면을 전면, 후면으로 구분을 하고 광고 이미지가 전면 부위에 노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체(10)의 상부 모서리 부위에 커버(70)를 추가적으로 결합함으로서 본체(10)가 기립되어 있을 때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하여 쉽사리 베이스(60)에서 분리되거나 본체(10) 상부 부위가 부착부(30)의 부착력을 이겨 펼쳐지려는 성질을 차단할 수 있다.
본체(10) 내에 기립되어 있는 LED 조명(50)을 ON시키면 LED(51)가 점등되면서 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된 광고 이미지를 조사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광고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본체(10)의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고 베이스(60)와 본체(10)의 결합이 간편할 뿐 아니라 결합 시 견고한 결합 상태를 보장하면서, LED 조명(50)에 의해 광고 이미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고, 광고 대상으로서 음료수 캔, 화장품 용기, 과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투시 정면도이다.
도 2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서, 본체(10)가 베이스(6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실시예의 본체(10)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갖도록 한 것이다.
즉, 제 1 실시예에서 본체(10)의 상하 부위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동일 형상의 커버(70) 및 베이스(60)가 결합되어 있는 것에 반해, 제 2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상부 부위가 보다 입체적인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변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의 본체(10)는 2개의 접철부(20)가 본체(10)의 최상단에서 최하단까지 연장된 것이 아니라 본체(10)의 최하단 지점에서 상부로 연장이 되다가 일정 높이에서 종결이 되면서 간극이 발생되도록 하는데, 이를 개방부(11)라 한다.
즉, 본체(10)의 개방부(11)는 접철부(20)의 상부 지점에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벌어진 부위를 말하며 이로 인해 본체(10)의 상부 부위는 전면과 후면으로 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개방부(11)에 의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상부로 연장된 본체(10)의 상부 부위를 돌출부(12)라 하며, 이러한 돌출부(12)는 하나로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돌출부(12)는 상부로 돌출된 구조에 의해 자칫 쉽사리 넘어질 수도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13)가 돌출부(12) 각각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체(10)를 와인 병 형상으로 화체시킨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특히 돌출부(12)에 의하여 와인의 상부 부위를 묘사하였고 돌출부(12)가 너덜거리거나 외력(바람 등)에 의해 쉽사리 흔들리지 않도록 연결부(13)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의 변형 구성에 따라 본체(10)가 베이스(60)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되면서 개방부(11)에 의해 본체(10)의 일정 지점 상단 부위를 개방부(11)로 개방시켜 본체(10)의 상부가 벌어지는 문제를 차단시키면서 개방부(11)가 구비된 본체(10) 상부 부위인 돌출부(12)를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디자인함에 따라 보다 본체(10)가 보다 다양한 입체 구조를 갖도록 할 뿐 아니라, 돌출부(12) 간을 연결부(13)에 의해 연결을 함으로써 돌출부(12)의 기립 구조를 보강하도록 한다는 특성을 제공하고, 이러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하여 제 2 실시예는 주류, 음료수, 화장품 용기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진 광고 대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입체 광고 장치를 벽, 유리창 등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역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본체(10)의 구조를 변형하여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3 실시예에 대한 본체(10)는 입체 패널(110)과 평면 패널(120)이라는 2개의 패널이 부착부(30)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이 때 입체 패널(110)과 평면 패널(120)의 양 측단에서 접철부가 발생된다.
입체 패널(110)은 볼록 렌즈와 유사하게 볼록하게 라운딩 돌출되어 있는 패널을 의미하고, 평면 패널(120)은 유리창 등에 부착되는 패널로서 유리창 등에 부착을 위하여 배면에 흡착판(80)을 구비하며, 평면 패널(120)의 정면(입체 패널을 향한 면)에는 광고 이미지가 인쇄되거나 부착된다.
입체 패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라운딩 돌출되고 투명체로 이루어져, 평면 패널(120)에 부착된 광고 이미지를 보다 확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겸비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 3실시예에서도 베이스(60)를 구비하여 LED 기둥(50) 및 본체(10)와 결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제 1,2 실시예와 달리 입체 광고 장치가 기립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편의적으로 베이스(60) 없이 LED 기둥(50)을 평면 패널(120)의 내측 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제 3실시예에서는 LED 기둥(50)의 단부와 같은 일 측에 전원 공급부(배터리)를 구비하여 LED(51)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전선과 같은 거치적거리는 구성이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베이스(60)의 존재에 의하여 LED 기둥(50)과 본체(10) 간 이격 거리를 보장하여 LED(51)에 의한 고열에 의해 본체(10)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를 차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3 실시예 역시 상술한 제 1,2 실시예에서의 필수 구성을 구비하나, 벽/유리창 등에 부착된다는 특성에 의하여 제 1,2 실시예에서 설명된 장치보다는 소형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착판(80)에 추가적으로 투명 패널(120)에 체결공을 구비하여 이에 패스너(fastener)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보다 견고하게 부착 대상(벽 등)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입체 광고 장치에 의하여 광고물 부착 장소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광고 방식을 도모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음료수 냉장고의 창문에 광고 대상인 음료수를 화체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철부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제 1 내지 3 실시예에서의 접철부(20)는 본체(10)를 펼치고 접으면서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피로도가 가중되어 이 접철부(20) 부위로부터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발생한다. 특히 본체(10)의 내측 면에 상술한 요입 홈(2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찢기거나 파손될 우려가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철부(20)가 형성된 본체의 외측 면에는 보강부(200)가 형성된다.
도 4(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보강부(200)는 접철부(20)를 볼록하게 덮는 탄성을 구비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접철부(20)의 접철에 의해 접철부 부위가 쉽사리 찢기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즉, 보강부(200)는 접철부(20)가 접철될 때 접철부(20) 부위를 보호하면서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접철 시 신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철 기능을 보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보강부(200)의 물리적 두께에 의하여 오히려 접철부(20)의 접철 기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부(200)는 다음과 같이 탄성을 발휘하면서 충격 완충 기능까지 겸비할 수 있는 후술할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b)는 보강부(200)의 변형 실시예로서, 보강부(200)의 중앙 내부 부위에 오리피스(210)를 형성하고 상기 오리피스(210) 내에 코어(220)를 설치하되 상기 코어(220)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2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코어(220)가 오리피스(210)의 중앙 또는 개략적으로 중앙 주변 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오리피스(210)의 내벽에서 보강부(200)의 외벽에 이르기까지 복수 개로 관통되어 있는 연결공(24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220)는 오리피스(210)보다 작은 체적을 가짐과 동시에 보강부(200)의 재질보다 더 강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연결 부재(230)는 보강부(200)에 전달된 충격량을 적절하게 코어(220)까지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질기고 튼튼한 합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보강부(200)에 대한 변형 실시예는 접철에 따른 외력을 보강부(2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코어(220)에 적절하게 분산 처리하면서 접철의 원활함을 보장하도록 한 것으로, 접철에 의한 충격량이 연결 부재(230)를 따라 코어(220)에 전달되도록 하여 오리피스(210)에서 제공된 추가적인 공기층을 비롯하여 코어(220)의 탄성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 완화 기능과, 연결공(240) 및 오리피스(210)에서 코어(220)가 차지하는 체적 이외의 잔여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접철부(20)의 접철 시 보강부(200)가 오히려 접철에 대한 반작용을 야기하여 접철을 방해하지 않고 보다 유연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철 보조 기능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개방부
12: 돌출부 13: 연결부
20: 접철부 21: 요입 홈
30: 부착부 40: 탈착부
50: LED 기둥 51: LED
52: 기둥 60: 베이스
61: 조명 결합부 62: 제 1 본체 가이드
63: 제 2 본체 가이드 70: 커버
71: 제 1 본체 가이드 72: 제 2 본체 가이드
73: 조명 결합부 80: 흡착판
110: 입체 패널 120: 평면 패널
200: 보강부 210: 오리피스
220: 코어 230: 연결 부재
240: 연결공

Claims (7)

  1.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로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 측면에 광고 이미지를 부착한 것으로, 베이스에 결합이 될 때 펼쳐지고 보관 시에 접히도록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 형성된 2개의 접철부와, 상기 접철부 주변의 일 측단에 형성되어 본체 양단을 부착 결합시키는 부착부로 이루어져, 상기 접철부를 펼쳐 베이스에 결합됨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둥 내에 LED를 구비한 LED 기둥;
    상기 LED 기둥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조명 결합부와, 내외 거리 차이를 두고 둘레를 따라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 사이에 상기 본체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는 제 1,2 본체 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접철부가 형성된 상기 본체의 외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를 볼록하게 덮는 보강부;로 구성되되,
    상기 보강부는,
    내부 부위에 중공 구조로 형성된 오리피스와,
    상기 보강부보다 강한 탄성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오리피스 내에 복수 개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중앙에 위치되는 코어 및,
    상기 오리피스의 내벽에서 상기 보강부의 외벽에 이르기까지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개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철부 사이의 두 개 면 상부 각각에서 돌출 연장된 2개의 돌출부;
    상기 2개의 돌출부의 일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된 입체 패널;
    상기 부착부를 매개로 상기 입체 패널에 결합이 되는 것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져 내측 면에 상기 광고 이미지가 구비된 평면 패널;로 구성되어, 상기 입체 패널과 상기 평면 패널 사이에 상기 LED 기둥이 위치되고,
    상기 평면 패널의 외측 면에는,
    흡착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에는,
    상기 접철부의 라인을 따라 본체 내측으로 함입 형성되어 연장된 요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19346A 2013-02-22 2013-02-22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KR10144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46A KR101444194B1 (ko) 2013-02-22 2013-02-22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46A KR101444194B1 (ko) 2013-02-22 2013-02-22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287A KR20140105287A (ko) 2014-09-01
KR101444194B1 true KR101444194B1 (ko) 2014-09-26

Family

ID=5175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46A KR101444194B1 (ko) 2013-02-22 2013-02-22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28B1 (ko) 2017-07-14 2017-11-02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399U (ko) * 1997-02-04 1998-10-15 홍영길 회전식 기둥간판의 개선구조
KR20030084878A (ko) * 2003-10-15 2003-11-01 김재훈 접철가능한 스텐드타입 베너
KR100743148B1 (ko) * 2005-10-11 2007-07-30 김일성 채널간판
KR20120081700A (ko) * 2011-01-12 2012-07-20 주식회사 키마코리아 광고용 입간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399U (ko) * 1997-02-04 1998-10-15 홍영길 회전식 기둥간판의 개선구조
KR20030084878A (ko) * 2003-10-15 2003-11-01 김재훈 접철가능한 스텐드타입 베너
KR100743148B1 (ko) * 2005-10-11 2007-07-30 김일성 채널간판
KR20120081700A (ko) * 2011-01-12 2012-07-20 주식회사 키마코리아 광고용 입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287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757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anner
KR200400526Y1 (ko) 입간판
KR101444194B1 (ko) 조명을 구비한 입체 광고 장치
KR20120081700A (ko) 광고용 입간판
KR20160044188A (ko) 배너 광고대
KR101139236B1 (ko) 탈,부착식 입체 문자채널 장치
JP4806051B2 (ja) バナー支持台(apparatusforsupportingbanner)
KR20150004232U (ko) 배너 광고판용 경량 조명장치
KR101488895B1 (ko) 조명광고판
CN101592329A (zh) 一种发光写字板灯箱
KR200464604Y1 (ko) 간판 광고문 설치유닛 및 이를 갖는 광고 간판
US7841113B2 (en) Housing for refrigerated dispensing apparatus
KR200491080Y1 (ko) 기능성 광고 게시판
KR20110011419U (ko) 병 용기 설치용 피오피 광고물
KR20150007426A (ko) 에어 주입형 패널 장치
KR200250316Y1 (ko) 다기능 게시판넬
KR200457027Y1 (ko) 이중 조명이 가능한 간판
CN206819679U (zh) 一种多功能双面宣传架
KR200348262Y1 (ko) 광고용 간판
KR20050014656A (ko) 에어간판용 고정장치
KR200381104Y1 (ko) 표시수단을 갖는 마네킹
KR200307101Y1 (ko) 조명 광고판이 부착된 자판기
CN202463531U (zh) 一种广告式汽车衣罩装置
KR200345806Y1 (ko) 입상간판
KR200437368Y1 (ko) 조립식 광고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