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176B1 -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 Google Patents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176B1
KR102536176B1 KR1020200101806A KR20200101806A KR102536176B1 KR 102536176 B1 KR102536176 B1 KR 102536176B1 KR 1020200101806 A KR1020200101806 A KR 1020200101806A KR 20200101806 A KR20200101806 A KR 20200101806A KR 102536176 B1 KR102536176 B1 KR 10253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bot
smartphone
usage
time
usag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226A (ko
Inventor
임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보행자 안전 앱을 탑재하여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과 학업 및 교육, SNS, 동영상, 뉴스, 게임별 등의 사용 유형별 사용시간을 평일 중 5일간과 주말 2일간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진단하여 평일 평균 사용시간과 주말 평균 사용시간을 제시하는 단계;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 유형별, 평일 및 주말 사용시간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매일의 사용량을 기초선 및 목표와 함께 그래프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한 챗봇의 피드백 및 개입하는 단계; 및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Method of healing uncontact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chatbot}
본 발명은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과사용에 대한 정기적 피드백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을 완화하는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제작 기술과 무선통신 기술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스몸비(스마트폰+좀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12세 미만 어린이는 뇌가 다 발달하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집중할 경우 다른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이처럼 스마트폰 과의존도를 낮 출수 있는 방안으로 스마트쉽 센터 및 지자체 과제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과 전문상담, 민관 협력 사업을 강화하는 등 노력을 진행 과의존 위험군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와 아동에 대한 스마트폰을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체험형 예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학부모 스마트폰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기존 학부모에 의해서 학생들의 스마트폰에 사용 시간 억제 및 통제 앱(App)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쉽 센터 및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사업의 경우 청소년이 직접 교육을 듣거나 참석해야 하는 등 참여 의사가 있어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치료가 가능하고, 학부모에 의한 스마트폰 감시와 시간제한 앱의 경우 직접 설치하거나 청소년이 임의로 앱 삭제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 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 검사와 스마트폰 과사용 및 보행 중 사용에 대한 정기적 피드백을 챗봇 기반으로 재미있고 흥미 있게 제공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완화하는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보행자 안전 앱을 탑재하여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과 학업 및 교육, SNS, 동영상, 뉴스, 게임별 등의 사용 유형별 사용시간을 평일 중 5일간과 주말 2일간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진단하여 평일 평균 사용시간과 주말 평균 사용시간을 제시하는 단계;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 유형별, 평일 및 주말 사용시간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매일의 사용량을 기초선 및 목표와 함께 그래프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한 챗봇의 피드백 및 개입하는 단계; 및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보행 중 사용시간 측정으로, 이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누적 기록하여 일, 주, 월 단위로 사용시간과 그룹간 평가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챗봇의 피드백 및 개입하는 단계는 차도 근처를 지나고 있을 때, 하루 목표 시간에 가까워지고 있을 때,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될 때, 취침 직전까지의 데이터 수집 단계와, 상기 데이터 수집을 통해 챗봇이 위험, 시간 조절 필요, 휴식 필요, 목표 달성 여부 통보에 대한 상황을 알리는 단계, 및 매일 결과에 대해 통보를 할 때는 챗봇이 통보하면서 일과에 관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일 결과에 대해 통보를 할 때는 챗봇이 통보하면서 일과에 관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평가 결과에 대해 안내와 이야기 들어주기, 부족한 부분에 대한 독려, 성공에 대한 축하 및 내일 목표를 일깨워 주면서 응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는 챗봇이 주간 평가 시간임을 알리고 일주간 사용시간 그래프 제시하고, 일주일에 대한 사용자의 생각을 질문하고 들어주며, 챗봇이 잘 성취했다면 목표 상향 또는 성취에 실패했다면 하향에 대해 의견 제시하며, 합의과정을 거쳐 목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는, 챗봇 기반 스마트폰 과의존도를 챗봇 기반의 대화형 검사 도구로 캐릭터와 대화하는 형태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에 따르면 아동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완화와 정신건강 전반에 걸친 검사 및 케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독 진단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패턴 제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 기반 진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몸비 탈출 도우미 서비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독 진단 시스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독 진단 시스템은 스마트폰(100)과 서버(200)로 구성되며, 스마트폰(100)과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중독 진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몸비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스마트폰(100)에 보행자 안전 앱(Safety App)을 탑재하여 스마트폰 의존도(중독) 검사와 스마트폰 과사용과 보행 중 사용에 대한 정기적 피드백을 챗봇 기반으로 재미있고 흥미 있게 제공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완화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 안전 앱(App)은 차량접근, 횡단보드 신호 상태, 횡단보드 위치 등의 알림 메시지와 경고 콘텐츠를 표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접근은 레이더 센서를 횡단보도, 어린이 보호 구역, 스쿨존 등에 설치하여 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BLE 비콘을 통해 알리고, 횡단보드 신호 상태는 횡단보드 신호등의 보행 또는 정지 신호를 BLE 비콘을 통해 알리며, 횡단보드 위치는 BLE 비콘 신호를 스마트폰에서 수신하여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패턴 제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챗봇 기반 진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몸비 탈출 도우미 서비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폰(100)에 보행자 안전 앱(App)을 탑재하여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과 학업 및 교육, SNS, 동영상, 뉴스, 게임 등의 사용 유형별 사용시간을 평일 중 5일간과 주말 2일간 측정(수집)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한다(S100).
이때, 상기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보행 중 사용시간 측정으로, 이를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누적 기록하여 일(0시~24시 or 기상~취침 전), 주, 월 단위로 사용시간과 그룹간 평가하여 도 3에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서버(200)에서 진단하여 평일 평균 사용시간과 주말 평균 사용시간을 제시한다(S200).
이어서,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 유형별, 평일 및 주말 사용시간 목표를 설정한다(S300).
이어서, 매일의 사용량을 기초선(또는 평균) 및 목표와 함께 그래프로 제시한다(S400).
다음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한 챗봇이 피드백 및 개입한다(S500). 즉, 차도 근처를 지나고 있을 때, 하루 목표 시간에 가까워지고 있을 때,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될 때, 취침 직전(사용자가 시간을 정할 수 있음) 까지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챗봇이 위험, 시간 조절 필요, 휴식 필요, 목표 달성 여부 통보 등에 대한 상황을 알린다.
또한, 매일 결과에 대해 통보를 할 때는 챗봇이 통보하면서 일과에 관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제공한다. 즉, 평가 결과에 대해 안내하고 이야기 들어주기에 집중, 부족한 부분에 대한 독려, 성공에 대한 축하 및 내일 목표를 일깨워 주면서 응원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 또는 매주 일요일 오후 9시로 설정하여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한다(S600).
여기서, 챗봇이 주간 평가 시간임을 알리고 일주일간의 사용시간 그래프 제시하고, 일주일에 대한 사용자의 생각을 질문하고 들어주며, 챗봇이 잘 성취했다면 목표 상향 또는 성취에 실패했다면 하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합의과정을 거쳐 목표를 재설정한다.
이때, 주간 평가 시 챗봇 기반 스마트폰 과의존도(중독)를 진단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정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검사(한국정보화진흥원)를 챗봇 기반의 대화형 검사 도구로 팽수와 같은 캐릭터와 대화하는 형태로 진단함으로써 피검자의 거부감을 줄이고 재미와 흥미를 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동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도를 완화하여 스몸비를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아동과 청소년에게 누군가에게 케어를 받고 있다는 정서와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걱정과 해결 방법 안내 결과에 대한 격려 등의 피드백을 언컨택트 상담 알고리즘을 통해 전문 심리상담사와 같은 효과를 언컨택트하게 챗봇이 자동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언컨택트 상담 알고리즘은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사용자에게 비대면으로 챗봇 기반의 대화를 통해 의존도를 완화시키는 알고리즘으로써, 어떠한 문장의 대화를 제시할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응답에 대한 적절한 응대 내용을 판단하고 선택하며, 도 5와 같이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작할 대화의 문장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적절한 대화 내용을 선택하여 챗봇을 통해 대화하고, 공감하고, 걱정하고, 격려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스마트폰 200: 서버

Claims (6)

  1.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보행자 안전 앱을 탑재하여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과 학업 및 교육, SNS, 동영상, 뉴스, 게임 등의 사용 유형별 사용시간을 평일 중 5일간과 주말 2일간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진단하여 평일 평균 사용시간과 주말 평균 사용시간을 제시하는 단계;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 유형별, 평일 및 주말 사용시간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매일의 사용량을 기초선 및 목표와 함께 그래프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한 챗봇이 피드백 및 개입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미리 설정 또는 매주 일요일 오후 9시로 설정하여 챗봇이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챗봇이 피드백 및 개입하는 단계는,
    차도 근처를 지나고 있을 때, 하루 목표 시간에 가까워지고 있을 때,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1시간 이상 지속될 때, 취침 직전까지의 데이터 수집 단계와,
    상기 데이터 수집을 통해 챗봇이 위험, 시간 조절 필요, 휴식 필요, 목표 달성 여부 통보에 대한 상황을 알리는 단계, 및
    매일 결과에 대해 통보를 할 때는 챗봇이 통보하면서 일과에 관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매일 결과에 대해 통보를 할 때는 챗봇이 통보하면서 일과에 관한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평가 결과에 대해 안내하고 이야기 들어주기, 부족한 부분에 대한 독려, 성공에 대한 축하 및 내일 목표를 일깨워 주면서 응원하며,
    상기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는, 챗봇 기반 스마트폰 과의존도를 챗봇 기반의 대화형 검사 도구로 캐릭터와 대화하는 형태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사용패턴 측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보행 중 사용시간 측정으로, 이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누적 기록하여 일, 주, 월 단위로 사용시간과 사용시간의 그룹간 평가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주 한 번씩 주간 평가하는 단계는, 챗봇이 주간 평가 시간임을 알리고 일주일간의 사용시간 그래프를 제시하고, 일주일에 대한 사용자의 생각을 질문하고 들어주며, 챗봇이 잘 성취했다면 목표 상향 또는 성취에 실패했다면 하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합의과정을 거쳐 목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6. 삭제
KR1020200101806A 2020-08-13 2020-08-13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KR10253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06A KR102536176B1 (ko) 2020-08-13 2020-08-13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806A KR102536176B1 (ko) 2020-08-13 2020-08-13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26A KR20220021226A (ko) 2022-02-22
KR102536176B1 true KR102536176B1 (ko) 2023-05-24

Family

ID=8049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806A KR102536176B1 (ko) 2020-08-13 2020-08-13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420B1 (ko) * 2023-11-07 2024-04-23 강경묵 사용자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 부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배포용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74B1 (ko) * 2015-11-19 2017-02-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KR101789434B1 (ko) * 2016-07-19 2017-10-23 박진희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938136B1 (ko) 2017-09-22 2019-04-11 주식회사 한샘 피보호자의 건강관리 통합 솔루션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54B1 (ko) * 2004-10-14 2007-04-18 한국과학기술원 대화형 인터넷 중독 자각 방법
KR20150063661A (ko) * 2013-12-02 2015-06-10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기기 과사용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775490B1 (ko) * 2015-12-11 2017-09-06 (주)이든이노베이션 케릭터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건강정보를 입력받고 설명하는 대화형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KR20180046433A (ko) * 2016-10-27 2018-05-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896904B1 (ko) * 2016-11-29 2018-09-14 (주)바이널엑스 보행중 이동단말기 사용제한 방법과 상기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74B1 (ko) * 2015-11-19 2017-02-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KR101789434B1 (ko) * 2016-07-19 2017-10-23 박진희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938136B1 (ko) 2017-09-22 2019-04-11 주식회사 한샘 피보호자의 건강관리 통합 솔루션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26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76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and treating individuals with sensory processing conditions
EP3566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a fall risk alert to a person
KR101941273B1 (ko)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생활 코칭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8085145B2 (en) Personal environmenta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and portable monitor for use therein
KR101938136B1 (ko) 피보호자의 건강관리 통합 솔루션 제공 시스템
CN111105878A (zh) 用手机和网络高效阻止疫情传播的智能系统
CN108701397A (zh) 婴儿追踪器
US20210082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536176B1 (ko) 챗봇 기반의 언컨택트 스마트폰 중독 치유 방법
US6897773B2 (en) Computer powered wire(less) ultra-intelligent real-time monitor
CN109378067A (zh) 终端控制方法及健康安全教育管理一体机
KR101911039B1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101853093B1 (ko) 구성원 관리 시스템
KR20170031358A (ko)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Howell et al. A low-power wearable substance monitoring device
CN110135744B (zh) 建筑工人安全行为习惯评价方法
Peraković et al. Smart wristband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users in traffic environment
CN114900806A (zh) 一种物联网重症监护系统
CN106302527A (zh) 移动个人健康监控方法及系统
CN105595543A (zh) 一种智能阅读系统
Gu et al. Design of rescue and health monitoring bracelet for the elderly based on STM32
Reynolds et al. Comparison of free‐living physical activity data obtained from a Fitbit Zip, the Apple iPhone Health app and a modified Bouchard Activity Record
CN112842302A (zh) 身体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
KR20200134661A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어린이 교육 기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513892B1 (ko) 작업자 안전근태관리 통합 플랫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