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941U -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 Google Patents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941U
KR20090012941U KR2020090015721U KR20090015721U KR20090012941U KR 20090012941 U KR20090012941 U KR 20090012941U KR 2020090015721 U KR2020090015721 U KR 2020090015721U KR 20090015721 U KR20090015721 U KR 20090015721U KR 20090012941 U KR20090012941 U KR 200900129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vent hole
notification
cov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수
Original Assignee
손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수 filed Critical 손광수
Priority to KR2020090015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941U/ko
Publication of KR20090012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1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self-adhesion, moisture, suction, slow-drying adhesiv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1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self-adhesion, moisture, suction, slow-drying adhesive or the like
    • G09F2007/127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self-adhesion, moisture, suction, slow-drying adhesive or the like by adhes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mod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방향제 또는 주차알림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의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되 상기 방향제가 몸체의 일측에 구성된 덮개의 개폐에 의해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방향제만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유지비용에 따른 절감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양면에 서로 대응되는 통기공을 각각 통공하여 공기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몸체의 밖으로 빠져나감이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에 따른 방향제의 향취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방향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하면에 자석 또는 회전고정구를 구성하여 몸체가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몸체에 표기된 사용자의 연착처를 노출시키기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자동차에 사용되는 방향제 이외에 은행 등의 직원이 자신의 명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중공형성된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의 일측에는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2)의 내면에는 걸림턱(13)이 돌설되며 상기 수용부(11)의 타측면에는 제1통기공(14)이 통공되며 외측전면과 배면에 각각 제1인입홈(15) 및 제2인입홈(16)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개방형성된 개방부(12)에 탈착되어 상기 개방부(12)를 개폐하고 측면에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과 대응되는 제2통기공(21)이 통공되며 내면에 상기 몸체(10)의 개방부(12)에 돌설된 걸림턱(13)에 걸려 스톱되는 스톱돌 기(22)가 돌설된 덮개(2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과 상기 덮개(20)의 제2통기공(21)측으로 각각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1통기공(14) 또는 제2통기공(21)측으로 향취가 배출되는 방향제(3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 전면에 형성된 제1인입홈(15)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1알림표지부(4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 배면에 형성된 제2인입홈(16)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2알림표지부(5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향제, 알림표지구, 주차표지구

Description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MARKING TOOL WITH AROMATIC}
본 고안은 운전자의 연락처가 표기된 알림지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림 표지구 몸체의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여 알림 표지구와 방향제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통기공을 통공하여 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의 방향효과가 크게 향상되도록 하며, 몸체의 전면과 배면을 회전시켜 자동차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알림목적이 아닌 경우에는 운전자의 연락번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몸체의 전면 또는 배면에 자신의 직책과 이름을 표기하여 은행 등에서 명판과 방향제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한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주행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러한 공조장치는 그 기능이 미비하며 충분하지가 못하여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의 실내에는 흡연 또는 밀폐된 실내에서 자생하는 곰팡이 등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자동차의 실내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흡연 등으로 인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방향제를 비치하여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악취의 제거뿐 아니라 각종 방향제의 성분이 새로이 개발되면서 각종 식물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등에서 추출한 식물성유를 함유하여 코와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함으로써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 피부미용, 신진대사조절과 함께 자동차의 경우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향제는 방향제 차체만으로도 사용되기도 하지만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에 담겨져서 사용되는데, 이때, 방향제 케이스는 케이스 자체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에 방향제가 안치되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제 케이스는 상부의 개방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이고, 이로 인해 방향제의 향기 또한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임에 따라 자동차 실내와 같이 밀폐된 경우에는 오히려 방향제의 과도한 배출에 의해 운전자가 두통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향제가 방향제 케이스에 밀폐된 상태로 안치되어 있음에 따라 방향제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방향제 케이스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제 케이스는 막연히 방향제의 향기만을 배출하는 기능 위 주로 제작됨에 따라 심미감이 떨어져 자동차의 내부구조와 조화되지 못하는 동떨어진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종래 방향제 케이스의 경우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취가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 뚜껑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뚜껑의 상부에 방향제의 향취가 배출되는 구멍을 통공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방향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의 향취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잠시 주차한 상태에서 자동차로부터 떨어질 경우 운전자의 위치를 타인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전자의 연락번호가 기재된 주차알림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인 바, 이러한 주차알림판의 경우에는 대개 양면테이프에 의해 자동차의 대쉬보드판넬위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임으로써, 좁은 자동차의 실내에 주차알림판과 방향제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공간활용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주차알림판과 방향제가 각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대쉬보드판넬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287140호인 주차표시 겸용 비닐 방향제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액체는 새지 않고 기체만 투과 되도록 제작된 폴리에칠렌 수지와 내구성이 강한 부직포가 결합된 상태의 팩에 방향액을 넣고 접착성이 강한 고정판을 부착 설치하고 고정판에 메모란을 기재할 수 있게 하고 상측으로는 공기압축 부착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홈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방향제와 주차표시 고정판이 동시에 구비되어 있으나, 팩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가 다 배출되어 방향제 기능이 소모되면, 다시 새 것을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동차의 내부에 구성되는 방향제와 주차표시 수단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는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공고 제20-1992-0001864호인 자동차용 다목적 방향제 케이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다목적 방향제 케이스는 저판과 상부판 및 양측 덮판으로 결합 구성하며, 상기 저판은 일측에 방향제 수용함을 형성하고, 그 상방의 상부판은 전면판에 각 종 지정일자 및 교환시기 표시공과 후면판에 방향제 유도판 및 배출공을 형성하며, 양측의 덮판은 내향돌테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에 각각 클립과 펜꽃이를 설치하되, 내측에는 경사선상으로 축관을 내향돌설 되도록 하고, 이 양쪽의 대응하는 축관에는 상기한 저판과 상부판을 대접, 양측에서 덮판을 결합조립시에 각 숫자표시 휘일을 끼운 축봉 양단을 삽입하여 제지홈의 정점이 탄성면)에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공고 제20-1990-0004567호인 자동차용 탈취, 방향제 케이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다수의 만곡보강편을 구비한 바닥판의 양측에 각각의 고정홈을 형성시킨 고정판을 구비하여, 수납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한 힌지를 얹어 좌우로 흔들리도록 지지시키고, 수납부는 중간부에 다수의 창살로 보강된 수납실을 형성시켜 탈취, 방향제를 내장시키고 하부에는 상기 만곡보강편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만곡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들의 경우에는 방향제만을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증대를 야기시켜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구성되는 방향제의 향취가 배출되는 구멍들이 전면 또는 후면의 한 부분에만 통공되어 있음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방향제의 향취가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의 경우 방향제가 수용되는 몸체가 자동차의 내부에서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표면에 인쇄된 사용자의 연락처가 항시 노출되어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더라고 사용자의 연락처가 그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방향제 또는 주차알림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의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되 상기 방향제가 몸체의 일측에 구성된 덮개의 개폐에 의해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방향제만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유지비용에 따른 절감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양면에 서로 대응되는 통기공을 각각 통공하여 공기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몸체의 밖으로 빠져나감이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에 따른 방향제의 향취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방향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하면에 자석 또는 회전고정구를 구성하여 몸체가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몸체에 표기된 사용자의 연착처를 노출시키기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자동 차에 사용되는 방향제 이외에 은행 등의 직원이 자신의 명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는, 내부에 중공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는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내면에는 걸림턱이 돌설되며 상기 수용부의 타측면에는 제1통기공이 통공되며 외측전면과 배면에 각각 제1인입홈 및 제2인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개방형성된 개방부에 탈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고 측면에 상기 몸체의 제1통기공과 대응되는 제2통기공이 통공되며 내면에 상기 몸체의 개방부에 돌설된 걸림턱에 걸려 스톱되는 스톱돌기가 돌설된 덮개와; 상기 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의 제1통기공과 상기 덮개의 제2통기공으로부터 각각 인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1통기공 또는 제2통기공측으로 향취가 배출되는 방향제와; 상기 몸체의 외측 전면에 형성된 제1인입홈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1알림표지부와; 상기 몸체의 외측 배면에 형성된 제2인입홈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2알림표지부와; 상기 몸체의 외부 하면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는, 몸체의 내부에 방향제를 수용하 되 상기 방향제가 몸체의 일측에 구성된 덮개의 개폐에 의해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방향제만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유지비용에 따른 절감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몸체에 통공된 제1통기공과 덮개에 통공된 제2통기공이 서로 대응되는 각각 통공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다시 몸체의 밖으로 빠져나감이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에 따른 방향제의 향취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방향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의 하면에 자석과 철판으로 구성되는 고정수단 또는 회전고정구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몸체가 고정수단으로부터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몸체에 표기된 사용자의 연착처를 노출시키기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방향제 이외에 은행 등의 직원이 자신의 명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전면부 구성을 나타낸 분 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배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고정수단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는, 내부에 중공형성된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의 일측에는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2)의 내면에는 걸림턱(13)이 돌설되며 상기 수용부(11)의 타측면에는 제1통기공(14)이 통공되며 외측전면과 배면에 각각 제1인입홈(15) 및 제2인입홈(16)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개방형성된 개방부(12)에 탈착되어 상기 개방부(12)를 개폐하고 측면에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과 대응되는 제2통기공(21)이 통공되며 내면에 상기 몸체(10)의 개방부(12)에 돌설된 걸림턱(13)에 걸려 스톱되는 스톱돌기(22)가 돌설된 덮개(2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과 상기 덮개(20)의 제2통기공(21)측으로 각각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1통기공(14) 또는 제2통기공(21)측으로 향취가 배출되는 방향제(3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 전면에 형성된 제1인입홈(15)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1알림표지부(4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 배면에 형성된 제2인입홈(16)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2알림표지부(5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인입홈(15)과 제2인입홈(16)에 각각 인입되는 제1알림표지부(40)와 제2알림표지부(50)에는 사용자의 연락처 또는 광고문구가 인쇄되어 표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는, 상기 몸체(10)의 개방부(12)에 구성된 덮개(20)의 개폐여부에 의해 개방부(12)가 개방되거나 폐쇄됨으로써,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는 방향제(30)의 교체가 가능하여 방향제(30)만을 교체 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통공된 제1통기공(14)과 상기 덮개(20)에 통공된 제2통기공(21)에 의해 공기 흐름이 유로되어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방향제(30)의 향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1통기공(14)과 제2통기공(21)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통공되어 있음에 따라 제1통기공(14)으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통기공(21)측으로 빠져나감이 용이하기 때문에,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방향제(30)의 향취가 몸체(10) 밖으로 배출됨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종래 방향제 케이스 등이 지닌 문제점인 통기공이 케이스의 상부 또는 전면에 형성된 것에 비하여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방향제 또는 방향제 케이스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몸체(10)는, 이 몸체(10)의 하부측에 구성되는 고정수단(70)에 의해 자동차의 대쉬보드판넬 상부나 또는 책상이나 탁자 등에 부착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에는 이형지(71a)가 형성된 양면테이프(71)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형지(71a)를 양면테이프(71)의 하부측으로부터 떼어낸 후 양면테이프(71)의 하부측을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부착함으로써 몸체(10)를 부착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부착되는 회전체(72)와, 상기 회전체(72)가 부착되고 하면에 접착테이프(73a)가 구성된 고정체(73)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체(72)와 고정체(73)는 서로 탈부착되는 자석과 철판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체(73)를 고정체(73)의 하면에 구성된 접착테이프(73a)를 자동차 대쉬보드판넬 상부나 책상 또는 탁자와 같이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부착시켜 고정한 다음, 상기 고정체(73)의 상면에 상기 몸체(10)의 하면에 부착된 회전체(72)를 위치시켜 몸체(10)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72)와 고정체(73)가 서로 탈부착 가능한 자석과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몸체(10)를 몸체가 부착된 대상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의 부착되는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예를 들어, 자동차 대쉬보드판넬의 상부에 상기 몸체(10)를 위치시킬 경우 잠시 주차할 경우에는 상기 몸체(10)의 인입홈(15)(16)에 각각 인입되어 부착된 제1알림표지부(40) 또는 제2알 림표지부(50) 중 운전자의 연락번호가 표기된 알림표지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주차 중이 아니거나 또는 주차장과 같은 공간에서의 장시간 주차할 경우에는 제1알림표지부(40) 또는 제2알림표지부(50) 중 광고문구가 표기된 알림표지부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몸체(10)를 돌려 위치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연락번호가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 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고정홀(74)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74)에 끼워지는 원형 고정돌기(75a)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면에 테이프(75b)가 구성된 회전고정구(75)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역시 상기 회전고정구(75)를 상기 몸체(10)를 위치시켜 고정하는 대상물에 상기 테이프(75b)를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몸체(10)가 회전고정구(75)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고정구(75)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 고정돌기(75a)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홀(7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몸체(10)가 상기 회전고정구(75)를 축으로 하여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됨이 가능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운전자의 사생활 보호를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고정수단(70)들에 의해 몸체(10)에 구성되는 제1알림표지부(40)와 제2알림표지부(5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은행 등에서의 업무 담당자의 명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제1알림표지부(40)에는 은행 업무 담당자의 이름과 직책을 인쇄하여 표기하고, 제2알림표지부(50)에는 "잠시 외출중입니다" 또는 "점심시간입니다" 등 과 같은 문구를 인쇄하여 표기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몸체(10)를 회전시켜 제1알림표지부(40) 또는 제2알림표지부(50)의 표기된 문구가 고객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효율적인 명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명판으로 활용되는 몸체(10)의 내부에 방향제(30)가 수용되고 방향제(30)가 제1통기공(14)과 제2통기공(21)들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방향제 기능과 명판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 또는 상기 덮개(20)의 제2통기공(21)으로부터 인입된 공기가 몸체의 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방향제(30)의 향취가 배출되는 제3통기공(17)이 더 통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통기공(14) 또는 제2통기공(21)으로부터 인입된 공기가 공기가 인입되는 통기공과 대응되는 제1통기공(14) 또는 제2통기공(21)으로부터 빠져나감에 있어서, 상기 제3통기공(17)을 통해서도 빠져나가기 때문에 방향제(30)의 향취 배출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향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전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배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고정수단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수용부
12 : 개방부 13 : 걸림턱
14 : 제1통기공 15 : 제1인입홈
16 : 제2인입홈 17 : 제3통기공
20 : 덮개 21 : 제2통기공
22 : 스톱돌기 30 : 방향제
40 : 제1알림표지부 50 : 제2알림표지부
70 : 고정수단 71 : 양면테이프
71a : 이형지 72 : 회전체
73 : 고정체 73a : 접착테이프
74 : 고정홀 75 : 회전고정구
75a : 고정돌기 75b : 테이프

Claims (5)

  1. 내부에 중공형성된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의 일측에는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2)의 내면에는 걸림턱(13)이 돌설되며 상기 수용부(11)의 타측면에는 제1통기공(14)이 통공되며 외측전면과 배면에 각각 제1인입홈(15) 및 제2인입홈(16)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개방형성된 개방부(12)에 탈착되어 상기 개방부(12)를 개폐하고 측면에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과 대응되는 제2통기공(21)이 통공되며 내면에 상기 몸체(10)의 개방부(12)에 돌설된 걸림턱(13)에 걸려 스톱되는 스톱돌기(22)가 돌설된 덮개(20)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과 상기 덮개(20)의 제2통기공(21)측으로 각각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제1통기공(14) 또는 제2통기공(21)측으로 향취가 배출되는 방향제(3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 전면에 형성된 제1인입홈(15)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1알림표지부(4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 배면에 형성된 제2인입홈(16)에 인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제2알림표지부(5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구성되어 상기 몸체(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일측이 부착되고 타측에는 이형지(71a)가 형성된 양면테이프(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몸체(10)의 외부 하면에 부착되는 회전체(72)와;
    상기 회전체(72)가 부착되고 하면에 접착테이프(73a)가 구성된 고정체(73)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체(72)와 고정체(73)는 서로 탈부착되는 자석과 철판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몸체(10)에 고정홀(74)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74)에 끼워지는 원형 고정돌기(75a)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면에 테이프(75b)가 구성된 회전고정구(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10)의 제1통기공(14) 또는 상기 덮개(20)의 제2통기공(21)으로부터 인입된 공기가 몸체의 밖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1)에 수용된 방향제(30)의 향취가 배출되는 제3통기공(17)이 더 통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KR2020090015721U 2009-12-03 2009-12-03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KR200900129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21U KR20090012941U (ko) 2009-12-03 2009-12-03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21U KR20090012941U (ko) 2009-12-03 2009-12-03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41U true KR20090012941U (ko) 2009-12-23

Family

ID=4612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21U KR20090012941U (ko) 2009-12-03 2009-12-03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9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89A1 (ko) * 2017-07-14 2019-01-17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389A1 (ko) * 2017-07-14 2019-01-17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이미지 교체가 가능한 기능성 광고 장치
US10467930B2 (en) 2017-07-14 2019-11-05 Cocoon Design Co., Ltd. Image-replaceable functional advertise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6732A1 (en) Filtering mask with compartment for replaceable filter
WO2006003219A1 (es) Dispositivo para la cata de olores
US20070020033A1 (en) Scent emitting writing instrument
KR20090012941U (ko) 방향제가 구비된 알림 표지구
KR101394248B1 (ko) 방향제팩의 교체가 가능한 케이스 구조
KR200469969Y1 (ko) 자동차용 방향제 클립
JP4618392B2 (ja) 浄水器
CN209436483U (zh) 多功能校园卡
JP3143018U (ja) かばん
KR20070000481U (ko) 향기 나는 책
KR200380265Y1 (ko) 방향제필통
KR20100010041U (ko) 방향제가 구비된 주차안내구
JP3109145U (ja) 靴の消臭具
CN220709850U (zh) 一种可更换内容的服装吊牌
KR200281050Y1 (ko) 향기 및 광고기능 겸용 접시
JP3106470U (ja) 子供用ランドセル標示器
KR20130107074A (ko) 옷걸이 걸이지지 장치
KR20100010042U (ko) 방향제가 구비된 주차안내구
JP2010162513A (ja) 浄水器
US20180296717A1 (en) Container system
KR200434914Y1 (ko) 자동차용 주차 알림판
ES1258009U (es) Carta de esencias
JP2002088864A (ja) 脱臭カートリッジ
JP2003135126A (ja) 履物保管袋
JP3057298U (ja) 芳香バック(香袋)装着式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