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282B1 -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282B1
KR101786282B1 KR1020157025756A KR20157025756A KR101786282B1 KR 101786282 B1 KR101786282 B1 KR 101786282B1 KR 1020157025756 A KR1020157025756 A KR 1020157025756A KR 20157025756 A KR20157025756 A KR 20157025756A KR 101786282 B1 KR101786282 B1 KR 10178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package structure
feeder
traveling bod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197A (ko
Inventor
나가토 아베
가즈노리 마나베
미치오 요시타케
Original Assignee
도아 로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 로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도아 로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3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60L11/183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39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with position-responsive activation of primary co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7/00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 B60M7/003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for vehicles using stored power (e.g.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주행체에의 비접촉에서의 급전에 이용하는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주행체(2)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에 이용되는 트로프(1a)로서, 주행체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트로프 오목부(100)를 갖는 트로프 본체부(10a)와, 트로프 오목부(100)의 내측에 배치된 자성체 부재(11)와, 자성체 부재(11) 상에 배치되고,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급전체(12)와, 트로프 오목부(100)의 내측에 있어서, 급전체(12)를 덮는 급전체 보호재(1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TROUGH, PAV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AVED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주행체가 주행하는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행체에의 비접촉에서의 급전에 이용하는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차 전지를 탑재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등의 주행체는, 2차 전지에 축적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력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고 있다. 2차 전지에 축적된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주행체는, 질소산화물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을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보전의 관점에서 보급이 요구되고 있다.
2차 전지의 전력으로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는, 2차 전지의 충전량이 저하했을 때에는 충전하지 않으면 안되며, 일반적인 충전 방법으로서는, 충전 스탠드나 가정에서 전기 자동차와 급전 장치를 접속하여 충전을 행한다. 이 급전 장치와 접속하여 충전을 행하는 방식으로는, 접속 부분이 마모 등에 의해 접속이 불충분해져 버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접속을 충분히 하기 위한 메인테넌스가 불가결하다. 또, 급전 장치와 접속하여 충전을 행하는 방식으로는, 접속 부분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방폭 영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기 자동차에 구비한 코일과 충전 스탠드 등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한 코일을 위치 맞춤하여, 전자 유도에 의한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비접촉에서도 충전 가능하게 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제 2010-17208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 2011-4923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 평11-238638호 공보
이들 제안에 의해, 급전 장치와 접속하지 않아도 충전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전기 자동차의 2차 전지를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는, 그 자리에서 주행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대기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로 장거리의 행정을 주행하는 경우, 충전 스탠드 등에서 가끔 정차하고,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여 2차 전지를 충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행체에의 비접촉에서의 급전에 이용하는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1]~[10]을 제공하는 것이다.
[1]주행체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에 이용되는 트로프로서,
상기 주행체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트로프 오목부를 갖는 트로프 본체부와,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내측에 평평한 상면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자성체 부재와,
상기 자성체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급전체와,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급전체를 덮는 급전체 보호재를 구비하는, 트로프.
[2] 상기 트로프 본체부는, 2개의 홈이 상기 트로프 오목부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중앙에 칸막이부를 가지며,
상기 급전체는, 상기 2개의 홈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도전체를 갖는, [1]에 기재된 트로프.
[3] 상기 트로프 본체부는, 2개의 홈이 상기 트로프 오목부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중앙에 형성된 칸막이부를 가지며,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2개의 홈을 연결하는 복수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늘어선 복수의 돌기부로 형성되고,
상기 급전체는, 상기 복수의 간극 중 임의의 2개의 간극과 상기 2개의 홈에 배치된 코일 형상의 도전체를 갖는, [1]에 기재된 트로프.
[4] 상기 트로프 본체부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한 골재와 상기 골재를 덮는 콘크리트를 갖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트로프.
[5] 상기 자성체 부재는, 슬래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트로프.
[6] 상기 주행체로부터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인부는, 상기 급전체 보호재 중 상기 급전체의 상방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트로프.
[7] 상기 시인부는, 상기 급전체 보호재의 색과는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5]에 기재된 트로프.
[8] 상기 시인부는, 재귀 반사를 하는 재귀 반사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6] 또는 [7]에 기재된 트로프.
[9] 주행체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로서,
상기 주행체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에 설치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수의 트로프를 구비하는, 포장 구조체.
[10] [9]에 기재된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으로서,
포장 구조체에 절삭부를 형성하는 절삭부 형성 공정과,
상기 절삭부의 내측에 상기 트로프를 배치하는 트로프 배치 공정과,
상기 트로프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공정을 포함하는,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체에의 비접촉에서의 급전에 이용하는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의 접속 부재에 의한 접속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에 있어서, 자성체 부재의 효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공정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공정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트로프의 변형예의 개략 평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a)는, 주행체(2)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3)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5)에 이용되는 트로프(1a)로서,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트로프 오목부(100)를 갖는 트로프 본체부(10a)와, 트로프 오목부(100)의 내측에 평평한 상면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자성체 부재(11)와, 자성체 부재(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전 장치(3)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급전체(12)와, 트로프 오목부(100)의 내측에 있어서, 급전체(12)를 덮는 급전체 보호재(13)와, 시인부(60)를 구비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로프 본체부(10a)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한 골재(20)와 골재(20)를 덮는 콘크리트를 갖는다. 트로프 본체부(10a)의 트로프 표면(101)은,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 조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로프 본체부(10a)는,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트로프 오목부(100)를 갖고 있어, 단면 형상이 コ 형상(U자 형상)이다. 트로프 오목부(100)의 깊이는, 급전체(12)를 트로프 오목부(100)의 내측에 배치한다는 관점에서, 5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20㎜이다. 트로프 본체부(10a)의 트로프 오목부(100)가 연신되는 방향의 길이는, 제조나 운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1.0m~4.0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3.0m이다. 트로프 본체부(10a)의 폭방향(트로프 오목부(100)가 연신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제조나 운반의 용이성, 및 트로프(1a)를 포장 구조체(5)의 절삭부(14)에 배치한다는 관점에서, 1.0m~4.0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3.0m이다. 트로프 본체부(10a)의 깊이 방향의 길이는, 트로프(1a)를 절삭부(14)에 매설한다는 관점에서, 8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로프 본체부(10a)는, 트로프 본체부(10a)들을 접속 가능한 접속 부재(15)를 이용함으로써 트로프(1a)를 접속할 수 있다. 트로프(1a)를 접속함으로써, 포장 구조체(5)에 복수의 트로프(1a)를 연속해서 배치할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체 부재(11)는, 급전체(12)의 지중 측에, 상면이 평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급전체(12)에서 생성한 자계의 범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a)에 있어서의 자속을 점선으로 나타낸다. 자성체 부재(1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체(12)에서 생성한 자계는, 포장 구조체(5)의 지중 측에도 자속이 확산되어 버린다. 도 3(b)에 있어서의 자속을 점선으로 나타낸다. 자성체 부재(11)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포장 구조체(5)의 지중 측에 확산되어 버리는 자속도, 포장 구조체(5)의 표면 측에 자속을 집약시킬 수 있다. 즉, 자성체 부재(11)는, 자속을 집약하여 강한 자계를 형성하게 되므로, 자계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전자파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부재(11)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표면 측에 수속하는 자속의 폭은, 자성체 부재(11)의 폭과 대략 같아지므로, 또, 자성체 부재(1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자속의 집약의 편차가 그만큼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주행체(2)가, 오목부(10)에 대해서 약간 어긋난 위치를 주행해도, 주행체(2)의 수전 장치(3)의 수전에는 그만큼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성체 부재(11)는, 자성체 슬래그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자성체 슬래그란, 철분 등의 자성체를 50~80% 함유하는 슬래그계 골재를 말한다. 자성체 부재(11)는, 도전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자성체 슬래그를 10~4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5%이다. 자성체 슬래그는 단단한 성질의 재료이므로, 트럭 등의 중량이 큰 주행체(2)가 위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자성체 부재(11)의 내구성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자성체 부재(11)에는, 자성체 슬래그를 10% 이상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자성체 부재(11)는, 포장 구조체(5)의 표면 측에 자속을 집약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는 관점에서, 두께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30㎜ 이상이다.
급전체(12)는,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도전체(전선)이며, 급전 설비(6)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를 통전한다. 급전체(12)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계를 생성하고,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면, 교류의 주파수에 따라 자계 및 전계가 변화하고, 전자파를 발생한다.
급전체 보호재(13)는, 포장 구조체(5) 상을 주행하는 주행체(2)에 의한 충격 등으로부터 급전체(12)를 보호하기 위해, 급전체(12)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급전체 보호재(13)는, 외력으로부터 급전체(12)를 보호하고, 급전체(12)의 차단이나 굴곡 등의 물리적 데미지를 막는다. 급전체 보호재(13)로서는, 급전체(12)를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탄성 계수가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상이다. 또, 급전체 보호재(13)로서는, 급전체(12)를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1축 압축 강도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또, 급전체 보호재(13)는, 급전체(12)를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급전체(12)를 덮는 두께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급전체(12)를 덮는 두께가 50㎜ 이상이다.
또, 급전체 보호재(13)로서는, 급전체(12)에서 생성되는 자계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자성체 부재(11)와 같거나 또는 다른 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성체 부재(11)보다 도전성이 높은 자성체이다.
시인부(60)는, 급전체(12)가 매설되어 있는 위치를 주행체(2)로부터 시인 가능해지도록, 급전체 보호재(13)의 표층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인부(60)는, 트로프(1a)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특별한 포장 등이며, 주행체(2)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급전체(12)가 매설되어 있는 소재를 알린다.
이와 같이, 트로프(1a)가 시인부(60)를 구비함으로써, 충전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용이하게 급전체(12)가 매설되어 있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체(2)에 승차하고 있는 사람 또는 주행체(2)에 탑재된 차재 카메라가, 컬러 포장으로 설치된 시인부(60)를 인식하고, 주행체(2)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행체(2)의 수전 장치(3)가 급전체(12)의 상방에 정밀도 좋게 위치하도록, 또한, 급전체(12)에 대해서 사행시키지 않고,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어, 수전 장치(3)의 급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주행체(2)는, 전기 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차(HEV) 등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 장치(3)를 차체의 바닥부 근방에, 급전체(12)로부터 조사되는 전자파를 수전 가능한 위치에 구비하고, 2차 전지(4)를 차실의 바닥 아래 등에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2)는, 2차 전지(4)에 축적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도시 생략)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력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고 있다.
수전 장치(3)는, 전자파에 의한 전자 유도 현상에 의해 전력을 취출 가능한 코일 등이다. 수전 장치(3)는, 2차 전지(4)와 접속되어 있어, 취출한 전력을 2차 전지(4)에 송전한다. 수전 장치(3)는, 전력을 증폭하는 증폭기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전 장치(3)는, 급전체(12)로부터 조사된 전자파를 수전하여, 자속이 유입함으로써 생기는 전자 유도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취출한다. 수전 장치(3)에서 취출된 전력은, 충방전 등의 제어를 하는 제어 회로(도시 생략)를 거쳐 2차 전지(4)에 충전된다.
2차 전지(4)는, 충방전 등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나, 냉각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2차 전지(4)로서는,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포장 구조체(5)는, 주행체(2)가 주행 가능한 포장된 차도 등이다. 포장 구조체(5)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에 의해 포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깊은 쪽으로부터 노반, 기층, 표층이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등에 의해 포장된 포장 구조체(5)에서는, 기층 및 표층에 트로프(1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부(14)는,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어 설치된다. 절삭부(14)는, 절삭기 등에 의해 절삭되고, 트로프(1a)를 내측에 배치한다. 절삭부(14)는, 그것들을 내측에 배치한다는 관점에서, 폭이 0.5m~2.0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1.0m이며, 깊이가 100㎜~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이다.
급전 설비(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중에 배치한 급전 배선(50)을 통해 급전체(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전 설비(6)는 교류 전원이며,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 급전 설비(6)는, 주행 레인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5)의 시공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오목부 형성 공정>
우선, 도 6(a)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절삭기 등을 이용하여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원하는 폭 및 깊이의 절삭부(14)를 포장 구조체(5)에 형성한다.
<트로프 배치 공정>
다음에, 도 6(b)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절삭부(14)의 내측에 트로프(1a)를 배치한다. 트로프(1a)는,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공정>
다음에, 도 6(c)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인접하는 트로프(1a)들을 접속한다. 트로프(1a)들의 접속으로서는, 각각의 급전체(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트로프(1a)들의 접속으로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15)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한다.
상술의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포장 구조체(5)는, 주행체(2)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3)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5)로서,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절삭부(14)와, 절삭부(14)에 설치된 복수의 트로프(1a)를 구비한다.
이하에, 포장 구조체(5)의 급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주행체(2)는, 2차 전지(4)에 축적된 전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므로, 주행함에 따라, 2차 전지(4)의 전력이 소비되어 충전이 필요하게 된다. 충전이 필요하게 된 주행체(2)는, 급전체(12)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구조체(5)를 주행한다.
급전체(12)가 설치되어 있는 포장 구조체(5)를 주행체(2)가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급전체(12)는, 급전 설비(6)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급전받고, 급전체(12)에서 생성한 전자파를 주행체(2)를 향해서 조사한다. 조사된 전자파는, 급전체(12) 상을 주행하는 주행체(2)의 수전 장치(3)가 수전한다. 수전 장치(3)는, 수전한 전자파에서 생기는 전자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자파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으로부터 전력을 취출한다. 수전 장치(3)는, 취출된 전력을 송전하고, 2차 전지(4)를 충전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a) 및 포장 구조체(5)에 의하면, 주행 중인 주행체(2)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한 채로 2차 전지(4)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전기 자동차인 주행체(2)로 장거리의 행정을 주행하는 경우라도, 충전 스탠드 등에서 정차하지 않고 주행을 계속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b) 및 포장 구조체(5)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트로프(1a) 및 포장 구조체(5)와 비교하여, 트로프 본체부(10b)는, 2개의 홈이 트로프 오목부(100) 내에 형성되도록, 트로프 오목부의 중앙에 판 형상의 칸막이부(102)를 갖는 점 및 급전체(12)가 2개의 도전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그 외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트로프 본체부(10b)는, 2개의 홈을 갖고 있어 단면 형상이 E자 형상이며, 2개의 홈에, 각각, 급전체(12)를 구성하는 2개의 도전체를 배치한다.
트로프 본체부(10b)의 칸막이부(102)는, 각각의 홈에 배치된 급전체(12)의 2개의 도전체를 나누고 있으므로, 각각의 급전체(12)로부터 조사되는 전자파가 서로 상쇄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시인부(60)는, 칸막이부(102)의 표면에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부(102)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특별한 포장 등인 시인부(60)를 칸막이부(102)의 표면에 설치함으로써, 주행체(2)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급전체(12)가 매설되어 있는 소재를 알린다.
이하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5)의 시공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오목부 형성 공정>
우선, 도 9(a)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절삭기 등을 이용하여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원하는 폭 및 깊이의 절삭부(14)를 포장 구조체(5)에 형성한다.
<트로프 배치 공정>
다음에, 도 9(b)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절삭부(14)의 내측에 트로프(1b)를 배치한다. 트로프(1b)는, 주행체(2)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복수 늘어놓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공정>
다음에, 도 9(c)에 나타내는 공정에 있어서, 인접하는 트로프(1b)들을 접속한다. 트로프(1b)들의 접속으로서는, 각각의 급전체(12)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트로프(1b)들의 접속으로서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15)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b) 및 포장 구조체(5)에서도,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b) 및 포장 구조체(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b) 및 포장 구조체(5)에 의하면, 트로프 본체부(10b)의 칸막이부(102)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급전체(12)로부터 조사되는 전자파가 서로 상쇄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주행체(2)에 강한 전자파를 조사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따라 기재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기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밝혀질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트로프(1a, 1b)는, 급전체(12)로부터 조사되는 전자파를 차단하여, 가능한 한 공간에 전파시키지 않도록 하는 부재인 전자파 차단 부재가 트로프 오목부(100)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 부재는, 스테인리스성의 판 혹은 망, 알루미늄성의 판 혹은 망,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로프(1a, 1b)가 전자파 차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주행체(2)로 향하는 전자파 이외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급전체(12)로부터 공간으로 전파하는 전자파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 구조체(5)의 표면에는, 급전체(12)의 위치를 주행체(2)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인부(60)가 설치되어 있다. 특별한 포장 등인 시인부(60)를, 급전체(12)가 매설하고 있는 위치의 포장 구조체(5) 상(노면)에 설치함으로써, 주행체(2)를 운전하는 운전자는, 시인부(60)를 시인함으로써, 급전체(12)가 매설되어 있는 소재를 용이하게 인지한다. 시인부(60)는, 예를 들면, 포장 구조체(5)의 표층이나 칸막이부(102)의 밀입도에 산화철(변병, Fe2O3)을 혼합물 중에 혼입시키고, 적색의 컬러 혼합물로 포장한 개소이며, 다른 포장면과 다른 색으로 함으로써, 급전체(12)의 소재를 알린다. 또, 시인부는, 재귀 반사를 하는 재귀 반사 소재로 포장한 개소이며, 반사에 의해 운전자에게 급전체(12)의 소재를 알리는 개소여도 된다.
이와 같이, 포장 구조체(5)가 시인부(60)를 구비함으로써, 충전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용이하게 급전체(12)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칸막이부(10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던 트로프(1b)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홈을 연결하는 복수의 간극(104)이 형성되도록 늘어선 복수의 돌기부(103)로 형성된 칸막이부(102a)를 갖는 트로프(1c)여도 된다. 이 경우, 급전체(12)는, 복수의 간극(104) 중 임의의 2개의 간극(104)과 2개의 홈에 배치된 1회 이상의 코일 형상의 도전체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는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개시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의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1a, 1b: 트로프 2: 주행체
3: 수전 장치 4: 2차 전지
5: 포장 구조체 6: 급전 설비
10a, 10b, 10c: 트로프 본체부 11: 자성체 부재
12: 급전체 13: 급전체 보호재
50: 급전 배선 60: 시인부
100: 트로프 오목부 101: 트로프 표면
102, 102a: 칸막이부 103: 돌기부
104: 간극

Claims (10)

  1. 주행체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에 이용되는 트로프로서,
    상기 주행체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트로프 오목부를 갖는 트로프 본체부와,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내측에 평평한 상면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자성체 부재와,
    상기 자성체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급전체와,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급전체를 덮는 급전체 보호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 부재는, 자성체 슬래그를 10~40% 함유하는, 트로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 본체부는, 2개의 홈이 상기 트로프 오목부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중앙에 칸막이부를 가지며,
    상기 급전체는, 상기 2개의 홈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도전체를 갖는, 트로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 본체부는, 2개의 홈이 상기 트로프 오목부 내에 형성되도록, 상기 트로프 오목부의 중앙에 형성된 칸막이부를 가지며,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2개의 홈을 연결하는 복수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늘어선 복수의 돌기부로 형성되고,
    상기 급전체는, 상기 복수의 간극 중 임의의 2개의 간극과 상기 2개의 홈에 배치된 코일 형상의 도전체를 갖는, 트로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 본체부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한 골재와 상기 골재를 덮는 콘크리트를 갖는, 트로프.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로부터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인부는, 상기 급전체 보호재 중 상기 급전체의 상방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트로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상기 급전체 보호재의 색과는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트로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인부는, 재귀 반사를 하는 재귀 반사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트로프.
  9. 주행체에 구비된 수전 가능한 수전 장치에 전자파를 통해 급전하는 포장 구조체로서,
    상기 주행체가 주행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에 설치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복수의 트로프를 구비하는, 포장 구조체.
  10. 청구항 9에 기재된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으로서,
    포장 구조체에 절삭부를 형성하는 절삭부 형성 공정과,
    상기 절삭부의 내측에 상기 트로프를 배치하는 트로프 배치 공정과,
    상기 트로프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공정을 포함하는,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20157025756A 2013-03-21 2013-08-12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1786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8503 2013-03-21
JP2013058503A JP5374658B1 (ja) 2013-03-21 2013-03-21 トラフ、舗装構造体、及び舗装構造体の施工方法
PCT/JP2013/071764 WO2014147857A1 (ja) 2013-03-21 2013-08-12 トラフ、舗装構造体、及び舗装構造体の施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197A KR20150138197A (ko) 2015-12-09
KR101786282B1 true KR101786282B1 (ko) 2017-10-17

Family

ID=4995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756A KR101786282B1 (ko) 2013-03-21 2013-08-12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5847B2 (ko)
EP (1) EP2977513A4 (ko)
JP (2) JP5374658B1 (ko)
KR (1) KR101786282B1 (ko)
CN (1) CN105102718B (ko)
WO (1) WO2014147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3971A (zh) * 2014-10-21 2015-01-28 中山市拓维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压电性能的道路发电装置
US10124690B2 (en) 2015-11-13 2018-11-13 Nio Usa,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positioning and method of use
US10093195B2 (en) 2015-11-13 2018-10-09 Nio Usa, Inc. Integrated vehicle charging panel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336194B2 (en) * 2015-11-13 2019-07-02 Nio Usa,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lignment and method of use
US10059213B2 (en) 2015-11-13 2018-08-28 Nio Usa, Inc. Charging devices within wheel portions
WO2018127825A1 (en) * 2017-01-05 2018-07-12 Dumarey Guido Lieven P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ystem
US10875412B1 (en) * 2017-07-11 2020-12-29 Aecom Next generation of urban vehicle charging station
CN108944497A (zh) * 2018-05-30 2018-12-07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agv小车无线充电系统
IT201800006495A1 (it) * 2018-06-20 2019-12-20 Procedimento per l’installazione diretta su strada di induttori per trasferimento induttivo di potenza elettrica
FR3084974B1 (fr) * 2018-08-07 2021-10-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e liaison electrique sans contact
JP7437332B2 (ja) * 2021-01-23 2024-02-22 株式会社大林組 設備保護カ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設備保護構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344A (en) 1987-05-08 1989-06-06 Inductran Corporation Roadway power and control system for inductively coupled transportation system
JP2000116036A (ja) 1998-09-29 2000-04-21 Yamaha Motor Co Ltd 輸送設備
US6109405A (en) 1997-10-17 2000-08-2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Non-contacting power supply system for rail-guided vehicle
JP2007012775A (ja) 2005-06-29 2007-01-18 Daido Steel Co Ltd 電磁波吸収材
JP2010022183A (ja) 2008-02-08 2010-01-28 Suri-Ai:Kk 電気自動車及びそれに好適な車両用誘導送電装置
KR101038759B1 (ko) 2009-12-21 2011-06-03 한국과학기술원 Emf 능동차폐 기능을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KR101131581B1 (ko) 2009-12-16 2012-03-30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화된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202A (en) * 1979-06-15 1982-11-30 Michael Minovitch Automated road transportation system
US5390118A (en) * 1990-10-03 1995-02-1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utomatic lateral guidance control system
DE69111992T2 (de) 1990-11-29 1996-01-11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ituminösen Strassen mit darunter verlegten Heizungrohren.
JPH0678406A (ja) * 1992-08-28 1994-03-18 Daifuku Co Ltd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767205A (ja) * 1993-08-25 1995-03-10 Sumitomo Electric Ind Ltd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における1次コイルと2次コイル
US5573090A (en) 1994-05-05 1996-11-12 H. R. Ross Industries, Inc. Raodway-powered electric vehicle system having onboard power meter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features
US5595271A (en) 1995-08-07 1997-01-21 Tseng; Ling-Yuan Electric vehicle pick-up position control
JPH11238638A (ja) 1998-02-23 1999-08-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非接触型充電装置
CN1463868A (zh) 2002-06-14 2003-12-31 李善伯 电动汽车地槽输电与运行状态信息采集方法
JP2005224045A (ja) 2004-02-06 200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装置を備えた架線レスシステム
KR100884188B1 (ko) 2005-07-01 2009-02-17 옥은호 지중 전기공급 레일 도로와 집전장치를 갖춘 전기자동차
JP4209437B2 (ja) 2006-11-10 2009-01-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及びその保護装置
DE102008013649B4 (de) 2008-03-11 2010-04-15 Sew-Eurodriv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nergieübertragung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5467569B2 (ja) 2009-01-21 2014-04-09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非接触給電装置
KR100944113B1 (ko) 2009-02-27 2010-02-24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전원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5354539B2 (ja) 2009-08-25 2013-11-27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非接触給電装置
US8221024B2 (en) * 2009-09-03 2012-07-17 General Atomics Embedded module for linear synchronous motor
KR101104813B1 (ko) 2009-10-16 2012-01-17 한국과학기술원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보호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WO2011046414A2 (en) 2009-10-16 2011-04-2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US20110094840A1 (en) 2009-10-26 2011-04-28 Masami Sakita Electric highway system
JP5641891B2 (ja) * 2009-11-13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両用充給電システム
EP2515314B1 (en) 2009-12-17 2019-05-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on-contact power recep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transmission device
GB2476318A (en) * 2009-12-21 2011-06-22 Bombardier Transp Gmbh Laying electrical conductors along a track for a vehicle
KR20120104615A (ko) 2009-12-24 2012-09-21 러스크 인텔렉츄얼 리저브 아게 전기 차량 및 그의 급전 장치
KR20110074350A (ko)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듀얼레일 급전 시스템의 전자기장 차폐장치 및 방법
KR101232036B1 (ko) 2010-10-13 2013-02-12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전력전달 장치 및 자기유도 방식의 급전장치
CN102465482A (zh) 2010-11-20 2012-05-23 孙善骏 移动电磁充电站道路
CN201915316U (zh) 2010-11-20 2011-08-03 孙善骏 移动电磁充电站道路
GB2485617A (en) 2010-11-22 2012-05-23 Bombardier Transp Gmbh Conductor arrangement for inductively transferring electric energy to a vehicle
GB2485616A (en) 2010-11-22 2012-05-23 Bombardier Transp Gmbh Route for transferring electric energy to vehicles
CN201966647U (zh) 2011-01-29 2011-09-07 孙善骏 移动电磁充电电动汽车充电装置
JP5777139B2 (ja) * 2011-02-23 2015-09-0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車両給電装置及び車両給電方法
WO2012141357A1 (ko) * 2011-04-15 2012-10-18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방식의 급전레일모듈 및 이를 적용한 도로구조, 그리고 도로 시공방법
JP2012248747A (ja) 2011-05-30 2012-12-13 Toyota Industries Corp 共鳴型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シールド装置
EP2737606B1 (en) 2011-07-26 2019-01-16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receiv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344A (en) 1987-05-08 1989-06-06 Inductran Corporation Roadway power and control system for inductively coupled transportation system
US6109405A (en) 1997-10-17 2000-08-2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Non-contacting power supply system for rail-guided vehicle
JP2000116036A (ja) 1998-09-29 2000-04-21 Yamaha Motor Co Ltd 輸送設備
JP2007012775A (ja) 2005-06-29 2007-01-18 Daido Steel Co Ltd 電磁波吸収材
JP2010022183A (ja) 2008-02-08 2010-01-28 Suri-Ai:Kk 電気自動車及びそれに好適な車両用誘導送電装置
KR101131581B1 (ko) 2009-12-16 2012-03-30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화된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KR101038759B1 (ko) 2009-12-21 2011-06-03 한국과학기술원 Emf 능동차폐 기능을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4658B1 (ja) 2013-12-25
CN105102718B (zh) 2016-11-02
JP2015044422A (ja) 2015-03-12
WO2014147857A1 (ja) 2014-09-25
EP2977513A4 (en) 2016-11-02
CN105102718A (zh) 2015-11-25
US20160236572A1 (en) 2016-08-18
JP6149101B2 (ja) 2017-06-14
EP2977513A1 (en) 2016-01-27
KR20150138197A (ko) 2015-12-09
US9855847B2 (en) 2018-01-02
JPWO2014147857A1 (ja)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282B1 (ko) 트로프,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1790422B1 (ko) 포장 구조체 및 포장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20160146849A (ko) 유도성 전력 전달 시스템에서 이질적인 물체들을 검출하기 위한 물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469407B1 (ko) 공명식 비접촉 급전 시스템, 수전측 장치 및 송전측 장치
CN104245400B (zh) 混合动力车辆
US10325717B2 (en) Roadway powered electric vehicle system
CN104271384A (zh) 车辆
JP2013208054A (ja) 給電装置
JPWO2013168239A1 (ja) 非接触で電力を受電可能な車両
TW200941890A (en) Non-contact type power feeder system for mobile object
WO2013061610A1 (ja) 給電装置、受電装置、及び非接触充電装置
EP2833510B1 (en) Power supply apparatus
TW201034339A (en) Electric vehicle transportation system
CN108136927B (zh) 具有维护开口的次级线圈单元
EP3076412A1 (en) Power-receiving device and power-transmitting device
EP3145747A1 (en) A housing for at least one object detection device, a primary unit and a pavement slab assembly
US20200395786A1 (en) Autonomous running working machine an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JP7367608B2 (ja) 非接触型給電路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5023614A (ja) リーチ式電動フォークリフトの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10315523B2 (en) Conductor arrangement structure for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US20230068912A1 (en) Charging Road
KR101242735B1 (ko) 자기장 차폐 물질 및 이를 이용한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