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039B1 -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 Google Patents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039B1
KR101789039B1 KR1020110046877A KR20110046877A KR101789039B1 KR 101789039 B1 KR101789039 B1 KR 101789039B1 KR 1020110046877 A KR1020110046877 A KR 1020110046877A KR 20110046877 A KR20110046877 A KR 20110046877A KR 101789039 B1 KR101789039 B1 KR 10178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henylene sulfide
fabric
dyeability
dyeing
light fas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929A (ko
Inventor
곽동헌
최원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039B1/ko
Priority to PCT/KR2011/003713 priority patent/WO2012157800A1/ko
Publication of KR2012012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05Treatments with alpha, beta, gamma or other rays, e.g. stimulated ray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04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using dispersed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 D06P3/8276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ester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2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efore 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3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condensation products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D10B2331/02 - D10B2331/14
    • D10B2331/30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condensation products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D10B2331/02 - D10B2331/14 polyarylene sulfides, e.g. polyphenylenesulf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을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 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코어부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도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해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Polyphenylene sulfide fabric having excellent dyeability and light fastness}
본 발명은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이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하도록 제조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에 관한 것이다.
난연섬유는 세계시장 규모가 10조원에 이르고 있고, 국내에서도 대구 지하철 참사, 여수 출입국 사무소 화재사건 등으로 내장섬유 및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은 소방법규 및 환경관련 법규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난연섬유의 수요가 촉진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지하철 등 다중시설물에 대해 난연섬유 사용을 법제화하였다. 미국의 경우 미국 내에 소비되는 침대 매트리스의 경우 모두 난연 제품으로 만들어야 허가가 나며, 유아용은 더욱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EU 국가들은 환경관련 법규에 의해 매우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고 있으며, 에코라벨을 달지 않고는 시장에 진입할 수 없을 만큼 까다롭게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여러 대형 화재사고 이후, 2007년 6월부로 개정 소방법 (방염성능 : 탄화면적, 탄화길이, 접염회수, 잔염시간, 잔진시간 관리 등급제)이 발효되어 다중이용업소의 소방시설의 강화 및 내장재 방염처리를 의무화 하였으나, 아파트는 대상에서 제외되었을 뿐만 아니라, 난연섬유 사용을 법제화하지 않아 화재 시 유해가스 발생으로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후방염 제품들이 많은 상황이다.
현재 수송용 섬유내장재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의 난연섬유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자동차의 경우 고급 차종에는 난연 PET 원사(원사 자체에 난연제 포함된 상태)를 사용하고 있으며, 중저가형 차종에는 일반 PET 원단에 후방염 처리한 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난연방염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친환경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철도, 선박, 항공의 경우에는 난연성이 높은 양모섬유 또는 아크릴계 난연 섬유가 수입·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는 고가인 아라미드 섬유 등의 일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내장재는 현재 연소성(탄화속도)만 난연 성능으로 관리하는 반면, 철도, 선박, 항공기의 내장재에는 연소성(탄화거리, 잔진시간 또는 LOI) 이외에 연기밀도, 독성지수를 추가한 더욱 엄격한 난연 성능을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합섬(PET, 나일론 등)으로는 난연 성능을 만족시키기 어려워 양모, 아크릴계 섬유 또는 특수섬유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수송수단의 특성에 맞는 내장재 및 추가성능을 요구하는 상황인데, 이러한 내장재의 성능면에서 공통적으로 최우선시 되는 것은 화재안정성 즉, 난연성이라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고난연성 섬유 소재가 생산되지 않는 상황이며, 일반적으로 내장재용 PET소재 섬유들은 방사단계에서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과 원단 후가공을 통해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난연첨가제 사용량의 한계와 할로겐 난연제 규제 등으로 인해 안정적인 난연성 확보가 어려우며 난연처리(방사단계 첨가 및 원단 후가공에서의 처리)로 인해 내구성 및 감성 품질(디자인)의 저하를 유발하여 고객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자동차 내장재의 대부분은 폴리우레탄폼과 같은 소재들과 합포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원단 자체의 난연성에 추가적으로 복합물의 난연성을 보완 및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기존의 난연처리 방법보다 월등한 난연 성능을 보유한 PPS 섬유 (LOI : 34)와 같은 고난연성 소재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가정용 및 건축용 내장재/인테리어 분야는 커튼, 소파, 침구류 등의 다양한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난연 기능에 대한 수요는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중이 모이는 극장, 공공 회관, 대형 건물의 난연 인테리어 기준은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보다 엄격한 품질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터 난연사는 손질이 쉬우며 가격 경쟁력이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LOI 30 이상을 요구하는 고도의 난연 기준에는 그 품질 수준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재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섬유의 난연화가 요구되고 있고, 날로 시장이 커지는 건축물의 인테리어, 난연 내장재, 흡음재 형태의 제품에 내열성,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특성을 갖는 섬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난연소재가 요구되는 섬유로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섬유가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는 섬유 자체가 난연소재의 섬유로서 열에 대한 안정성을 보이는 고유물성이 있으므로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연기밀도에 안정적이며, 유독가스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지속내열성, 내약품성, 낮은 흡수특성, 형태안정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분산염료로 염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이용분야가 백필터, 전자 및 자동차 부품 등의 염색이 필요 없는 특수 기능적 분야로 한정되어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의 염색 및 일광견뢰도 향상기술은 기존 내장재를 대체하고, 다른 엔지니어링 섬유를 대체하기 위해 필수 요소기술임에 따라 이러한 PPS 섬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즉,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의 난연성(LOI 34 수준)과 내열성은 익히 검증되었으나, 보다 난연 기준이 엄격한 고부가의 항공전동차용 내장재와 인테리어 내장재에 접목을 위해서는 연기밀도와 독성가스의 검증 및 제어기술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내장재 또는 인테리어 분야로 이용되기 위해서 난연 특성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시각적 특성을 갖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커텐과 같은 건축 내장재 및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용 내장재들은 장시간 극한 환경 (햇빛으로 인한 열이나 자외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염색된 제품에 대해서 일광견뢰도 또한 중요한 요인이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의 경우는 난연 섬유내장재에 적용하는 데 있어 난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의 탁월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으나, 일광에 취약하고 고온에 장시간 노출시 갈색으로 색상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급 인테리어 원단 등의 내장재로서의 이용시 성능면에서는 우수하나 일광견뢰도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국등록 제4,199,321호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 염색공정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염색을 위해 삼산화황, 발연황산 및 클로로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기에서 선택된 술폰화제와 폴리아릴렌설파이드(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접촉을 통해서 염료와의 친화성을 높여 염색성 향상을 꽤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염료의 염착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일광 또는 열에 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변색은 막지 못하므로 의류, 수송 및 인테리어 내장재 등 범용 섬유로 사용하기에 곤란한 수준의 일광견뢰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265770호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나노섬유를 함유한 혼섬사 또는 혼방사 또는 직편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나노섬유를 일정 중량비로 혼섬 또는 혼방하여 만든 직편물로써 일광견뢰도가 3급 이상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1~1500nm직경의 나노섬유로 제조해야 하며, 혼섬 또는 혼방을 할 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의 중량비가 높아지면 3급 이상의 일광견뢰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의 일광에 대한 원천적인 변색을 방지한 것이 아니라 나노섬유화하여 빛의 반사, 산란효과를 통한 착시효과를 이용한 것이며, 원단에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성분의 중량비가 50%만 넘어서도 일광견뢰도가 3급 미만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의 고유성질인 난연성, 내열성 등의 성능을 보유하되, 동시에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본래의 성질인 난연성, 유독가스 제어, 지속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본래의 특성 및 염색성, 일광견뢰도를 향상시켜 수송수단의 내장재, 인테리어 원단 등에 활용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을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 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코어부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도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해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을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 조사 처리 및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코어부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도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해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코어형인 경우 시스부의 면적이 전체 면적의 20~60%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해성분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50~8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20~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코어형인 경우 상기 코어부의 단면이 원형, 다각형, X, Y, T의 특수문자형 또는 불규칙단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도사형인 경우 상기 해도사 중 도부분의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이형단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35,000~80,000인 수지이며, 용융점도(Mv)가 300℃에서 1000~3500 포이즈(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산(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색이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130 내지 200℃에서 50 내지 80분간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색시에 메틸 나프탈렌계 또는 클로로벤젠계를 캐리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리어가 4g/L ~ 10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V 조사 처리가 180~420nm 파장영역대에서 전체 조사량이 3000~30000kJ/㎡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색전에 UV조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으로 측색시 L이 65이하가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색전에 UV조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으로 측색시 a가 10이상이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색전에 UV조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으로 측색시 b가 35이상이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V 조사 처리가 UV램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V램프가 Hg, He, Ne, Ar, Kr, Xe, Rn, KrCl, XeC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처리가 140 내지 160℃로 2 내지 10시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UV 조사 처리가 180~420nm 파장영역대에서 전체 조사량이 2000~10000kJ/㎡로 처리하며, 상기 열처리는 140 내지 160℃로 1 내지 5시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제조시에 자외선 산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산란제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살리실산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계 및 벤조페논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포함한 원단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본래의 성질인 난연성, 유독가스 제어, 지속내열성, 내약품성, 낮은 흡수특성, 형태안정성, 내화학성인 특징뿐만 아니라,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포함한 원단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본래의 특성 및 염색성, 일광견뢰도를 향상시켜 수송수단의 내장재, 인테리어 원단 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포함한 원단에 있어서 상기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염색전에 실시하는 경우 연하고 밝은 칼라구현에 유리하며, 상기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염색후에 실시하는 경우 진하고 어두운 칼라구현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해도사형 복합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염색 및 UV 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분산염료로 염색하기 전에 L, a, b값 및 Yellowness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L"은 "Lightness"로서 색의 명도지수를 의미하며, "a" 는 색상 차이를 나타내는 지각색도지수이며, "b"는 채도차이를 나타내는 지각색도지수를 의미한다.
L은 항상 (+)이고 0(이상적인 검정)과 100(이상적인 흰색) 사이에 있다.
붉은 색상은 (+)a를 나타내고 초록 색상은 (-)a를 나타낸다.
노란 채도는 (+)b를 나타내고 파랑 채도는 (-)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을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 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하거나, UV 조사 처리 및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코어부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도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해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시스부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부가 전체 면적비율의 20% 미만일 경우 코어부가 섬유상에서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섬유표면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자외선으로 인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에 황변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굵기는 0.3 ~ 2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부가 전체 면적비율의 60%를 초과할 경우 방사시 코어부가 섬유 중심축에 자리잡기가 어려우며, 코어부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가 소량을 차지하게 되는 바, 난연성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상기 해도사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50~8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20~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는 본래의 특성상 난연성이 우수하여 복합섬유의 형태에서도 난연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일광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색상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외부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형성됨으로써 일광과의 직접 접촉을 막아 색상변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자외선 차단효과가 뛰어나 일광에 노출시 내부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에 도달하는 자외선양을 줄여주게 되며, 표면 산화에 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색상변화(갈변)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일광견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시스부와 코어부의 각 단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X, Y, T 등의 특수문자형 또는 일정한 규칙이 없는 불규칙단면 등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코어부의 성분이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시스코어형에서 시스부 또는 코어부의 단면이 단순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 또는 불규칙단면 등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일광견뢰도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의 a는 통상의 시스코어형 단면도로서 원형의 코어부(120a) 및 시스부(110a)가 형성된다. 도 1의 b는 시스부(110b)가 원형인 반면, 코어부(120b)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c는 코어부(120c)가 불규칙적인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빛이 코어부에 도달시에 난반사가 일어나 일광견뢰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도 1의 d의 경우에도 시스부(110d)가 불규칙한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스부 표면에서 난반사가 일어나 많은 양의 빛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코어부(120d)까지 도달하지 못해 상기 복합섬유는 일광견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도사의 형상과 관련하여, 해도사의 횡단면은 목적에 따라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의 다양한 형상의 이형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해도사 중 도부분의 단면은 형상의 종류를 불문하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의 다양한 형상의 이형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도사형 복합섬유의 횡단면도이다. 도 2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도부분의 형상, 크기, 갯수 및 배치는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a는 통상의 해도사의 단면도로서 대략 원형의 도부분(220a)이 해부분(210a)을 통해 구획된다. 도 2의 b는 해도사의 형상이 타원형을 가진다. 또한 도부분이 일광과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 2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도부분(220c)이 해부분(210c)과 약간의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부분은 모두 동일한 크기일 필요는 없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해도사는 상이한 횡단면 크기의 도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어느 하나의 도부분이 다른 도부분보다 횡단면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또한 도부분은 둘 이상의 상이한 크기의 군에 해당할 수 있으며, 크기가 모두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도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도사 내에 다수개가 배치되며, 일광에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므로 상기 해도사의 중심부쪽에 밀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해부분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0~6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도사형 복합섬유의 굵기는 0.3 ~ 2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35,000~80,000인 수지이며, 용융점도(Mv)가 300℃에서 1000~3500 포이즈(poise)(전단속도(shear rate) 400S-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서 복합섬유로의 제작이 용이하며 난연성, 내약품성 등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고유성질이 잘 유지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폴리에스테르 또는 이의 블랜드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아래의 구조식과 같이 디엑시드(diacid) 및 디올(diol)을 축중합형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산(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 (ZnO), 이산화규소(SiO2), 카올린을 1 이상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자외선 차단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도 및 적절한 중량감의 조절을 위해 금속 산화물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열안정제 및 산화방지제 등을 혼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복합섬유가 포함된 원단을 이용하여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에 염색전(도 3) 또는 염색후(도 4)에 UV 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원단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직 또는 제편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고유의 특성상 섬유자체가 난연소재의 섬유로서 열에 대한 안정성을 보이는 고유물성이 있으므로 난연성이 우수하며, 유독가스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지속내열성, 내약품성, 낮은 흡수특성, 형태안정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염색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광견뢰도가 떨어져서 일광에 취약하고 고온에 장시간 노출시 갈색으로 색상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에 염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이 필요하고, 또한 일광견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특별한 처리공정을 실시해야한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을 염색하기 위해서 분산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염색성에 약한 특징이 있는 데, 분산염료로 일정한 조건하에서 염색을 실시하는 경우 염색성이 좋아진다.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염색을 실시하는 경우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130 내지 150℃에서 40 내지 70분간 염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온도 및 시간으로 염색을 실시할 경우 염착농도가 증가하여 염색이 잘 이루어진다.
상기 염색시에 캐리어를 이용할 수 있는 데, 상기 캐리어로는 메틸 나프탈렌계 또는 클로로벤젠계의 캐리어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착농도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K/S = (1-R)2÷(2R)
(여기서, K는 흡광계수, S는 산란계수, R은 반사율)
스펙트로포토미터(X-Rite, Model SP-B8, U.S.A)를 이용하여 염색직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표면 반사율을 측정하여 Kubelka-Munk식에 따라 염착농도(K/S)를 산출하여 각 조건에 따른 염색 직물의 염착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염색을 하는 경우 염색성(K/S값)은 향상되지만 일광 특히 자외선이 조사되면 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일광견뢰도가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광견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염료로 염색된 원단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색소가 파괴되어 색상이 퇴색되는 현상을 보이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로 제조된 원단의 경우 색소의 파괴보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자체의 산화로 인한 변색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일광견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고분자에 일정한 조건하의 자외선(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하게 되면 구조체 변형이 발생한다. 변형이 발생한 구조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1037043407-pat00001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가 구조체 변형되면 일광견뢰도가 약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단점을 보완하여 안정적인 구조체로 변형되며 일광견뢰도가 높아진다. 실제로 일광견뢰도 실험을 하면 3등급 이상의 우수한 일광견뢰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는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실시할 수 있다.
UV조사 처리로 실시하는 경우, 상기 UV 조사 처리는 180~420nm 파장영역대에서 전체 조사량이 3000~30000kJ/㎡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로 UV조사 처리할 때 일광견뢰도가 향상되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가 변형되어 안정적인 구조체 이루게 된다. 또한 생산성도 향상되고 염착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염색전에 실시하는 경우 연하고 밝은 칼라구현에 유리하며, 또한, 상기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염색후에 실시하는 경우 진하고 어두운 칼라구현에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원단에 염색을 실시하기 전에 UV조사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Computer Color Matching)으로 측색시 L이 65이하가 되도록 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가 10이상이며, b가 35이상이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이 상기 범위의 L, a, b값을 가질 때 일광견뢰도를 대폭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분산염료로 염색하기 전에 L, a, b값 및 Yellowness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0시간을 기준으로 L, a, b값 및 Yellowness의 변화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L, a, b값 및 Yellowness 모두 UV를 20시간까지 조사할 경우 급속한 변화가 발생하며, 그 이후의 변화정도가 약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ISO 105 B02 규격으로 UV조사 처리시 20시간 이내에 blue에서 yellow로 green에서 red로 변색이 급속히 이루어지며, 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의 염색 색상을 선정할 때 농색의 reddish 또는 yellowish한 색상을 염색할 때 일광견뢰도가 좋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 UV 조사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로써, UV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UV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 Hg, He, Ne, Ar, Kr, Xe, Rn, KrCl, XeC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조사 처리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처리를 통해서 변색유도 및 일광견뢰도를 개선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열처리는 160 내지 200℃로 2 내지 10시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0 내지 160℃의 온도에서 일정시간으로 열처리 함으로써 산화에 의한 변색을 유도하여 일광견뢰도를 개선할 수 있다. 160℃를 초과할 경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의 수축현상(형태변형) 및 기계적 물성저하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내열성에 약한 특징으로 인해 변색될 염려가 있으며, 140℃ 미만일 경우 산화에 의한 변색이 느려 원하는 수준의 일광견뢰도 향상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광견뢰도를 높이기 위해 UV조사 처리와 열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UV조사 처리와 열처리를 동시실시하는 경우, 상기 UV 조사 처리는 180~420nm 파장영역대에서 전체 조사량이 2000~10000kJ/㎡로 처리하며, 상기 열처리는 140 내지 160℃로 1 내지 5시간 처리할 수 있다.
UV조사 처리와 열처리는 별개의 공정을 두어 시간 순서에 따라 각각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UV 조사와 열처리는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UV조사 처리와 열처리를 일공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UV조사 처리와 열처리를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 생산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에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를 함으로써,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제조시에 자외선 산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도록 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로 제조된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조하면 일광견뢰도가 더욱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자외선 산란제는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및 카올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자외선 흡수제는 살리실산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계 및 벤조페논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 생지를 준비한다.
상기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를 코어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시스부로 하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데,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55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45중량%로 하고 시스부, 코어부 모두 원형으로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생지를 준비하는 데, 원단은 제직하여 제조하고 상기 원단을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을 실시한다.
염색은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130℃ 에서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상기 염색시에 메틸 나프탈렌계 또는 클로로벤젠계를 캐리어로 이용하으며, 상기 캐리어는 4g/L를 첨가하였다.
상기 염색을 실시한 후에 UV조사 처리를 실시하는데, ATLAS Ci 4000를 이용하여 ISO 105 B02규격으로 300~400nm파장에 대한 조사량이 3000kJ/㎡이 되도록 조사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단을 염색농도 및 일광견뢰도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염색을 실시하기 전에 UV조사 처리를 실시하였다. UV 조사량은 8000kJ/㎡이 되도록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시스부의 섬유방사시 광분산제인 TiO2를 10,000ppm 투입하였으며, 상기 염색을 실시한 후에 UV조사 처리 및 열처리를 실시하였는 데, 상기 UV조사 처리는 3000kJ/㎡, 열처리는 오븐으로 열을 가하였으며 160℃로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염색을 실시한 후에 UV조사 처리 및 열처리를 실시하였는 데, 상기 UV조사 처리는 3000kJ/㎡, 열처리는 오븐으로 열을 가하였으며 160℃로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실시예 5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가 포함된 원단 생지를 준비한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 제조하는 데,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를 도성분으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해성분으로 하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데,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60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40중량%로 하고 해성분, 도성분 모두 원형으로 도 2의 a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섬유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데, 상기 원단은 제편하여 제조하고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을 실시한다.
염색은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130℃ 에서 60분간 실시하였으며, 상기 염색시에 메틸 나프탈렌계 또는 클로로벤젠계를 캐리어로 이용하으며, 상기 캐리어는 8g/L를 첨가하였다.
상기 염색을 실시한 후에 UV조사 처리를 실시하는데, ATLAS Ci 4000를 이용하여 ISO 105 B02규격으로 180~400nm파장에 대한 조사량이 5000kJ/㎡이 되도록 실시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단을 염색농도 및 일광견뢰도 등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실시에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염색을 실시하기 전에 UV조사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염색을 실시하기 전에 UV조사 처리를 실시하는데, ATLAS Ci 4000를 이용하여 ISO 105 B02규격으로 180~400nm파장에 대한 조사량이 10000kJ/㎡이 되도록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염색을 실시한 후에 UV조사 처리 및 열처리를 실시하였는 데, 상기 UV조사 처리는 3000kJ/㎡, 열처리는 오븐으로 열을 가하였으며 160℃로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사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이용하여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하되, 염색조건 130℃에서 60분간 실시하였고, UV조사 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5에 사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을 이용하여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염색하되, 염색조건 130℃에서 60분간 실시하였고, UV조사 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페닐렌 술피드 수지 40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60중량%로 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염색조건 130℃에서 60분간 실시하였고, UV조사 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 측정방법
1. 염색실시
염색조건 : 130℃에서 50분간, 욕비 = 1:20
염료농도 : 4.5% o.w.f
염료 : Suncron Yellow AG (0.3%), Suncron Red FB (0.2%), Ilkaron Blue HLF (4.0%)
조제 : 분산제(ACE 1g/ℓ), pH 조절제(빙초산, 0.3%o.w.f), 내광제(HLF, 4%o.w.f), 캐리어(DH-09, 6g/ℓ)
2. 염착농도 : 스펙트로포토미터(X-Rite, Model SP-B8, U.S.A)를 이용하여 염색직물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 표면 반사율을 측정하여 Kubelka-Munk식에 따라 염착농도(K/S)를 산출하여 각 조건에 따른 염색 직물의 염착 농도를 비교.
K/S = (1-R)2÷(2R)
(여기서, K는 흡광계수, S는 산란계수, R은 반사율)
3. 일광견뢰도 실험 : ISO 105 B02규격에 의거 측정.
4. MS 연소성 : 현대자동차 MS 300-08에 의거 측정.
"ㄷ"형태의 시험편장착구에 시료장착, 끝단부에 버너의 불꽃을
15초간 가하고 제거한 후 시료의 연소시간과 연소길이를 측정하여 연속속도(B)로 평가.(SE : Self Extinguish)
※ 측정결과
구 분 염착농도
(K/S)
일광견뢰도
(등급)
MS 연소성
실시예 1 24.0 4 SE
실시예 2 30.3 4 SE
실시예 3 22.5 3.5 SE
실시예 4 26.3 5 SE
실시예 5 28.5 3.5 SE
실시예 6 32.2 4 SE
실시예 7 26.6 4.5 SE
비교예 1 18.7 2.5 SE
비교예 2 20.9 2.5 SE
비교예 3 20.1 4 불합격(90mm/min)
실험결과 실시예 1 내지 8으로 제조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염착농도가 높음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은 염색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은 일광견뢰도가 2.5 내지 4.0 등급으로서 일광견뢰도가 약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단점을 보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과 실시예 1에서 볼 수 있듯이 PPS/PET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 PPS의 중량비가 50wt%이상 (바람직하게는 55wt% 이상)일 때, 우수한 난연성 및 연소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과 실시예 4에서 확인할 수 있듯, 복합섬유 제조시 PPS를 감싸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광분산제(TiO2 등)를 투입할 경우 일광견뢰도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은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21)

  1.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을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 조사 처리 또는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코어부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도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해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2.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포함한 원단을 염색전 또는 염색후에 UV 조사 처리 및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는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또는 해도사형 복합섬유로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코어부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도성분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로 형성되고 해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시스부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0~60%이며,
    해도사형인 경우 해성분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50~8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20~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스코어형인 경우 상기 코어부의 단면이 원형, 다각형, X, Y, T의 특수문자형 또는 불규칙단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해도사형인 경우 상기 해도사 중 도부분의 단면이 원형이거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이형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35,000~80,000인 수지이며, 용융점도(Mv)가 300℃에서 1000~3500 포이즈(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산(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은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130 내지 200℃에서 50 내지 80분간 염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시에 메틸 나프탈렌계 또는 클로로벤젠계를 캐리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4g/L ~ 10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 처리는 180~420nm 파장영역대에서 전체 조사량이 3000~30000kJ/㎡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전에 UV조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으로 측색시 L이 65이하가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전에 UV조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으로 측색시 a가 10이상이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전에 UV조사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CCM으로 측색시 b가 35이상이 되도록 염색전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 처리는 UV램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UV램프는 Hg, He, Ne, Ar, Kr, Xe, Rn, KrCl, XeCl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40 내지 160℃로 2 내지 10시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 처리는 180~420nm 파장영역대에서 전체 조사량이 2000~10000kJ/㎡로 처리하며, 상기 열처리는 140 내지 160℃로 1 내지 5시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를 제조시에 자외선 산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산란제는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이산화규소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살리실산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계 및 벤조페논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KR1020110046877A 2011-05-18 2011-05-18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KR10178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877A KR101789039B1 (ko) 2011-05-18 2011-05-18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PCT/KR2011/003713 WO2012157800A1 (ko) 2011-05-18 2011-05-19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877A KR101789039B1 (ko) 2011-05-18 2011-05-18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929A KR20120128929A (ko) 2012-11-28
KR101789039B1 true KR101789039B1 (ko) 2017-11-20

Family

ID=4717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877A KR101789039B1 (ko) 2011-05-18 2011-05-18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9039B1 (ko)
WO (1) WO2012157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64B1 (ko) * 2015-04-06 2017-01-04 주식회사 휴비스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 및 이을 이용한 섬유집합체
US20180251939A1 (en) 2016-11-07 2018-09-06 Milliken & Company Textile materials containing dyed polyphenylene sulfide fib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36385B1 (ko) * 2020-08-18 2021-04-06 부성방적 (주) 소모사 연신장치 및 이에 의해 연신 처리된 소모사
CN113151930B (zh) * 2021-05-20 2023-06-06 东华大学 海岛型聚苯硫醚超细纤维及其制备方法
KR102632326B1 (ko) * 2021-10-27 2024-02-0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멀티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086278A (zh) * 2021-11-17 2022-02-25 安徽元琛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氧化聚苯硫醚纤维的制备方法
CN114293282A (zh) * 2021-12-09 2022-04-08 安徽元琛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氧化聚苯硫醚纤维的制备方法及制得的抗氧化聚苯硫醚纤维
CN114517348B (zh) * 2022-02-11 2023-09-29 东华大学 一种具有使用寿命提示功能的织物警示标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829A (ja) 1998-12-15 2000-06-27 Toyobo Co Ltd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61444A (ja) 2000-11-24 2002-06-04 Toray Ind Inc カーペット用捲縮糸およびカーペット
KR100855913B1 (ko) 2001-02-21 2008-09-0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페닐렌술피드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0126817A (ja) 2008-11-25 2010-06-10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ホ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827B2 (ja) * 2001-02-21 2009-07-01 長瀬カラーケミカル株式会社 耐光性に優れる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部材の製造方法
JP2003278017A (ja) * 2002-03-22 2003-10-02 Toray Ind Inc 保温裏地
JP2006028655A (ja) * 2004-07-13 2006-02-02 Toyobo Co Ltd 耐熱耐電用作業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829A (ja) 1998-12-15 2000-06-27 Toyobo Co Ltd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61444A (ja) 2000-11-24 2002-06-04 Toray Ind Inc カーペット用捲縮糸およびカーペット
KR100855913B1 (ko) 2001-02-21 2008-09-0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페닐렌술피드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0126817A (ja) 2008-11-25 2010-06-10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ホ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7800A1 (ko) 2012-11-22
KR20120128929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039B1 (ko)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KR101156193B1 (ko) 난연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복합섬유 및 이를 활용한 인테리어 원단
US9982368B2 (en) Flame-retardant fiber, method for producing same, fabric using flame-retardant fiber, and resin composite material using flame-retardant fiber
KR101791048B1 (ko)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2986A (ko) 내고온성 및 방염성 유색 접착 테이프, 상기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지지체의 용도 및 이러한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케이블 하니스
EP3133204A1 (en) Colored organic fiber, fabric and clot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abric
EP2808428B1 (en) Polyester composite fiber with excellent heat-shielding property and coloration
DE102007056177A1 (de) Spinngfärbte Flammfeste Polyesterfaser und daraus Erzeugter Verdunkelungsstoff
KR101028577B1 (ko) 원착사를 포함하는 스크린용 원단
US20190161893A1 (en) Flame-retardant fabric having high visibility
JP2007146306A (ja) 人工毛髪用繊維
JP6173053B2 (ja) 高視認性を有する難燃布帛
JP5065576B2 (ja) 人工毛髪用繊維
JP6278755B2 (ja) 高視認性を有する難燃布帛
JP2012180504A (ja) 難燃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3549A (ko) 적외선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91464B1 (ko) 염색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 및 이을 이용한 섬유집합체
Leonas et al. Factors that influence disintegration of PFD cover fabrics
JP6437247B2 (ja) 高視認性を有する難燃布帛
JPH07189031A (ja) 耐光性の良好なポリエステル系繊維
JPH0314621A (ja) 耐光堅牢度の優れた複合繊維
JPS61296121A (ja) 改質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2015101796A (ja) 意匠性を有する難燃性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