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221B1 -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 Google Patents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221B1
KR101931221B1 KR1020160107683A KR20160107683A KR101931221B1 KR 101931221 B1 KR101931221 B1 KR 101931221B1 KR 1020160107683 A KR1020160107683 A KR 1020160107683A KR 20160107683 A KR20160107683 A KR 20160107683A KR 101931221 B1 KR101931221 B1 KR 10193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net
loop
spore
n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136A (ko
Inventor
김익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거명 filed Critical 유한회사거명
Priority to KR102016010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에 관한 것으로,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그물 실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의해서 김 포자 활착 면적이 대폭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함은 물론 쉽게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그물 실의 표면에 형성된 루프는 다수의 미세한 가닥, 즉 미세 사로 형성되므로,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을 유발하여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서 활착률을 높임으로써,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되어 김 생산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그물망의 전체에 걸쳐서 그물 실의 표면에 루프가 돌출 형성되므로 기존 김 양식 망에 비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대폭 확대되어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LAVER WEED TAKE ROOTING INDUCE TYPE MESH FOR LAVER FARM}
본 발명은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울퉁불퉁한 그물 실의 표면에 의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함은 물론 쉽게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게 되며, 그물 실의 표면에 미세하게 돌출 형성된 루프가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을 유발하여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 활착률을 높일 수 있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해, 남해 그리고 제주도 등지에서 양식되고 있는 김(porphyra)은 보라털과의 해조류로 미역 및 다시마와 함께 널리 식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양식하고 있는 김에는 재래 김 품종인 참김(porphyra tenera)과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돌김 품종인 잇바디돌김(porphyra dentata)과 모무늬돌김(porphyraseriata) 등이 있으며, 돌김 포자로만 재배하여 만든 온돌김, 재래김 포자와 돌김 포자를 혼합 재배하여 만든 반돌김, 돌김 포자에 파래(enteromorpha) 포자를 혼합 재배하여 만든 파래김이 시판되고 있다.
김은 건강에 유용한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지방질 함량은 1% 이하인 저 열량 식품이며,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오메가-3 지방산인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등을 다량 함유하는 매우 우수한 식품자원이다.
또한, 김에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및 피코빌린의 색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음식에 색을 제공하며, 라디칼 소거 효과 및 노화 지연과 발암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과 같은 천연 산화방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김을 양식하는 데에 사용되는 김 양식 망은 부구(浮具)에 의해 바다 표면에 떠있는 지지봉에 지지가 되는 형태로 바닷속에 늘어뜨려져 일정기간 동안 목적한 김 양식을 한다.
김 양식 망은 합성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복수 가닥의 그물 실로 엮은 그물망이 설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합성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복수 개의 그물망 지지용 로프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그물망 지지용 로프 사이에 단일 가닥의 그물 실로 엮은 복수 개의 단위 그물망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김 양식 망은 합성섬유 로프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설치되는 그물망이나 복수 개의 그물망 지지용 로프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그물망의 표면에 가능한 한 많은 김 포자(胞子)를 활착(活着)시킬수록 김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김 양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수온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김 생산량이 급속하게 떨어지고 있는바, 현재 김 포자의 활착 기술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김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김 포자를 활착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근래에는 그물망의 그물코 크기를 축소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 방법은 그물망의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그물코의 크기를 지나치게 축소하기 때문에, 김 포자 이외에 잡태(어류나 조류에 따라 흘러다니는 해초 등)도 그물망에 걸리게 되어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현저히 감소함에 따라 오히려 김의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물망에 스며든 물의 무게로 인해서 그물망의 처짐 현상이 생기게 되어 김 포자의 활착 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0895537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419509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61730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울퉁불퉁한 그물 실의 표면에 의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함은 물론 쉽게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게 되며, 그물 실의 표면에 미세하게 돌출 형성된 루프가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을 유발하여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 활착률을 높임으로써,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 되어 김 생산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을 증대시키고 수중에서 미세 흔들림으로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표면에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을 제공한다.
상기 그물 실은 ATY 사(air-jet textured yarn), 부클레 사(boucle yarn), 또는 벌키 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그물 실은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 사를 서로 권회시켜서 단일의 권사를 형성한 후, 상기 권사를 2-3개 이상 상호 권회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물 실은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 사를 권회시키지 않고 단일의 권사를 형성한 후, 상기 권사를 2-3개 이상 상호 권회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2-3개 이상의 권사 중 적어도 1개 이상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권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미세 사는 폴리에스텔 사 및 나이론 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그물 실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과, 표면에 루프가 없는 그물 실이 혼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양식 망은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써, 그물 실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의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대폭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함은 물론 쉽게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물 실의 표면에 형성된 루프는 다수의 미세한 가닥, 즉 미세 사로 형성되므로,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을 유발하여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 활착률을 높임으로써,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되어 김 생산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의 전체에 걸쳐서 그물 실의 표면에 루프가 돌출 형성되므로 기존 김 양식 망에 비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대폭 확대되어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을 도시한 평면도
도 2a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2b는 1개의 권사로 이루어진 그물 실을 보인 도면
도 3a는 원사를 보인 사진
도 3b는 ATY 사를 보인 사진
도 4a는 3가닥 권사로 이루어진 그물 실을 보인 도면
도 4b는 2가닥 권사로 이루어진 그물 실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위 그물망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단위 그물망을 도시한 평면도로, 포자 활착용 실오리 부가 추가된 도면
도 8은 도 6의 B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2b는 1개의 권사로 이루어진 그물 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100)은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을 증대시키고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으로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 활착률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루프(loop)(111)가 형성된 그물 실(110)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루프란 그물 실을 이루는 미세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100)은 표면에 루프(111)가 형성된 그물 실(110)로만 구성될 수 있다.
도 2a는 2개 이상의 권사를 이용하여 그물 실이 제조된 실제 사진을 보인 것이고, 도 2b는 다수의 미세 사가 2개 이상의 권사를 이루어서 그물 실이 제조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 3a에는 원사 사진을 개시(開示)하고, 도 3b에는 그물망의 제작에 사용되는 ATY 사 사진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미세사 또는 원사는 동일 의미로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100)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과, 표면에 루프가 없는 그물 실이 소정비율로 혼합(혼재)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정 비율로 혼합 제작되는 경우, 표면에 루프가 없는 그물 실의 혼합비율은 4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물망의 강도 측면을 고려하여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삭제
본 발명에서,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과, 표면에 루프가 없는 그물 실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경우,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은 한 가닥 중에서 일부에만 루프(loop)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은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 사를 서로 권회시켜서 단일의 권사를 형성한 후 상기 권사를 2개 이상 상호 권회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그물 실은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 사를 권회시키지 않고 단일의 권사를 형성한 후, 권사를 2-3개 이상 상호 권회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2-3개 이상의 권사 중 적어도 1개 이상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권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표면에 루프가 없는 그물 실은 타이어 코드 사 또는 나일론 사 또는 폴리에스텔 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110)은 ATY 사(air-jet textured yarn), 부클레 사(boucle yarn), 또는 벌키 사(bulky yar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코드 사 또는 나일론 사 또는 폴리에스텔 사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고압 분사함으로써 그 실의 표면에 루프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110)은 그물 실을 이루는 미세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나옴에 따라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물 실(110)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함은 물론 쉽게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도록 한다. 여기서 요홈이란 그물 실(110)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나 구멍을 말한다.
또한, 그물 실(110)의 표면에 형성된 루프는 인터레이스 공정 중 공기 압축방식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가 대각선으로 원사를 양 방향으로 밀 때 생기는 힘에 의해서 원사의 일부가 밀려나와서 원사의 표면에 루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을 유발하여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 활착률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a는 3개의 가닥 권사로 이루어진 그물 실을 보인 사진이고, 도 4b는 2개의 가닥 권사로 이루어진 그물 실을 보인 사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그물 실(110)은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사(110a)를 서로 권회시켜서 단일의 권사(115)를 형성한다. 그 권사(115)를 3개 상호 권회시켜 형성하되, 3개의 권사 중 적어도 1개 이상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그물 실(110)은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사(110a)를 서로 권회시켜서 단일의 권사(115)를 형성한다. 그 권사(115)를 2개 상호 권회시켜 형성하되, 2개의 권사 중 적어도 1개 이상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미세 사는 폴리에스텔 사 또는 나이론 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고, ATY 사(air-jet textured yarn), 부클레 사(boucle yarn), 또는 벌키 사(bulky yarn)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위 그물망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단위 그물망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포자 활착용 실오리 부가 추가된 도면, 및 도 8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망(200)은 합성섬유 로프(210)로 이루어진 사각테두리의 내부에 복수 개의 그물망 지지용 로프(22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그물망 지지용 로프(220) 사이에 단일 가닥의 그물 실들(230)로 엮은 복수 개의 단위 그물망(250)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단일 가닥의 그물 실들(230)은 제1 그물 실(231)과 제2 그물 실(232)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단위 그물망(250)은 단일 가닥의 제1 그물 실(231)과 단일 가닥의 제2 그물 실(232)이 교호(交互)적으로 배치되고, 세로 방향을 따라 서로 엮여져서 결속매듭(23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망(200)에서는, 제1 그물 실(231)과 제2 그물 실(2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김 포자 활착 면적을 증대시키고 김 포자 활착을 유도하기 위한 루프(loop)(23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loop)가 형성된 제1 그물 실(231)은 ATY 사(air-jet textured yarn), 부클레 사(boucle yarn), 또는 벌키 사(bulky yarn)를 사용할 수 있다.
루프(loop)가 형성되지 않은 제2 그물 실(232)은 타이어 코드 사 또는 나일론 사 또는 폴리에스텔 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그물 실(231)과 제2 그물 실(232)의 끝단 부에 포자 활착용 실오리 부(235)가 설치될 수도 있다.
포자 활착용 실오리 부(235)가 설치되는 경우, 그물망의 표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더욱더 많은 김 포자를 활착시킬 수 있게 되어 김 생산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양식 망은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그물 실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의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대폭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함은 물론 쉽게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물 실의 표면에 형성된 루프는 다수의 미세한 가닥, 즉 미세 사로 형성되므로,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을 유발하여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여 활착률을 높임으로써,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되어 김 생산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의 전체에 걸쳐서 그물 실의 표면에 루프가 돌출 형성되므로 기존 김 양식 망에 비해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대폭 확대되어 더 많은 김 포자가 활착될 수 있다.
100: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110: 그물 실
111: 루프(loop)

Claims (10)

  1. 다수의 그물 실로 이루어지는 김 양식 그물망으로서,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을 증대시키고 수중(水中)에서 미세 흔들림으로 김 포자의 활착을 유도하기 위하여 표면에 루프(loop)가 형성된 그물 실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그물 실 중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은, ATY 사(air-jet textured yarn), 부클레 사(boucle yarn), 또는 벌키 사(bulky yarn) 중 어느 하나이고,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상기 그물 실은, 그물 실을 이루는 미세사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나옴에 따라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김 포자의 활착 면적이 확대되고, 김 포자가 그물 실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형성된 요홈 안에 안정적으로 착생하고 유실되지 않아 김 포자의 뿌리가 잘 자라며,
    상기 그물 실은, 상기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그물 실과,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지 않은 그물 실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그물 실은, 상기 그물망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표면에 루프가 없는 그물 실의 혼합 비율이 40% 이상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십 개 내지 수백 개의 미세 사를 서로 권회시켜서 단일의 권사를 형성하되, 그 권사를 2개 이상 상호 권회시켜 형성하되, 2개 이상의 권사 중 1개 이상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상기 그물 실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세 사는 폴리에스텔 사 또는 나이론 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물 실은 표면 전체에 루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상기 그물 실은, 한 가닥 중에서 일부에만 상기 루프(loop)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07683A 2016-08-24 2016-08-24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KR10193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683A KR101931221B1 (ko) 2016-08-24 2016-08-24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683A KR101931221B1 (ko) 2016-08-24 2016-08-24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490A Division KR20180136420A (ko) 2018-12-14 2018-12-14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136A KR20160107136A (ko) 2016-09-13
KR101931221B1 true KR101931221B1 (ko) 2018-12-20

Family

ID=5694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683A KR101931221B1 (ko) 2016-08-24 2016-08-24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4-10 황용안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758B1 (ko) * 2019-02-22 2021-11-30 박충오 김양식망용 그물망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51B1 (ko) * 2015-06-12 2016-01-19 (주)삼성산업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618016B1 (ko) * 2015-10-16 2016-05-03 신현령 김 양식용 로프 망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6A (ja) * 1988-04-28 1990-01-08 Tokutaro Komuro 海洋生物の網状付着基材
JP3541146B2 (ja) * 1999-07-08 2004-07-07 全水産株式会社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KR200399812Y1 (ko) * 2005-08-02 2005-10-31 디에스알 주식회사 부착 양식 로프
KR100895537B1 (ko) 2008-11-03 2009-04-30 박충오 포자활착면적을 증대시킨 김양식망
KR101419509B1 (ko) 2013-03-06 2014-07-14 (유)남도유통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5419A (ko) * 2014-01-15 2015-07-23 박성철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465721B1 (ko) * 2014-08-13 2014-12-02 유한회사 해강로프 해조류 양식로프
KR101617300B1 (ko) 2015-09-16 2016-05-02 안복철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51B1 (ko) * 2015-06-12 2016-01-19 (주)삼성산업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618016B1 (ko) * 2015-10-16 2016-05-03 신현령 김 양식용 로프 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040A (ko) 2019-03-22 2019-04-10 황용안 해조류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136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6420A (ko)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KR101617300B1 (ko) 김 생산이 가능한 갓 줄을 이용한 김 양식망 제조방법
KR101586451B1 (ko)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931221B1 (ko) 김 포자 활착 유도형 김 양식 그물망
KR20100127039A (ko) 덩굴식물 지지용 수직마름모꼴 그물망 및 그것을 이용한 덩굴식물 재배방법
EP3704935A1 (en) Cleaner fish habitat support apparatus
KR101903325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의 제조방법
KR101419509B1 (ko) 김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853077B1 (ko) 김 양식을 위한 김발용 그물망
JP2016007173A (ja) 海藻類の養殖用ロー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6489710B (zh) 一种海黍子高褐藻胶品系培育和养殖方法
KR101731571B1 (ko) 해조류 양식용 그물
KR101501897B1 (ko) 해태망
CN205865608U (zh) 贻贝的附苗器
KR102147144B1 (ko) 김 양식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505B1 (ko) 해조류 수평면 양식 장치
KR102210739B1 (ko) 해조류 양식용 소그물망 및 그물망의 설치방법
KR20150085419A (ko)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2095777B1 (ko) 해조류 뿌리 활착용 링을 갖는 종묘 줄로 이루어진 양식로프
JP7284964B2 (ja) 植物保持用紐及び植物保持用紐集合体
US20180187350A1 (en) Multi-purpose tool for making crafts
JP3159006U (ja) 環境保護型模造植物の工芸装飾籬
CN202285717U (zh) 高效复式防雹网
CN107581113A (zh) 贻贝的附苗器的生产设备
CN202578130U (zh) 一种具有仿真植物的网格式篱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