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040A -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040A
KR20190039040A KR1020190033912A KR20190033912A KR20190039040A KR 20190039040 A KR20190039040 A KR 20190039040A KR 1020190033912 A KR1020190033912 A KR 1020190033912A KR 20190033912 A KR20190033912 A KR 20190033912A KR 20190039040 A KR20190039040 A KR 2019003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net
seaweed
band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안
Original Assignee
황용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안 filed Critical 황용안
Priority to KR102019003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9040A/ko
Publication of KR2019003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서 해조류를 양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처럼 합성섬유의 끈(rope)을 그물제조기로 직조하여 제작하는 그물형 해조류 양식망이 아니라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요철면을 갖는 합성수지의 띠(belt)를 일정한 간격의 종, 횡방향으로 융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넓은 띠를 장방형으로 부착하여 별도의 지지대(부죽대)로 망흥을 지지하지 않아도 망흥의 형태가 오므라지지 않고 엠보싱표면이 포자의 부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 포자의 뿌리가 잘 착생하게 되며 해조류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특장점을 지닌 것이다.

Description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Laver farming net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바다에서 해조류를 양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처럼 합성섬유의 끈(rope)을 그물제조기로 직조하여 제작하는 그물형 해조류 양식망이 아니라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요철면을 갖는 합성수지의 띠(belt)를 일정한 간격의 종, 횡방향으로 융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넓은 띠를 장방형으로 부착하여 별도의 지지대(부죽대)로 망흥을 지지하지 않아도 망흥의 형태가 오므라지지 않고 엠보싱표면이 포자의 부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어서 포자의 뿌리가 잘 착생하게 되며 해조류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특장점을 지닌 것이다.
김(海苔), 파래, 매생이, 톳, 파래 등의 해조류는 자연 번식만으로는 그 수요를 채울 수가 없어 일찍부터 인공양식을 해왔다. 김, 파래 매생이 등은 바윗돌, 나무가지 등 어디에나 잘 달라붙지만, 주로 대나무쪽을 역은 대발과 합성섬유로 된 그물망을 엮어서 된 것을 양식용으로 사용한다.
재래식 김양식은 얇은 대살을 엮어서 사용하였고, 현재에도 매생이 양식에서는 대살을 엮은 양식망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해조류 양식망은 합성섬유로 된 로프(rope)와 그물을 엮어서 사용하고 있다. 즉, 이러한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방법은 합성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그물편직기에서 마름모꼴의 그물 형태로 직조한 가장자리를 엮어서 제조하는 것이나, 또는 합성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수공으로 평행한 키타줄 형태의 합사 로프를 일정한 간격의 종단선으로 엮어서 된 양식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키타줄 형태의 양식망은 마름모꼴의 그물망에 비해 조류의 흐름을 많이 거스르지 않아 생산량이 증대시킬 수 있다고 인식되어 최근 어민들에게 많이 선호되고 있다. 다만, 이 키타줄 형태로 엮은 양식망은 기계제작이 어려워 수공으로 제작하므로 제조비가 많이 들어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과 베트남 등에서 수공업으로 위탁가공하여 수입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그물망 형태의 해조류 양식망이나 기타줄 형태의 김양식망은 유연한 섬유 재질의 특성상 중간 중간에 다수의 지지대(부죽대)를 결속하여 망흥이 내측으로 오므라져서 망흥이 펼쳐진 형태가 잘 유지되도록 해야만 양식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따라서 종래처럼 유연한 섬유 재질의 특성상 중심으로 오므라드는 양식망의 폐단을 막기 위해 다수의 지지대(부죽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구조적으로 펼쳐진 형태가 잘 유지되어 파도에 대한 망흥의 흔들림이나 망의 엉킴현상이 방지되고 착생엽체의 탈락이 적으며 포자의 활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자의 뿌리가 잘 착생하여 해조류의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해조류 양식망을 시급히 개발할 필요가 있다.
1.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등록번호 1014195090000) 2.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등록번호 1008955370000) 3. "김 양식망용 김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김양식망" (등록번호 1017613370000) 4.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등록번호 1016173000000) 5. "김 양식을 위한 김발용 그물망" (등록번호 1018530770000) 6.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 및 그 김 양식망" (등록번호 1012522950000) 7.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등록번호 1019312210000) 8.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1017900890000) 9. "생분해성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방법" (출원번호 1020020046101) 10. "해태망" (등록번호 1015018970000)
본 발명은 합성수지 끈(rope)을 엮어서 직조한 종래의 해조류 양식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을 엠보싱처리한 납작한 합성수지의 띠(belt)를 장방형으로 교차·결합하여 종래처럼 별도의 지지대(부죽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망흥의 틀이 변형없이 잘 유지되고, 엠보싱처리한 띠에 의해 착생엽체의 탈락이 적으며 포자의 활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포자의 뿌리가 잘 착생하여 해조류의 생산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해조류 양식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표면이 엠보싱처리된 띠(16)를 여러 가닥의 종단띠(9) 및 횡단띠(3)로 교차·융착하여 다수의 장방형 망체를 형성하고 이 망체의 횡단띠(3) 양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거치대끼움고리(1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방법은 압출성형기에 의해 상·하의 단면이 요철면을 형성한 합성수지의 엠보싱처리된 띠(16)를 제조하는 단계(1공정)와;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여러 가닥의 엠보싱처리된 띠(16)를 횡단띠이송장치(도 4)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고, 종단띠이송장치(도 5)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여 종단띠(9) 및 횡단띠(3)가 서로 직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2공정)와; 상기 2공정에서 종·횡단띠(9, 3)가 겹치는 부분을 초음파융착기(11)로 융착하고 융착된 외곽부분의 종단띠를 컷팅칼(15)로 절단하는 단계(3공정)와; 상기한 2공정과 3공정을 설정한 시간 동안 연속으로 반복하여 시행하는 단계(4공정)와; 상기한 4공정 후 절단기(17)에서 여러 가닥의 횡단띠(3)를 나란히 절단하는 단계(5공정)와; 상기한 5공정에서 절단시킨 양식망의 양단 횡단띠(3)들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한 거치대끼움고리(18)를 만드는 단계(6공정)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엠보싱 처리된 띠(16)를 종·횡방향으로 융착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한 장방형 틀을 갖추게 되므로 별도의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형태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파도에 의한 망흥의 변형과 흔들림이 적으므로 착생한 엽체의 탈락이 적으며 표면이 엠보싱처리된 요철면을 갖춘 합성수지의 띠는 포자의 활착면적을 증가시켜 포자의 뿌리가 넓게 잘 착생할 수 있게 함으로 해조류의 생산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A'로 절단된 부분을 보인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횡단띠이송장치 부분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종단띠이송장치 부분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해조류 양식망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해조류 양식망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 부분의 띠를 사진으로 보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양식망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표면이 엠보싱처리된 띠(16)를 여러 가닥의 종단띠(9) 및 횡단띠(3)로 교차·융착하여 다수의 장방형 망체를 형성하고 이 망체의 횡단띠(3) 양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거치대끼움고리(1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방법은, 제 1공정은 압출성형기에 의해 상·하의 단면이 요철면을 형성한 합성수지의 엠보싱처리된 띠(16)를 제조하는 단계로써,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소재를 부가제와 혼합하여 압출성형기의 실린더속에서 가열 유동화시킨 후 다이스(dies)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납작하고 엠보싱처리한 피대형상의 띠(belt)를 띠롤(2)로 제조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압출성형기에서 인장 강도가 크고 산과 염수에 강한 합성수지 소재(PP, 나일론 등)을 주재로 하여 피대 형상의 띠(belt)를 제작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한 합성수지 소재는 생분해성합성수지로써 해양오염을 방지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공정은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여러 가닥의 엠보싱처리된 띠(16)를 횡단띠이송장치(도 4)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고, 종단띠이송장치(도 5)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여 종단띠(9) 및 횡단띠(3)가 서로 직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로써, 상기한 횡단띠이송장치(도 4)는 1공정에서 제조한 띠롤(2)을 횡단띠용 롤거치대(1)에 걸어 여러 가닥의 횡단띠(3)를 횡단띠이송롤러(5)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종단띠이송장치(도 5)는 1공정에서 제조한 띠롤(2)을 종단띠용 롤거치대(8)에 걸어 2가닥의 종단띠(9)를 종단띠이송롤러(1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한 횡단띠이송롤러(5)와 종단띠이송롤러(10)는 각기 별도의 구동기에 의해 구동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구동기(6) 및 웜기어(7)에 의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횡단띠(3)와 종단띠(9)가 동시에 이송되어 서로 직각으로 겹쳐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 3공정은 상기 2공정에서 종·횡단띠(9, 3)가 겹치는 부분을 초음파융착기(11)로 융착하고 융착된 외곽부분의 종단띠를 컷팅칼(15)로 절단하는 단계로써, 초음파융착기(11)는 진동자+부스타+혼으로 구성된 초음파 유닛에 의해서 20kHz 이상의 고주파 진동을 가하여 플라스틱이나 금속의 접합이나 드릴링 등의 작업을 하는 것으로 2공정에서 종·횡단띠(9, 3)가 설정한 길이로 이송되어 겹치는 작업이 완료되면 초음파융착기(11)의 초음파 지그(14)가 종·횡단띠(9, 3)가 겹치는 부분을 압착하여 초음파 진동에 의한 플라스틱의 내부 발열·연화·용융현상에 의해 종·횡단띠(3, 9)의 엠보싱처리된 부분이 융착된다. 이 초음파융착 방법은 무접착제로 용착되는 발열용착의 일종으로 혼(horn)으로부터 플라스틱에 전달되는 초음파 에너지가 반대편의 플라스틱 경계면에 맹렬한 충돌이 반복되어 경계면이 발열용착되는데 이때 플라스틱 표면에 엠보싱처이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 경계면의 발열·연화·용융효과가 향상되기 때문에 종·횡단띠(9, 3)는 표면을 엠보싱처리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이 공정에서는 초음파융착기(11) 가장자리 부분에 컷팅칼(15)이 설치되어 초음파융착된 종단띠(9)의 길이를 설정된 치수로 절단하게 되어 있다.
제 4공정은 상기한 2공정과 3공정을 설정한 시간동안 연속으로 반복하여 시행하는 단계로써, 해조류 양식망의 치수는 양식장의 규모나 용도에 따라 다르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수요자가 요구하는 양식망의 치수에 따라 2공정과 3공정을 계속 순환 반복하여 설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시행하도록 한 것이다.
제 5공정은 상기한 4공정이 종료되면 절단기(17)에서 여러 가닥의 횡단띠를 나란히 절단하는 단계로써, 4공정이 종료되면 수요자가 요구하는 양식망의 치수에 따라 절단기(17)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횡단띠를 나란히 절단하게 되어 있다.
제 6공정은 상기한 5공정에서 나란히 절단시킨 양식망의 양단 횡단띠(3)들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한 거치대끼움고리(18)를 만드는 단계로써, 양식장에 해조류 양식망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해저에 고정된 로프와 해조류 양식망을 결속하기 위하여 거치대가 사용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그 거치대를 결속할 수 있는 거치대끼움고리(18)를 해조류 양식망의 양단에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해조류 양식망은 상·하부의 표면에 엠보싱처리된 요철면을 형성한 합성수지의 띠(belt)를 여러 가닥 종·횡단으로 교차·융착하여 다수의 장방형 망체를 형성하고 이 망체의 종단띠(3) 양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거치대끼움고리(1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조류 양식망은 종래의 합성섬유 끈(rope)을 엮어서 직조한 해조류 양식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된 것으로, 표면을 엠보싱처리한 합성수지의 띠(belt)를 장방형으로 교차·결합함으로써, 종래처럼 중심으로 오므라드는 양식망의 폐단을 막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부죽대)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해조류 양식망은 항상 펼쳐진 형상이 변형없이 잘 유지되므로 파도에 대한 망흥의 흔들림이나 망의 엉킴현상이 방지되고 착생엽체의 탈락이 적으며 엠보싱처리한 띠에 의해 포자의 활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포자의 뿌리가 잘 착생하여 해조류의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특장점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횡단띠용 롤거치대, 2 : 띠 롤,
3 : 횡단띠, 4 : 횡단띠가이드,
5 : 횡단띠이송롤러, 6 : 구동기,
7 : 웜기어, 8 : 횡단띠용 롤거치대,
9 : 종단띠, 10 : 종단띠이송롤러,
11 : 초음파융착기, 12 : 초음파접착부분,
13 : 띠롤프랜지, 14 : 초음파 지그,
15 : 컷팅칼, 16 : 엠보싱처리된 띠,
17 : 절단기, 18 : 거치대끼움고리,
5-a : 상부 횡단띠이송롤러, 5-b : 하부 횡단띠이송롤러,
10-a : 상부 종단띠이송롤러, 10-b : 하부 종단띠이송롤러,

Claims (2)

  1. 상·하부표면이 엠보싱처리된 띠(16)를 여러 가닥의 종단띠(9) 및 횡단띠(3)로 교차·융착하여 다수의 장방형 망체를 형성하고 이 망체의 횡단띠(3) 양단 가장자리에 다수의 거치대끼움고리(1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망.
  2. 압출성형기에 의해 상·하의 단면이 엠보싱처리의 요철면을 형성한 합성수지의 띠(belt)를 제조하는 단계(1공정)와, 상기 1공정에서 제조한 여러 가닥의 띠를 횡단띠이송장치(도 4)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고 동시에 종단띠이송장치(도 5)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송하여 종단띠(3) 및 횡단띠(9)가 서로 직각으로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2공정)와, 상기 2공정에 의해 종·횡단띠(3, 9)가 겹치는 부분을 초음파융착기(11)로 눌러 접착하고 접착한 외곽부분의 종단띠(9)를 컷팅칼(15)로 절단하는 단계(3공정)와, 상기한 2공정과 3공정을 설정 시간 동안 연속으로 반복하여 시행하는 단계(4공정)와, 상기한 4공정 시행 후 절단기(17)에서 여러 가닥의 횡단띠를 나란히 절단하는 단계(5공정)와, 상기한 5공정에서 절단시킨 양식망의 양단 횡단띠(3)들을 내측으로 접어 접착한 거치대끼움고리(18)를 만드는 단계(6공정)를 포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망의 제조방법.
KR1020190033912A 2019-03-22 2019-03-22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9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12A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3-22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12A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3-22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40A true KR20190039040A (ko) 2019-04-10

Family

ID=6616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912A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3-22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90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866A (zh) * 2019-07-17 2019-09-06 海南三友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琼枝麒麟菜附着基水泥框及其应用
CN111771709A (zh) * 2020-07-10 2020-10-16 海南省海洋与渔业科学院 海洋生态系统中海草床的修复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101A (ko) 2000-12-12 2002-06-20 김충섭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pdp용 적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0895537B1 (ko) 2008-11-03 2009-04-30 박충오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KR101252295B1 (ko) 2010-12-14 2013-04-05 서광호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 및 그 김 양식망
KR101419509B1 (ko) 2013-03-06 2014-07-14 (유)남도유통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897B1 (ko) 2014-07-29 2015-03-12 유한회사거명 해태망
KR101617300B1 (ko) 2015-09-16 2016-05-02 안복철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KR101761337B1 (ko) 2015-05-04 2017-07-25 (유)남도유통 김 양식망용 김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김양식망
KR101790089B1 (ko) 2015-08-24 2017-10-25 김병옥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53077B1 (ko) 2016-07-20 2018-04-27 유한회사 삼해산업 김 양식을 위한 김발용 그물망
KR101931221B1 (ko) 2016-08-24 2018-12-20 유한회사거명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101A (ko) 2000-12-12 2002-06-20 김충섭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pdp용 적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0895537B1 (ko) 2008-11-03 2009-04-30 박충오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KR101252295B1 (ko) 2010-12-14 2013-04-05 서광호 김 양식망의 제조방법 및 그 김 양식망
KR101419509B1 (ko) 2013-03-06 2014-07-14 (유)남도유통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897B1 (ko) 2014-07-29 2015-03-12 유한회사거명 해태망
KR101761337B1 (ko) 2015-05-04 2017-07-25 (유)남도유통 김 양식망용 김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김양식망
KR101790089B1 (ko) 2015-08-24 2017-10-25 김병옥 김 양식망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17300B1 (ko) 2015-09-16 2016-05-02 안복철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KR101853077B1 (ko) 2016-07-20 2018-04-27 유한회사 삼해산업 김 양식을 위한 김발용 그물망
KR101931221B1 (ko) 2016-08-24 2018-12-20 유한회사거명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9866A (zh) * 2019-07-17 2019-09-06 海南三友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琼枝麒麟菜附着基水泥框及其应用
CN111771709A (zh) * 2020-07-10 2020-10-16 海南省海洋与渔业科学院 海洋生态系统中海草床的修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040A (ko)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CN104872087A (zh) 滩涂贝类自动化采收机
DK2237656T3 (en) Irrigation apparatus, method of making this apparatus and means therefor
EP3559198A1 (en) Structure for cultivating macroalgae
CA2873937C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nt receptacle as well as a plant receptacle
CN205567130U (zh) 一种自走式油茶果收获机
CN210538204U (zh) 一种贻贝自动包苗机
CN102763610B (zh) 防污抗菌型黄鱼网箱制作方法
CN201029376Y (zh) 有袋状主网体的渔网
KR101900913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 제조방법
CN205596935U (zh) 工厂化养殖银鲳捕获网具
JP2008154466A (ja) かき筏
KR20180070756A (ko) 해조류 양식용 로프
CN206165540U (zh) 一种大型箕状敷网网囊
JPH10157710A (ja) 包 材
EP2268133B1 (en) Kit for growing shellfish, assembly of parts of such a kit and method for growing shellfish using such an assembly
RU165366U1 (ru) Парник
CN111112220B (zh) 一种海水养殖网衣的高效超声清洗装置和方法
KR101837818B1 (ko) 양식로프용 보조 테이프
JP2009195225A (ja) 茸栽培用巻紙
CN105010177A (zh) 一种自动定点分配饵料的人工鱼礁
CN217523677U (zh) 一种高效便捷使用的捕螺装置
JP2007006847A (ja) 農作物の栽培、収穫、調整方法
CN217608975U (zh) 一种巢管
CN107581114A (zh) 贻贝的附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