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993B1 -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993B1
KR101784993B1 KR1020160164951A KR20160164951A KR101784993B1 KR 101784993 B1 KR101784993 B1 KR 101784993B1 KR 1020160164951 A KR1020160164951 A KR 1020160164951A KR 20160164951 A KR20160164951 A KR 20160164951A KR 101784993 B1 KR101784993 B1 KR 10178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 ring
fire hydrant
couplers
ring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기
Original Assignee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6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03B9/06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전(20)을 감싸는 보호링(3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좌우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상향연결관(35)(36); 보호링(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소화전(20)을 감싸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할되는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한쪽 단부에서 상향연결관(35)(36)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향연결관(42)(52); 하향연결관(42)(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수커플러(44)(54); 상향연결관(35)(3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수커플러(44)(54)와 결합되는 원추형의 암커플러(37)(38); 수커플러(44)(54)와 암커플러(37)(38)를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하향연결관(42)(52)와 상향연결관(35)(36)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핀(45)(55);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내측에서 미끄러지면서 양쪽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에 빗장형태로 걸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해제되는 중심축(46)(56); 중심축(46)(56)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핀(47)(57); 슬라이드핀(47)(57)을 걸림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유지하거나 안내하는 가이드장공(48)(5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Architectural Fire Hydrant Protector}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로부터 소화전을 보호하는데 적용되는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해서 소방호스와 소화전의 접속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화재시 소방호스를 상수도의 급수관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으로 구별된다. 이 중에 지상식 옥외소화전은 보통 차도와 보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야간 또는 눈이 내릴 때 소화전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지상식 옥외소화전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에 설치되기 때문에 주변을 운행하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소화전이 전도하거나 누수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 소화전 주위를 감싸는 보호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소화전 보호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10)의 주위를 감싸는 파이프 형태의 볼라드(12)가 바닥(14)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이와 같은 볼라드(12)는 바닥(1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방호스(도시생략)를 소화전(10)에 접속할 때 볼라드(12)에 의해 방해되고, 소화전(10)과 볼라드(12)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서 소방호스 체결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4162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서는 볼라드를 개방해서 펼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펼친 후 점유공간이 넓어서 설치공간에 많은 제한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334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868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41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화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해서 소방호스를 소화전에 접속할 때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개방시 보호장치가 점유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는, 소화전을 감싸는 보호링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좌우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상향연결관; 보호링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소화전을 감싸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할되는 전방분할링과 후방분할링; 전방분할링과 후방분할링의 한쪽 단부에서 상향연결관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향연결관; 전방분할링과 후방분할링의 내측에서 미끄러지면서 양쪽 전방분할링과 후방분할링에 빗장형태로 걸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해제되는 중심축; 중심축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핀; 슬라이드핀을 걸림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유지하거나 안내하는 가이드장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에 있어서,
하향연결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수커플러; 상향연결관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수커플러와 결합되는 원추형의 암커플러; 수커플러와 암커플러를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하향연결관와 상향연결관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분할링과 후방분할링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전방분할링과 후방분할링이 상기 보호링의 측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좌측 또는 우측의 고정핀(45)(55)을 분리한 다음 슬라이드핀(47)(57)을 이용해서 중심축(46)(56)을 후진시키거나 전진시키면, 전방분할링(40) 또는 후방분할링(50)을 회전시켜서 소화전(20)의 전방 또는 후방을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방분할링(40) 또는 후방분할링(50)이 270도 회전시키면, 전방분할링(40) 또는 후방분할링(50)이 보호링(30)의 측면에 근접되기 때문에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에 의한 점유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소화전(20)을 설치할 때 필요로 하는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커플러(44)(54)와 암커플러(37)(38)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분할링(40) 또는 후방분할링(50)을 닫을 때 수커플러(44)(54)와 암커플러(37)(38)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가이드장공(48)(58)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48a)(48b)에 의해 슬라이드핀(47)(57)의 걸림위치 또는 해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좌우측에 위치된 두 개의 고정핀(45)(55)을 모두 분리하게 되면,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을 보호링(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화전 보호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전방분할링이 개방된 것으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전방분할링이 개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화전(20)을 감싸는 보호링(3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좌우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상향연결관(35)(36); 상향연결관(35)(36)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향연결관(42)(52)을 포함한다.
보호링(30)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22)에 박아서 세운 지주(31)(32)(33)(34)를 이용해서 보호링(30)을 바닥(22)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설치하고, 보호링(30)과 지주(31)(32)(33)(34)는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은, 예를 들면 원형파이프를 이용해서 U-자 모양으로 벤딩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양단이 서로 만날 때 타원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고, 개방된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이 보호링(30)의 측면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은 하향연결관(42)(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수커플러(44)(54); 상향연결관(35)(3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수커플러(44)(54)와 결합되는 원추형의 암커플러(37)(38); 수커플러(44)(54)와 암커플러(37)(38)를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암커플러(37)(38)와 수커플러(44)(54)를 통해 하향연결관(42)(52)과 상향연결관(35)(36)을 연결하는 고정핀(45)(55)을 포함한다.
수커플러(44)(54)는, 하향연결관(42)(52)으로 삽입되는 인서트부(44s)(54s)와, 하향연결관(42)(52)의 하단부에 용접되는 플랜지(44p)(54p)를 가지며, 암커플러(37)(38)는 상향연결관(35)(36)으로 삽입되며, 상향연결관(35)(36)의 상단부에 용접되는 플랜지(37p)(38p)를 갖는다.
수커플러(44)(54)는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뿔이 잘린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암커플러(37)(38)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원추형구멍(37h)(38h)을 갖는다.
수커플러(44)(54)와 암커플러(37)(38) 및 상향연결관(35)(36)에는 고정핀(45)(55)을 삽입하기 위한 핀구멍(44n)(54n)(35n)(36n)(37n)(38n)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하며, 고정핀(45)(55)의 한쪽 단부에는 손잡이(45h)(55h)를 형성해서 손으로 잡고 취급하기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빗장형태로 걸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해제되는 중심축(46)(56); 중심축(46)(56)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핀(47)(57); 슬라이드핀(47)(57)을 걸림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유지하거나 안내하는 가이드장공(48)(58)을 포함한다.
중심축(46)(56)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핀(47)(57)을 축의 직각방향으로 압입하기 위한 압입구멍(46h)(56h)이 형성되며, 가이드장공(48)(58)의 양단에는 걸림홈(48a)(48b)을 아래쪽 방향으로 각각 형성해서 슬라이드핀(47)(57)이 걸림위치 또는 해제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링(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할되면서 소화전(20)을 감싸고, 한쪽 단부에 하향연결관(42)(52)이 형성되고, 중심축(46)(56)이 경계면 내측에서 미끄러지는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을 포함한다.
즉, 중심축(46)(56)이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내측에서 미끄러지면서 양쪽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에 빗장형태로 걸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해제된다.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은, 예를 들면 원형파이프를 이용해서 U-자 모양으로 벤딩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양단이 서로 만날 때 타원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좌측에 설치된 고정핀(45)을 암커플러(37)와 수커플러(44)로부터 분리한 다음 좌측에 설치된 슬라이드핀(47)을 가이드장공(48)을 따라 후진시켜서 중심축(46)을 후방분할링(50)으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전방분할링(40)을 도 3 및 도 5의 화살표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방분할링(40)이 우측의 중심축(5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분할링(40)이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전되면, 소화전(20)의 전방측이 개방되어 소방호스(도시생략)의 접속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전방분할링(40)이 270도 회전된 상태에서 보호링(30)의 우측에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개방된 전방분할링(40)에 의한 점유공간은 매우 작게 된다.
이때 후방분할링(50)은 우측에 설치된 고정핀(55)에 의해 결합된 암커플러(38)와 수커플러(54) 및 상향연결관(36)과 하향연결관(52)에 의해 보호링(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우측에 설치된 중심축(56)이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경계부분을 가로질러서 빗장형태로 걸쳐있기 때문에 후방분할링(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소화전(20)의 후방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전방분할링(40)이 닫힌 상태에서 우측의 고정핀(55)을 분리하고 우측의 중심축(56)을 전방분할링(40)을 향해 전진시키게 되면, 후방분할링(50)을 좌측의 중심축(4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개방할 수 있게 되며, 다른 예로 좌우측에 설치된 두 개의 고정핀(45)(55)을 모두 분리하게 되면,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을 보호링(3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할 있게 된다.
20 : 소화전 22 : 바닥
30 : 보호링 31,32,33,34 : 지주
35,36 : 상향연결관 37,38 : 암커플러
37h,38h : 원추형구멍 40 : 전방분할링
50 : 후방분할링 42,52 : 하향연결관
44,54 : 수커플러 44s,54s : 인서트부
44p,54p,37p,38p : 플랜지 44n,54n,35n,36n,37n,38n : 핀구멍
45,55 : 고정핀 45h,55h : 손잡이
46,56 : 중심축 46h,56h : 압입구멍
47,57 : 슬라이드핀 48,58 : 가이드장공
48a,48b : 걸림홈

Claims (1)

  1. 소화전(20)을 감싸는 보호링(3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서로 좌우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상향연결관(35)(36);
    상기 보호링(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소화전(20)을 감싸고, 전후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할되는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
    상기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한쪽 단부에서 상기 상향연결관(35)(36)을 향해 하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하향연결관(42)(52);
    상기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의 내측에서 미끄러지면서 양쪽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에 빗장형태로 걸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해제되는 중심축(46)(56);
    상기 중심축(46)(56)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핀(47)(57);
    상기 슬라이드핀(47)(57)을 걸림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유지하거나 안내하는 가이드장공(48)(58);
    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향연결관(42)(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원추형의 수커플러(44)(54);
    상기 상향연결관(35)(3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커플러(44)(54)와 결합되는 원추형의 암커플러(37)(38);
    상기 수커플러(44)(54)와 암커플러(37)(38)를 축의 직각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하향연결관(42)(52)와 상향연결관(35)(36)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핀(45)(55);
    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전방분할링(40)과 후방분할링(50)이 상기 보호링(30)의 측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KR1020160164951A 2016-12-06 2016-12-06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KR10178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51A KR101784993B1 (ko) 2016-12-06 2016-12-06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51A KR101784993B1 (ko) 2016-12-06 2016-12-06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993B1 true KR101784993B1 (ko) 2017-10-16

Family

ID=6029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951A KR101784993B1 (ko) 2016-12-06 2016-12-06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36B1 (ko) * 2023-01-18 2023-12-01 조병우 건축물의 소화전 보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82Y1 (ko) * 2001-04-06 2001-10-11 김현 지하 매설식 소화전
JP2007330713A (ja) * 2006-06-19 2007-12-27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KR101634162B1 (ko) * 2016-04-28 2016-07-2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화전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82Y1 (ko) * 2001-04-06 2001-10-11 김현 지하 매설식 소화전
JP2007330713A (ja) * 2006-06-19 2007-12-27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KR101634162B1 (ko) * 2016-04-28 2016-07-2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소화전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36B1 (ko) * 2023-01-18 2023-12-01 조병우 건축물의 소화전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1394T3 (es) Mejoras en o relativas a acoplamientos de tubo para conectar un par de conductos para pasar un cable
KR101784993B1 (ko)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US10274106B2 (en) Pullhead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US9225156B2 (en) Conduit spacer assembly
KR101784246B1 (ko)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CN107975652B (zh) 管维修工具
EP2594000B1 (en)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ITUA20163802A1 (it)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e protezione di tipo perfezionato
KR200484774Y1 (ko) 배관용 마개
KR20110040014A (ko) 케이블 안내용 입상관
KR102112848B1 (ko) 안전 배관공사용 배관설치장치
DE102013004711B4 (de) Verfahren zum Verlegen von Kabeln und anderen Versorgungsleitungen im Erdreich und geeignete Verlegungseinrichtung
KR101713052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수밀 시험용 안전장치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US2017005149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ross bore safeguard during sewer systems cleanouts
KR200388686Y1 (ko) 맨홀뚜껑개폐공구
KR101906382B1 (ko)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KR20110014350A (ko) 통신케이블 보호관용 분기관 연결소켓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EP2189584A1 (en) Hydraulic circuit for the downflow of water from a tunnel, in particular water of a fire fighting plant
FR2546557A1 (fr) Element de traversee de paroi murale pour conduits d'equipement d'un batiment
JP3708043B2 (ja) 下水道本管補修方法
US1827239A (en) Pressure-operated device for leading wires through cond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