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282Y1 - 지하 매설식 소화전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식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282Y1
KR200238282Y1 KR2020010009674U KR20010009674U KR200238282Y1 KR 200238282 Y1 KR200238282 Y1 KR 200238282Y1 KR 2020010009674 U KR2020010009674 U KR 2020010009674U KR 20010009674 U KR20010009674 U KR 20010009674U KR 200238282 Y1 KR200238282 Y1 KR 200238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upling
fire hydrant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 filed Critical 김현
Priority to KR2020010009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282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전을 통한 소방용수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외부 노출에 따른 소화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뚜껑이 구비되는 맨홀을 묻고 맨홀의 내측에 소화전을 설치하는 것이며, 소화전에는 펌프로부터 소방용수를 전달받아 소화전으로 보내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는 드레인밸브를 구비시킨 것과, 연결관의 상측에 스탠드파이프를 장착하고 스탠드파이프와 연결관의 사이에는 밸브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스탠드파이프의 상단에는 밸브개폐수단의 패킹을 개폐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장착하며, 스탠드파이프의 상단 양측으로 엘보우를 장착하고, 엘보우의 상단에는 소방호스를 장착시키기 위한 커플링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지하 매설식 소화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매설식 소화전 {underground Fire hydrant}
본 고안은 소화전을 통한 소방용수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외부 노출에 따른 소화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지하에 뚜껑이 구비되는 맨홀을 묻고 맨홀의 내측에 소화전을 장착하는 것이며, 소화전에는 펌프로부터 소방용수를 전달받아 소화전으로 보내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는 드레인밸브를 구비시킨 것과, 연결관의 상측에 스탠드파이프를 장착하고 스탠드파이프와 연결관의 사이에는 밸브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스탠드파이프의 상단에는 밸브개폐수단의 패킹을 개폐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장착하며, 스탠드파이프의 상단 양측으로 엘보우를 장착하고, 엘보우의 상단에는 소방호스를 장착시키기 위한 커플링수단을 구비하는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소화전은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소방차가 진입하기 전에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하고자 할 때에 사용되어진다.
통상적으로 소화전은 지상에 노출되어 설치되거나 건물의 외벽에 돌출 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노출형의 소화전은 공사비와 유지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공간활용성이 떨어지고 차량 등의 추돌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소화전은 도심 및 주택가에 설치되어지는 시설물이고 설치되는 장소는 대부분 사유지(건물 등)이므로 소화전이 설치되는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어 사유지 또는 건물소유자 및 인근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진입로가 좁아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골목길 및 주택가 등에서는 보행통로에 소화전을 설치할 경우 통행에 불편이 가중되어 소화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선 듯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공보 등록 제20-0209667호 지하 매설식 소화전이 제안되었다
상기의 지하 매설식 소화전은 소화전을 맨홀방식으로 하여 지하에 매설하도록 함으로서, 소방용수의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외부 노출에 따른 소화전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지하매설식 소화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하측 면으로 일정크기의 구멍(2a)을 가공시킨 소화전박스(2)를 지하에 매설시키고, 상기 소화전박스(2)에는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손잡이(3a)를 형성시킨 소화전커버(3)를 덮은 것이다.
소화전박스(2)의 내부에는 소방호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도록 일정경사각의 제 1 및 제 2 방사관(4a)(4b)을 갖는 호스연결관(4)이 장착되고, 볼트(10) 및 너트(11)로 상기 호스연결관(4) 및 지하 물탱크의 연결관(1)과 연결시키되 지면 속에 매설되어 소방용수의 방수를 안내하는 스텐드파이프(5)를 장착되어진다.
상기 호스연결관(4)의 제 1 및 제 2 방사관(4a)(4b) 사이에는 그 내부에 암나사(6a)가 가공된 회동부재(6)가 장착되고, 상기 회동부재(6)의 암나사(6a)와 체결되도록 수나사(7a)를 가공하여 상기 회동부재(6)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장방향의 이송축(7)이 체결된다.
상기 이송축(7)의 타측단에는 이송축(7)의 상하방향 이송에 따라 슬라이드 동작으로 개폐되어 소방용수의 방수를 제어하는 개폐부재(8)가 장착되고, 개폐부재(8)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되 소방용수의 방수를 위한 개폐구(9a)와 소방용수의 드레인을 위한 드레인구멍(9b)이 형성된 개폐안내부(9)가 장착된다.
상기 개폐부재(8)는 지하 물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의 방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이송축(7)의 상하방향 이송에 따라 연동하여 개폐안내부(9)의 개폐구(9a)에서 개폐 동작하는 개폐부(8a)가 구성되고, 개폐부(8a)의 개폐동작에 따라 개폐안내부(9)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을 하여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연결관(1)의 드레인구멍(P)과 개폐안내부(9)의 드레인구멍(9b)을 개방 또는 닫도록 양측으로 드레인구멍(8d)이 가공된 드레인차단막(8b)이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차단막(8b)의 양면에는 고무패킹(8c)이 부착되어 소방용수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하 매설식 소화전은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진다.
먼저, 작업자(소방수)가 지면에 위치하는 소화전커버(3)의 손잡이(3a)를 잡아당기면 소화전커버(3)는 열리게 되고 지하에 매설된 소화전박스(2)에 위치하는 호스연결관(4)이 보이게 된다.
상기 호스연결관(4)의 제 1 및 제 2 방사관(4a)(4b)에 위치하는 덮개(4c)를 제거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방사관(4a)(4b)에 소방용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방사관(4a)(4b)사이에 위치하는 회동부재(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재(6)의 내부에 가공된 암나사(6a)에 이송축(7)의 일측단에 가공된 수나사(7a)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회동부재(6)의 회전에 따라 이송축(7)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축(7)의 타측단에는 개폐부재(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8)의 개폐부(8a)가 개폐안내부(9)의 개폐구(9a)를 폐쇄시키고 있으며, 이송축(7)의 하방향 이송에 따라 개폐부(8a)가 연동하면서 상기 개폐안내부(9)의 개폐구(9a)를 개방시키게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8a)의 개방에 따라 지하 물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는 연결관(1)→개폐구(9a)→스텐드파이프(5)→제 1 및 제 2 방사관(4a)(4b)→소방용 호스를 통해 방수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개폐부(8a)가 개방될 때에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관(1)의 드레인구멍(P)과 개폐안내부(9)의 드레인구멍(9b)이 개폐부재(8)의 드레인차단막(8b)에 의해 폐쇄되어 소방용수가 방수되는 동안에는 소방용수의 드레인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고, 드레인차단막(8b)의 양측에 부착된 고무패킹(8c)에 의해 소방용수의 누수가 차단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회동부재(6)를 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부재(6)의 회전에 따라 이송축(7)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개폐부재(8)의 개폐부(8a)는 상승하면서 개폐안내부(9)의 개폐구(9a)를 폐쇄시켜 지하 물탱크에 저장된 소방용수의 외부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스텐드파이프(5)의 내부에는 호스연결관(4)의 제 1 및 제 2 방사관(4a)(4b)을 통해 방수되지만 일부의 소방용수가 남게 된다.
상기 개폐부(8a)가 닫힐 때에 드레인차단막(8b)의 드레인구멍(8d)과 연결관(1)의 드레인구멍(P) 및 개폐안내부(9)의 드레인구멍(9b)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각 드레인구멍(P)(8d)(9b)을 통하여 남은 소방용수는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하매설식 소화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소화전박스(2)는 스탠드파이프(5)의 상측에 장착되는 호스연결관(4)만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드레인구멍(P)(8d)(9b)을 통하여 흙먼지 등 이물질이 스며들어 스탠드파이프(5)의 내부를 오염시키고 스탠드파이프(5)의 내측에 잔류하며, 소방용수를 배출시킬 때에 잔류하는 흙먼지 등이 쓸려서 배출되어 소방호스의 노즐을 막히게 하거나, 회동부재(6)의 암나사(6a)와 이송축(7)의 수나사(7a)의 사이에 끼이게 되어 개폐부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호스연결관(4)에 소방호스를 체결함에 있어서, 호스연결관(4)의 상단에는 보편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있고 이 나사산에 덮게(4c)가 체결되어지는 구성으로 소방호스를 호스연결관(4)에 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덮게(4c)를 회전시켜 풀어서 제거하고, 소방호스의 체결구를 회전시켜서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신속하게 화재진압을 실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지하매설식 소화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하에 소화전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맨홀뚜껑을 구비한 맨홀을 지하에 매설하고, 맨홀의 내부에 소화전의 구조체 전체를 설치하도록 하여 소화전이 임의의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해소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지하매설식 소화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맨홀의 내부하측에 연결관을 장착하고, 연결관의 일측에는 드레인밸브를 구비하며, 연결관의 상측에 스탠드파이프를 장착하고, 연결관과 스탠드파이프사이에 개폐수단을 구비하며, 스탠드파이프의 상단에는 개폐수단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스탠드파이프의 상단 양측에는 엘보우를 장착하며, 엘보우의 상단에는 소방호스의 체결을 위한 커플링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지하 매설식 소화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방호스를 장착함에 있어서 커플링수단에 의해 원터치(One touch)방식으로 보다 신속하게 소방호스를 엘보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 매설식 소화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들은,
지하에 소화전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맨홀뚜껑(30a)을 구비한 맨홀(30)을 지하에 매설하고, 맨홀(30)의 내부에 소화전(20)의 구조체 전체를 설치하는 것과,
맨홀(30)의 내부하측에 연결관(21)을 장착하고, 연결관(21)의 일측에는 잔류의 소방용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밸브(22)를 구비하며, 연결관(21)의 상측에 스탠드파이프(26)를 세워 장착하고, 스탠드파이프(26)의 하단과 연결관(21)의 내부에 소방용수의 유통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수단(31)을 구비하며,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는 개폐수단(31)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이송수단(27)을 구비하고,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 양측에는 한 쌍의 엘보우(28a)(28b)를 장착하며, 한 쌍의 엘보우(28a)(28b)의 상단에는 소방호스의 체결을 위한 커플링수단(29a)(29b)을 구비한 것과,
상기 드레인밸브(22)는 연결관(21)의 일측에 드레인구멍(21b)을 형성하되 개폐수단(31)의 상측에 드레인구멍(21b)을 형성하고 드레인구멍(21b)의 외측으로 관을 형성하며 관의 내부에 스프링(25)과 볼(24)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유출구(23a)가 형성된 커버(23)를 관의 단부에 씌워 장착하여서 구성하는 것과,
상기 이송수단(27)은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 커버(34)를 씌워 볼트(5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장착하되, 커버(34)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장착공(35)을 형성하고 장착공(35)의 하단부에는 단턱(36)을 형성하며,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는 장착공(47)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35)과 장착공(47)에 너트축(37)을 삽입시켜 장착하되, 너트축(37)의 상단부는 사각머리(37b)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단에는 플렌지(38)를 형성하며 하단에는 요홈(39)을 형성하여 오링(40)을 삽입하고 너트축(37)의 내측에는 암나사(37a)를 형성하여 플렌지(38)가 상기 커버(34)의 단턱(36)에 삽입되어 지도록 하고 오링(40)은 장착공(47)의 내주 연에 밀착되어지도록 하며, 너트축(37)의 암나사(37a)에는 볼트축(41)을 체결하되 볼트축(41)의 외주에 수나사(42)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공(43)을 형성하여 볼트축(41)의 수나사(42)를 너트축(37)의 암나사(37a)에 체결하도록 하며, 삽입공(43)에는 이송축(33)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축핀(45)으로 고정시켜서 구성하는 것과,
상기 개폐수단(31)은 연결관(21)의 암나사(21a)에 부싱(51)의 수나사(55)를 체결고정하고 이송축(33)의 하단에는 수나사(33b)를 형성하여 너트(33c), 슬라이딩플레이트(57), 패킹(61), 와셔(64) 및 너트(33d)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서 구성하는 것과,
상기 부싱(51)은 상단에 걸림홈(54)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고, 유통공(52)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요홈(53)을 형성하며 유통공(52)의 하단에는 내경사면(56)을 형성한 것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57)는 중앙에 통공(58)을 형성하고 통공(58)의 하측으로 삽입관(59)을 형성하며 슬라이딩플레이트(57)의 외주에 돌출부(60)를 형성한 것과,
상기 패킹(61)은 중앙에 통공(62)을 형성하고, 외주 연에 경사면(63)을 형성한 것과,
상기 커플링수단(29a)(29b)은 엘보우(28a)(28b)의 상단에 조인트(71), 암커플링(68), 볼(70), 압축스프링(67), 커플링케이스(66) 및 멈춤링(65)을 순차적으로 체결조립하고, 소방호스의 단부에 수커플링(72)을 장착하여 수커플링(72)을 암커플링(68)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화전(20)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화전(20)은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됨으로써 지상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커플링수단(29a)(29b)의 의해 소방호스를 보다 신속하게 소화전(20)에 연결할 수 있어 소방용수를 화재발생지역에 방수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하 매설식 소화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소화전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소화전의 구조를 보인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서 개폐밸브의 이송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서 개폐밸브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서 커플링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소화전에서 커플링수단에
의해 소방호스를 소화전에 체결하는 작동관계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7a는 소방호스와 소화전이 체결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소방호스가 소화전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소화전 21: 연결관 21a: 암나사
22: 드레인밸브 26: 스탠드파이프 27: 이송수단
28a, 28b: 엘보우 29a, 29b: 커플링수단 30:맨홀
31: 개폐수단 33: 이송축 34: 커버
37: 너트축 41: 볼트축 51: 부싱
57: 슬라이딩플레이트 61: 패킹 64: 와셔
65: 멈춤링 66: 커플링케이스 67: 압축스프링
68: 암커플링 70: 볼 71: 조인트
72: 수커플링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화전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맨홀(30)에 소화전(20)이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20)의 전체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전(20)의 주요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도 4는 밸브의 개폐수단(31)을 작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27)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소방용수의 유통을 제어하도록 하는 개폐수단(31)을 보인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커플링수단(29a)(29b)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커플링수단(29a)(29b)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화전(20)은 맨홀뚜껑(30a)을 구비한 맨홀(30)이 지하에 매설되고, 매설되어진 맨홀(30)의 내부에 소화전(20)의 구조체 전체를 설치되는 것이다.
맨홀(30)의 내부하측에 연결관(21)을 장착되고, 연결관(21)의 일측에는 잔류의 소방용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밸브(22)를 구비되며, 타측에는 소방용수 공급용 관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드레인밸브(22)는 연결관(21)의 일측에 드레인구멍(21b)을 형성하되 다음에 설명되어지는 개폐수단(31)의 상측에 드레인구멍(21b)을 형성하고 드레인구멍(21b)의 외측으로 관을 형성하여 관의 내측에 스프링(25)과 볼(24)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고 유출구(23a)가 형성된 커버(23)를 관의 단부에 체결 장착하여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21)의 상측에 스탠드파이프(26)를 세워 장착한 것으로 스탠드파이프(26)의 하단에는 플렌지(26a)를 형성하고 플렌지(26a)에 다수개의 체결공(32a)을 형성하여 연결관(21)의 플렌지에 형성된 체결공과 스탠드파이프(26)의 체결공(32a)을 일치시켜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연결관(21)의 내측에는 암나사(21a)가 형성되어지며 암나사(21a)에 개폐수단(31)의 부싱(51)의 수나사(55)가 체결되어져 소방용수의 유통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는 개폐수단(31)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이송수단(27)이 구비되고,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 양측에 엘보우장착면(46)이 형성되고 엘보우장착면(46)에 다수개의 암나사(46a)가 형성되며, 엘보우장착면(46)의 유통공의 단부에는 패킹삽입단턱(46b)이 형성되어, 패킹삽입단턱(46b)에 통상의 패킹(미도시)이 끼워진 상태에서 엘보우(28a)(28b)장착하게 되며, 한 쌍의 엘보우(28a)(28b)의 상단에는 소방호스의 체결을 위한 커플링수단(29a)(29b)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27)을 도시한 것이다.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 커버(34)를 씌워 볼트(5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장착하되, 커버(34)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장착공(35)을 형성하여 너트축(37)과 볼트축(41)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 스탠드파이프(26)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암나사(48)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장착공(47)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34)의 중앙에는 장착공(35)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장착공(35)의 하단부에는 단턱(36)을 형성하였다.
상기 너트축(37)은 상단부에는 사각머리(37b)형상으로 형성하고 중단에는 플렌지(38)를 형성하며 하단의 외주에는 요홈(39)을 형성하여 오링(40)을 삽입하고, 내측에는 암나사(37a)를 형성하였다.
상기 볼트축(41)은 외주에 수나사(42)를 형성하고 하단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공(43)을 형성하였으며, 삽입공(43)의 중간에 가로방향으로 축공(44)을 형성하였다.
상기 볼트축(41)의 수나사(42)를 너트축(37)의 암나사(37a)에 체결하도록 하며, 삽입공(43)에는 다음에 설명되는 이송축(33)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축핀(45)으로 고정시키고, 너트축(37)은 커버(34)의 장착공(35)과 스탠드파이프(26)의 장착공(47)에 삽입시켜 장착하되 너트축(37)의 플렌지(38)는 커버(34)의 단턱(36)에 삽입되어지도록 하며, 오링(40)은 장착공(47)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이송축(33)은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축공(33a)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수나사(33b)를 형성하여 상단은 볼트축(41)의 삽입공(43)에 삽입하고 축공(44)과 축공(33a)에 축핀(45)을 끼워 고정시킨 것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31)은 연결관(21)에 암나사(21a)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21a)에 부싱(51)의 수나사(55)를 체결고정하며 이송축(33)의 하단에는 수나사(33b)를 형성하여 너트(33c), 슬라이딩플레이트(57), 패킹(61), 와셔(64) 및 너트(33d)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부싱(51)은 상단에 걸림홈(54)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여 연결관(21)에 체결 고정할 때에 조임 공구(드라이버 등)를 걸림홈에 삽입시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중앙의 유통공(52)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요홈(53)을 형성하여 다음에 설명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57)의 돌출부(60)가 삽입되어지도록 하며, 유통공(52)의 하단에는 내경사면(56)을 형성하였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57)는 중앙에 통공(58)을 형성하였고 통공(58)의 하측으로 삽입관(59)을 형성하였으며 슬라이딩플레이트(57)의 외주에 돌출부(60)를 형성하였다.
상기 패킹(61)은 중앙에 통공(62)을 형성하고, 가장자리 외주연에 경사면(63)을 형성하여 상기 부싱(51)의 내경사면(56)에 경사면(63)이 밀착되어지도록 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수단(29a)(29b)은 조인트(71), 암커플링(68), 볼(70), 압축스프링(67) 및 커플링케이스(66)를 순차적으로 끼워서 조립하고 암커플링(68)의 단부에 멈춤링(65)을 끼워서 암커플링을 구성하고, 소방호스의 단부에 수커플링(72)을 장착하여 수커플링(72)이 암커플링(68)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암커플링(68)의 조인트(71)를 엘보우(28a)(28b)의 상단에 체결 조립한 구성이다.
상기 조인트(71)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나사(71a)와 엘보우연결수나사(71b)를 형성하였고 중단에는 플렌지(71c)를 형성하였으며, 플렌지(71c)의 일 측면은 면가공을 하여 면삭부(71d)를 형성하여 체결 조립할 때에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암커플링(68)은 관형상으로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장착공(68a)을 형성하였고, 장착공(68a)의 하측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오링(69)을 삽입하였으며, 내경 하단에는 암나사(68f)를 형성하여 조인트(71)의 수나사(71a)에 체결되어지도록 하였고, 외경의 중단에는 외향단턱(68d)을 형성하였으며, 외향단턱(68d)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볼삽입공(68c)을 형성하되 볼삽입공(68c)은 테이퍼진 형상모양으로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볼삽입공(68c)에 볼(70)을 삽입하였고, 볼삽입공(68c)의 상측으로 멈춤링삽입요홈(68b)을 형성하였다.
상기 압축스프링(67)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서 압축스프링(67)의 하단부는 암커플링(68)의 외향단턱(68d)의 상측에 닿도록 하였고, 상단부는 다음에 설명되는 커플링케이스(66)의 단턱(66a)하단에 닿도록 하였다.
상기 커플링케이스(66)는 링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단외측은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도록 하였고, 내경 상단에는 단턱(66a)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스프링(67)과 닿도록 하였다.
멈춤링(65)은 공지의 요소부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암커플링(68)에 볼(70), 압축스프링(67) 및 커플링케이스(66)를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한 후 암커플링(68)의상단에 형성된 멈춤링삽입요홈(68b)에 상기 멈춤링(65)을 끼워 조립하는 체결되어진 부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커플링(72)은 소방호스의 단부에 장착되어지는 것으로, 수커플링의 하단부는 삽입관(72b)을 형성하되 삽입관(72b)의 외면을 테이퍼진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수커플링(72)의 중간에는 환상 형상의 요홈(72a)형성하였으며, 상단의 일측에는 면가공을 하여 면삭부를 형성하였다.
이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맨홀뚜껑(30a)을 맨홀(30)에서 제거하고 소방호스의 수커플링(72)을 암커플링(68)에 체결하고, 사각박스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이송수단(27)의 너트축(37)을 회전시키면, 너트축(37)에 나사 결합되어진 볼트축(41)은 하향하게 되며, 볼트축(41)에 결합되어진 이송축(33)은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상기 커플링수단(29a)(29b)에 있어서, 수커플링(72)을 암커플링(68)에 장착할 때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케이스(66)를 밀어 내리면 볼(70)이 외측으로 흐르게 되어 장착공(68a)의 공간이 확보가 되고, 이 상태에서 수커플링을 (72)을 장착하는 것이고, 커플링케이스(66)에서 손을 떼면 압축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해 커플링케이스(66)는 상승하면서 볼(70)을 볼삽입공(68c)에 밀어 넣게 되며, 밀려들어간 볼(70)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커플링(72)의 요홈(72a)으로 삽입되어져 수커플링(72)을 억류시키게 된다.
이송축(33)의 하강에 의해 이송축(33)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어진 패킹(61)과슬라이딩플레이트(57)는 하강하며 슬라이딩플레이트(57)의 돌출부(60)는 부싱(51)의 슬라이딩요홈(53)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57)와 패킹(61)이 하강함에 따라 부싱(51)의 내경사면(56)과 패킹의 경사면(63)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소방용수는 확보된 공간을 통하여 방출되어진다.
즉 소방용수는 연결관(21) →개폐수단(31) →스탠드파이프(26) →엘보우(28a)(28b) →커플링수단(29a)(29b)을 통하여 소방호스로 이어져 방출되는 것이다.
소방용수가 방출되어질 때에는 드레인밸브(22)의 볼(24)이 소화전(20)의 내부 수압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 유출구(23a)를 폐쇄시키게 되어 누수현상은 배제되는 것이다.
소방용수의 방출을 억제하고자 할 때에는 너트축(37)을 역회전 시켜 볼트축(41)을 상승시키게 되고, 볼트축(41)과 일체로 이동하는 이송축(33), 슬라이딩플레이트(57) 및 패킹(61)은 상승하여 부싱(51)의 하단에 형성된 내경사면(56)과 패킹(61)의 경사면(63)이 압착 밀착되어 소방용수의 유통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커플링수단(29a)(29b)에서는 커플링케이스(66)를 아래로 밀어 내리면 암커플링(68)에 볼(70)은 외측으로 흘러 되어 수커플링(72)은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도어 소방호스를 커플링수단(29a)(29b)에서 제거하고 맨홀뚜껑(30a)을 맨홀(30)에 닿으면 마무리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재진압이 끝난 다음에는 필연적으로 소화전(20)의 내부에 소방용수가 잔류하게 되는데 잔류하는 소방용수는 드레인밸브(22) 및커플링수단(29a)(29b)을 통해 증발 또는 흘러내려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지하매설식 소화전은 지하에 소화전(20)자체가 매설되어짐으로서 소화전의 상측 지상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등 추돌에 의한 소화전을 파손을 억제 할 수 있으며, 특히 보행자의 보행통로가 확보되는 것이다.
특히, 소방호스를 장착함에 있어서 커플링수단에 의해 원터치(One touch)방식으로 보다 신속하게 소방호스를 엘보우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화재진압을 보다 빨리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지하에 소화전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맨홀뚜껑(30a)을 구비한 맨홀(30)을 지하에 매설하고, 맨홀(30)의 내부에 소화전(20)의 구조체 전체를 설치하는 것과,
    맨홀(30)의 내부하측에 물탱크로부터 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관(21)을 장착하고, 연결관(21)의 일측에는 잔류의 소방용수를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밸브(22)를 구비하는 것과,
    연결관(21)의 상측에 스탠드파이프(26)를 세워 장착하고, 스탠드파이프(26)의 하단과 연결관(21)의 내부에 소방용수의 유통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수단(31)을 구비하며,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는 개폐수단(31)의 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이송수단(27)을 구비한 것과,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 양측에는 한 쌍의 엘보우(28a)(28b)를 장착하며, 한 쌍의 엘보우(28a)(28b)의 상단에는 소방호스의 체결을 위한 커플링수단(29a)(29b)을 구비하여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화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수단(27)은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 커버(34)를 씌워 볼트(5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장착하되, 커버(34)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장착공(35)을 형성하고 장착공(35)의 하단부에는 단턱(36)을 형성하며, 스탠드파이프(26)의 상단에는 장착공(47)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35)과 장착공(47)에 너트축(37)을 삽입시켜 장착하는 것과,
    상기 너트축(37)의 상단부는 사각머리(37b)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단에는 플렌지(38)를 형성하며 하단에는 요홈(39)을 형성하여 오링(40)을 삽입하고 너트축(37)의 내측에는 암나사(37a)를 형성하여 플렌지(38)가 상기 커버(34)의 단턱(36)에 삽입되어 지도록 하고 오링(40)은 장착공(47)의 내주연에 밀착되어지도록 하며, 너트축(37)의 암나사(37a)에는 볼트축(41)을 체결하는 것과,
    상기 볼트축(41)의 외주에 수나사(42)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공(43)을 형성하여 볼트축(41)의 수나사(42)를 너트축(37)의 암나사(37a)에 체결하도록 하며, 삽입공(43)에는 이송축(33)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축핀(45)으로 고정시켜서 구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화전.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수단(31)은 연결관(21)의 암나사(21a)에 부싱(51)의 수나사(55)를 체결고정하고 이송축(33)의 하단에는 수나사(33b)를 형성하여 너트(33c), 슬라이딩플레이트(57), 패킹(61), 와셔(64) 및 너트(33d)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서 구성하는 것과,
    상기 부싱(51)은 상단에 걸림홈(54)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고, 유통공(52)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요홈(53)을 형성하며 유통공(52)의 하단에는 내경사면(56)을 형성한 것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57)는 중앙에 통공(58)을 형성하고 통공(58)의 하측으로 삽입관(59)을 형성하며 슬라이딩플레이트(57)의 외주에 돌출부(60)를 형성한 것과,
    상기 패킹(61)은 중앙에 통공(62)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경사면(63)을 형성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화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플링수단(29a)(29b)은 조인트(71), 암커플링(68), 볼(70), 압축스프링(67) 및 커플링케이스(66)를 순차적으로 끼워서 조립하고 암커플링(68)의 단부에 멈춤링(65)을 끼워서 암커플링을 구성하며, 소방호스의 단부에 수커플링(72)을 장착하여 수커플링(72)이 암커플링(68)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조인트(71)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나사(71a)와 엘보우연결수나사(71b)를 형성하고 중단에는 플렌지(71c)를 형성하며, 플렌지(71c)의 일 측면은 면가공을 하여 면삭부(71d)를 형성한 것과,
    상기 암커플링(68)은 관형상으로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장착공(68a)을 형성하고, 장착공(68a)의 하측에는 요홈을 형성하여 오링(69)을 삽입하며, 내경 하단에는 암나사(68f)를 형성하여 조인트(71)의 수나사(71a)에 체결되어지도록 하고, 외경의 중단에는 외향단턱(68d)을 형성하며, 외향단턱(68d)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볼삽입공(68c)을 형성하되 볼삽입공(68c)은 테이퍼진 형상모양으로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볼삽입공(68c)에 볼(70)을 삽입하고, 볼삽입공(68c)의 상측으로 멈춤링삽입요홈(68b)을 형성한 것과,
    상기 압축스프링(67)의 하단부는 암커플링(68)의 외향단턱(68d)의 상측에 닿도록 하였고, 상단부는 커플링케이스(66)의 단턱(66a)하단에 닿도록 하는 것과,
    상기 커플링케이스(66)는 링형상으로 형성하되 하단외측은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내경 상단에는 단턱(66a)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스프링(67)과 닿도록 하는 것과,
    암커플링(68)에 볼(70), 압축스프링(67) 및 커플링케이스(66)를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한 후 암커플링(68)의 상단에 형성된 멈춤링삽입요홈(68b)에 상기 멈춤링(65)을 끼워 조립하는 것과,
    상기 수커플링(72)은 하단부는 삽입관(72b)을 형성하되 삽입관(72b)의 외면을 테이퍼진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단에는 환상 형상의 요홈(72a)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식 소화전.
KR2020010009674U 2001-04-06 2001-04-06 지하 매설식 소화전 KR200238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74U KR200238282Y1 (ko) 2001-04-06 2001-04-06 지하 매설식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74U KR200238282Y1 (ko) 2001-04-06 2001-04-06 지하 매설식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282Y1 true KR20023828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674U KR200238282Y1 (ko) 2001-04-06 2001-04-06 지하 매설식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28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38B1 (ko) 2010-10-14 2012-08-27 (주)한영계기 평면 접착 개폐식 수도 밸브
KR101558159B1 (ko) * 2014-12-30 2015-10-15 이동헌 관로용 통밸브
KR101784993B1 (ko) * 2016-12-06 2017-10-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CN109750759A (zh) * 2019-03-18 2019-05-14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垂直预埋管的防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117553131A (zh) * 2024-01-10 2024-02-13 劲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室内消火栓的长寿命密封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38B1 (ko) 2010-10-14 2012-08-27 (주)한영계기 평면 접착 개폐식 수도 밸브
KR101558159B1 (ko) * 2014-12-30 2015-10-15 이동헌 관로용 통밸브
KR101784993B1 (ko) * 2016-12-06 2017-10-16 (주)상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CN109750759A (zh) * 2019-03-18 2019-05-14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垂直预埋管的防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750759B (zh) * 2019-03-18 2023-12-15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监测垂直预埋管的防水装置及其施工方法
CN117553131A (zh) * 2024-01-10 2024-02-13 劲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室内消火栓的长寿命密封阀
CN117553131B (zh) * 2024-01-10 2024-04-05 劲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室内消火栓的长寿命密封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411B2 (en) Pipeline leak-testing method
US5469882A (en) Partially recessed valve fixture for connection to faucets and commodes
US6085362A (en) Water closet fitting installation assembly
US5297817A (en) Street compression closet flange
US6425217B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US8028357B2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testing a plumbing system
US6687926B1 (en) Waste and overflow drain adaptor device
US7815795B2 (en) Pool skimmer adapter
JP2006518816A (ja) 消火栓システム
CA2178297C (en) Sillcock rupture control assembly
KR20110121902A (ko) 지상 소화전
KR200238282Y1 (ko) 지하 매설식 소화전
CA2401468C (en)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US11542689B2 (en) Fire-suppression water-intake valve, fire-suppression sprinkler head configured for rapid installation in, and rapid removal from, the water-intake valve without the need to interrupt the water supply,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GB2314367A (en) Rainwater collection and dispersal system
JP2703829B2 (ja) 排水システム
CA2278855A1 (en) Sealing gasket
KR102088432B1 (ko) 지하매설 소화전용 접이식 토출구
KR200311790Y1 (ko) 스탠드 파이프의 돌출 및 수납구조를 갖는 지하 매설식소화전
US20060249603A1 (en) Adjustable drop sprinkler and installation tool
US10808870B2 (en) Access panel with cleanout
US59412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fire hydrant or other valve devices
WO2016161405A1 (en) Obstructive tap and sleeve
CA2209844C (en) Waste and overflow drain adap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