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807B1 -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807B1
KR101792807B1 KR1020160054832A KR20160054832A KR101792807B1 KR 101792807 B1 KR101792807 B1 KR 101792807B1 KR 1020160054832 A KR1020160054832 A KR 1020160054832A KR 20160054832 A KR20160054832 A KR 20160054832A KR 101792807 B1 KR101792807 B1 KR 10179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horizontal frame
blades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국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to KR102016005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 양 상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블레이드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도록 각 블레이드부의 각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소켓의 사이즈에 대응 가능하도록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블레이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레이드조절수단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교체 및 수리 등의 관리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Blade position adjustable blade changer for the pressure of the semiconductor socket}
본 발명은 체인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켓을 테스트하되, 사이즈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비인 소터는 번인 테스트 공정에서 번인 보드에 적재되어 나오는 반도체 제품을 양품과 불량을 구분하여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비로서 일정시간에 다량의 반도체 제품을 분류하여 적재한다.
이 과정 중에서 번인 보드에 적재된 반도체 제품을 테스트 트레이에 적재하려면 소켓 프레스가 번인 보드에 장착된 소켓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장치를 개방시킨 후 반도체 제품을 인출하여 테스트 트레이에 이송한다.
그리고 테스트 트레이의 소켓의 양극을 가압하여 고정장치를 개방한 후 반도체 제품을 소켓에 삽입한 후 가압을 해제하면 테스트 트레이의 소켓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소켓의 양측면을 가압하기 위하여 양측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프레스를 복수 개 결합하고, 실린더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함에 따라, 소켓을 가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는 로봇 Head에 프레스를 부착하게 되어 Head의 크기 및 무게가 커지므로, 고속 이송에 불리하고, 누름 동작 시 Robot Head에 부하가 발생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고속 동작 시, 소켓의 열림 및 닫힘 동작 중 소켓상의 반도체 제품이 충격으로 제 위치를 벗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04-010309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소켓을 가압하기 위한 프레스부와 프레스부와 함께 이동되는 프레스 이동부 및 프레스 이동부를 작동시켜 소켓을 가압하기 위한 프레스 구동부로 구성되어 별도의 장비가 없이 자체적으로 소켓을 가압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켓은 사이즈가 다양한 것으로, 다른 사이즈의 소켓을 가압할 경우, 해당 사이즈를 갖는 프레스부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어 작업을 중단시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좁은 공간에서 교체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이즈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 양 상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블레이드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도록 각 블레이드부의 각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반도체 소켓의 사이즈에 대응 가능하도록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블레이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레이드조절수단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교체 및 수리 등의 관리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 양 상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블레이드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도록 각 블레이드부의 각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조절수단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켓 커버의 사이즈에 따라, 각 블레이드부의 각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레이드조절수단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각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조절부, 및 상기 블레이드조절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수평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의 일단부에 직교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수직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조절부는,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되, 일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설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이동블럭, 및 상기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팔로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구동부는, 내부에 복수의 단을 갖는 캠홈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각 블레이드의 배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캠플레이트,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캠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블럭, 나사산이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어 상기 캠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랙기어, 상기 구동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평기어, 및 상기 구동평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해당 캠홈에 상기 해당 캠팔로어가 위치되어 캠플레이트의 이동 시, 캠홈에 의해 캠팔로어가 이동되어 해당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테스트하고자 하는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위치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이동되는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 및 상기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위치조절부는, 상기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3가이드레일, 상기 제3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3이동블럭, 및 상기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을 갖고, 상기 위치구동부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된 블레이드를 원위치되도록 보조하는 원위치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가 설치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상기 몸체프레임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입출공, 상기 입출공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측단부 하측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턱, 상기 입출공이 형성된 몸체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거치턱에 지지된 블레이드프레임의 측단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입출공에 입출되는 설치블럭, 및 상기 설치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탈부착시킴에 따라, 상기 설치블럭이 블레이드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켓의 커버 사이즈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조절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되어 반도체 소켓에 따라 블레이드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에 의하면, 반도체 소켓의 사이즈에 대응 가능하도록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블레이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블레이드조절수단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교체 및 수리 등의 관리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체인저의 블레이드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조절수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조절수단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조절수단에 가압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체인저의 블레이드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조절수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조절수단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조절수단에 가압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10)는 몸체프레임(100)과 블레이드부(200) 및 블레이드조절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몸체프레임(100)은 내부에 설치공간부(102)가 형성되고, 블레이드부(200)는 몸체프레임(100)의 설치공간부(102)에 위치된다.
이러한 블레이드부(200)는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 양 상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블레이드(202)로 구성되며, 테스트하고자 하는 소켓의 개수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가 정해진다.
여기서, 일 실시 예로, 하나의 트레이에 복수의 소켓 열이 배열되고, 한 열에 4개의 소켓이 배열된다.
그리고 블레이드조절수단(300)은 복수의 블레이드부(200)를 몸체프레임(100)에 설치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도록 각 블레이드부(200)의 각 블레이드(20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10)는 블레이드조절수단(300)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켓 커버의 사이즈에 따라, 각 블레이드부(200)의 각 블레이드(202)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소켓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블레이드 체인저(10)는 로봇암 등의 별도의 프레스장치(미 도시)에 의해 몸체프레임(100)이 상하 수직 왕복운동됨에 따라, 반도체 소켓의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하측에 위치된 트레이는 별도의 이송장치와 고정장치 등에 의해 블레이드 체인저(10) 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블레이드조절수단(300)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프레임(310)과 블레이드조절부(320) 및 블레이드구동부(330)로 구성된다.
블레이드프레임(310)은 복수의 블레이드(202)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고, 블레이드조절부(320)는 각 블레이드(20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블레이드구동부(330)는 블레이드조절부(32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비된다.
이 블레이드프레임(310)은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과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으로 구성된다.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은 몸체프레임(100)의 설치공간부(102)에 위치되고,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은 복수의 블레이드(202)가 설치되도록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의 일단부에 직교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블레이드조절부(320)는 블레이드설치프레임(322)과 제2가이드레일(324), 제2이동블럭(326) 및 캠팔로어(328)로 구성된다.
블레이드설치프레임(322)은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되, 일단부가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의 전면에 위치되어 블레이드(202)가 설치되고, 타단부는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가이드레일(324)은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에 구비되고, 제2이동블럭(326)은 제2가이드레일(324)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322)에 구비된다.
캠팔로어(328)는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32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블레이드구동부(330)는 캠플레이트(331)와 제1가이드레일(332), 구동블럭(333), 구동랙기어(334), 구동평기어(335) 및 구동모터(336)로 구성된다.
캠플레이트(331)는 내부에 복수의 단을 갖는 캠홈(400)이 복수 개 형성되고,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각 블레이드(202)의 배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1가이드레일(332)은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에 구비되고, 구동블럭(333)은 제1가이드레일(3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캠플레이트(331)에 구비된다.
구동랙기어(334)는 나사산이 캠플레이트(331)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어 캠플레이트(331)에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평기어(335)는 구동랙기어(334)에 치합되고, 구동모터(336)는 구동평기어(335)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블레이드구동부(330)는 해당 캠홈(400)에 해당 캠팔로어(328)가 위치되어 캠플레이트(331)의 이동 시, 캠홈(400)에 의해 캠팔로어(328)가 이동되어 해당 블레이드(202)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테스트하고자 하는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조절한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조절수단(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구동모터(336)를 작동시켜 구동평기어(335)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랙기어(334)가 캠플레이트(331)와 함께 이동된다.
이 캠플레이트(331)의 이동 시, 각 캠홈(400)에 위치된 각 캠팔로어(328)가 해당 캠홈(400)을 따라 이동되어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322)이 이동되어 각 블레이드(202)의 간격이 조절된다.
다시 말해, 반도체 소켓 사이즈가 클 경우, 캠플레이트(331)가 전진함에 따라, 각 캠팔로어(328)가 캠홈(400)의 전단부로 이동되어 각 블레이드(202)의 간격을 증가시키고, 반도체 소켓 사이즈가 작을 경우, 캠플레이트(331)가 후진함에 따라, 각 캠팔로어(328)가 캠홈(400)의 후단부로 이동되어 각 블레이드(202)의 간격이 감소된다.
물론,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322)은 제2이동블럭(326)이 제2가이드레일(324)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용이하게 이동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캠홈(400)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소켓의 각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단이 형성된다.
여기서, 블레이드수평프레임(312)은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3122)과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으로 구성된다.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3122)은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이동되고,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은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3122)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블레이드(202)를 캠플레이트(331)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가 더 포함된다.
이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는 제3가이드레일(510)과 제3이동블럭(520) 및 위치구동부(530)로 구성된다.
제3가이드레일(510)은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에 구비되고, 제3이동블럭(520)은 제3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이동되도록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3122)에 구비된다.
또한 위치구동부(530)는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에 구비되어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3122)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는 복수의 블레이드(202)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구형 테스트 소켓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트레이에 배열되지 않아 블레이드조절부(320)와 블레이드구동부(330)에 의해 간격 조절만으로 정확한 가압위치로 각 블레이드(202)를 위치시킬 수 없다.
이에,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를 이용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먼저, 블레이드조절부(320)와 블레이드구동부(330)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02)의 간격을 조절한 후,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에 의해 블레이드(202)를 전진시켜 정확한 가압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는 원위치부(540)가 포함되는 것으로, 원위치부(540)는 탄성을 갖고, 위치구동부(530)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된 블레이드(202)를 원위치되도록 보조한다.
이 원위치부(540)의 일단은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3122)이나 블레이드수직프레임(314)에 고정되고, 타단은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10)는 블레이드부(200)가 설치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몸체프레임(100)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600)을 더 포함한다.
이 탈부착수단(600)은 입출공(610)과 거치턱(620), 고정블럭(630), 설치블럭(640) 및 고정부재(650)로 구성된다.
입출공(610)은 몸체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프레임(100)의 양측프레임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턱(620)은 입출공(6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몸체프레임(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블레이드프레임(310)의 측단부 하측이 거치된다.
고정블럭(630)은 입출공(610)이 형성된 몸체프레임(100)의 외면에 구비되고, 설치블럭(640)은 거치턱(620)에 지지된 블레이드프레임(310)의 측단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출공(610)에 입출된다.
또한 고정부재(650)는 설치블럭(640)을 고정블럭(630)에 탈부착시킴에 따라, 설치블럭(640)이 블레이드프레임(310)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탈부착수단(600)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거치턱(620)은 블레이드프레임(310)의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 양측단부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설치블럭(640)은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3124)의 양측단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블레이드부(200)와 블레이드조절수단(300),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의 교체나 수리 등의 관리가 용이함에 따라, 작업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켓의 커버 사이즈에 따라 블레이드조절수단(3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가 더 포함되어 반도체 소켓에 따라 블레이드(202) 간격과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러한 제어부(700)는 블레이드구동부(330)를 제어하여 블레이드조절부(320)를 작동시킴에 따라, 각 블레이드(20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블레이드위치조절부(500)를 조절하여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켓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각 블레이드(202)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202)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340)가 더 포함된다.
이 가압부재(340)는 스프링으로 반도체 소켓을 더욱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고, 결합 오차나 장기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블레이드 체인저 100 : 몸체프레임
200 : 블레이드부 202 : 블레이드
300 : 블레이드조절수단 310 : 블레이드프레임
312 : 블레이드수평프레임 3122 :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
3124 :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 314 : 블레이드수직프레임
320 : 블레이드조절부 322 : 블레이드설치프레임
324 : 제2가이드레일 326 : 제2이동블럭
328 : 캠팔로어 330 : 블레이드구동부
331 : 캠플레이트 332 : 제1가이드레일
333 : 구동블럭 334 : 구동랙기어
335 : 구동평기어 336 : 구동모터
340 : 가압부재 400 : 캠홈
500 : 블레이드위치조절부 510 : 제3가이드레일
520 : 제3이동블럭 530 : 위치구동부
540 : 원위치부 600 : 탈부착수단
610 : 입출공 620 : 거치턱
630 : 고정블럭 640 : 설치블럭
650 : 고정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 양 상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블레이드를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상기 몸체프레임에 설치하되, 해당 반도체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도록 각 블레이드부의 각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조절수단은 테스트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켓 커버의 사이즈에 따라, 각 블레이드부의 각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블레이드조절수단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각 블레이드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조절부; 및
    상기 블레이드조절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설치공간부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수평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의 일단부에 직교되게 구비되는 블레이드수직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조절부는,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되, 일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설치프레임;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이동블럭; 및
    상기 각 블레이드설치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팔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구동부는,
    내부에 복수의 단을 갖는 캠홈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각 블레이드의 배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캠플레이트;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레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캠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블럭;
    나사산이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어 상기 캠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랙기어;
    상기 구동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평기어; 및
    상기 구동평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해당 캠홈에 상기 해당 캠팔로어가 위치되어 캠플레이트의 이동 시, 캠홈에 의해 캠팔로어가 이동되어 해당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테스트하고자 하는 소켓의 커버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조절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상기 캠플레이트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위치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수평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수직프레임과 연결되어 동일하게 이동되는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 및
    상기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위치조절부는,
    상기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3가이드레일;
    상기 제3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제3이동블럭; 및
    상기 블레이드하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상단수평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구동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8. 제7항에 있어서,
    탄성을 갖고, 상기 위치구동부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된 블레이드를 원위치되도록 보조하는 원위치부;가 더 포함되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가 설치된 블레이드조절수단을 상기 몸체프레임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형성되는 입출공;
    상기 입출공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측단부 하측이 거치되기 위한 거치턱;
    상기 입출공이 형성된 몸체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거치턱에 지지된 블레이드프레임의 측단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입출공에 입출되는 설치블럭; 및
    상기 설치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탈부착시킴에 따라, 상기 설치블럭이 블레이드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KR1020160054832A 2016-05-03 2016-05-03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KR10179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32A KR101792807B1 (ko) 2016-05-03 2016-05-03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32A KR101792807B1 (ko) 2016-05-03 2016-05-03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807B1 true KR101792807B1 (ko) 2017-11-03

Family

ID=6038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832A KR101792807B1 (ko) 2016-05-03 2016-05-03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3247B2 (en) 2018-10-24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handler
KR102610784B1 (ko) * 2022-11-03 2023-12-07 시냅스이미징(주) 가변피치형 픽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05B1 (ko) * 2012-04-25 2013-09-27 (주)에이젯 대면적 분할형 반도체 소자 컨택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05B1 (ko) * 2012-04-25 2013-09-27 (주)에이젯 대면적 분할형 반도체 소자 컨택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3247B2 (en) 2018-10-24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handler
KR102610784B1 (ko) * 2022-11-03 2023-12-07 시냅스이미징(주) 가변피치형 픽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67B1 (ko) 가공기계의 피가공물 장착용 지그
JP6898248B2 (ja) ステンシルプリンターのためのリフトツールアセンブリ
US4765531A (en) Quick change work station apparatus for automatic wire bonders
EP3527374B1 (en) Screen printer
DE102012019573A1 (de) Druckvorrichtung, Drucksystem, Verfahren
KR101792807B1 (ko) 블레이드 위치 조절 가능한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KR100236495B1 (ko) 판재 가공 장치
JPH0332532A (ja) 開放葉状部材の下部ソケットブラケット自動組立装置
KR20100007372A (ko) 다축 나사체결장치
CN109164375B (zh) 一种电子设备电路板测试装置
CN103876393A (zh) 自动穿鞋带机
KR20140136076A (ko)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적재장치
KR101363450B1 (ko) 연성회로기판용 프레스 장치
CN103876392A (zh) 自动穿鞋带机的鞋带夹持机构
CN210936643U (zh) 一种插座生产用冲压成型装置
KR101792802B1 (ko) 반도체 소켓 가압용 블레이드 체인저
CN104302116B (zh) 一种插件机用工作台
KR101708488B1 (ko)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KR102212060B1 (ko) 사출 성형품 세팅 장치
CN203789276U (zh) 自动穿鞋带机的鞋带拉紧机构
EP3421236A1 (en) Screen printing machine
CN105965241A (zh) 铰接件自动安装机
KR102369467B1 (ko) 전자부품 처리 장비용 개방장치
KR101018675B1 (ko) 솔라셀 웨이퍼 프린트기의 스퀴지 각도조절장치
CN203789274U (zh) 自动穿鞋带机的鞋带夹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