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477B1 -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77B1
KR101786477B1 KR1020160038740A KR20160038740A KR101786477B1 KR 101786477 B1 KR101786477 B1 KR 101786477B1 KR 1020160038740 A KR1020160038740 A KR 1020160038740A KR 20160038740 A KR20160038740 A KR 20160038740A KR 101786477 B1 KR101786477 B1 KR 10178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cognition module
func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985A (ko
Inventor
윤상진
이태훈
최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4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chanical means, e.g. by pins operating electric contacts
    • G06K7/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chanical means, e.g. by pins operating electric contacts controlling electric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IC 카드 리드 장치에 있어서, IC 카드를 투입 받아 수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와 하부의 양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를 보호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및 상기 IC 카드에 부착된 금속 패턴에 접촉하여 정보를 리드(READ)하는 단자들이 장착되게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인식모듈부와 제2인식모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IC CARD TERMINAL APPARATUS USING BIDIRECTIONAL IC CARD READ DEVICE}
본 발명은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 카드가 투입되는 면(예 : 앞면, 뒷면)의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리드(READ)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적회로(IC)가 내장된 IC 카드는, 기존에 마그네틱(MS) 카드를 긁었을 때 읽고 쓰기가 쉬워 정보 유출이나 위.변조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2015년부터 전면 도입하게 되었다.
이에 따르면 2013년부터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서 MS 현금카드를 사용할 수 없고, 2014년부터는 모든 ATM기에서 MS 현금카드 사용이 전면 불가능하며, 2015년부터는 MS 신용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거나 물품을 구매할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여전히 MS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IC 카드 단말기 또는 MS.IC 카드 겸용 단말기로 변경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참고로 이러한 IC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내장된 카드로서, 카드 내에서 정보의 저장과 처리가 가능해 마그네틱(MS) 카드의 위변조 위험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안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IC 카드는 전자화폐, 신용, 선불, 직불, 전화, 의료, 로열티, 개인ID 및 교통카드 등에 이용할 수 있고, 신분증, 운전면허증과 같은 개인정보까지도 한 곳에 모아 보다 진보된 다기능 카드로 사용이 가능하여 스마트카드(Smart Card)라고도 하는데, 접촉식 IC 카드의 경우에는 카드 정면(앞면)에 금속 패턴(82)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마그네틱(MS) 카드 단말기는 자기 띠에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해서 마그네틱(MS) 카드를 일 방향으로 긁는 방식이지만, 접촉식 IC 카드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IC 카드의 금속 패턴(82)이 일 방향(예 : 상위)을 향하도록 하여 투입부(또는 삽입부)에 투입(삽입)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접촉식 IC 카드의 금속 패턴(82)이 카드 정면(앞면)에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IC 카드의 투입 면(예 : 앞면, 뒷면)을 바꿔 투입(또는 삽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카드 리드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38909호(1999.10.18.등록, IC카드 판독 기록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IC 카드가 투입되는 면(예 : 앞면, 뒷면)의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리드(READ)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는, IC 카드 리드 장치에 있어서, IC 카드를 투입 받아 수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와 하부의 양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를 보호하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 및 상기 IC 카드에 부착된 금속 패턴에 접촉하여 정보를 리드(READ)하는 단자들이 장착되게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인식모듈부와 제2인식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는, 상기 IC 카드의 금속 패턴이 IC 카드의 길이방향 중심축에서 일 측으로 치우친 거리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IC 카드 리드를 위한 회로 소자들이 장착된 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제1,제2인식모듈부 중 어느 하나가 직접 장착되며, 다른 하나는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에 장착되는 각 단자들은 각 역할이나 기능에 따라서 모두 동일한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가 다른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는, IC 카드 투입 면의 모든 방향에서 리드가 가능한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상기 IC 카드 투입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한 리드 여부와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면의 방향을 구분하여 투입된 방향에 따라 수행할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부; 및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면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투입된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IC 카드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 정보, 제1,제2인식모듈부의 각 단자들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출력 포트 정보, 및 상기 설정된 기능과 관련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출력할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IC 카드의 투입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 정보, 상기 IC 카드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과 관련하여 IC 카드의 투입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 및 수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에 대응하여 설정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IC 카드가 오삽입 되었을 경우에 출력할 안내 정보를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장부로부터 IC 카드 리드 설정 정보를 인출하고, 상기 인출한 IC 카드 리드 설정 정보에 따라, 제1,제2인식모듈부의 각 단자들이 연결된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고, IC 카드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IC 카드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이 지정된 방향이면, IC 카드에서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설정된 해당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해당 기능은, 전자화폐, 신용카드, 선불카드, 또는 직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화폐 관련 기능, 및 개인ID, 신분증, 또는 운전면허증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관련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IC 카드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에 관계없이 제1,제2인식모듈부를 통해 IC 카드에서 정보를 리드하여 IC 카드 단말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포트의 제어를 통해 제1인식모듈부를 통해서만 IC 카드를 리드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제2인식모듈부를 통해서만 IC 카드를 리드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제1,제2인식모듈부 모두를 통해서 IC 카드를 리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여 제1인식모듈부를 통해 먼저 IC 카드를 리드하고, 다음 제2인식모듈부를 통해 IC 카드를 리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IC 카드가 투입되는 면(예 : 앞면, 뒷면)의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리드(READ)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에서 IC 카드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분리된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하우징부와 제1,제2인식모듈부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1,제2 커버가 분리된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IC 카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에서 IC 카드가 제거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1 커버(또는 상부 커버)와 제2 커버(또는 하부 커버)가 분리된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하우징부와 제1,제2인식모듈부의 개략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제1,제2 커버가 분리된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1)는, IC 카드(80)를 투입 받아 수용하는 하우징부(70), 상기 하우징부(70)를 사이에 두고 양 측면(예 : 상부, 하부)을 덮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70)의 내부(실질적으로는 하우징몸체(72))에 장착되는 제1인식모듈부(20)와 제2인식모듈부(50)를 보호하는 제1 커버(40)(또는 상부 커버) 및 제2 커버(10)(또는 하부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실질적으로는 제1,제2 커버(40, 10)에 의해 덮여있어 보이지 않지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입된 IC 카드(80)의 정면(앞면)에 부착된 금속 패턴(82)에 접촉되어 정보를 리드(READ)하는 제1인식모듈부(20)와 제2인식모듈부(50)가 상기 하우징부(70)의 양 측면(예 : 상부, 하부)에 각기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인식모듈부(20)는 IC 카드(8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IC 카드(80)의 정면(앞면)이 하우징부(70)의 상위를 향하도록 투입될 경우에 IC 카드(80)의 금속 패턴(82)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인식모듈부(50)는 IC 카드(80)의 후면(뒷면)이 상위를 향하도록 투입될 경우에 IC 카드(80)의 금속 패턴(82)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IC 카드(80)의 정면(앞면)에 부착된 금속 패턴(82)은 IC 카드(8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만큼 일 측(예 : 우측)으로 치우쳐(또는 이격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는 각기 그 중심축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에는 상기 IC 카드(80)의 금속 패턴(82)에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들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 단자 모듈(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24)는 회로기판(도 5의 130)에 고정되며 복수로 구비된 제1연장부재(22)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홈부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24)는 부도체이며 제1연장부재(22)는 도체이다. 일반적으로 IC카드(80)의 금속 패턴(82)(또는 정보출력부재)에는 4개의 슬롯이 구비되므로, 정보출력부재(82)에 접하는 제1연장부재(22)도 4개로 구비된다. 제1연장부재(22)의 하측은 회로기판(도 5의 130)에 연결되며, 제1연장부재(22)의 상측은 제1가이드부(24)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IC카드(8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제1연장부재(22)는 띠 형상의 금속편이 제1가이드부(24)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곡선 형상을 형성하므로, IC카드(80)의 정보출력부재(82)에 접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IC카드(80)가 제거된 경우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연장부재(22)는 제1가이드부(24)의 폭방향으로 4개의 제1연장부재(22)가 나란히 설치되며, 제1가이드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4개의 제1연장부재(22)도 제1가이드부(24)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24)는 각각의 제1연장부재(22)가 수납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며 회로기판(도 5의 13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인식모듈부(50)는 제2연장부재(52)와 제2가이드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장부재(52)는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회로기판(도 5의 130)에 타측이 연결되며 일측은 IC카드(80)의 이동경로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굽어지므로 IC카드(80)의 정보출력부재(82)에 탄성을 구비하며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54)는 복수로 구비된 제2연장부재(52)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54)는 부도체이며 제2연장부재(52)는 도체이다. 일반적으로 IC카드(80)의 정보출력부재(82)에는 4개의 슬롯이 구비되므로, 정보출력부재(82)에 접하는 제2연장부재(52)도 4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2연장부재(52)의 하측은 임의의 고정부재(예 : 커버, 하우징부, 회로기판 등)에 고정되며, 상기 제2연장부재(52)의 상측은 제2가이드부(54)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IC카드(8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상기 제2연장부재(52)는 띠 형상의 금속편이 제2가이드부(54)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곡선 형상을 형성하므로, IC카드(80)의 정보출력부재(82)에 접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며, IC카드(80)가 제거된 경우 탄성적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연장부재(52)는 제2가이드부(54)의 폭방향으로 4개의 제2연장부재(52)가 나란히 설치되며, 제2가이드부(5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4개의 제2연장부재(52)도 제2가이드부(54)의 폭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54)는 각각의 제2연장부재(52)가 수납되기 위한 홈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70)는 하우징몸체(72)와 장착공간부(7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70)의 일측은 개구되어 입구부(76)를 형성하며, IC 카드(80)는 상기 입구부(76)를 통해 하우징몸체(72)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하우징몸체(72)의 상측과 하측에는 제1인식모듈부(20)와 제2인식모듈부(50)가 설치되는 장착공간부(7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커버(40)(또는 상부 커버)는 회로기판(도 5의 130)이 커버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IC 카드(80) 리드를 위한 회로 소자들이 상기 회로기판(도 5의 130)에 장착될 수 있다. 편의상 도 2에서는 제1 커버(40)(또는 회로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회로 소자들(예 : 커넥터, IC 등)은 도시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도 5의 130)에는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 중 어느 하나(예 : 제1인식모듈부(20))가 직접 장착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70)의 반대측에 장착된 다른 하나(예 : 제2인식모듈부(50))는 케이블(미도시)을 이용해 상기 회로기판(도 5의 1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는 제어부(130)(예 : 회로기판에 장착된 임의의 IC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된다. 다만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에 형성된 각 단자들은 각 역할(또는 기능)에 따라서 동일한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거나 다른 입출력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1)는 IC 카드(80)가 투입되는 면(예 : 앞면, 뒷면)의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IC 카드(80)에서 정보의 리드(READ)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IC 카드(80)를 리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C 카드 단말기가 필요에 따라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는, 기능 설정부(210), 제어부(220), 저장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하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양방향 IC 카드(80) 리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 설정부(210)는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능 설정부(210)는 IC 카드(80)가 투입되는 면의 방향에 관계없이, 즉, 상.하 방향 모두에서 IC 카드(80)를 리드하게 할지, 또는 상.하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투입된 IC 카드(80)만 리드하게 할지를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설정부(210)는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투입된 방향에 따라 수행할 기능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능 설정부(210)는 상기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이 상 방향이면, 전자화폐, 신용카드, 선불카드, 직불카드 등의 화폐 관련 기능으로 사용하고, 상기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이 하 방향이면, 개인ID, 신분증, 운전면허증 등의 개인정보 관련 기능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이 상.하 방향 중 어느 방향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의 각 단자들이 연결된 입출력 포트를 순차로 제어한 후, IC 카드(80)가 리드 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IC 카드(80)가 투입된 면이 상.하 방향 중 어느 방향인지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IC 카드(80)의 투입 방향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를 멀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230)는 IC 카드(80)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 정보, 상기 제1,제2인식모듈부(20, 50)의 각 단자들이 상기 제어부(220)에 연결된 입출력 포트 정보, 및 상기 설정된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출력부(240)를 통해 표시하거나 출력할 안내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출력부(240)는 엘이디(미도시), 엘시디(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등의 시각적 정보 또는 청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상기 출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IC 카드(80)의 투입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 정보, 상기 IC 카드(80)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과 관련하여 IC 카드(80)의 투입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 및 수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에 대응하여 설정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삽입(오삽입) 되었을 경우에 출력할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한다.
상기 출력부(240)는 상기 양방향 IC 카드(80) 리드 장치의 상.하에 각기 장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양방향 IC 카드(80) 리드 장치의 위치와 관계없이 IC 카드 단말기가 설치되는 위치 및 형태(예 : ATM 등의 타워형, 탁상용, 휴대용 등)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체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된 장치(예 :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대체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IC 카드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장치(IC 카드 단말기)가 부팅되면, 저장부(230)로부터 IC 카드 리드 설정 정보를 로딩(또는 인출)한다(S101).
다음 상기 인출한 IC 카드 리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220)는 제1,제2인식모듈부(20, 50)의 각 단자들이 연결된 입출력 포트를 제어한다(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입출력 포트의 제어를 통해 제1인식모듈부(20)를 통해서만 IC 카드(80)를 리드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제2인식모듈부(50)를 통해서만 IC 카드(80)를 리드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제1,제2인식모듈부(20, 50) 모두를 통해서 IC 카드(80)를 리드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입출력 포트 제어를 통해 IC 카드(80)가 투입된 방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인출한 IC 카드(80) 리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220)는 IC 카드(80)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03).
상기 판단(S103)에 따라, IC 카드(80)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S103의 예), 상기 제어부(220)는 IC 카드(80)가 투입된 방향(즉, IC 카드(80)가 투입된 면(금속 패턴(82)이 부착된 면)이 상.하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투입되었는지)을 검출한다(S104).
예컨대 상기 제어부(220)는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여 제1인식모듈부(20)를 통해 먼저 IC 카드(80)를 리드해 보고, 다음 제2인식모듈부(50)를 통해 IC 카드(80)를 리드해 봄으로써 IC 카드(80)가 투입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상기 IC 카드(80)가 투입된 방향이 지정된 방향이면, 상기 제어부(220)는 IC 카드(80)에서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리드한다(S105).
다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리드된 정보를 이용하여 IC 카드 단말기(예 : 멀티 기능 IC 카드 단말기)에 기 설정된 해당 기능(예 : 전자화폐, 신용카드, 선불카드, 직불카드 등의 화폐 관련 기능, 개인ID, 신분증, 운전면허증 등의 개인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S106).
한편 상기 판단(S103)에 따라, IC 카드(80)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S103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220)는 IC 카드(80)가 투입된 방향에 관계없이 제1,제2인식모듈부(20, 50)를 통해 IC 카드(80)를 리드한다. 즉, IC 카드(80)의 투입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정보를 리드한다(S107).
다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리드된 정보를 이용하여 IC 카드 단말기(예 : 싱글 기능 IC 카드 단말기)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S1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IC 카드(80)가 투입되는 면(예 : 앞면, 뒷면)의 상.하 방향에 관계없이 리드(READ)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투입된 면의 상.하 방향을 구분하여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비용으로도 멀티 기능 IC 카드 단말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20 : 제1인식모듈부
22 : 제1연장부재 24 : 제1가이드부
50 : 제2인식모듈부 52 : 제2연장부재
54 : 제2가이드부 70 : 하우징부
72 : 하우징몸체 74 : 장착공간부
76 : 입구부 80 : IC 카드
82 : 금속 패드 또는 정보출력부재
130 : 회로기판 200 : 양방향 IC 카드 단말기
210 : 기능 설정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240 : 출력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IC 카드가 투입된 상부와 하부의 양 측면의 수직인 방향에서 리드가 가능한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
    상기 IC 카드의 투입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한 리드 여부와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면의 방향을 검출하여 투입된 방향에 따라 수행할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부; 및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면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투입된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는, 상기 IC 카드에 부착된 금속 패턴에 접촉하여 정보를 리드(READ)하는 단자들이 장착되게 하우징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제1인식모듈부와 제2인식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인식모듈부와 제2인식모듈부의 각 단자가 IC 카드 리드를 위한 회로 소자들이 장착된 회로기판의 각기 다른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면의 방향에 따라 리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인식모듈부를 통해서만 IC 카드를 리드 하거나, 제2인식모듈부를 통해서만 IC 카드를 리드 하거나, 또는 제1,제2인식모듈부 모두를 통해서 IC 카드를 리드하도록 상기 입출력 포트의 제어를 수행하며,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면의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입출력 포트를 순차로 제어하여 제1인식모듈부를 통해 먼저 IC 카드를 리드하고, 다음 제2인식모듈부를 통해 IC 카드를 리드하여 상기 IC 카드가 리드 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IC 카드 리드 설정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기능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IC 카드 리드 설정 정보에 따라,
    IC 카드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IC 카드가 투입된 방향이 지정된 방향이면, IC 카드에서 해당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IC 카드 투입 방향별 개별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투입된 방향이 상 방향이면 전자화폐, 신용카드, 선불카드, 및 직불카드 중 적어도 하나의 화폐 관련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투입된 방향이 하 방향이면 개인ID, 신분증, 및 운전면허증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IC 카드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 정보, 제1,제2인식모듈부의 각 단자들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출력 포트 정보, 및 상기 설정된 기능과 관련하여 출력부를 통해 표시하거나 출력할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IC 카드의 투입 방향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 정보, 상기 IC 카드의 투입 방향에 따라 설정된 기능과 관련하여 IC 카드의 투입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 및 수행하기를 원하는 기능에 대응하여 설정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IC 카드가 오삽입 되었을 경우에 출력할 안내 정보를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38740A 2016-03-30 2016-03-30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KR10178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740A KR101786477B1 (ko) 2016-03-30 2016-03-30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740A KR101786477B1 (ko) 2016-03-30 2016-03-30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85A KR20170113985A (ko) 2017-10-13
KR101786477B1 true KR101786477B1 (ko) 2017-10-19

Family

ID=6013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740A KR101786477B1 (ko) 2016-03-30 2016-03-30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4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22B1 (ko) 2019-01-30 2019-03-27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기판에 탈부착 가능한 ic 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KR101977616B1 (ko) 2018-11-27 2019-05-13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양방향 랜딩 방식의 ic 카드 소켓
KR101984639B1 (ko) 2018-11-20 2019-05-31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기판에 탈부착 가능한 ic 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KR102022065B1 (ko) 2018-11-30 2019-11-04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구조를 갖는 ic 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171B1 (ko) 2021-03-09 2023-08-09 (주) 제이티아이 카드리더모듈이 분리되는 카드 단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964A1 (en) * 1996-06-03 1997-12-11 Indala Corporation Smart card reader with dual mode reading capability
JP2000278575A (ja) * 1999-03-26 2000-10-06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KR200286364Y1 (ko) * 2002-04-12 2002-08-22 주식회사 파워넷 스마트 카드 리더용 양면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6964A1 (en) * 1996-06-03 1997-12-11 Indala Corporation Smart card reader with dual mode reading capability
JP2000278575A (ja) * 1999-03-26 2000-10-06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KR200286364Y1 (ko) * 2002-04-12 2002-08-22 주식회사 파워넷 스마트 카드 리더용 양면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639B1 (ko) 2018-11-20 2019-05-31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기판에 탈부착 가능한 ic 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KR101977616B1 (ko) 2018-11-27 2019-05-13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양방향 랜딩 방식의 ic 카드 소켓
KR102022065B1 (ko) 2018-11-30 2019-11-04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구조를 갖는 ic 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KR101962122B1 (ko) 2019-01-30 2019-03-27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기판에 탈부착 가능한 ic 카드 소켓 및 이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85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477B1 (ko) 양방향 ic 카드 리드 장치를 이용한 ic 카드 단말기
CN205809767U (zh) 平板计算机和附件系统
KR102045292B1 (ko) 카드 오삽입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것의 운용 방법
US7385827B2 (en) Contacting unit for a card-type carrier element in electronic component groups
JP2000215296A (ja) Pcカ―ドの認証システム
US11176530B2 (en) Payment terminal
JP6990870B1 (ja) 情報処理装置
US20100108771A1 (en) Financial transaction card
JP2001135424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23027169A (ja) 決済端末
US20190005278A1 (en) Integrated card swiping device
JP4138732B2 (ja) カードケース
US10417461B2 (en) Compact card rea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65287A (ko) 휴대폰 배터리 덮개
KR101055281B1 (ko) 해킹 방지 기능이 있는 카드 리더기
KR200329847Y1 (ko) 스마트카드리드기 겸용 유에스비 드라이브 장치
CN214540937U (zh) 刷卡机
JP6751985B2 (ja) ブースターアンテナ及び携帯端末スタンド
KR20180002912U (ko) 스위칭 수단이 구비된 ic 카드 리더
JP6855031B2 (ja) 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充電用コネクタ
US6070797A (en) Positioning device for a smart card reader
KR20100122689A (ko) 휴대용 카드 리더기
KR102120041B1 (ko) 스마트폰 결합기능을 갖는 신용카드
TWI452521B (zh) 通訊裝置
US20030168511A1 (en) Card reader system for installed in a personal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