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89B1 -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089B1
KR101790089B1 KR1020150119031A KR20150119031A KR101790089B1 KR 101790089 B1 KR101790089 B1 KR 101790089B1 KR 1020150119031 A KR1020150119031 A KR 1020150119031A KR 20150119031 A KR20150119031 A KR 20150119031A KR 101790089 B1 KR101790089 B1 KR 10179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rope
rim
knot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624A (ko
Inventor
김병옥
Original Assignee
김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옥 filed Critical 김병옥
Priority to KR102015011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0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김 포자의 부착면적이 넓어 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김 양식망은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의 테두리부와, 테두리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그물 구조의 김부착망을 구비하고, 상기 김부착망은 단위그물망을 겹쳐서 길게 형성한 그물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킨다.

Description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laver farming n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김 포자의 부착면적이 넓어 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을 바다에서 양식하기 위해서는 바다에 김 양식망을 설치한 후 김 양식망에 김의 포자를 부착시킨 후 생육시킨다. 전통적으로 김 양식망은 대, 섶, 싸리 따위로 엮어 만들지만, 최근에는 김 양식망으로 그물망을 많이 이용한다.
통상적인 김 양식망을 살펴보면, 합성섬유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사각의 그물망이 설치된다. 그물망의 가장자리는 사각테두리에 지지된다.
종래의 김 양식망에 적용되는 그물망은 실을 엮어서 형성한다. 즉, 2가닥 이상의 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그물구조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그물망은 단일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므로 김 포자의 활착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 김의 생산량을 높이기 어렵다.
이에 따라 그물망이 다수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해태망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0189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해태망은 그물코와 그물코 사이를 복수개의 가닥으로 형성시키는 그물실로 짜여진다.
이러한 해태망은 단일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그물실로 짜인 그물망에 비해 김 포자의 활착면적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각 가닥의 그물실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각 가닥의 그물실들이 조류 등에 의해 크게 벌어져 포자의 유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01897호: 해태망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김 포자의 부착면적이 넓으면서도 포자의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김 양식망은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김부착망;을 구비하고, 상기 김부착망은 단위그물망을 겹쳐서 길게 형성한 그물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킨다.
상기 김부착망은 상기 그물줄이 엮어진 부위마다 형성되는 메인매듭부들과, 각 메인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인접하는 메인매듭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실 가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 가닥들은 그물 구조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위그물망은 단일 가닥의 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킨 다수의 서브매듭부들이 구비된다.
상기 그물줄은 상기 서브매듭부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은 그물구조의 단위그물망을 겹쳐서 길게 형성하여 그물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그물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그물 구조의 김부착망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김부착망의 가장자리를 로프에 연결하여 사각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 구조의 단위그물망을 길게 만든 그물줄을 엮어서 김 양식망을 제조하기 때문에 김 포자의 부착면적이 넓으면서도 포자의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김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 양식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김 양식망에 적용되는 단위 그물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위 그물망을 겹쳐서 길게 형성한 그물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그물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김 양식망(10)은 크게 테두리부(11)와, 김부착망(15)을 구비한다.
테두리부(11)는 사각의 외곽 틀을 형성한다. 테두리부(11)는 합성섬유 재질의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김부착망(15)은 테두리부(11)의 내측에 설치된다. 김부착망(15)의 가장자리는 테두리부(11)에 결속되어 테두리부(11)에 의해 지지된다. 김부착망(15)은 그물 구조로 이루어져 김의 포자가 부착되어 자란다.
본 발명에서 김부착망(15)은 그물줄(40)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킨다. 이는 통상적인 김부착망의 경우 단일 가닥의 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키는 것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그물줄(40)의 모습을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그물줄(40)은 도 3에 도시된 단위그물망(30)을 겹쳐서 길게 형성한 것이다.
단위그물망(30)은 단일 가닥의 실(31)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그물 구조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단위그물망(30)에는 실이 엮인 부위에 매듭부들(35)이 형성된다. 이러한 매듭부들(35)은 다이아몬드 형태의 그물코(33) 주위에 배치된다. 단위그물망(30)의 매듭부(35)를 후술할 김부착망(15)의 매듭부(20)과 구분하기 위해 단위그물망(30)의 매듭부(35)를 서브매듭부라 하고, 김부착망(15)의 매듭부(20)를 메인매듭부라 한다. 서브매듭부들(35)은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넓게 펼쳐진 단위그물망(30)을 한데로 겹쳐서 도 4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한다. 넓게 펼쳐진 단위그물망(30)의 전후 가장자리를 중앙으로 모아 겹친다. 이와 같이 단위그물망(30)을 겹쳐서 좌우로 길게 형성한 것이 그물줄(40)이다. 그물줄(40)의 서브매듭부들(35) 중 종방향으로 배치된 서브매듭부들은 한데 모아지거나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달리 도 5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서브매듭부들(35)은 서로 다른 위치에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위그물망(30)의 전면 가장자리를 좌측 방향으로 당기고 후면가장자리를 우측 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단위그물망을 중앙으로 모아 겹쳐서 도 5와 같이 그물줄을 형성할 수도 있다.
김부착망(15)은 그물줄(40)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한다.
김부착망(15)은 다수의 메인매듭부들(20)이 형성되고, 메인매듭부들(200은 연결부(25)로 연결된다. 메인매듭부들(20)은 그물줄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인 부위에 상호 결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25)는 각 메인매듭부(20)에서 연장되어 인접하는 메인매듭부와 연결된다. 하나의 메인매듭부(20)를 중심으로 4개의 연결부(25)가 연결되고, 각 연결부(25)는 인접하는 메인매듭부(20)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연결부(25)는 그물줄이 엮어지지 않은 부위이다. 따라서 연결부(25)는 복수의 실(31) 가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31) 가닥들은 그물 구조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각 실 가닥들은 그물줄의 서브매듭부(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센 조류가 흐르더라도 실 가닥들 사이가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위그물망(30)을 겹쳐서 길게 형성하여 그물줄(40)을 준비한다.
도 3과 같이 넓게 펼쳐된 단위그물망(30)의 전후 가장자리를 중앙으로 모아 겹쳐서 좌우로 긴 그물줄(40)을 만든다.
다음으로, 그물줄(40)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그물 구조의 김부착망(1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김 부착망(15)은 그물코(23)가 다이아몬드 형태로 질서정연하게 배치된 그물 구조의 망이다. 즉, 그물코(23)의 모양과 간격이 동일하게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다수의 메인매듭부들(20)이 그물코(23)의 모서리마다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메인매듭부들(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5)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김부착망(15)의 가장자리를 로프에 결속하여 사각의 테두리부(1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김 양식망(10)은 근해의 김 양식장에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김 양식망 11: 테두리부
15: 김부착망 20: 메인매듭부
25: 연결부 30: 단위그물망 35: 서브매듭부 40: 그물줄

Claims (6)

  1.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테두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김부착망;을 구비하고,
    상기 김부착망은 단위그물망의 가장자리를 중앙으로 모아 겹쳐서 길게 형성한 그물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키며,
    상기 김부착망은 상기 그물줄이 엮어진 부위마다 형성되는 메인매듭부들과, 각 메인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인접하는 메인매듭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실 가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 가닥들은 그물 구조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망.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그물망은 단일 가닥의 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형성시킨 다수의 서브매듭부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줄은 상기 서브매듭부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망.
  6. 그물 구조의 단위그물망의 가장자리를 중앙으로 모아 겹쳐서 길게 형성하여 그물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그물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엮어서 김부착망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김부착망의 가장자리를 로프에 연결하여 사각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김부착망은 상기 그물줄이 엮어진 부위마다 형성되는 메인매듭부들과, 각 메인매듭부에서 연장되어 인접하는 메인매듭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실 가닥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 가닥들은 그물 구조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
KR1020150119031A 2015-08-24 2015-08-24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9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31A KR101790089B1 (ko) 2015-08-24 2015-08-24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31A KR101790089B1 (ko) 2015-08-24 2015-08-24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24A KR20170023624A (ko) 2017-03-06
KR101790089B1 true KR101790089B1 (ko) 2017-10-25

Family

ID=5839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31A KR101790089B1 (ko) 2015-08-24 2015-08-24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4-10 황용안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0201A (ko) 2018-09-12 2020-03-20 유한회사거명 해조류 양식용 소그물망 및 그물망의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4139A (zh) * 2019-05-10 2019-07-12 江苏瑞雪海洋科技股份有限公司 贝壳构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37B1 (ko) * 2008-11-03 2009-04-30 박충오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KR101419509B1 (ko) * 2013-03-06 2014-07-14 (유)남도유통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897B1 (ko) * 2014-07-29 2015-03-12 유한회사거명 해태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37B1 (ko) * 2008-11-03 2009-04-30 박충오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KR101419509B1 (ko) * 2013-03-06 2014-07-14 (유)남도유통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897B1 (ko) * 2014-07-29 2015-03-12 유한회사거명 해태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201A (ko) 2018-09-12 2020-03-20 유한회사거명 해조류 양식용 소그물망 및 그물망의 설치방법
KR102210739B1 (ko) * 2018-09-12 2021-02-02 유한회사거명 해조류 양식용 소그물망 및 그물망의 설치방법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4-10 황용안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24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089B1 (ko)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KR101465721B1 (ko) 해조류 양식로프
NZ587761A (en) Crop protection netting stretchable in multiple directions with apertures formed from plural yarns along sides free of knots and loops over most of length
RU2696502C1 (ru) Пластиковая сетка с двойными цепочками
KR101419509B1 (ko)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IL259350B1 (en) Rashel machine, mesh, and use of a Rashel machine for mesh production
KR101617300B1 (ko)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US20160120137A1 (en) Netting material with eyelets
KR101459111B1 (ko)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US20200385902A1 (en) Net Having a Support Thread
US6434879B1 (en) Bi-directional, manufacturable, lift-generating mesh bar
KR101501897B1 (ko) 해태망
KR101853077B1 (ko) 김 양식을 위한 김발용 그물망
KR200350560Y1 (ko) 종패 양식용 그물
KR20150000816U (ko) 새꼬막의 유생 포착용 그물
KR20130044490A (ko) 차양망
JP3147033U (ja) 果樹覆いシート
KR102147144B1 (ko) 김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2040792B1 (ko) 미역 채묘틀
KR102010721B1 (ko) 김 양식용 그물망
US20190249344A1 (en) Woven textile
KR101486823B1 (ko) 덩굴작물의 그물망 및 그의 제직방법
KR100991727B1 (ko) 차광 보온 커튼
KR101252295B1 (ko)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 및 그 김 양식망
JP3221558U (ja) 野鳥の羅網を防止する防鳥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