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344B1 -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344B1
KR101785344B1 KR1020150190185A KR20150190185A KR101785344B1 KR 101785344 B1 KR101785344 B1 KR 101785344B1 KR 1020150190185 A KR1020150190185 A KR 1020150190185A KR 20150190185 A KR20150190185 A KR 20150190185A KR 101785344 B1 KR101785344 B1 KR 10178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load
predicted
actu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513A (ko
Inventor
김세창
진보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5019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344B1/ko
Priority to US16/067,423 priority patent/US20190027936A1/en
Priority to PCT/KR2016/015207 priority patent/WO2017116084A1/ko
Publication of KR2017007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voltage or current in AC suppl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 G05B13/041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in which a variabl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4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 G05B13/048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using a predi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6Scheduling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s, e.g. connecting or disconnecting generators to meet a given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2003/00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 실측값과 발전량 실측값을 토대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은 발전량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실측부, 발전량값을 예측하는 발전량값 예측부, 부하값을 실측하는 부하값 실측부, 부하값을 예측하는 부하값 예측부, 및 발전량값 실측부와 발전량값 예측부의 차이값 및 부하값 실측부와 부하값 예측부의 차이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피크컷값, 로드레벨링값,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부, 및 보정값 계산부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ower supplying}
본 발명은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이용하는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부하 예측값과 발전량 예측값을 토대로 산출한 피크컷(peak cut)값과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실측값을 바탕으로 보정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와 함께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설치하여, 전력 소비자단(예를 들어, 주택, 빌딩, 공장)에서의 전력 저장 및 소비가 가능한 구조로 진화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ESS 를 통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12-0135394호에서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 충전 또는 방전 제어 신호에 따른 배터리, 신 재생에너지 및 계통 각각의 전력 관계에 기초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전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 모드를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고, 이에 따라 전력 접점단(DC-link)에서 배터리, 신 재생에너지, 및 계통 각각의 전력 관계가 '0'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전 모드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전일에 계산된 부하예측값과 신재생 발전량 예측값을 토대로 산출된 스케줄 대로 ESS 자동 충방전 운전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어, 실시간 현장 상황과는 무관하게 기설정된 피크컷(peak cut)값과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이 적용되도록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부하 사용에 대한 피크(peak)값을 제대로 낮추지 못하는 한편, ESS(Energy Storage System) 활용률을 최대화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12-0135394호(2012.11.27)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부하 실측값과 발전량 실측값을 토대로 현장 상황에 맞게 피크컷(peak cut)값과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조정함으로써, 부하 사용의 피크(Peak)값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부하 실측값과 발전량 실측값을 토대로 기산출된 부하 예측값과 발전량 예측값을 보정함으로써, 부하 예측값 및 발전량 예측값을 바탕으로 설정하는 피크컷(peak cut)값과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발전량값 및 부하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및 부하값 실측 단계, 발전량값 및 부하값 실측 단계에서 실측한 발전량값 및 부하값과 미리 예측한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을 비교하는 실측값 및 예측값 비교 단계, 및 실측값 및 예측값 비교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피크컷(peak cut)값,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 단계, 및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공급 잔여량 판단 단계, 및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고,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피크컷(peak cut) 하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큰지 확인하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이 피크컷업(peak cut up) 시 방전 감소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공급 부족량 판단 단계, 및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크고,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이 피크컷업(peak cut up) 시 방전 감소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피크컷(peak cut) 상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큰지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 시 충전 감소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과충전량 판단 단계, 및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크고,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 시 충전 감소량 보다 큰 경우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하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부족 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 시 추가 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충전 부족량 판단 단계, 및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작고, 배터리 부족 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 시 추가 충전량 보다 큰 경우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상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했는지 확인하는 예측 부하값 상한 초과 확인 단계 및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예측 부하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예측 부하값 하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확인하는 예측 부하값 하한 미달 확인 단계 및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될 경우 예측 부하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예측 부하값 상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했는지 확인하는 예측 발전량값 상한 초과 확인 단계 및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예측 발전량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예측 발전량값 하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확인하는 예측 발전량값 하한 미달 확인 단계 및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될 경우 예측 발전량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예측 발전량값 상향 조정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은 발전량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실측부, 발전량값을 예측하는 발전량값 예측부, 부하값을 실측하는 부하값 실측부, 부하값을 예측하는 부하값 예측부, 및 발전량값 실측부와 발전량값 예측부의 출력차이 및 부하값 실측부와 부하값 예측부의 출력차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피크컷(peak cut)값,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부, 및 보정값 계산부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현재의 부하 실측값과 발전량 실측값을 토대로 현장 상황에 맞게 피크컷(peak cut)값과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조정함으로써, 부하 사용의 피크(Peak)값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부하 실측값과 발전량 실측값을 토대로 기산출된 부하 예측값과 발전량 예측값을 보정함으로써, 부하 예측값 및 발전량 예측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ESS 운영 전 기설정된 부하 예측값, 피크컷(peak cut)값, 및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ESS 운영 후 부하 실측값이 부하 예측값 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ESS 운영 후 부하 실측값이 부하 예측값 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업(peak cut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업(peak cut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예측 부하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보정을 통해 예측 발전량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은 발전량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실측부(110), 발전량값을 예측하는 발전량값 예측부(120), 부하값을 실측하는 부하값 실측부(170), 부하값을 예측하는 부하값 예측부(160), 및 발전량값 실측부(110)와 발전량값 예측부(120)의 차이값 및 부하값 실측부(170)와 부하값 예측부(160)의 차이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피크컷(peak cut)값,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부(150) 및 보정값 계산부(150)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부(18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정값 계산부(150)는 피크컷(peak cut)값을 상하로 제어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이 최대한 이루어져 부하 사용의 피크(Peak)값을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제어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이 최대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활용률을 최대화 한다.
한편, 보정값 계산부(150)는 예측 발전량값과 예측 부하값을 실시간으로 보정하여 실제 발전량과 실제 부하량에 가깝도록 제어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과 계통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ESS 운영 전 기설정된 부하 예측값, 피크컷(peak cut)값, 및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부하 예측값(210)은 통계 분석에 의해 부하를 예측한값으로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하루 전에 산출되어 입력될 수 있다.
피크컷(peak cut)값(220)은 실제 부하가 피크컷(peak cut)값(220)을 넘을 경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준값을 나타낸다.
한편,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은 실제 부하가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 이하일 경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을 위해 계통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는값이며, 이때, ESS(Energy Storage System)은 부하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만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과 피크컷(peak cut)값(220) 사이에 실제 부하가 있을 경우 ESS(Energy Storage System)은 충전 내지 방전을 수행하지 않으며, 계통 전력이 부하에 공급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4에서는 피크컷(peak cut)값(220)이 효율적으로 설정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도 3은 ESS 운영 후 부하 실측값이 부하 예측값 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 부하값(310)이 부하 예측값(210)보다 클 경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이 예측보다 많이 수행되어 조기 방전이 초래된다.
이때,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이 모두 이루어질 경우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의한 피크컷(peak cut)이 제대로 수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제 부하값(310)의 추이에 따라 피크컷(peak cut)값(220)을 적절히 상향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4는 ESS 운영 후 부하 실측값이 부하 예측값 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 부하값(310)이 부하 예측값(210)보다 작을 경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이 모두 이루어 지지 않아 잉여 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실제 부하값(310)의 추이에 따라 피크컷(peak cut)값(220)을 적절히 하향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 내지 도 15는 도 5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및 순서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발전량값 및 부하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및 부하값 실측 단계(S100), 발전량값 및 부하값 실측 단계(S100)에서 실측한 발전량값 및 부하값과 미리 예측한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을 비교하는 실측값 및 예측값 비교 단계(S200), 및 실측값 및 예측값 비교 단계(S200)에서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피크컷(peak cut)값,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 단계(S300), 및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 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피크컷(peak cut)값을 상하로 제어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이 최대한 이루어져 부하 사용의 피크(Peak)값을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을 제어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이 최대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활용률을 최대화 한다.
한편,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예측 발전량값과 예측 부하값을 실시간으로 보정하여 실제 발전량과 실제 부하에 가깝도록 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방전과 계통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시간(610)에 실제 부하값(310)이 부하 예측값(210)보다 낮아 ESS(Energy Storage System)이 일부 방전만 수행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보다 낮을 경우에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량을 늘릴 수 있다.
여기서, 조정되는 소정값은 전력 공급 시스템의 설치 현장 및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도 동일하다.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 후 남아 있을 예상 잔여량을 나타내며, 현재시간(610)까지 일정시간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결과를 토대로 예측할 수 있으며, 피크컷다운(peak cut down)시 추가 방전량(630)은 피크컷(peak cut)값(220)을 피크컷다운(peak cut down)값(620)으로 낮출 때 추가로 방전할 수 있는 방전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 비교 단계(S311),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공급 잔여량 판단 단계(S312), 및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고,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피크컷(peak cut) 하향 조정 단계(S3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크컷(peak cut) 하향 조정 단계(S313)에서 피크컷(peak cut)값을 하향 조정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량을 늘려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업(peak cut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시간(710)에 실제 부하값(310)이 부하 예측값(210)보다 높아 ESS(Energy Storage System)이 조기 방전될 경우 피크컷(peak cut)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높을 경우에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량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 후 공급 부족으로 예상되는 부족량을 나타내며, 현재시간(710)까지 일정시간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결과를 토대로 예측할 수 있으며, 피크컷업(peak cut up)시 방전 감소량(730)은 피크컷(peak cut)값(220)을 피크컷업(peak cut up)값(720)으로 높일 때 감소되는 방전 감소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피크컷업(peak cut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큰지 확인하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 비교 단계(S321),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이 피크컷업(peak cut up) 시 방전 감소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공급 부족량 판단 단계(S322), 및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크고,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이 피크컷업(peak cut up) 시 방전 감소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피크컷(peak cut) 상향 조정 단계(S32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크컷(peak cut) 상향 조정 단계(S323)에서 피크컷(peak cut)값을 상향 조정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방전량을 줄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조기 방전을 방지하고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의한 피크컷(peak cut)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시간(101)에 실제 부하값(310)이 부하 예측값(210)보다 낮아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과 실제 부하값(310) 차이만큼 ESS(Energy Storage System)을 충전하는 전력이 많아져 ESS(Energy Storage System)이 과충전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높을 경우에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량을 낮출 수 있다.
이때,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과잉 충전으로 예상되는 과잉량을 나타내고, 현재시간(101)까지 일정시간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결과를 토대로 예측할 수 있으며,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시 충전 감소량(102)은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을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값(103)으로 낮출 때 감소되는 충전 감소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큰지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 비교 단계(S331),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 시 충전 감소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과충전량 판단 단계(S332), 및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크고,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 시 충전 감소량 보다 큰 경우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하향 조정 단계(S33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하향 조정 단계(S333)에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을 하향 조정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량을 줄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과충전을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11에 실제 부하값(310)이 부하 예측값(210)보다 높아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과 실제 부하값(310) 차이만큼 ESS(Energy Storage System)을 충전하는 전력이 적어져 ESS(Energy Storage System)이 충전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낮을 경우에 로드레벨링(load leveling)을 상향 조정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량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충전 부족 예상량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예상되는 충전 부족량을 나타내고, 현재시간(121)까지 일정시간 실제 부하값(310)을 누적한 결과를 토대로 예측할 수 있으며,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시 충전 증가량(123)은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230)을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값(122)으로 높일 때 증가되는 충전 증가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 비교 단계(S341), 배터리 부족 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 시 추가 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충전 부족량 판단 단계(S342), 및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작고, 배터리 부족 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 시 추가 충전량 보다 큰 경우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상향 조정 단계(S3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상향 조정 단계(S343)에서 로드레벨링(load leveling)을 상향 조정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량을 높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충전 부족을 방지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예측 부하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예측 부하값의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했는지 확인하는 예측 부하값 상한 초과 확인 단계(S351) 및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예측 부하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예측 부하값 하향 조정 단계(S354)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확인하는 예측 부하값 하한 미달 확인 단계(S352) 및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될 경우 예측 부하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예측 부하값 상향 조정 단계(S3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예측 부하값의 누적 에러는 일정한 시간 동안 예측 부하값과 실제 부하값의 차이를 누적하여 평균한값을 적용할 수 있다.
예측 부하값의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하면 부하를 과잉 예측한 것이므로 예측 부하값을 낮출 필요가 있다. 또한, 예측 부하값의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면 부하를 과소 예측한 것이므로 예측 부하값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예측 부하값의 누적 에러를 토대로 예측 부하값을 조정하여 적절한 피크컷(peak cut) 및 로드레벨링(load leveling)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과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도 5의 보정값 계산 단계(S300)에서 보정을 통해 예측 발전량값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했는지 확인하는 예측 발전량값 상한 초과 확인 단계(S361) 및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예측 발전량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예측 발전량값 하향 조정 단계(S364)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정값 계산 단계(S300)는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확인하는 예측 발전량값 하한 미달 확인 단계(S362) 및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될 경우 예측 발전량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예측 발전량값 상향 조정 단계(S36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량에 대한 예측 발전량값의 누적 에러는 일정한 시간 동안 예측 발전량값과 실제 발전량값의 차이를 누적하여 평균한값을 적용할 수 있다.
예측 발전량값의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하면 발전량을 과잉 예측한 것이므로 예측 발전량값을 낮출 필요가 있다. 또한, 예측 발전량값의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면 발전량을 부족하게 예측한 것이므로 예측 발전량값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예측 발전량값의 누적 에러를 토대로 예측 발전량값을 조정하여 적절한 피크컷(peak cut) 및 로드레벨링(load leveling)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과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현재의 부하 실측값과 발전량 실측값을 토대로 현장 상황에 맞게 피크컷(peak cut)값을 조정함으로써, 부하 사용의 피크(Peak)값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또한 현장 상황에 맞게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조정함으로써,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활용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들은 다양한 실시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발전량값 및 부하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및 부하값 실측 단계;
    상기 발전량값 및 부하값 실측 단계에서 실측한 상기 발전량값 및 상기 부하값과 미리 예측한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을 비교하는 실측값 및 예측값 비교 단계;
    상기 실측값 및 예측값 비교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피크컷(peak cut)값,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 상기 예측 발전량값, 및 상기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 단계; 및
    상기 보정값 계산 단계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공급 잔여량 판단 단계; 및
    상기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상기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고, 상기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상기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피크컷(peak cut) 하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큰지 확인하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이 피크컷업(peak cut up) 시 방전 감소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공급 부족량 판단 단계; 및
    상기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상기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크고, 상기 배터리 공급 부족 예상량이 상기 피크컷업(peak cut up) 시 방전 감소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피크컷(peak cut) 상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큰지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 시 충전 감소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과충전량 판단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상기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크고, 상기 배터리 과충전 예상량이 상기 로드레벨링다운(load leveling down) 시 충전 감소량 보다 큰 경우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하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 실측값 비교 단계;
    배터리 부족 충전 예상량이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 시 추가 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는 예상 충전 부족량 판단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충전 실측값이 상기 배터리 충전 예측값 보다 작고, 상기 배터리 부족 충전 예상량이 상기 로드레벨링업(load leveling up) 시 추가 충전량 보다 큰 경우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로드레벨링(load leveling) 상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했는지 확인하는 예측 부하값 상한 초과 확인 단계; 및
    상기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상기 상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예측 부하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예측 부하값 하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확인하는 예측 부하값 하한 미달 확인 단계; 및
    상기 예측 부하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될 경우 상기 예측 부하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예측 부하값 상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상한 기준값을 초과했는지 확인하는 예측 발전량값 상한 초과 확인 단계; 및
    상기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상기 상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예측 발전량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예측 발전량값 하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보정값 계산 단계는,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되는지 확인하는 예측 발전량값 하한 미달 확인 단계; 및
    상기 예측 발전량값 누적에러가 하한 기준값에 미달될 경우 상기 예측 발전량값을 소정값만큼 상향 조정하는 예측 발전량값 상향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10. 현재 발전량값을 실측하는 발전량값 실측부;
    발전량값을 예측하는 발전량값 예측부;
    현재 부하값을 실측하는 부하값 실측부;
    부하값을 예측하는 부하값 예측부; 및
    상기 발전량값 실측부와 상기 발전량값 예측부의 차이값 및 상기 부하값 실측부와 상기 부하값 예측부의 차이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토대로 피크컷(peak cut)값, 로드레벨링(load leveling)값, 예측 발전량값, 및 예측 부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값 계산부; 및
    상기 보정값 계산부에서 산출된 보정값을 적용하여 ESS 충방전 출력을 제어하는 ESS 충방전 출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 계산부는,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은지 확인하고,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지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 방전 실측값이 상기 배터리 방전 예측값 보다 작고, 상기 배터리 방전 예상 잔여량이 상기 피크컷다운(peak cut down) 시 추가 방전량 보다 큰 경우 피크컷(peak cut)값을 소정값만큼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시스템.
KR1020150190185A 2015-12-30 2015-12-30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178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85A KR101785344B1 (ko) 2015-12-30 2015-12-30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6/067,423 US20190027936A1 (en) 2015-12-30 2016-12-23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system
PCT/KR2016/015207 WO2017116084A1 (ko) 2015-12-30 2016-12-23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85A KR101785344B1 (ko) 2015-12-30 2015-12-30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13A KR20170079513A (ko) 2017-07-10
KR101785344B1 true KR101785344B1 (ko) 2017-10-17

Family

ID=5922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185A KR101785344B1 (ko) 2015-12-30 2015-12-30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27936A1 (ko)
KR (1) KR101785344B1 (ko)
WO (1) WO2017116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96B1 (ko) * 2018-01-19 2021-01-08 엘에스일렉트릭(주) 태양광발전 장치
KR102332937B1 (ko) * 2018-02-14 2021-12-01 주식회사 에코전력 지역 기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KR102185494B1 (ko) * 2018-10-08 2020-12-02 주식회사 시너젠 피크컷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4140176B (zh) * 2022-01-30 2022-04-26 国网浙江电动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负荷聚集平台的可调容量预测方法及装置
US11451060B1 (en) * 2022-01-31 2022-09-20 8Me Nova, Llc Consistent power delivery via power delivery limi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402A (ja) * 2005-04-15 2006-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型エネルギーシステムの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1503B2 (ja) * 2003-03-12 2006-06-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電計画・電力売買計画作成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94910B2 (ja) * 2003-05-08 2007-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売買支援システム
JP4064334B2 (ja) * 2003-11-06 2008-03-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エネルギー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6288151A (ja) * 2005-04-04 2006-10-19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需給制御システム、電力需給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6047929B2 (ja) * 2012-05-31 2016-1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制御装置
US9568900B2 (en) * 2012-12-11 2017-02-14 Opterra Energy Ser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that is decoupled from a power gri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402A (ja) * 2005-04-15 2006-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型エネルギーシステムの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7936A1 (en) 2019-01-24
WO2017116084A1 (ko) 2017-07-06
KR20170079513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344B1 (ko) 전력 공급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5095495B2 (ja) 電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571720B2 (en) Supply-demand balance controller
CN108292860B (zh) 电力控制装置、运转计划制定方法以及记录介质
Weniger et al. Integration of PV power and load forecasts into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PV battery systems
JP5520365B2 (ja) 系統安定化システム、電力供給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US10615602B2 (en)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control device
WO2011118766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系統安定化システム、集中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集中管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192531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51648B2 (en) Battery charge method and device
CN106329553A (zh) 风电场运行控制装置、方法以及风电场系统
CN112868157A (zh) 用于将电功率馈送到供电网中的方法和风电场
US20200389029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customer connected to power network and having load apparatus and power storage apparatus
JP7284559B2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池制御プログラム
KR102050967B1 (ko) 한국형 전력요금제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 운용방법 및 시스템
JP5475019B2 (ja) 電力供給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発電システム
JPWO2011078215A1 (ja) 電力供給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発電システム
US20220161687A1 (en) Energy system control
JP6383301B2 (ja) 電力貯蔵装置の制御装置、風力発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貯蔵装置の制御方法
JP6228702B2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84060B2 (ja) 電力監視制御装置、電力監視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68723B1 (ko) 충전율 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96712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구매 비용 결정 방법
JP5992748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6049008A (ja) 蓄電池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