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609B1 -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609B1
KR101790609B1 KR1020160029064A KR20160029064A KR101790609B1 KR 101790609 B1 KR101790609 B1 KR 101790609B1 KR 1020160029064 A KR1020160029064 A KR 1020160029064A KR 20160029064 A KR20160029064 A KR 20160029064A KR 101790609 B1 KR101790609 B1 KR 10179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number
sensing means
heat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860A (ko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2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6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G06K2209/1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상에 주행중인 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여 차량화재의 사전예방 또는 신속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제1차량번호인식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는 발열감지수단과; 상기 발열감지수단으로부터 이상발열여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상황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황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의 긴급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열감지수단은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 및 발열감지수단의 설치지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며 제어부가 발열감지수단으로부터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Fire Prevention System Through Overheating Detection of Vehicles}
본 발명은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상에 주행중인 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여 차량화재의 사전예방 또는 신속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국가경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함으로써 국민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자동차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자동차의 보유대수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반면 자동차의 급증에 대한 반작용으로 교통문제 뿐아니라 자동차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화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자동차 내에 휴대용 소화기를 비치하지 않고 운행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소화기를 비치한다고 하더라도 안전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거나 의식을 잃은 상태라면 진화를 할 수 없게 된다.
현재 국내에는 화재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장착한 자동차가 실용화되고 있지 않으나 일부 외국의 자동차에는 전자 감응기로 엔진 내부에서 특정부위의 열을 감지하여 열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고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화재의 진행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 장치가 손상을 입은 경우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국부적인 화재만 감시할 수 있어 정확한 화재 판단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로 인한 운행의 어려움으로 다른 차량 또는 구조물과 충돌하여 사고가 발생되고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 상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2차, 3차에 걸친 다중 추돌사고까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주행중인 차량의 엔진과열이나 다른 구성부품의 과열 또는 스파크로 인한 화재발생 우려시 또는 화재시에 신속하게 이를 외부에서 감지하여 화재를 예방하거나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715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 상에 주행중인 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여 차량화재의 사전예방 또는 신속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로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제1차량번호인식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는 발열감지수단과; 상기 발열감지수단으로부터 이상발열여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상황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황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의 긴급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열감지수단은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 및 발열감지수단의 설치지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며 제어부가 발열감지수단으로부터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번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는 상기 이상발열로 판단되어 디스플레이수단에 의해 표시된 차량이 정차하도록 하는 소화구간이 설치되고 해당 소화구간에는 소화장치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소화구간에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제2차량번호인식수단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가 이상발열로 판단되어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표시된 차량의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여 소화장치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며, 상기 발열감지수단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됨에 따라 전방에 설치되는 발열감지수단의 오감지 여부를 재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차량의 화재발생 전에 이상발열을 감지하여 차량화재예방하거나 발생된 화재를 최대한 신속하게 소화하도록 하여 차량 및 운전자의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속한 대응을 통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함에 따라 도로상의 화재차량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행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및 디스플레이수단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상발열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수단의 출력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설치된 소화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소화장치에 의해 소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열감지수단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행차량의 이상발열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및 디스플레이수단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상발열이 감지된 경우 디스플레이수단의 출력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설치된 소화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소화장치에 의해 소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열감지수단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시스템(100)은 크게 도로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P)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C)의 차량번호(N)를 인식하는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과, 상기 프레임(P)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C)의 이상발열을 감지하는 발열감지수단(20)과, 상기 발열감지수단(20)으로부터 이상발열여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상황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상황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C)의 긴급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제서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은 주행하는 차량의 차량번호(N)를 인식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은 주행차량의 정면 또는 배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차량번호(N) 영역을 추출한 후 최종적으로 차량번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 내에 주행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수단과, 촬영된 이미지에서 차량번호(N) 영역을 추출하고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세서가 탑재된다.
다른 일예로는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에서 촬영수단만을 탑재하여 후술할 제어부(30)로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고 제어부(30)에서 차량번호(N) 영역을 추출하고 차량번호(N)를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감지수단(20)은 주행하는 차량(C)의 이상발열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이러한 발열감지수단(20)으로는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감지수단(20)은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 분석하여 차량(C)의 각 구성부별로 사전에 설정된 적정 온도 영역보다 과열된 구성부 또는 영역을 검출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감지수단(20)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30)로 전송하여 제어부(30)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 과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발열감지수단(20)으로부터 이상발열여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상황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데, 제어부(30)는 특정 차량(C)이 이상발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차량(C)의 차량번호(N)를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으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외부 즉, 후술할 관제센터(40)로 전송한다.
아울러 제어부(30)는 발열감지수단(20)으로부터 일정간격 후방에 이격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수단(50)으로 해당 차량번호(N)를 표시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비되는 소화구간(60)으로 해당 차량의 정차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수단(50)의 출력 화면을 보고 운전자가 소화구간(60)으로 이동하게 되면 소화구간(60)에 설치된 소화장치(70)가 동작하여 이상발열에 따른 화재발생시 이를 소화하게 된다.
물론 현재 이상발열만 발생되고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발열 원인 및 이에 대한 조치를 운전자 또는 소화구간(60)의 관리자가 진행하게 된다.
상기 소화구간의 관리자는 제어부(30)의 상황데이터를 전달받은 관제서버(40)에 의해 출동신호를 받아 해당 소화구간으로 출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화구간(60)에는 소화장치(70) 외에 다른 측정수단, 정비수단 및 구호수단 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화장치(70)는 물 또는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와이어나 리프트 등을 통해 상, 하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구간(60)에는 제2차량번호인식수단(80)이 구비되어 소화구간(60)으로 진입하는 차량(C)이 이상발열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수단(50)에 의해 표시된 차량(C)인지 확인한 후 소화장치(7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제어부(30)에서 수행되며 제어부(30)는 제2차량번호인식수단(80)에서 검출된 차량번호(N)와 디스플레이수단(50)에 전송한 차량번호(N)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소화장치(70)의 동작제어를 하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열감지수단(20)을 1개소로 설치하여 이상발열여부를 감지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됨에 따라 전방에 설치되는 발열감지수단(20)의 오감지 여부를 재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제1차량번호인식수단 20 : 발열감지수단
30 : 제어부 40 : 관제센터
50 : 디스플레이수단 60 : 소화구간
70 : 소화장치 80 : 제2차량번호인식수단
100 : 화재예방시스템 P : 프레임
C : 차량 N : 차량번호

Claims (6)

  1. 도로 상에 설치되는 프레임(P)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C)의 차량번호(N)를 인식하는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과;
    상기 프레임(P)에 결합되어 주행하는 차량(C)의 이상발열을 감지하는 발열감지수단(20)과;
    상기 발열감지수단(20)으로부터 이상발열여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한 상황데이터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상황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C)의 긴급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제서버(4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 및 발열감지수단(20)의 설치지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며 제어부(30)가 발열감지수단(20)으로부터 이상발열로 판단되는 경우 제1차량번호인식수단(10)으로부터 차량번호(N)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번호(N)를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감지수단(20)은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50)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는 상기 이상발열로 판단되어 디스플레이수단(50)에 의해 표시된 차량(C)이 정차하도록 하는 소화구간(60)이 설치되고 해당 소화구간(60)에는 소화장치(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구간(60)에는 진입하는 차량(C)의 차량번호(N)를 인식하는 제2차량번호인식수단(80)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30)가 이상발열로 판단되어 디스플레이수단(50)을 통해 표시된 차량(C)의 차량번호(N)인지를 판단하여 소화장치(70)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감지수단(2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됨에 따라 전방에 설치되는 발열감지수단(20)의 오감지 여부를 재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KR1020160029064A 2016-03-10 2016-03-10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KR10179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64A KR101790609B1 (ko) 2016-03-10 2016-03-10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64A KR101790609B1 (ko) 2016-03-10 2016-03-10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60A KR20170105860A (ko) 2017-09-20
KR101790609B1 true KR101790609B1 (ko) 2017-11-03

Family

ID=6003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64A KR101790609B1 (ko) 2016-03-10 2016-03-10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2187B (zh) * 2021-11-12 2024-04-30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区间水位异常联动防护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60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787B1 (ko) 차량의 안전운전방법
KR101768847B1 (ko)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US20160104050A1 (en) Monitoring a degree of attention of a driver of a vehicle
JP2014141127A (ja) 衝突傷害予測システム
US20170309159A1 (en) Vehicle emergency system
CN110525337B (zh) 车辆安全控制装置及方法
KR20130054830A (ko) 운전자 시선추적과 교통정보를 이용한 도로상황 경보시스템 및 방법
US20150140947A1 (en) Method for placing an emergency call in a vehicle
JP2014226997A (ja) ドライバ確認装置
CN109455139A (zh) 一种基于汽车开门的警示保护装置
CN105459898A (zh) 一种主动式车辆后方辅助预警系统
KR20160147580A (ko) 후방 차량의 과속 접근을 경고하는 장치
CN104658316A (zh) 行车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101241861B1 (ko) 차량 실내 카메라와 근접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4984521B2 (ja) 車載カメラの制御装置
CN110626259A (zh) 三角警示架及其撞击预警方法
KR101790609B1 (ko) 주행차량의 이상발열 감지를 통한 화재예방시스템
KR101573767B1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020299B2 (ja) 落下物検知システム、落下物検知方法
KR100862041B1 (ko) 차량용 승객 보호 장치
CN110203293B (zh) 碰撞事故检测方法、装置、系统和车辆
Goswami et al. Android based rush and drunk driver alerting system
JP7234614B2 (ja) 異常検出装置、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異常検出プログラム
KR101574010B1 (ko) 안전운전용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8269399A (ja) 車両の車線逸脱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