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200B1 -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200B1
KR102389200B1 KR1020210191006A KR20210191006A KR102389200B1 KR 102389200 B1 KR102389200 B1 KR 102389200B1 KR 1020210191006 A KR1020210191006 A KR 1020210191006A KR 20210191006 A KR20210191006 A KR 20210191006A KR 102389200 B1 KR102389200 B1 KR 10238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signal
integrated control
speaker
pedestri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양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전지대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전지대, 김재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전지대
Priority to KR102021019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시각장애인, 스몸비족 및 보행취약자 등과 같이 위험성을 갖고 있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 시각장애인 스피커와 일반 보행자 스피커를 안정적으로 구동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가 없는 구동을 실시할 수 있고, 스마트 보행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나오면서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관제센터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해당 교차로 또는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의 동작과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는 동시에 분석 조차 힘든 상황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 등의 보행 취약자와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는 보행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for pedestrian safety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 스몸비족 및 보행취약자 등과 같이 위험성을 갖고 있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 시각장애인 스피커와 일반 보행자 스피커를 안정적으로 구동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가 없는 구동을 실시할 수 있고, 스마트 보행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나오면서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관제센터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해당 교차로 또는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의 동작과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는 동시에 분석 조차 힘든 상황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 등의 보행 취약자와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는 보행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을 멈추도록 하고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차량통행용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작동하면서 차량통행과 보행자 통행을 순차적으로 허용하는 보행자용 교통신호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보행자들은 보행자용 교통신호등의 점등에 따라 횡단보도를 횡단하게 되는데, 보행자용 교통신호동이 녹색이면 보행자 신호로 인식하여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건너게 되며, 교통신호등이 적색이면 횡단을 하지 않고 대기선에서 대기하게 된다.
한편, 시각장애인과 같은 취약 보행자나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하여 도로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에 대한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않고 걷는 사람을 뜻하는 이른바 스몸비족(스마트폰+좀비를 합한 신조어으로 인하여 도로 상에서의 안전이 크게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보행 중에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다가 전봇대나 표지판 등 도로 주변에 설치된 시설물에 부딪치는 경우도 있고, 보행자 상호간에 서로 부딪히는 안전사고도 많이 발생된다.
특히, 시각장애인이거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가 신호를 기다리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보행자 신호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무심결에 횡단보도를 건너려 하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으며, 보행자 신호로 바뀐 줄도 모르고 스마트폰만 보고 있다가 보행자 신호가 끝나갈 때쯤에야 이를 알아채고 갑자기 급한 마음에 횡단보도를 건너려 하다가 신호가 바뀌어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와 연결되는 보행자 도로 등의 바닥에 매립되어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보행자 신호를 LED 빛으로 발산하는 보행자용 바닥신호등 즉 바닥매립형 보행자 신호등이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다.
이에,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이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다가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도 바닥신호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약자들의 보행여건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의 취약 보행자인 경우에는 바닥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게 하는데 있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등의 전체적인 바닥신호등에 대한 설치 사용상의 효율성이 극소화되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보행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나오면서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관제센터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해당 교차로 또는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의 동작과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분석 조차 힘들기에, 전체적으로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 등의 보행 취약자와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는 보행의 안전성이 극대화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항시 초래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을 위한 보행시스템이 보급되고 있으나, 상기 보행시스템이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에 대해 따로 설치되어 있고, 설치하는 업체들도 다르기 때문에 설치 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지주 부착 시 많은 장치가 부착이 되기에 지주 부착물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오히려 안전성의 문제와 위험성이 동시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횡단보도 상의 교통신호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에 현재 활발히 설계되고 있는 스마트시티(Smart City)와 연동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중요한 정보에 대한 보안 관리 또한 취약하여 빅데이터(Bigdata)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271084호(등록일: 2021.06.24.)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905794호(등록일: 2018.10.0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201272호(등록일: 2021.01.05.)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291900호(등록일: 2021.08.13.)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202401호(등록일: 2021.01.07.)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스몸비족 및 보행취약자 등과 같이 위험성을 갖고 있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 시각장애인 스피커와 일반 보행자 스피커를 안정적으로 구동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가 없는 구동을 실시할 수 있고, 스마트 보행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나오면서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관제센터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해당 교차로 또는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의 동작과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는 동시에 분석 조차 힘든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 등의 보행 취약자와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는 보행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신호에 대한 제어를 하나의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어 전체적인 지주 부착물에 대한 복잡한 선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출 수가 있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장애인 버튼 작동에 대한 'Click' 정보와 표출부의 신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U-city 및 스마트시티(Smart City)와 같은 관제 센터와 호환이 가능하게 이룰 수 있어 보행자 정보 및 횡단보도 안전 정보를 토대로 교통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안전한 횡단보도 상의 교통 상황에 대한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횡단보도를 통해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정보 데이터를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하는 보안안전부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시각장애인 버튼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팬이 구동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횡단보도를 통해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횡단보도 상 설치되어 있는 지주의 기구물에 전력을 공급하고, 녹색신호 또는 적색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와, 상기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횡단보도 상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 구비되어 있는 기구물을 통합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검지센서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통합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시각장애인 버튼과, 상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일반 보행자를 위해 음성 문구를 출력하도록 하는 표출부의 스피커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이 구동되면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과 일반 보행자에게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고 알려줄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표출부의 시각장애인용 스피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하는 보안안전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제어장치에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PLC통신, LTE,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통합제어장치와 관제센터 간에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키도록 시각장애인 버튼의 상단에 송풍팬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각장애인, 스몸비족 및 보행취약자 등과 같이 위험성을 갖고 있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 시각장애인 스피커와 일반 보행자 스피커를 안정적으로 구동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가 없는 구동이 가능한 효과와, 스마트 보행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나오면서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의 스피커가 관제센터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해당 교차로 또는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의 동작과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는 동시에 분석 조차 힘든 상황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체적으로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 등의 보행 취약자와 보행자에게 횡단보도를 건너갈 수 있는 보행의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신호에 대한 제어를 하나의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어 전체적인 지주 부착물에 대한 복잡한 선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낮춰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각장애인 버튼 작동에 대한 'Click' 정보와 표출부의 신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U-city 및 스마트시티(Smart City)와 같은 관제 센터와 호환이 가능하게 이룰 수 있어 보행자 정보 및 횡단보도 안전 정보를 토대로 교통 상황이 판단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안전한 횡단보도 상의 교통 상황에 대한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보여주는 블럭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또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은 횡단보도를 통해 건너고자 하는 일반 보행자 또는 시각장애인 및 스몸비족의 안전을 위해 음성 문구 또는 음성 신호가 표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횡단보도 상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이루기 위해 보행자 누구나 손쉽게 확인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 문구가 표출되게 되고, 특히 시각장애인과 스몸비족을 위해 별도의 음성 신호를 표출하게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면, 횡단보도를 통해 보행자와 차량의 흐름을 상호 원할히 하기 위해 교통신호등이 구비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기구물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횡단보도 상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는 지주의 기구물에 전력을 공급하고, 녹색신호 또는 적색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통합제어장치(20)는 횡단보도 상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 구비되어 있는 기구물 중 하나로 지주에 구비된 다른 기구물들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제어되는 검지센서(30)는 지주에 구비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40)이 작동되면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통합제어장치(2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만약, 횡단보도 상 보행신호인 녹색신호일 경우에 있어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40)이 작동된 상태가 아니면 통합제어장치(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일반 보행자를 위해 음성 문구(예를 들어, '녹색불이 켜졌습니다 건너셔도 됩니다' 또는 '다음에 건너세요 위험합니다')가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1)를 통해 표출되게 되고, 또는 횡단보도 상 보행신호인 적색신호일 경우에 있어 시각장애인 버튼(40)이 작동된 상태가 아니면 통합제어장치(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일반 보행자를 위해 음성 문구(예를 들어, '위험하오니 한걸음 물러나 주십시요')가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1)를 통해 표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40)이 구동되면 통합제어장치(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과 일반 보행자에게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고 알려줄 수 있도록 음성 신호(예를 들어, '띠리리리')가 표출부(50)의 시각장애인용 스피커(52)를 통해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교통신호등에 전력을 공급하고 녹색신호 및 적색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에는 기구물인 통합제어장치(20)와, 검지센서(30), 시각장애인 버튼(40) 및 표출부(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특히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상기 기구물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에 상기 지주에 대한 복잡한 전선 등이 간소화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낮춰질 수가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횡단보도를 통해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 또는 녹색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100).
이때, 상기 출력되는 신호가 적색신호일 경우에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도록 구동하게 되고(S110), 또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40)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120).
여기서,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40)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50)의 스피커(51)로 전달하지 않게 된다(S130).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30)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S140) 표출부(50)의 스피커(51)를 통해 음성 문구(예를 들어, '위험하오니 한걸음 물러나 주십시요')가 출력되게 된다(S150).
한편,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면(S100),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게 되고(S210),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30)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S220)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1)를 통해 음성 문구(예를 들어, '녹색불이 켜졌습니다 건너셔도 됩니다' 또는 '다음에 건너세요 위험합니다')가 출력되게 된다(S230).
특히, 상기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40)이 작동되었을 경우(S240) 통합제어장치(20)의 제어신호에 의해 표출부(50)의 시각장애인용 스피커(52)를 통해 음성 신호(예를 들어, '띠리리리')가 출력되게 된다(S250).
여기서,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40)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1)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S260)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지센서(30)는 도로시설물인 교통신호등에 설치되어 횡단보도와 도로 경계를 감지하게 되는 것으로, 특히 보행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정보는 통합제어장치(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송되고, 특히 상기 통합제어장치(20)에 구비된 통신부(미도시)와 연동되는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 또는 관리서버(미도시)에 전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합제어장치(20)에는 보안안전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해커 등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실행하는 것으로, 특히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구동하는 제어신호의 변질을 방지하고, 저장부(30)에 저장된 정보데이터에 대해 안전적으로 보안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40)이 작동되었을 경우 시각장애인 버튼(4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팬(미도시)이 구동되게 되는데, 이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케 되는 동시에 일반 보행자로 하여금 현재 힝단보도를 건너는 사람 중 시각장애인이 있으니 협조하여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알려주는 역활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통합제어장치(20)에는 보안안전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구동하는 제어신호의 변질을 방지하고, 제어신호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 데이터에 대해 안전적으로 보안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통합제어장치(20)의 제어신호 구동과 보안안전부의 실행은 임베디드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에서 구현하는 동시에 실시간 운영체제(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에서 구현할 수가 있고, 어플리케이션과 미들웨어로 이원화 하여 JAVA 등으로 작성한 공통적인 어플리케이션이 하드웨어의 종류 또는 제조사에 상관없이 호환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합제어장치(20)에 구비된 통신부(미도시)의 통신은 PLC통신, LTE,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고, 상기 통합제어부(20)와 관제센터 또는 관리서버 간의 통신 또한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장치(20)와 관제센터 또는 관리서버 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기에, 원할한 정보 데이터의 전송으로 인해 현재 활발이 추진되고 있는 U-city 및 스마트시티(Smart City)에 적용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교통 상황의 판단과 빅데이터(Big data) 활용 가치를 높혀줄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상의 관리 및 운영이 가능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은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1)와 시각장애인을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2)가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 및 제어가 가능하기에, 적색신호 시에 인도에서 차도로 넘어가는 보행자 안전을 위해 위험성을 알리는 표출부(50)의 스피커(51) 구동 출력이 이루어지고, 시각장애인 버튼(40)의 작동인 'Click'시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를 통해 녹색신호로 변경하게 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2)가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50)의 스피커(51)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될 수가 있으며, 시각장애인 버튼(40)의 'Click'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출부(50)의 스피커(51)가 정상적으로 음성 문구가 표출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표출부(50)의 스피커(51)에서 발생된 출력 정보와 시각장애인 버튼(40)의 'Click' 발생 건수에 대해서는 프로토콜에 의해서 데이터 축적이 가능할 수가 있고, 이 축적된 데이터는 횡단보도의 안전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 스몸비족 및 보행취약자 등과 같이 위험성을 갖고 있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기 위해서 시각장애인 스피커와 일반 보행자 스피커를 안정적으로 구동하면서 상호 보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구동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오류가 없는 구동을 실시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주에 설치되는 기구물을 최소화할 수가 있는 것이고, 특히 스마트 보행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50)의 스피커(51)가 나오면서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표출부(50)의 스피커(52)가 관제센터와 통신이 불가능하여 해당 교차로 또는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의 동작과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는 동시에 분석 조차 힘든 상황을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 음성신호장치인 스피커(52)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기에 어린이 보호구역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할 수가 있고, 하나의 통합제어장치에 의해서 스피커(51,52)에 대한 2개의 동작에서 발생되는 오작동과 오차를 0.05초이상 빠르게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횡단보도의 안전성을 상당히 높여 줄 수가 있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장치(20)는 프로토콜(Protocol)로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51)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 스피커(52)를 통한 출력 신호도 용이하게 관제센터에 전송시킬 수가 있고, 이와 같이 하나의 통합제어장치(20)로 실행할 수 있어 통합제어장치(20)에 구비된 통신부는 라우터(Router) 또는 모뎀(Mode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표출부(50)의 스피커(51,52)는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상호 효율적으로 제어가 가능하기에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10)에서 신호등 정보가 RS-485 등의 통신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전달된 통신 신호는 일반 보행자를 위한 스피커(51)의 출력 신호에 대한 전달과 시각장애인 스피커(52)에 대해 시각장애인 버튼(40) 'Click'을 했을 경우 녹색신호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제어는 통합제어장치(20)를 통해 이루어지기에 상기 스피커(51,52)가 동시 동작이 가능하고, 인터페이스(interface) 동작을 바로 제어할 수 있어 발생되는 오차는 0.01초도 안되는 것이다.
특히, 하나의 통합제어장치(20)는 시각장애인 버튼(40) 'Click'시 녹색신호에 의해 표출부(50)의 스피커(51)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차단이 되면 표출부(50)의 시각장애인 스피커(52)를 통해 음성 신호인 "띠리리리리리~ 띠리리리리리"가 출력되게 됨으로써 기본적인 기능 구현에서도 즉시 동작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작동의 문제점은 매우 낮을 수 밖에 없고, 녹색신호에서 적색신호로 변경될 시에도 검지센서(30) 및 상기 스피커(51,52)에 대한 동작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상기 스피커(51,52)를 통한 음성 출력은 낮과 밤 동작 시 음량세기가 다르게 조절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제어장치(20)에 별도로 위성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가 있어 음량세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제어장치(20)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기에 제어신호 데이터 또는 스피커(51,52)를 통한 출력 신호 데이터 및 시각장애인 버튼(40)를 통한 'Click'시 생성된 데이터와 같은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동시에 외부의 관제센터로 보내지게 되고, 상기 관제센터로 보내지게 되는 파라미터 값은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로도 이용이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인자동차에 송출을 하므로써 무인자동차는 횡단보도 주행 시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는 중요 정보로도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살펴볼 때, 본 발명을 통해 실시되는 통합제어장치(20)는 표출부(50)의 스피커(51,52)와 상호 연동되어 구동하기 때문에 빠른 실시 구동의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으로 받으면서 외부 또는 방해 전파에서 발생되는 동작의 오류가 거의 없고, 통합제어장치(20)가 지주에 하나로 설치될 수 있어 도시 미관에 저해되지 않으며, 통합제어장치(20)의 통신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파라미터 값을 동시에 외부로 보낼 수가 있고, 상기 보내지게 되는 파라미터 값 등의 데이터 정보가 정확히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횡단보도로 지나가는 일반 자동차 또는 무인자동차가 미리 정보를 받고 안전한 주행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제어장치(20)에 의해 발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동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빅데이터(Bigdata) 로 활용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
20 : 통합제어장치
30 : 검지센서
40 : 시각장애인 버튼
50 : 표출부
51, 52 : 스피커

Claims (8)

  1. 횡단보도를 통해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시각장애인 버튼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팬이 구동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정보 데이터를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하는 보안안전부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3. 횡단보도를 통해 건너고자 하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시스템으로서,
    상기 횡단보도 상 설치되어 있는 지주의 기구물에 전력을 공급하고, 녹색신호 또는 적색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와, 상기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횡단보도 상 설치되어 있는 지주에 구비되어 있는 기구물을 통합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검지센서와, 상기 지주에 구비되어 횡단보도를 건너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통합제어장치로 신호를 보내도록 하는 시각장애인 버튼과, 상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일반 보행자를 위해 음성 문구를 출력하도록 하는 표출부의 스피커로 구성되되,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이 구동되면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고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과 일반 보행자에게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고 알려줄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표출부의 시각장애인용 스피커가 구성되고,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키도록 시각장애인 버튼의 상단에 송풍팬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해커의 외부요인으로 악의적인 프로그램 변질을 하였을 때, 변질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거부하고 공장출하 상태의 프로그램으로 자동복구하도록 하는 보안안전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에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PLC통신, LTE, RS-485,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통합제어장치와 관제센터 간에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7.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시각장애인 버튼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팬이 구동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을 정지시키기 위해 적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적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적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이 없을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통한 제어신호를 표출부의 스피커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기의 옵션보드를 통해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녹색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력되는 녹색신호에 의해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보행자가 확인할 수 있는 녹색신호등을 점등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상의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검지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상에 보행자가 감지되었을 경우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문구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통합제어장치를 통해 녹색신호가 전달되는 상태에서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통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 시각장애인용 표출부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시각장애인 버튼의 작동에 의해 일반 보행자를 위한 표출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성 문구가 정지되거나 계속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횡단보도 상 지주에 설치되어 있는 시각장애인 버튼이 작동되었을 경우 시각장애인 버튼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송풍팬이 구동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중 시각장애인 또는 스몸비족들에게 안전성을 갖도록 일정한 바람을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91006A 2021-12-29 2021-12-29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8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006A KR102389200B1 (ko) 2021-12-29 2021-12-29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006A KR102389200B1 (ko) 2021-12-29 2021-12-29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200B1 true KR102389200B1 (ko) 2022-04-22

Family

ID=8145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006A KR102389200B1 (ko) 2021-12-29 2021-12-29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20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273A (ko) * 1994-12-10 1996-07-20 김종구 시각 장애자용 횡단보드 음성 신호버튼장치
KR200274421Y1 (ko) * 2001-12-10 2002-05-08 한광수 장애인 및 일반인 겸용 보행신호등 제어장치
KR101635477B1 (ko) * 2015-12-29 2016-07-07 임철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101679304B1 (ko) * 2015-11-27 2016-11-24 주식회사 어반어소시에이츠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905794B1 (ko) 2018-03-14 2018-12-05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2201272B1 (ko) 2019-06-13 2021-01-12 김윤순 스마트 바닥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2401B1 (ko) 2020-10-28 2021-01-13 엘컴텍 주식회사 바닥 신호등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271084B1 (ko) 2021-01-26 2021-06-30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291900B1 (ko) 2019-11-29 2021-08-19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2335781B1 (ko) * 2021-09-17 2021-12-06 (주)에이원트래픽알앤디 보행자 안전 통합 표출 제어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5273A (ko) * 1994-12-10 1996-07-20 김종구 시각 장애자용 횡단보드 음성 신호버튼장치
KR200274421Y1 (ko) * 2001-12-10 2002-05-08 한광수 장애인 및 일반인 겸용 보행신호등 제어장치
KR101679304B1 (ko) * 2015-11-27 2016-11-24 주식회사 어반어소시에이츠 횡단보도 안내 시스템
KR101635477B1 (ko) * 2015-12-29 2016-07-07 임철수 횡단보도의 교통신호안전시스템
KR101905794B1 (ko) 2018-03-14 2018-12-05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2201272B1 (ko) 2019-06-13 2021-01-12 김윤순 스마트 바닥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1900B1 (ko) 2019-11-29 2021-08-19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2202401B1 (ko) 2020-10-28 2021-01-13 엘컴텍 주식회사 바닥 신호등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271084B1 (ko) 2021-01-26 2021-06-30 주식회사 효성티앤에스 알루미늄 하우징을 가지는 바닥신호등
KR102335781B1 (ko) * 2021-09-17 2021-12-06 (주)에이원트래픽알앤디 보행자 안전 통합 표출 제어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781B1 (ko) 보행자 안전 통합 표출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0643468B2 (en)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US20190172342A1 (en) Smart crosswalk safety system for pedestrian
WO2016078500A1 (en)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nd system
KR101812305B1 (ko) 비콘장치를 이용한 안전횡단 관리 시스템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101923720B1 (ko)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2366759B1 (ko) 보행신호 음성장치의 제어 확장 시스템
KR102389200B1 (ko) 횡단보도 상의 교통 보행신호를 위한 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1713252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789434B1 (ko)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314237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시스템
CN203552379U (zh) 一种安防智能语音防盗报警系统
KR100807097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US20140253328A1 (en) Hazard warn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JP5002549B2 (ja) 異常設備検知システム
KR102366755B1 (ko) 바닥신호등 안전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3981A (ko) 교통약자를 위한 안전신호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670174B2 (en) Reserved vehicle control method, reserved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served vehicle control system
KR102467414B1 (ko) 이동통신을 활용한 독립형 신호구동기를 포함하는 교통시스템
KR102202123B1 (ko) 차선 적응형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51503B1 (ko) 버스정류장의 안전 제어시스템
KR101866041B1 (ko) 스마트기기를 통한 신호등 신호확인 방법
KR102659666B1 (ko) 신호등 고장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