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111B1 -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 Google Patents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111B1
KR101459111B1 KR20140005037A KR20140005037A KR101459111B1 KR 101459111 B1 KR101459111 B1 KR 101459111B1 KR 20140005037 A KR20140005037 A KR 20140005037A KR 20140005037 A KR20140005037 A KR 20140005037A KR 101459111 B1 KR101459111 B1 KR 10145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yarns
warp
ring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숙
Original Assignee
김진숙
주식회사 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숙, 주식회사 건호 filed Critical 김진숙
Priority to KR2014000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04G1/02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는 경사(4)들 간에 연결사(10)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망원단(2)에서, 경사(4) 조직을 형성함에 있어 두개의 고리사(6)(8)를 사용한 고리연결로 다수의 코 연결노드(N)를 형성하고, 제1 고리사(6) 자체가 인접 코 연결노드(N) 간을 왕복함에 따라 형성된 3가닥과 인접 코 연결노드(N)간의 고리링을 스트레이트 형태로 통과하는 제2 고리사(8)의 1가닥으로 된 고리형태의 제1 코(C1)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코(C1)를 잇는 고리형태의 제2 코(C2)를 형성하되 제2 코(C2)는 제1,2 고리사(6)(8)가 제1 코(C1) 형성시의 역할을 서로 교대함에 의해 형성되고, 제1,제2 코(C1)(C2)가 연속 반복되어서 경사(4) 조직을 형성하여 올풀림 방지가 가능케 하고, 아울러 경사(4) 상의 2개의 코간격 내지 8개의 코간격 마다의 코 연결노드(N)에 경사(4) 좌우측편의 지그재그형태의 연결사(10)가 공통으로 엮이는 공통매듭노드(N0)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로 되게 하여서 망원단(2)의 좌우 전폭 유지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WRAPPING NET FOR RUN RESIST OR KEEPING WIDTH AND BALER NET USING THAT}
본 발명은 망원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올풀림 방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그 올풀림 방지기능을 활용함과 아울러 베일러에 장착하여 사초를 감쌀시 좌우 전폭이 줄어드는 현상도 방지되게 할 수 있는 포장결속용 망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결속용 망원단은 경사들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인접한 경사 사이를 연결사를 지그재그로 엮어 마치 갈매기가 나는 듯한 그물코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포장 결속용 망원단은 로프를 대신하여 물건을 포장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되며, 최근에는 곤포랩핑 사일로의 전단계에서 사초들을 단위별로 묶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곤포 랩핑 사일로'라 함은 최근 농축산가에서 가축사료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총채보리, 호밀, 생볏짚 등 건초로 하기에는 다소 수분이 많은 재료를 곤포기를 이용하여 곤포한 다음 비닐을 이용하여 완전히 감싸고 사일리지 발효가 일어나도록 저장하는 사일로의 한 형태를 일컫는다.
이러한 곤포 랩핑 사일로는 건초처럼 날씨에 영향을 적게 받고 신속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노동력을 절감하고 질 좋은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고, 생산비를 낮출 수 있으며, 운반과 저장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비가 자주 오는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 알맞아 최근 국내의 농가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사초들을 곤포하고 비닐로 감싸는 곤포 랩핑 사일로의 제작 전단계에서는, 사초들을 수확하여 절단하고 답압한 후 곤포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베일러가 사초들을 곤포 랩핑용 망원단을 이용하여 단위별로 기계적으로 묶는 작업을 한다.
곤포 랩핑 사일로의 전단계에 사용되는 종래의 망원단의 일 예로, 폴리에틸렌 필름사 등으로 된 경사들을 1인치 간격으로 배치하고, 경사들 사이마다 폴리에틸렌 필름사 등으로 된 연결사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마치 갈매기가 나는 형태의 그물코 모양으로 제편된 곤포 랩핑 사일로용 망원단이 있다.
이러한 망원단은 대부분 사초들을 감싸서 일정 단위로 묶을때 연결사에 비하여 경사가 힘을 더 많이 받게 되면서 베일러에 장치된 활대가 망원단의 좌우 전폭을 펴주는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경사들이 서로 근접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 도 1a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망원단이 원통형 사초더미와 좌우단을 완전히 덮어주지 못해 묶인 사초더미 형태가 미관상 좋지 못하고 묶임 결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곤포 랩핑 사일로용의 포장결속용 망원단은 경사가 끊어지면 제편 특성상 올풀림이 연속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사초더미를 결속한 망원단이 일부가 도 1b의 사진에서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쭉 터지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미합중국 공개공보 US2008/0053158 A1 "KNITTED NET FOR ENVELOPPING ROUND BASES, AND MTE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방향으로의 올풀림 방지가 가능한 망원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올풀림 방지 및 베일러에 장착하여 사초를 감쌀시 좌우 전폭이 줄어드는 현상도 방지되게 할 수 있는 포장결속용 망원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망원단의 좌우 전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망원단 및 곤포랩핑 사일로를 위한 포장결속용 망원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인접하는 경사(4)들 간에 연결사(10)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망원단(2)이나 베일러에 사용하는 포장 결속용 망원단(2)에 있어서, 경사(4) 조직을 형성함에 있어 두개의 고리사(6)(8)를 사용한 고리연결로 다수의 코 연결노드(N)를 형성하고, 제1 고리사(6) 자체가 인접 코 연결노드(N) 간을 왕래함에 따라 형성된 3가닥과 인접 코 연결노드(N)를 스트레이트형태로 통과하는 제2 고리사(8)의 1가닥으로 된 고리형태의 제1 코(C1)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코(C1)를 잇는 고리형태의 제2 코(C2)를 형성하되 제2 코(C2)는 제1,2 고리사(6)(8)가 제1 코(C1) 형성시의 역할을 서로 교대함에 의해 형성되고, 제1,제2 코(C1)(C2)가 반복되어서 경사(4) 조직을 형성하여 올풀림 방지가 가능케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경사(4) 상의 2개의 코간격 내지 8개의 코간격 마다의 코 연결노드(N)에 경사(4) 좌우측편의 지그재그형태의 연결사(10)가 공통으로 엮이는 공통매듭노드(N0)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로 되게 하여 망원단(2)의 좌우 전폭 유지를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일러를 이용한 곤포 작업에 사용되며 인접하는 경사(4)들 간에 연결사(10)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포장결속용 망원단(2)에 있어서, 경사(4) 상의 2개의 코간격 내지 8개의 코간격 마다의 코 연결노드(N)에 경사(4) 좌우측편의 지그재그형태의 연결사(10)가 공통으로 엮이는 곧통매듭노드(N0)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로 되게 구성하여서 망원단(2)의 좌우 전폭 유지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사초더미를 결속하는 곤포랩핑과 같은 망원단의 일부가 절단더라도 경사를 구성하는 2개의 고리사가 형성하는 4가닥중 2개의 스트레이트형태 가닥과 2개의 고리형태 가닥으로 이루어지므로 경사를 구성하는 한쪽 고리사만 당겨주면 홀침현상이 발생하여 올풀림이 방지되고 양쪽 고리사를 모두 당기면 당연히 올풀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망원단이 경사 간을 지그재그로 잇는 연결사의 경사를 제외한 형태가 마름모꼴이 되므로 경사를 그 좌우측의 연결사가 균등하게 당겨주므로 사초를 감쌀시 좌우 전폭이 줄어드는 현상도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곤포랩핑 사일로를 위한 포장결속 망원단을 이용해 사초더미를 묶어 놓은 사진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원단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망원단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포랩핑 사일로를 위한 포장결속 망원단을 이용해 사초더미를 묶어 놓은 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원단(2)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망원단(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단(2)은 바람직하게 사초더미와 같은 곤포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곤포랩핑 사일로를 위한 포장결속용 망원단에 적용될 수 있으며, 경편기(랏셀편기)에 의해 편직되는 모든 망원단에 망조직으로서 적용가능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결속용 망원단(2)은 두개의 고리사(6)(8)를 배치하고 엮어서 4가닥으로 된 경사(4)를 형성하며, 인접한 경사(4)들 사이마다 연결사(10)를 지그재그로 엮는 편직을 행함으로써 그물코 모양으로 제품 구성된다.
본 발명의 포장 결속용 망원단(2)에 사용되는 경사(4)와 연결사(10)는 폴리에틸렌사, 나일론사, 폴리프로필렌사 등을 단독 내지 복합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중 폴리에틸렌사가 여러 모로 가장 바람직하다.
망원단(2)에 적용되는 폴리에틸렌사는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사와 폴리에틸렌 필름사가 있는데,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사가 폴리에틸렌 필름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인장강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가격도 오히려 저렴한 장점이 있다.
포장결속용 망원단(2)은 사초더미를 감싸서 묶을 때 연결사(10)에 비하여 경사(4)가 힘을 더 많이 받게 되므로, 연결사(10)는 1가닥의 실로 형성되는데 반해 경사(4)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고리사의 왕복 접힘으로 대개가 3가닥이고 고리형태로 엮어져 연속배열되므로 경사(4)를 구성한다.
힘을 많이 받는 경사(4)가 다수 가닥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리사의 왕복 접힘 형성이 고리사의 접힘 전 스트레이트 형태에 비해서 인장강도가 30∼40%나 저하되게 하지만 이를 감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경사(4)들 간에 연결사(10)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망원단(2)에서 다수 가닥을 갖는 경사(4)를 조직 형성함에 있어 하나의 고리사를 접혀 고리 형성하는 일반적인 방식과를 달리 두개의 고리사(6)(8)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고리사(6)(8)를 사용해 경사(4)를 구성하는 가닥수를 4가닥으로 한다. 즉 두개의 고리사(6)(8) 상호 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사(4) 조직을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고리사(6)(8)를 교대적으로 이용하는 고리 연결 점으로서 코 연결노드(N)를 다수 형성한다.
코 연결노드(N)는 제1 고리사(6)와 제2 고리사(8)간의 고리 연결로 얻어지는 고리연결점이며, 인접 코 연결노드(N)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태 링을 본 명세서에서는 '코'로 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제2 고리사(6)(8)를 이용해 고리형태의 제1 코(C1)와 제2 코(C2)의 형성을 연속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사(4)를 조직한다.
제1 코(C1)는 제1 고리사(6) 자체가 인접 코 연결노드(N) 간, 예를 들면 첫번째 코 연결노드(N)와 두번째 코 연결노드(N)간을 1회 반을 왕복함에 따른 접힘으로 형성된 3가닥과 상기의 인접 코 연결노드(N)간에 제1 고리사(6)에 의해 형성된 고리링 속을 스트레이트 형태로 통과하는 제2 고리사(8)의 1가닥과의 합으로 4가닥이 형성된다. 즉 제1 코(C1)는 제1 고리사(6) 3가닥과 제2 고리사(8) 1가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코(C1)를 잇는 고리형태의 제2 코(C2)는 제1,2 고리사(6)(8)가 제1 코(C1) 형성시에 하는 역할을 맞교대 함에 의해 조직된다. 즉 제2 코(C2)는 제2 고리사(8) 자체가 인접 코 연결노드(N) 간, 예를 들면 두번째 코 연결노드(N)와 세번째 코 연결노드(N)간을 1회 반을 왕복함에 따른 접힘으로 형성된 3가닥과 상기의 두번째와 세번째 코 연결노드(N) 간에 제2 고리사(8)에 의해 형성된 고리링 속을 스트레이트 형태로 통과하는 제1 고리사(6)의 1가닥과의 합으로 4가닥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제2 코(C2)는 제1 고리사(6) 1가닥과 제2 고리사(8) 3가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코(C1)의 경사조직과 제2 코(C2)의 경사조직이 교대로 반복형성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4가닥의 경사(4)를 조직하는데, 제1,제2 코(C1)(C2)를 형성하는 4가닥중 2가닥은 고리형성에 이용되고 나머지 2가닥은 제1,제2 코(C1)(C2) 구간을 스트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스트레이트 연장형태의 2가닥중 1가닥은 코(C1)(C2)의 고리링 밖을 지나가는 형태이고 나머지 1가닥은 코(C1)(C2)의 고리링 속을 통과하는 형태이다.
스트레이트 형태로 공히 연장되는 2가닥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코 구간까지 각기 연장되지만, 서로는 한구간씩 어긋나서 3개의 코구간씩 연장되는 형태를 취한다.
고리형성을 위한 고리사(6)(8)의 접힘은 스트레이트 형태에 비해 30∼40%나 감소되는 인장강도를 갖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경사(4)중 고리형성에 필요에 의해 접어진 2가닥을 제외한 나머지 2가닥(스트레이트 연장형태 가닥)에는 인강강도의 저하가 전혀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경사(4)의 인장강도를 높이는데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한다. 더욱이 기존의 경사는 3가닥인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4가닥이므로 경사(4)의 인장강도를 기존에 비해 훨씬 더 높혀준다.
더욱 중요하게도, 제1,제2 고리사(6)(8)의 3가닥+1가닥이거나 1가닥+3가닥으로 합이 4가닥으로 되는 본 발명의 경사(4)의 조직은 경사 올풀림이 방지되는 구조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망원단(2)은 그 일부가 절단더라도 경사(4)를 구성하는 두개의 고리사(6)(8)가 형성하는 4가닥은 두개의 스트레이트형태 가닥과 고리형태 가닥으로 이루어지므로 경사(4)를 구성하는 한쪽 고리사만 당겨주면 홀침현상이 발생하여 올풀림이 방지된다. 즉 고리사(6)(8)중의 한 가닥을 당기게 되면 코(C1)(C2)의 고리링 크기가 줄어들면서 고리링 속을 통과하는 스트레이트 형태의 가닥을 묶어버리므로 홀침현상으로 인한 올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쪽 고리사(6)(8)를 모두 당기면 제1 고리사(6)와 제2 고리사(8)가 번갈아가며 코(C1)(C2)의 고리링을 형성하므로 올풀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제1,제2 코(C1)(C2)가 반복되어서 망원단(2)의 경사(4) 조직을 형성하여 올풀림 방지가 가능한 망원단(2)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경사(4)들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연결사(10)를 이용해서 망원단(2)의 좌우 전폭이 줄어들지 않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4)들 사이에 연결사(10)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되 경사(4) 좌우의 연결사(10)가 동일한 코 연결노드(N)인 공통매듭노드(N0)에서 공통으로 엮이도록 하여서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이 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경사(4)를 축으로 할 때 경사(4)간을 지그재그로 연결된 연결사(10)가 좌우 대칭되는 구조인 것이다.
경사(4)를 제외하고 볼 때 본 발명의 연결사(10)의 마름모꼴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포장결속용 망원단(2)의 경사(4) 조직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변형 예로서 경사가 3가닥으로 된 일반적인 포장결속용 망원단 즉 베일러 네트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경사(4) 상에 배치되는 연결사(10)의 공통매듭노드(N0)는 2개의 코(C)간격 내지 8개의 코(C)간격 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4개의 코(C)간격마다의 코 연결노드(N)가 공통매듭노드(N0)로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사(4) 좌우측의 연결사(10)는 공통매듭노드(N0)에 엮이고 경사(4)를 축으로 할 때 좌우 대칭형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과 같은 연결사(10) 조직으로 된 망원단(2)으로 사초더미를 결속할 때 경사(4)를 그 좌우측의 연결사(10)가 균등하게 당겨주므로 사초를 감쌀시 좌우 전폭이 줄어드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곤포랩핑 사일로를 위한 포장결속 망원단(2)을 이용해 사초더미를 묶어 놓은 사진을 보여주고 있는데, 경사(4)를 축으로 하여 좌우대칭된 구조로 연결사(10)가 연결된 덕분에 도 1a의 사진과는 달리 망원단(2)의 좌우 전폭이 줄지 않고 사초더미가 깔끔하게 결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농업용으로서 베일러를 이용한 곤포랩핑 이전 단계에서 사초더미를 묶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또 경편기(랏셀편기)에 의해 편직되는 모든 망원단에 활용가능한 것이다.
(2)-- 망원단 (4)-- 경사
(6)(8)-- 제1,제2 고리사 (10)- 연결사
(C1)(C2)-- 제1,제2 코 (N)-- 코 연결노드
(N0)-- 공통매듭노드

Claims (6)

  1. 인접하는 경사들 간에 연결사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망원단에 있어서,
    경사(4) 조직을 형성함에 있어 두개의 고리사(6)(8)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의 경사(4) 조직을 형성하되 고리연결점인 코 연결노드(N)중 이웃하는 코 연결노드(N) 간을 제1 고리사(6) 자체가 왕복함에 따라 형성된 3가닥과 상기 이웃하는 코 연결노드(N)간 제1 고리사(6) 왕복으로 형성된 고리링 속을 스트레이트 형태로 통과하는 제2 고리사(8)의 1가닥의 합으로 된 고리형태의 제1 코(C1)가 경사(4)의 일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1 코(C1)를 잇는 고리형태의 제2 코(C2)는 제1,2 고리사(6)(8)가 제1 코(C1) 형성시의 역할을 서로 교대함에 의해 형성되어 경사(4)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제1,제2 코(C1)(C2)가 연속 반복되어서 4가닥의 경사(4) 조직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올풀림 방지가 가능한 망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4) 상의 2개의 코간격 내지 8개의 코간격 마다의 코 연결노드(N)에 경사(4) 좌우측편의 연결사(10)가 공통으로 엮이는 공통매듭노드(N0)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로 되게 하는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3. 베일러를 이용한 곤포 작업에 사용되며 인접하는 경사들 간에 연결사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포장결속용 망원단에 있어서,
    경사(4) 조직을 형성함에 있어 두개의 고리사(6)(8)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의 경사(4) 조직을 형성하되 고리연결점인 코 연결노드(N)중 이웃하는 코 연결노드(N) 간을 제1 고리사(6) 자체가 왕복함에 따라 형성된 3가닥과 상기 이웃하는 코 연결노드(N)간 제1 고리사(6) 왕복으로 형성된 고리링 속을 스트레이트 형태로 통과하는 제2 고리사(8)의 1가닥의 합으로 된 고리형태의 제1 코(C1)가 경사(4)의 일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1 코(C1)를 잇는 고리형태의 제2 코(C2)는 제1,2 고리사(6)(8)가 제1 코(C1) 형성시의 역할을 서로 교대함에 의해 형성되어 경사(4)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제1,제2 코(C1)(C2)가 연속 반복되어서 4가닥의 경사(4) 조직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올풀림 방지가 가능한 포장결속용 망원단.
  4. 제3항에 있어서, 경사(4) 상의 2개의 코간격 내지 8개의 코간격 마다의 코 연결노드(N)에 경사(4) 좌우측편의 연결사(10)가 공통으로 엮이는 공통매듭노드(N0)가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이 되게 하여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포장결속용 망원단.
  5. 제3항에 있어서, 제1,제2 고리사(6)(8)로 형성되는 경사(4)의 4가닥중 제1,제2 코(C1)(C2)의 고리링을 형성하기 위한 2가닥을 제외한 나머지 2가닥은 제1,제2 코(C1)(C2)를 스트레이트 형태로 통과하는 가닥으로서 스트레이트 형태의 2가닥중 스트레이트 형태 1가닥은 제1,제2 코(C1)(C2)의 고리링 밖으로 연장형성되고 나머지 스트레이트 형태 1가닥은 제1,제2 코(C1)(C2)의 고리링 속으로 통과하여 연장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올림풀림방지가 가능한 포장결속용 망원단.
  6. 베일러를 이용한 곤포 작업에 사용되며 인접하는 경사들 간에 연결사를 지그재그로 엮어서 메쉬를 형성하는 포장결속용 망원단에 있어서,
    두개의 고리사(6)(8) 상호간 고리연결로 4가닥으로 된 경사(4) 조직을 형성하되 고리연결 점인 코 연결노드(N)들 중에서 경사(4) 좌우측편의 각 연결사(10)가 공통으로 엮이는 공통매듭노드(N0)를 형성하여 경사(4)를 축으로 좌우측의 연결사(10)가 좌우 대칭형이고 경사(4)를 제외한 연결사(10)들이 엮인 망형태가 마름모꼴로 나타나게 구성하는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포장결속용 망원단.
KR20140005037A 2014-01-15 2014-01-15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KR10145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037A KR101459111B1 (ko) 2014-01-15 2014-01-15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5037A KR101459111B1 (ko) 2014-01-15 2014-01-15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111B1 true KR101459111B1 (ko) 2014-11-13

Family

ID=5229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5037A KR101459111B1 (ko) 2014-01-15 2014-01-15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1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62B1 (ko) * 2018-11-06 2020-03-06 윤태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WO2020162265A1 (ja) * 2019-02-07 2020-08-13 松山毛織株式会社 ラップネット
KR20220123871A (ko) * 2021-03-02 2022-09-13 박춘식 묶기 좋은 농수산물 포장망 및 그 제조방법
US20230002942A1 (en) * 2020-01-13 2023-01-05 Changzhou Xinhui Netting Co., Ltd. Warp insertion and warp chain knitted chain structure for knitted net, and bale net wrap using same
KR102651115B1 (ko) * 2023-08-16 2024-03-25 김창환 올 풀림 및 변형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WO2024078644A1 (zh) * 2022-10-12 2024-04-18 徐嘉婕 一种粘结性编网及捆缚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3158A1 (en) 2005-02-10 2008-03-06 Horst Willner Knitted net for enveloping round bales,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019465B1 (ko) 2010-03-02 2011-03-07 강두순 곤포 랩핑 사일로용 망원단
KR20110040432A (ko) * 2009-10-14 2011-04-20 신동원 원형 베일러 결속네트
KR101154902B1 (ko) 2011-12-28 2012-06-13 김진숙 포장 결속용 망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3158A1 (en) 2005-02-10 2008-03-06 Horst Willner Knitted net for enveloping round bales,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10040432A (ko) * 2009-10-14 2011-04-20 신동원 원형 베일러 결속네트
KR101019465B1 (ko) 2010-03-02 2011-03-07 강두순 곤포 랩핑 사일로용 망원단
KR101154902B1 (ko) 2011-12-28 2012-06-13 김진숙 포장 결속용 망원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62B1 (ko) * 2018-11-06 2020-03-06 윤태용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WO2020162265A1 (ja) * 2019-02-07 2020-08-13 松山毛織株式会社 ラップネット
JP2020128600A (ja) * 2019-02-07 2020-08-27 松山毛織株式会社 ラップネット
TWI831908B (zh) * 2019-02-07 2024-02-11 日商松山毛纖股份有限公司 圍裹網
US20230002942A1 (en) * 2020-01-13 2023-01-05 Changzhou Xinhui Netting Co., Ltd. Warp insertion and warp chain knitted chain structure for knitted net, and bale net wrap using same
KR20220123871A (ko) * 2021-03-02 2022-09-13 박춘식 묶기 좋은 농수산물 포장망 및 그 제조방법
KR102443880B1 (ko) 2021-03-02 2022-09-16 박춘식 묶기 좋은 농수산물 포장망 및 그 제조방법
WO2024078644A1 (zh) * 2022-10-12 2024-04-18 徐嘉婕 一种粘结性编网及捆缚网
KR102651115B1 (ko) * 2023-08-16 2024-03-25 김창환 올 풀림 및 변형 방지를 위한 지오그리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111B1 (ko) 올풀림 방지나 좌우 전폭 유지가 가능한 망원단 및 포장결속용 망원단
KR101019465B1 (ko) 곤포 랩핑 사일로용 망원단
RU2696502C1 (ru) Пластиковая сетка с двойными цепочками
CN105143540A (zh) 包缠网及其制造方法
KR101912221B1 (ko) 라셀 편직 그물망
US20160120137A1 (en) Netting material with eyelets
IL267501A (en) Mesh with support wire
KR101419509B1 (ko)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IL175040A (en) Durable knitted net
KR101154902B1 (ko) 포장 결속용 망원단
US7188494B2 (en) Expandable knitted net
JP3131599U (ja) 農業用の防風防虫ネット
JP3944613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CN219117708U (zh) 一种粘结性编网及捆缚网
JP7224677B2 (ja) ラッピングネット
US20100031705A1 (en) Knitted ribbon and its use
WO2020162265A1 (ja) ラップネット
KR101993196B1 (ko) 라셀 편직 그물망
KR101073491B1 (ko) 원형 베일러 결속네트
JP7432517B2 (ja) ベール包装用の農業用メッシュ
JP3932977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US1161864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purpose agricultural, horticultural and floristry tie
KR102010721B1 (ko) 김 양식용 그물망
WO2024078644A1 (zh) 一种粘结性编网及捆缚网
WO2023175500A1 (en) Round baler net w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