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516B1 -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516B1
KR101790516B1 KR1020160040221A KR20160040221A KR101790516B1 KR 101790516 B1 KR101790516 B1 KR 101790516B1 KR 1020160040221 A KR1020160040221 A KR 1020160040221A KR 20160040221 A KR20160040221 A KR 20160040221A KR 101790516 B1 KR101790516 B1 KR 10179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asymmetrical
asymmetric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721A (ko
Inventor
배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6004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5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모터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와 기어부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가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체결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터미널부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Actuator Having Asymmetric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기계적인 작업을 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대칭 관통홀을 구비한 케이스와 비대칭 관통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비대칭 구조의 결합부를 구비한 터미널부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액추에이터는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기계적인 작업을 하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는 모터나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는 전기 배선을 포함한 터미널부 및 기어와 같은 부품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의 터미널부는 케이스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지만, 별도로 제작하여 케이스와 결합하도록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터미널부의 조립 시 작업자의 숙련도나 실수에 따라, 오조립이나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면 불량률이 상승하고 액추에이터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공정이 지연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부와 케이스의 결합부는 보통 원형의 후크 타입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터미널부를 케이스에 장착할 때 일정한 방향으로 장착을 하여야 하나 원형의 형상으로 장착의 방향이 바뀌거나 장착 후 터미널부에 외력이 가해져서 터미널부가 회전하여 결합부가 파손되는 우려가 있다.
또한, 터미널부는 전기 배선에 의해 모터나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는데 오조립이나 부품의 파손 시 전기 배선이 끊어지므로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케이스에 터미널부를 조립할 때 부품의 오조립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17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액추에이터에 터미널부의 조립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비대칭 형태의 관통홀을 구비한 케이스 및 비대칭 구조의 결합부를 구비한 터미널부를 제작하여, 외력으로부터 터미널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대칭 구조로 터미널부가 회전하여 결합부가 파손되거나 오조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는, 모터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가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체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터미널부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체결부 및 상기 터미널부의 일부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구비된 비대칭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을 수용하며 상기 터미널부의 일부를 감싸는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관통홀은 상기 오목홈 바닥부의 일부에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 비대칭 관통홀을 구비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관통홀은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수직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비대칭 관통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비대칭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결합부는 탄성돌기에 의해 상기 비대칭 관통홀과 후크 체결되는 것을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일부에는 외부의 힘으로부터 상기 비대칭 결합부를 지지하는 오목홈 저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홈 저부면과 대응하여 상기 터미널부에는 상기 오목홈 저부면과 맞닿는 터미널부 종단면이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로 직선이동하여 전극단자가 모터와 접속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도면 등을 통해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에 의하면, 비대칭 형태의 관통홀을 구비한 케이스 및 비대칭 구조의 결합부를 구비한 터미널부를 제작하여, 작업자가 체결 구조에 맞춰서 일정한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므로 체결방향의 혼동을 피할 수 있고, 일부에만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터미널부의 회전에 따른 전극단자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외력으로부터 터미널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불량률 및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부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110) 내부에는 전력을 공급받아서 구동되는 모터(111), 모터(111)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기어(112) 및 제 2 기어(113)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부(114)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모터(111)는 터미널부(1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구동되고 상기 모터(111)의 일측에는 기어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부는 모터(111)와 결합되어 있는 제 1기어(112) 및 상기 제 1기어(11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기어(113)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기어(113)는 동력전달부(114)와 하나의 축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모터(111)가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면 구동력이 기어부를 통해 동력전달부(114)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모터(111) 대신에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회전운동이 아닌 직선운동을 통해 동력전달부(114)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추에이터에서 솔레노이드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터미널부(130)와 체결되는 체결부(12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터미널부(130)가 삽입되었을 때, 터미널부(130)의 일부가 감싸질 수 있도록 터미널부(130)의 형상과 대응하여 오목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121)의 일부에는 비대칭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비대칭 관통홀(122)은 상기 터미널부(130) 삽입방향에 수직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반원,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널부(130)의 일측에는 비대칭 관통홀(122)로 삽입 및 체결되는 비대칭 결합부(131)를 구비한다. 상기 비대칭 결합부(131)는 비대칭 관통홀(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비대칭 결합부(131)와 평행한 방향으로 전극단자(132)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130)가 상기 비대칭 관통홀(122)로 삽입되면 상기 전극단자(132)는 모터(111)와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류를 모터(111)에 공급하고 상기 모터(111)를 구동시킨다.
본원에 따른 비대칭 관통홀(122) 및 비대칭 결합부(131)의 독특한 구조는 비대칭 관통홀(122) 및 비대칭 결합부(131)가 체결될 때, 케이스(110)에 형성된 오목홈(121)의 일부에만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체결구조에 맞춰서 일정한 방향으로만 삽입이 가능하므로 터미널부(130)의 체결 방향의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일부에만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터미널부(130)의 회전에 따른 전극단자(132)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대칭 관통홀(122)과 비대칭 결합부(131)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후크 체결에 의해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122)은 오목홈(121)의 바닥부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130)의 일측에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122)의 형상에 대응하여 터미널부(130)의 삽입방향과 평행으로 비대칭 결합부(13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비대칭 결합부(131)의 끝단부에는 후크 형상의 탄성돌기(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대칭 결합부(131)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122)의 원주 방향으로 2개소가 형성되고, 지름 방향으로 1개소가 형성되어 총 3개소의 비대칭 결합부(131)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되며 끝단부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탄성돌기(134)가 비대칭 관통홀(122)과의 결합 및 지지를 견고히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부의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오목홈(121)의 일측에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비대칭 관통홀(122)을 구비하고, 비대칭 관통홀(122)의 타측에는 터미널부(130)를 지지하는 오목홈 저부면(123)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 저부면(123)에 대응하여 터미널부(130)에는 상기 오목홈 저부면(123)과 맞닿는 터미널부 종단면(1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터미널부(130)가 외력을 받을 때 오목홈 저부면(123) 및 터미널부 종단면(133)이 터미널부(130)를 지지하여 케이스(110)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오목홈 저부면(123) 및 상기 터미널부 종단면(133)은 면적에 따라 지지 응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목홈 저부면(123) 및 터미널부 종단면(133)의 맞닿는 면적이 넓을 경우 면적에 따라 힘이 분산되어 허용 응력이 커지며, 상기 면적이 작을 경우 허용 응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요구되는 응력의 크기 및 제품의 조건에 따라 오목홈 저부면(123)과 상기 터미널부 종단면(133)의 면적을 제어하여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액추에이터
110 : 케이스
111 : 모터
112 : 제 1 기어
113 : 제 2 기어
114 : 동력전달부
120 : 체결부
121 : 오목홈
122 : 비대칭 관통홀
123 : 오목홈 저부면
130 : 터미널부
131 : 비대칭 결합부
132 : 전극단자
133 : 터미널부 종단면
134 : 탄성돌기

Claims (8)

  1. 모터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가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체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터미널부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체결부; 및
    상기 터미널부의 일부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구비된 비대칭 관통홀;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을 수용하며 상기 터미널부의 일부를 감싸는 오목홈을 구비하며,
    상기 비대칭 관통홀은 상기 오목홈 바닥부의 일부에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 비대칭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비대칭 관통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비대칭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관통홀은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되는 방향의 수직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결합부는 탄성돌기에 의해 상기 비대칭 관통홀과 후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일부에는 외부의 힘으로부터 상기 비대칭 결합부를 지지하는 오목홈 저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홈 저부면과 대응하여 상기 터미널부에는 상기 오목홈 저부면과 맞닿는 터미널부 종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비대칭 관통홀로 직선이동하여 전극단자가 모터와 접속되고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KR1020160040221A 2016-04-01 2016-04-01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KR10179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221A KR101790516B1 (ko) 2016-04-01 2016-04-01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221A KR101790516B1 (ko) 2016-04-01 2016-04-01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21A KR20170112721A (ko) 2017-10-12
KR101790516B1 true KR101790516B1 (ko) 2017-10-26

Family

ID=6014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221A KR101790516B1 (ko) 2016-04-01 2016-04-01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5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6788A1 (ja) * 2006-04-12 2007-10-18 Mikuni Corporation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449093Y1 (ko) * 2008-12-18 2010-06-17 동양기전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파워 윈도 모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6788A1 (ja) * 2006-04-12 2007-10-18 Mikuni Corporation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449093Y1 (ko) * 2008-12-18 2010-06-17 동양기전 주식회사 커넥터 결합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파워 윈도 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21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6472B1 (en) Hanger assembly of a ceiling fan
JP4205550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20180132064A (ko) 회전 액추에이터 및 로봇
CN100521455C (zh) 具有控制电路板的马达及其制造方法
CN104094051A (zh) 用于将led光源固定至散热器表面上的装置
JP2015072797A (ja) コネクタ
KR101790516B1 (ko) 비대칭형 결합구조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KR20050062585A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JP7042835B2 (ja) 駆動ユニットと伝動ユニットと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
ES2367607T3 (es) Aparato para la conexión de un pasador de enlace de interruptor de circuito.
KR101530116B1 (ko) 전동 압축기
CN103222025B (zh) 用于电源电路切断装置的熔断器固定结构
JP2008137116A (ja) 圧入装置
JP6087989B2 (ja) ファンモーター
JP2014072908A (ja) モールドモータ
CN111316391B (zh) 安装位置调整部件以及开关装置
EP2206921B1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compressor
JP2009203936A (ja) 電動圧縮機のケーブル接続構造
KR20150030343A (ko) 모터의 단자 연결구조
KR101239996B1 (ko) 전동 구동기용 모터의 단자 구조체
JP2013507899A (ja) 極ケーシングのための磁石支持体
KR20090063007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JP2018055846A (ja) ライティングダクト用コンセント
KR101331127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커넥터 마운팅구조
JP6018676B2 (ja) モ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