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702B1 - 이산화탄소 머드팩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머드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702B1
KR101785702B1 KR1020150150432A KR20150150432A KR101785702B1 KR 101785702 B1 KR101785702 B1 KR 101785702B1 KR 1020150150432 A KR1020150150432 A KR 1020150150432A KR 20150150432 A KR20150150432 A KR 20150150432A KR 101785702 B1 KR101785702 B1 KR 10178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pack
weight
acid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259A (ko
Inventor
박한욱
조윤정
Original Assignee
씨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7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시 피부에 뻑뻑하게 발라지는 머드팩의 사용 촉감을 크림처럼 부드럽고 매끄럽게 변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머드팩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2개의 구분된 공간 사이를 외부에서 가압 개방부를 통해 개통할 수 있는 구조로 된 파우치의 한쪽 공간에 팩 조성물과 탄산염을 수용하고 다른 한쪽 공간으로 산을 수용한 구성으로 하여, 상기 탄산염과 산이 상호 반응되지 않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가압 개방부를 개통시켜서 한쪽 공간의 산을 다른 공간으로 주입하는 것으로, 팩 조성물에 함유된 탄산염과 산과의 반응이 시작되어 이산화탄소가 팩 조성물 내부로 충만하게 되며, 이렇게 팩 조성물을 구성하는 입자 사이로 이산화탄소가 채워지면서 각 입자의 표면이 활성화되어, 피부에 바를 때 머드팩의 촉감은 부드럽고 매끈한 감촉으로 느껴지게 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머드팩{carbon dioxide mud pack}
본 발명은 머드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 전에 산과 탄산염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산화탄소가 머드팩의 내부에서 기포상으로 확산하면서 머드팩입자 사이에서 표면 활성화 작용을 하여 피부에 바르는 촉감이 크림처럼 부드러워지게 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다음 특허문헌 1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증점제를 함유한 점성 조성물에 이산화탄소가 함유될 수 있다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산과 탄산염이 가수반응할 때 발생하는 것이므로 상기 탄산염과 산, 증점제, 그리고 수분은 실질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보전되는 키트로 제공되어야 하고, 사용 전에 수분을 공급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 키트는 기본적으로 탄산염, 산, 함수 점성 조성물을 겸비한다. 함수 점성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탄산염과 산 중의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고, 산과 탄산염은 분말 혹은 액상으로 구비되는 한편, 분말인 경우는 산과 탄산염 분말을 섞은 상태로, 또한 액상의 경우는 시트에 침적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적어도 산과 탄산염이 사용시까지 별도로 수용되고 있어야 함을 의미하므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기존의 제품군은 모두 2개의 용기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머드팩을 포함한 통상의 팩 종류 물품은 피부에 발랐을 때, 그 표면에서 증발하는 수분이 팩 도포 층과 피부 사이에서 체류하여 각질을 부드럽게 변화시켜서 팩 도포 층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피부로 흡수되기 쉽게 해주고, 동시에 피부의 온도 상승에 따라 발한작용이 왕성해져서 노폐물이나 모공 속의 불순물 등이 팩 도포층으로 흡수 제거되는 과정을 통해 피부 미용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머드팩은 광물분말, 식물성 전분, 점토 광물류, 합성파우더 등의 파우더성분에 보습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정제수를 투입하여 혼합한 것이 주성분이고, 여기에 증점제, 유화제 등의 부수적 첨가제나, 식물 추출물, 생약제 추출물 등의 기능성 첨가제가 포함된다.
머드팩과 관련하여 다음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머드에서 추출한 머드 유래 무기물을 유효성분 원료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라던가,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머드 추출물과 항균기능을 갖는 중축합반응물을 함유하는 폼 팩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머드팩은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다소 뻑뻑하게 느껴질 정도로 점도가 높아서 피부에 얇게 바르기가 쉽지 않다는데에 있다.
머드팩의 점도는 수분 함량을 높이는 것으로 낮출 수 있지만, 이 경우 머드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파우더 입자 사이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튜브용기에서 짜내었을 때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고 허물어져 버리므로 제품화가 어려워진다.
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증점제나 유화제는 파우더 입자 사이, 및 파우더와 수분 사이의 응집을 도와, 파우더 특유의 까칠한 촉감을 완화 시켜주는 정도에 그칠 뿐, 팩의 점도를 낮추었을 때 짜내어진 형태 그대로 보존되게 하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시판되고 있는 머드팩은 촉감이 뻑뻑하여 피부에 바를 때 느낌이 좋지 않고 얇게 바르기가 어려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자는 탄산염과 산을 수중에서 혼합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 되게 하는 실험을 하던 중에, 머드팩의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어떤 성상으로 변화되는가에 궁금증을 가지고 실제 실험한 결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 머드팩은 벌키성을 띄어 촉감이 콜드크림에 흡사하게 부드러워지고, 형태도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기초하여 머드팩의 촉감 개량에 관한 가능성을 찾게 되었으나 다음의 몇 가지 제한요소로 인하여 제품화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즉,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제품에서 겪게 되는 제품의 포장문제로서 탄산염과 산을 완벽하게 구분하여 수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하고, 탄산염의 조해성(潮解性)에 의한 변질 방지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 근본적 저해요소로 나타났다.
이 문제는 내부가 둘로 구획된 용기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탄산염과 산을 혼합할 때 주변으로 이산화탄소가 발산하는 것을 막아야 손실이 없을 것이므로 용기를 닫은 상태로 혼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머드팩은 페이스트보다도 더 뻑뻑한 상태이므로 뚜껑을 닫고 흔들거나 하는 조작으로는 혼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독특한 구조의 용기를 갖추지 않는 한 불가능한 것이다.
에로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에 따라 2개의 용기를 준비하고, 한쪽 용기에 산성용액을, 다른 한쪽 용기에 탄산염과 머드팩을 수용하여 놓고, 사용 시에 산성용액을 머드팩에 투입하고 섞으면 반응이 시작되어 이산화탄소가 머드팩 내부에서 발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그대로 공기 중에 발산되어 버리므로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또 몇 번 뒤섞어주고 뚜껑을 닫아 두면 손실 없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에도 이산화탄소는 용기에서 머드팩이 점유하지 않은 공간으로 발산되어 있다가 뚜껑을 열면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은 막지 못한다.
게다가 2개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키트는 제조 원가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듀플렉스 파우치"라고 불리는 파우치는 2개의 구분된 공간을 갖추고 있고, 공간 사이를 외부에서 물리적으로 개통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이산화탄소 머드팩의 포장이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듀플렉스 파우치"는 2종의 액체, 또는 액체와 분말을 하나의 파우치에 구분 수납하고, 사용 시에는 구분된 수납부의 어느 한쪽을 가압하면 경계선상에 마련된 취약부분이 개통하게 되어 있으며, 본 발명자도 다음 특허문헌 4를 통하여, 2개의 수납부를 구분하는 내부접합선의 도중에 2개의 비접합선과 비접합부를 갖춘 가압 개방부가 설치된 파우치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자가 제안한 듀플렉스 파우치는 한쪽 수납부를 말아올리는 것으로 내부의 내용물이 다른쪽 수납부로 주입되게 한 것이므로 사용하기 쉽고, 특히 여성이 주 고객으로 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에는 최적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18698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991374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342554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147753호, 도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직전에 팩 내부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서 사용 촉감이 크림처럼 부드럽고 매끄럽게 변화된 팩으로 변환하여 피부에 쾌적하고 매끄럽게 발라지게 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시기에 구분 수용된 탄산염과 산 사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개통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머드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은, 외부접합선에 의해 외곽이 밀봉되고 내부접합선에 의해 별개로 나란하게 구획되는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의 상변 또는 하변 사이에 가열 접합 되지 않고 다만 면끼리 맞접촉하여 밀착된 부분으로 남는 가압 개방부가 배치된 파우치의 상기 제1 수납부로 통상의 팩 조성물과 탄산염의 혼합물을 수용하고, 상기 제2 수납부에는 산성용액을 수용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팩 조성물은 파우더 10~50 중량%에 나머지는 정제수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통상의 것이고, 상기 파우더는 광물분말, 식물성 전분, 점토광물, 합성파우더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팩 조성물에는 필요하다면 보습제, 보존제, 계면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각각 10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납부의 혼합물은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탄산염 0.5~6.4 중량부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부의 산성용액은 산 0.01 ~ 50 중량%에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액체로서, 여기에 보습제는 상기 산성용액 100 중량부에 10 중량부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제2 수납부로 충전되는 산성용액의 수용량은 제1 수납부의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5 중량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에서 상기 파우치의 내부접합선에는 그 궤적에 맞춰 상기 가압 개방부 부근까지 연장되는 절단선이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은 탄산염이 함유된 통상의 팩 조성물과, 산성용액을 사용 직전까지 완전하게 구분하여 수용하므로 사용 직전까지 팩 조성물 내부에서 이산화탄소 반응이 일어날 수 없다.
사용자는 파우치를 개봉하기 전에 제2 수납부의 외부를 눌러주면 내압이 발생하여 가압 개방부가 개통되면서 상기 제2 수납부의 산성용액이 제1 수납부로 흘러들어가, 이산화탄소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내부접합선에 절단선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수납부를 상기 절단선에 따라 분리하고 말아올리는 것으로 가압 개방부를 간단히 개통시키면서 산성용액을 제1 수납부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가압 개방부가 개통되면 제2 수납부의 산성용액이 제1 수납부로 흘러들어 이산화탄소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팩 조성물의 입자 사이로 이산화탄소가 확산 되는 것에 의해 부풀어오르면서 각각의 입자 표면이 활성화되어 상기 팩 조성물은 부드러운 촉감을 띄도록 변화되며, 이에 따라 피부에 바를 때 느끼는 감촉은 마치 크림을 바르듯 부드러운 촉감으로 느껴지게 된다.
게다가 팩 조성물 내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사용자의 피부로 침투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팩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함께 침투시켜 미용 효과가 증진되는 이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이 수용된 파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가압 개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파우치의 바람직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분포양태를 나타내는 가상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가장자리가 외부접합선(2)에 의해 가열 봉합되고, 또한 대략 중간부가 내부접합선(4)으로 구획 형성되어 별개로 나누어진 제1 수납부(6)와 제2 수납부(8)로 이루어지고, 이들 사이에는 봉합되지 않고 면끼리 맞접촉하여 밀착하고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 개방부(10)가 설치된 구조의 파우치(12)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 개방부(10)의 양측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제1 수납부(6)에 귀속되는 제1 완충부(14)와, 제2 수납부(8)에 귀속되는 제2 완충부(16)가 마련될 수 있고, 또 상기 내부접합선(4)의 중심에 하단으로부터 가압 개방부(10)의 직전위치까지 연장되는 절단선(18)을 형성하면 사용 직전에 제1 수납부(6)와 제2 수납부(8) 사이를 일정 길이만큼 분리해 놓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접합선(2) 및 내부접합선(4)은 금형에 의해 성형 될 때 녹으면서 접합 되어, 도 2의 도시와 같이 일체로 봉합되지만, 가압 개방부(10)와 양 완충부(14)(16)는 해당부분의 금형부위 온도를 필름의 융점 이하로 유지시켜 놓고 압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해당 단면은 단지 면끼리 접촉하여 밀착된 상태로 놓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해당부분의 필름은 녹지 않고 다만 눌려진 상태에서 주변 열의 영향으로 수축을 일으키게 되어 밀착된 상태가 자연스럽게 보전된다.
상술한 파우치(12)의 제1 수납부(6)에는 팩 조성물과 탄산염이 함께 수용되고, 제2 수납부(8)에는 산성용액이 수용된다.
팩 조성물은 파우더 10~70 중량%에 나머지는 정제수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통상의 것으로서, 파우더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머드 제형이 어렵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문제로 제조가 곤란하므로 바람직한 함량은 25~40 중량%이다.
상기 파우더는 광물분말, 식물성 전분, 점토광물, 합성파우더에서 유래하는 것으로서 당 업계에서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다.
예로서, 광물분말은 일라이트, 세리사이트, 카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탤크, 마이카,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등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식물성 전분으로는 옥수수, 감자전분 및 전분유도체 등에서 채택할 수 있다. 또 점토 광물로는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백토, 카올린, 황토 등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합성파우더에는 실리카,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PMMA 등에서 채택할 수 있다.
탄산염은 상기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6.4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다.
탄산염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이산화탄소 반응이 현저히 떨어지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잘 용해되지 않고 잔량으로 남아있게 된다.
용해되지 않고 남는 탄산염은 이산화탄소 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거나 하지는 않지만,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염려도 있으므로 그 함량은 제한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탄산염은 50℃ 이상의 분위기에서는 열 분해와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팩 조성물과 혼합하는 과정에서 열을 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온도를 상기 50℃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팩 조성물에는 필요하다면 글리세린, 소르비톨,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과 같은 폴리올 등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되는 보습제나,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클로페네신, 소듐벤조에이트, 포타슘소르베이트 등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되는 보존제나, PEG계열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되는 계면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0~10 중량부, 보존제 0~3 중량부, 계면활성제 0~10 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머드팩에서 산성용액은 산 0.01~50 중량%에 나머지는 정제수인 액상물로 이루어진다.
산성용액에는 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푸마르산, 말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젖산, 히드록시아크릴산, α-옥시부티르산, 글리세르산, 타르트론산, 살리실산, 갈산, 트로프산, 아스코르브산, 글루콘산, 산이수소칼륨, 산이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칼륨, 산성헥사메타산나트륨, 산성헥사메타산칼륨, 산성피로산나트륨, 산성피로산칼륨, 술팜산 등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산성용액에도 보습제가 첨가될 수 있고, 그 함량은 산성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머드팩에서, 제2 수납부(8)에 수용된 산성용액은 사용자가 가압 개방부(10)를 개통시키는 것으로 제1 수납부(6)에 주입할 수 있다.
가압 개방부(10)의 개통은 사용자가 파우치(12)의 외부에서 제2 수납부(8)의 표면을 누르고 밀어올려 그 내부에 수용된 산성용액이 제2 완충부(16)를 거쳐 가압 개방부(10)로 몰리게 하면, 그 부분에서 내압이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밀착되고 있는 면 사이가 벌어지면서 개통된다.
또한, 내부접합선(4)에 절단선(18)이 형성된 파우치(12)의 경우에는, 제1 수납부(6)와 제2 수납부(8)를 가압 개방부(10)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분리시키고,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수납부(8)를 말아올리는 간편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 산성용액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1 수납부(6)로 주입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가압 개방부(10)가 개통되어서 제1 수납부(6)로 주입되는 산성용액의 산 성분이 탄산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머드팩에서 이산화탄소 반응에 의한 촉감의 변화 여부는 육안 검사, 실사용 촉감, 비중 측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 반응 후의 팩 조성물은 육안으로 보아도 부풀어 오른 양상을 뚜렷하게 알아볼 수 있고, 촉감 변화는 반응 전의 팩 조성물을 피부에 바를 때는 뻑뻑하게 발라지는 느낌을 받지만, 반응 후의 팩 조성물은 부드럽고 매끈하게 발라지는 느낌을 받게 되어 마치 콜드크림을 바를 때의 감촉과 같다.
또, 비중 측정 결과에 따르면 비중 1.15~1.21로 측정되는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탄산염 3.1 중량부를 혼합하고 측정한 비중은 1.2~1.4로 오히려 약간 높게 측정되었고, 여기에 산성용액 1.5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반응이 일어나게 한 다음에 측정한 비중은 0.2~0.26으로 측정되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렇게 이산화탄소 반응 전과 후의 비중이 큰 차이를 보이게 되는 것은 팩 조성물을 구성하는 입자 사이로 이산화탄소가 충만하면서 부풀어오른 형태(vulky)로 되면서 밀도가 급격히 낮아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팩 조성물 내부에서 확산하는 이산화탄소는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입자 사이로 채워져서 입자 각각은 서로 떨어져 있게 되어 표면활성화 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그 결과 피부에 바를 때 각 입자 사이의 미끄럼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머드팩의 사용감이 매끄럽고 부드럽게 느껴지게 되는 것이다.
팩 조성물과 탄산염의 혼합물, 그리고 산성용액과의 상관관계를 실시예로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탄산염으로서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1 중량부를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고 고르게 혼합한다.
여기서 상기 팩 조성물은 클로페네신 0.2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소르비톨 1 중량%, 카올린 25 중량%, 벤토나이트 3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3 중량%, PEG-100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8 중량%,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통상의 머드팩 성분과 같은 것을 채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시트릭애시드가 함유된 산성용액을 상기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7 중량부를 투입하고 혼합한 결과, 육안으로 이산화탄소 반응을 인지할 수 없었고, 반응 전의 비중은 1.4이나 반응 후의 비중은 1.39로 측정되는 등 별 변화가 없었으며 팩 조성물의 외관상 변화도 눈에 뜨이지 않았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2 중량부, 산성용액 0.14 중량부로 한 것만 다르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한 결과, 이산화탄소 반응은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고 팩 조성물의 외관 형태변화도 거의 없었지만, 반응 전의 비중이 1.4에서 반응 후의 비중은 1.2로 측정되었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5 중량부, 산성용액 0.35 중량부로 한 것만 다르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반응에 의해 팩 조성물은 부풀어오른 외관으로 변화됨을 육안 확인이 가능하였고, 반응 전의 비중 1.4에서 반응 후의 비중은 0.26으로 크게 낮춰진 값을 보였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1 중량부, 산성용액 0.7 중량부로 한 것만 다르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한 결과, 이산화탄소 반응으로 팩 조성물의 외관이 부풀어 올라 육안 확인이 가능하였고, 반응 전의 비중 1.4에서 반응 후의 비중은 0.24로 크게 낮춰진 값을 보였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3.1 중량부, 산성용액 2.17 중량부로 한 것만 다르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반응으로 팩 조성물의 외관이 상당히 부풀어 올라 육안으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반응 전의 비중 1.4에서 반응 후의 비중은 0.22로 크게 낮춰진 값을 보였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 6.4 중량부, 산성용액 4.48 중량부로 한 것만 다르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반응으로 팩 조성물의 외관이 상당히 부풀어 올라 육안으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반응 전의 비중 1.4에서 반응 후의 비중은 0.2로 크게 낮춰진 값을 보였다.
팩 조성물을 구성하는 물질 중에서 카올린을 활석으로 대체하여 25 중량%를 혼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얻어진 이산화탄소의 반응과 그 결과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이로 미루어 볼 때 파우더 성분의 일부를 유사물질로 대체하여도 사용감이 부드럽고 매끈한 팩 제형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팩 조성물을 구성하는 물질 중에서 카올린을 PMMA(polymethamethacrylate)으로 대체하여 25 중량%를 혼합하고, 벤토나이트를 1.5 중량%로 감량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이산화탄소의 반응과 그 결과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상기 PMMA는 물과의 혼용성이 좋지 않은 특성이 있음에도 가벼운 제형의 머드팩으로 실현될 수 있었다.
팩 조성물을 구성하는 물질 중에서 카올린을 옥수수전분으로 대체하여 25 중량%를 혼합하고, 벤토나이트를 6 중량%로 증량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이산화탄소의 반응과 그 결과를 보면, 옥수수전분으로는 점도 형성이 곤란하여 벤토나이트를 증량할 수밖에 없었으나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매끄러운 촉감을 주는 머드팩을 구현할 수 있었다.
상술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머드팩은 함유 성분을 바꾸는 것으로는 사용감촉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다만 머드팩 내부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면 각각의 팩 입자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서로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표면활성화 되는 것에 의해, 머드팩이 크림과 같이 부드럽고 매끈하게 피부에 발라지는 성상으로 변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통상의 팩 조성물과 탄산염의 혼합물, 그리고 산성용액을 각각 파우치(12)의 제1 수납부(6)와 제2 수납부(8)에 구분 수용하여놓고, 사용 직전에 가압 개방부(10)를 외부에서 개통시켜서 제1 수납부(6)에 산성용액을 주입할 수 있게 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머드팩은, 사용 직전에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서 팩 조성물의 각 입자 사이를 표면활성화하여, 바를 때 뻑뻑한 느낌을 주는 기존의 머드팩과는 다르게, 부드럽고 매끈한 촉감으로 사용하게 하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2: 외부접합선 4: 내부접합선
6: 제1 수납부 8: 제2 수납부
10: 가압 개방부 12: 파우치
14: 제1 완충부 16: 제2 완충부
18: 절단선 20: 입자

Claims (6)

  1. 외부접합선(2)에 의해 외곽이 밀봉되고 내부접합선(4)에 의해 별개로 구획되는 제1 수납부(6), 및 제2 수납부(8)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6)에는 통상의 팩 조성물과 탄산염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수납부(8)에는 산성용액이 수용되는 한편, 상기 제1 수납부(6) 및 제2 수납부(8)의 상변 또는 하변 사이에서 직교방향으로, 또한 비융착상의 요철단면으로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가압 개방부(10)와, 상기 내부접합선(4)의 중심 하변에서 상기 가압개방부(10)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형성된 절단선(1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납부(6)와 제2 수납부(8) 사이를 상기 절단선(16)에 따라 분리시키고 어느 한쪽의 수납부를 말아올려서 상기 가압개방부(10)가 열리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머드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에 수용된 팩 조성물은 파우더 10~70 중량%에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파우더는 광물분말, 식물성 전분, 점토광물, 합성파우더에서 유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에 수용된 탄산염은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0.5~6.4 중량부로 되는 분량으로 수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부에 수용된 산성용액은 산 0.01 ~ 50 중량%에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부로 수용된 산성용액은 제1 수납부의 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5 중량부로 되는 분량으로 수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머드팩.
KR1020150150432A 2015-10-28 2015-10-28 이산화탄소 머드팩 KR10178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32A KR101785702B1 (ko) 2015-10-28 2015-10-28 이산화탄소 머드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32A KR101785702B1 (ko) 2015-10-28 2015-10-28 이산화탄소 머드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59A KR20170049259A (ko) 2017-05-10
KR101785702B1 true KR101785702B1 (ko) 2017-10-16

Family

ID=5874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32A KR101785702B1 (ko) 2015-10-28 2015-10-28 이산화탄소 머드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008B1 (ko) * 2019-01-07 2020-03-20 (주)바이오스플래시 흡수성이 뛰어난 충진식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71Y1 (ko) * 2008-10-02 2011-08-23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JP5159967B1 (ja) * 2011-08-31 2013-03-13 株式会社ミリオナ化粧品 パック用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71Y1 (ko) * 2008-10-02 2011-08-23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포장대
JP5159967B1 (ja) * 2011-08-31 2013-03-13 株式会社ミリオナ化粧品 パック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008B1 (ko) * 2019-01-07 2020-03-20 (주)바이오스플래시 흡수성이 뛰어난 충진식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59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8516B1 (en) Composition and manufacture of topic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semi-solid post-foaming dosage forms in a pouch
JP4166931B2 (ja) 発熱フォーム化粧料
JP2002047136A5 (ko)
JP2003504285A (ja) 自己加熱可撓性パッケージ
CN101171041A (zh) 释放香料的包装
KR20020095000A (ko) 스킨케어 파우치
KR101785702B1 (ko) 이산화탄소 머드팩
CN108366946A (zh) 多组分漂白系统
KR102323102B1 (ko) 층 구조를 갖는 일체형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JPWO2003035019A1 (ja) 歯磨剤
CA2345014A1 (en) Packaged cosmetic effervescent cleansing pillow
JP2013213013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WO2004112739A1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s
JPS5840927B2 (ja) 口腔用組成物
JP2823580B2 (ja) 発泡性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02626A (ja) 非水化粧料
US6736266B2 (en) Package system for storing cosmetic effervescent cleansing sachets
JP2013241388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2004175673A5 (ko)
JP6444751B2 (ja) 圧縮成型化粧料
JP6415772B1 (ja) 化粧材袋詰め包装、化粧用セット、及び肌化粧のための水素を含有する化粧用ジェルの作成方法
JP2002363055A5 (ko)
CN215708573U (zh) 牙膏粒凝珠
JP2015113288A (ja) 入浴剤成型物
JP6378456B1 (ja) 化粧料分配包装体、水素ガス含有化粧料形成のための組成物の分配方法及び水素含有化粧料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