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434B1 -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434B1
KR101789434B1 KR1020160091351A KR20160091351A KR101789434B1 KR 101789434 B1 KR101789434 B1 KR 101789434B1 KR 1020160091351 A KR1020160091351 A KR 1020160091351A KR 20160091351 A KR20160091351 A KR 20160091351A KR 101789434 B1 KR101789434 B1 KR 10178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signal
prote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희
Original Assignee
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희 filed Critical 박진희
Priority to KR102016009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57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신호등에 설치되고,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되도록 하는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 과몰입 상태인 보행자의 안전을 지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에서 스마트폰 이용의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공익적인 내용의 메시지, 응급, 재난에 관련된 메시지를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System for safty management and moth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과몰입에 따른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도로표지 또는 도로표시에 의하여 보행자의 횡단용으로 마련된 부분임을 표시한 곳을 말하는 것으로, 양측의 인도 사이에 도로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양측 인도에는 적색과 녹색램프로 이루어지는 보행자신호등이 구비되어, 상기 도로상에 구비되는 차량신호등과 연계되어 작동된다.
상기 차량신호등은 2색등, 3색등 또는 4색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차량신호등은 신호제어기와 각각 1:1로 연결되어 신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전력선을 통해 신호등에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하게 되고, 상기 횡단보도에 구비되는 보행자신호등은 차량신호등과 연계하여 작동하는 차량신호등의 색상과 반대로 점등되고 소정시간을 주기로 적색과 녹색램프를 번갈아가며 작동하여 횡단보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보행자들의 통행을 안전하게 안내해 주게 된다.
이러한 횡단보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보행자들은 신호등과 주변 차량의 주행 상황에 주의를 기울인 상태로 횡단하여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으나, 최근 ‘스마트폰(smartphone)’과 ‘좀비(zombie)’의 합성어로 길을 걸으면서도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않는 이들의 모습을 영혼 없는 좀비에 빗댄 스몸비(smombie)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정도로 스마트폰 과몰입된 상태로 횡단보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보행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안전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의 경우,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을 알리는 안내부착물을 설치하였으며, 미국의 경우, 길모퉁이나 건널목을 지날 때, 보행자에게 경고방송을 하는 '말하는 버스'를 운행중이고, 독일 및 호주의 경우, 길바닥에 LED 신호등을 설치, 고개를 들지 않고도 보행 가능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으나, 이러한 방안들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을 전달하는 방안일 뿐,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하고, 특히, 스마트폰에 과몰입된 상태로 보행하는 보행자들 중 청소년기 학생들이 다수를 차지하여, 단순히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을 전달하는 방안으로 스마트폰 과몰입된 상태로 횡단보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보행자들의 증가에 따른 안전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스마트폰 과몰입된 상태로 횡단보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4971(발명의 명칭 :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에서 스마트폰 이용을 억제하도록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 과몰입 상태인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신호등에 설치되고,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되도록 하는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를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고유 식별정보, MAC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어신호들이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제어신호들 중 가장 강한 출력 세기의 제어신호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시작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비정상적으로 강제 종료되어도, 종료된 이후,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설치되면, 설치된 모바일 단말이 아닌 기저장된 번호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삭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모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화면이 꺼지거나, 상기 화면에 횡단보도 주변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화면 보호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모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된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단말들의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횟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은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되는 단계;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 과몰입 상태인 보행자의 안전을 지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에서 스마트폰 이용의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공익적인 내용의 메시지, 응급, 재난에 관련된 메시지를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모듈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횡단보도 주변을 보행 중인 보행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200)에 과몰입된 상태인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횡단보도 주변의 신호등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주변의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무선통신 모듈(100)과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200)의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화면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200)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통신 모듈(100)은,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00)로 구현되어, 횡단보도 주변의 신호등에 설치되며,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횡단보도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모바일 단말(2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200)은 횡단보도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들의 모바일 단말(200)들 중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을 제어하는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200)이며, 보호 모드는, 화면 전체가 암흑으로 표시되거나 화면이 꺼지거나, 횡단보도 주변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화면을 제어하는 모드이다.
특히, 모바일 단말(200)에 과몰입된 상태로 보행하는 보행자들 중 청소년기 학생들이 다수를 차지하여, 이들이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는 이들의 자율적인 의사보다는 이들의 부모 또는 보호자의 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후, 모바일 단말(200)의 시작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모바일 단말(200)이 부팅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며, 비정상적으로 강제 종료되는 경우에도 종료된 이후, 다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후,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200)이 아닌 모바일 단말(200) 중 기저장된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만, 삭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기 학생의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200)을 삭제하기 위해 해당 학생의 부모 또는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해야만,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절차는 기저장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200)로, 문자, 숫자로 구성된 인증 메시지가 전달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200)에 인증 메시지의 내용을 기입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삭제를 위한 정당한 권리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절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모듈(100)은, 횡단보도 주변의 신호등에 설치되며,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횡단보도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모바일 단말(2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통신부(110), 제어부(130) 및 배터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4.0의 블루투스 저전력(BLE) 기술이 적용되어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선통신 모듈(100)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무선통신 모듈(100)의 고유 식별정보 및 MAC 주소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정보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와 같은 범용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모바일 단말(200)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모바일 단말(2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한 무선통신 모듈(1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MAC 주소에 대한 정보는, 무선통신 모듈(100)의 물리적인 주소에 대한 정보이다.
배터리부(150)는 무선통신 모듈(100)의 전원은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며, 예를 들면, 배터리부(150)는 수은전지와 같은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을 제어하는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통신부(21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5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통신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는 무선통신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모바일 단말(200)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보호 모드가 실행된 경우, 실행된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하고, 보호 모드가 미실행된 경우,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30)가 처리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30)에 의해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화면의 출력이 중단되어 화면 전체가 암흑으로 표시되거나, 화면이 꺼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30)에 의해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화면에 횡단보도 주변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모바일 단말(200)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저장부(270)는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모듈(1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0)은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가 횡단보도 주변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출력 세기 값이 설정되고, 특정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보호 모드가 실행된 경우, 실행된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하고, 보호 모드가 미실행된 경우,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 모듈(100)은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이 수신하는 제어신호는 모바일 단말(200)과 무선통신 모듈(100)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양자 간에 거리가 가까울수록 출력 세기가 세고, 양자 간의 거리가 멀수록 출력 세기가 약해진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제2 모바일 단말(200)을 비교하여 예를 들면, 특정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동일한 세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 모바일 단말(200)과 제2 모바일 단말(200)은 특정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제1 모바일 단말(200)이 수신하는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제2 모바일 단말(200)이 수신하는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보다 더 크다.
만약, 기설정된 값보다 더 큰 출력 세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가 도 3b에 도시된 제1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보다 무선통신 모듈(100)에 더 가깝거나, 동일한 거리에 있어야 한다면, 제2 모바일 단말(200)의 경우, 무선통신 모듈(100)에 더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보다 더 작을 것이며, 이에, 보호 모드가 실행된 경우, 실행된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하고, 보호 모드가 미실행된 경우, 현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통신 모듈(100)이 설치된 신호등의 주변,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횡단보도 주변을 보행하는 경우, 보호 모드가 실행되되, 신호등을 벗어나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보를 보행하는 경우,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 과몰입 상태인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주변을 보행하는 경우, 보행자의 안전을 지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모듈(1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통신 모듈(1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과 특정 모바일 단말(200) 간의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특정 모바일 단말(200)이 수신하는 각각의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 역시 서로 다르다.
이 경우, 특정 모바일 단말(200)은 서로 다른 출력 세기의 제어신호 중 가장 강한 출력 세기의 제어신호를 선별하고, 선별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통신 모듈(100)과 제2 무선통신 모듈(100)이 특정 모바일 단말(200)로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특정 모바일 단말(200)과의 거리가 더 가까운 제1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더 크다.
따라서, 특정 모바일 단말(200)은 제1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2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200)은,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실행되어 제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410).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200)이 신호등 주변에 위치하게 되면,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모바일 단말(200)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420).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S430-Y),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S440),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S450-Y), 보호 모드가 실행된 경우, 실행된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하고(S460), 보호 모드가 미실행된 경우,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은, 우선,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실행되어 제어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S510), 무선통신 모듈(100)은 신호등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S520).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200)이 신호등 주변에 위치하게 되면,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530).
모바일 단말(200)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한다(S540).
만약, 모바일 단말(200)이 신호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S550),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거나 제어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면(S560), 실행된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S570).
이를 통해, 무선통신 모듈(100)이 설치된 신호등의 주변,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횡단보도 주변을 보행하는 경우, 보호 모드가 실행되되, 신호등을 벗어나 횡단보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보를 보행하는 경우,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 과몰입 상태인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거나, 주변을 보행하는 경우, 보행자의 안전을 지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무선통신 모듈(100)과 모바일 단말(200)을 제외하고,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보호 모드의 실행 여부에 대한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3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모바일 단말(200)이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면, 보호 모드의 실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0)은, 보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무선통신 모듈(100)의 고유 식별정보와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모드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특정 모바일 단말(200)이 A라는 무선통신 모듈(100)에 의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특정 모바일 단말(200)은, A 무선통신 모듈(100)의 고유 식별정보와 보호 모드가 동작됨을 관리 서버(300)에 알리는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모드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관리 서버(300) 전반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30)는, 특정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모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드 정보에 포함된 무선통신 모듈(10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에 의해, 모바일 단말(200)들에 보호 모드가 실행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마다 개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모바일 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모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저장부(350)는, 제어부(330)에 의해 개별적으로 산출된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에 의해 모바일 단말(200)들에 보호 모드가 실행된 횟수에 대한 정보가 산출되면,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300)는, 특정 무선통신 모듈(100)이 설치된 신호등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정량적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보행자의 정량적인 정보들은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의 구성요소인 무선통신 모듈(100)과 모바일 단말(200)에 관리 서버(300)가 추가된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으로서, 무선통신 모듈(100)과 모바일 단말(200)의 동작특성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실행되어 제어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S810), 무선통신 모듈(100)은 신호등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S820).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 단말(200)이 신호등 주변에 위치하게 되면, 신호등에 설치된 무선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830).
모바일 단말(200)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한다(S840).
그리고 이때, 모바일 단말(200)에 보호 모드가 실행되면, 모바일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에 모드 정보를 전달한다(S845).
관리 서버(300)는 모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모드 정보에 포함된 무선통신 모듈(10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에 의해, 모바일 단말(200)들에 보호 모드가 실행된 횟수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마다 개별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S855).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100)마다 개별적으로 산출된 보호 모드의 횟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무선통신 모듈(100)이 설치된 신호등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정량적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보행자의 정량적인 정보들은 특정 지역의 유동인구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200)이 신호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S860), 수신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하가 되거나 제어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면(S870), 실행된 보호 모드가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S88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무선통신 모듈 110 : 통신부
130 : 제어부 150 : 배터리부
200 : 모바일 단말 210 : 통신부
230 : 제어부 250 : 디스플레이부
270 : 저장부 300 : 관리 서버
310 : 통신부 330 : 제어부
350 : 저장부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신호등에 설치되고,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되도록 하는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고유 식별정보, MAC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어신호들이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제어신호들 중 가장 강한 출력 세기의 제어신호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시작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부팅되면, 자동으로 시작되고,
    비정상적으로 강제 종료되어도, 종료된 이후 자동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설치되면, 설치된 모바일 단말이 아닌 기저장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만 삭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호 모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화면이 꺼지거나, 상기 화면에 횡단보도 주변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모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된 신호등 주변의 유동인구를 파악하도록, 상기 수신된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단말들의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횟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된 신호등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정량적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기설정된 세기의 제어신호가 지속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되는 단계;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고유 식별정보, MAC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모드가 실행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각각의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어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수신된 각각의 제어신호들 중 가장 강한 출력 세기의 제어신호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제어신호의 출력 세기와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받아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시작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부팅되면, 자동으로 시작되고,
    비정상적으로 강제 종료되어도, 종료된 이후 자동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면, 설치된 모바일 단말이 아닌 기저장된 전화번호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만 삭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호 모드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화면이 꺼지거나, 상기 화면에 횡단보도 주변임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보호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모듈의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모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된 신호등 주변의 유동인구를 파악하도록, 상기 수신된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모바일 단말들의 상기 보호 모드의 동작 횟수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이 설치된 신호등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정량적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안전관리 방법.

KR1020160091351A 2016-07-19 2016-07-19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78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51A KR101789434B1 (ko) 2016-07-19 2016-07-19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51A KR101789434B1 (ko) 2016-07-19 2016-07-19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434B1 true KR101789434B1 (ko) 2017-10-23

Family

ID=6029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51A KR101789434B1 (ko) 2016-07-19 2016-07-19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4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387A (ko) * 2018-12-28 2020-07-08 (주)아이티에스뱅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21226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KR20220068002A (ko) 2020-11-18 2022-05-25 김범진 스마트 보행자 안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508B1 (ko) * 2005-03-17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마트카드 어플리케이션 삭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527506B1 (ko) * 2013-10-18 2015-06-09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교통시설물과 안전설비의 안내 및 표시방법
US20160044457A1 (en) * 2013-03-15 2016-02-11 Apple Inc. Proximity fe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508B1 (ko) * 2005-03-17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마트카드 어플리케이션 삭제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44457A1 (en) * 2013-03-15 2016-02-11 Apple Inc. Proximity fence
KR101527506B1 (ko) * 2013-10-18 2015-06-09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교통시설물과 안전설비의 안내 및 표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387A (ko) * 2018-12-28 2020-07-08 (주)아이티에스뱅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67713B1 (ko) * 2018-12-28 2020-10-19 (주)아이티에스뱅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21226A (ko) *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KR102536176B1 (ko) * 2020-08-13 2023-05-24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KR20220068002A (ko) 2020-11-18 2022-05-25 김범진 스마트 보행자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434B1 (ko)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JP6036535B2 (ja) 信号機制御システム
US20190172342A1 (en)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KR102335781B1 (ko) 보행자 안전 통합 표출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170286784A1 (en) Infrastructure-Device Status-Verification System For Automated Vehicles
KR20100040552A (ko) 차량의 신호등 정보 표시 장치
KR102362875B1 (ko) 차량 우회전시 보행자 알림 시스템
JP2008129613A (ja) 交通信号機制御システム,信号機制御装置,交通信号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93484A (ko) 보행자신호등의 신호정보 안내시스템
CN112665606A (zh) 步行导航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2016006390A (ja) 電子装置、交差点の案内方法および案内プログラム
KR20200039065A (ko)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64391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60709B1 (ko)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028170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CN108538076B (zh) 用于为车辆生成停车空间的方法
KR101314237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190070639A (ko) 스마트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09801A (ko) 스마트 표지병
KR102197259B1 (ko) 신호등 정보 안내시스템
KR20190114468A (ko) 교통 신호등 및 교통 신호의 제어 방법
KR101866041B1 (ko) 스마트기기를 통한 신호등 신호확인 방법
KR20220067113A (ko) 경고 기능을 가지는 차량 과속방지 시스템
KR102536711B1 (ko) 교통 신호 관제 장치
KR102389200B1 (ko)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