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267B1 -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267B1
KR101784267B1 KR1020160146822A KR20160146822A KR101784267B1 KR 101784267 B1 KR101784267 B1 KR 101784267B1 KR 1020160146822 A KR1020160146822 A KR 1020160146822A KR 20160146822 A KR20160146822 A KR 20160146822A KR 101784267 B1 KR101784267 B1 KR 101784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weight
parts
fermentation
nutri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의엽
Original Assignee
나의엽
농업회사법인 늘푸름에버그린(주)
신화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의엽, 농업회사법인 늘푸름에버그린(주), 신화건설(주) filed Critical 나의엽
Priority to KR102016014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C05F17/0027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05G3/0064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이를 통해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시킴으로써, 인삼 성장에 필요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물 100 중량부를 1차 발효조에 넣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 당류 2 내지 3 중량부, 발효 보조제 6 내지 10 중량부 및 복합 효소 2 내지 4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온에서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하여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숙성 과정을 통하여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nutrient solution of Ginseng water culture}
본 발명은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이를 통해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시킴으로써, 인삼 성장에 필요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 C.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의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보기약 (補氣藥)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동의보감과 중국의 많은 고대 의학서에 수록되어 있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폐기능을 돕고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인삼의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인삼은 최근 소비자의 건강증진 욕구의 증가로 그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 각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삼은 수확하기까지 4∼6년의 재배기간이 소요되는 다년생 작물로서 타 작물에 비하여 토지 생산성이 매우 낮고, 재배기간 동안 한 장소에서 자라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 비하여 토양 특성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입고 병과 역병 등의 병해를 많이 입게 되는데, 이들 병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 농산물의 소비가 늘어나고, 인삼의 경우도 친환경적인 농법의 재배가 필요하게 되었다. 수경재배 인삼은 청정 농산물로서 가공하지 않고 쌈 채소 등으로 뿌리뿐만 아니라 잎이나 줄기까지 이용하는 추세이다.
최근 수경재배 방법을 이용한 인삼 재배에 관한 보고(김금숙 외. 2009. 재배환경이 수경재배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2009년도 심포지엄 및 춘계학술발표회, 197; 김금숙 외. 2010. 수경 재배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분석. 원예과학기술지, 28, 216 - 226; 이경아 외. 2012. 온도 및 생육시기에 따른 수경재배 인삼의 생장 특성과 수량에 관한 연구.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 184)가 있다.
그리고 인삼의 수경재배에 관한 선행 특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국 특허 등록 제10-0959254(청정수삼 및 인삼 엽 생산방법)는 배지경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 및 분무경 인삼 수경재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저온 저장되었던 묘삼을 정식 한 후 양액을 묘삼에 공급하게 되면 4∼5개월 후 청정수삼 및 인삼 엽을 수확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한국 특허 등록 제10-0960947(인삼 수경 재배 방법)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성장 효과 및 사포닌 함량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인삼의 수경 재배 방법으로서 인삼을 산성 용액에 살균하는 단계 및 알칼리수 또는 지하생수에 침지시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수경 재배 방법이다.
이와 같이, 인삼 수경 재배 방법에 대한 선행 특허들은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인삼의 수경 재배를 위해 필요로 하는 양액에 대한 선행 특허들은 제한적으로만 소수 존재하고 있다. 이 중, 한국 등록특허 제10-143320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기존의 상추 수경재배용 야마자키 양액을 포함하는 기초 양액에 생약재 추출물과 EM(effective microorganism) 배양액을 혼합하여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을 제조하는 기술일 뿐,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양액에 해당하지 않는다.
결국, 현 시점에서, 인삼의 담수경 재배를 위해 사용되는 양액을 제조하되, 유기물을 발효시켜 인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재배된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양액의 제조 방법이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33209호(발명의 명칭 :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 방법, 공고일자 : 2014년 8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이를 통해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시킴으로써, 인삼 성장에 필요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 활성 물질을 통한 인삼의 잔뿌리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사포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량 포함되어 있는 잔뿌리를 많이 가지고 있는 양질의 인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 인삼 담수경 재배 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유기물(특히 인삼에서 떨어지는 잔뿌리)을 지속적으로 분해시킴으로써, 유기물의 부패로 인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물 100 중량부를 1차 발효조에 넣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 당류 2 내지 3 중량부, 발효 보조제 6 내지 10 중량부 및 복합 효소 2 내지 4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온에서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하여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숙성 과정을 통하여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효 보조제는 제오라이트 분말 1 내지 2 중량부, 맥반석 분말 1 내지 2 중량부 및 인산염 4 내지 6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침전되어 상기 1차 발효조 바닥에 가라앉은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제거하여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의하면,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이를 통해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시키기 때문에, 인삼 성장에 필요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리 활성 물질을 통한 인삼의 잔뿌리 성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사포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량 포함되어 있는 잔뿌리를 많이 가지고 있는 양질의 인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 인삼 담수경 재배 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유기물(특히 인삼에서 떨어지는 잔뿌리)을 지속적으로 분해시키기 때문에, 유기물의 부패로 인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 성분을 분석한 시험 성적서이다.
도 2는 화학 비료를 녹여 만든 기존의 일반적인 무기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 성분을 분석한 비교 시험 성적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물 100 중량부를 1차 발효조에 넣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 당류 2 내지 3 중량부, 발효 보조제 6 내지 10 중량부 및 복합 효소 2 내지 4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온에서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하여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숙성 과정을 통하여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을 토양에 심어서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담수경 재배를 위한 것이고, 이러한 담수경 재배를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양액이되, 기본적인 인삼 생장뿐만 아니라, 인삼의 사포닌 함유량을 높일 수 있는 양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즉 화학 비료를 물에 녹여서 사용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은 단순히 인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은 기본적인 인삼 생장뿐만 아니라,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통해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이 증식된 미생물과 복합 효소를 통하여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시킴으로써, 인삼 성장 특히, 인삼의 뿌리 성장에 필요로 하는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하고, 이를 통해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 인삼 담수경 재배 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유기물(특히 인삼에서 떨어지는 잔뿌리)을 지속적으로 분해시키기 때문에, 유기물의 부패로 인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인 당류에 콩과 쑥의 추출물(콩과 쑥의 다린물), 인산염과 제오라이트 분말 그리고 맥반석 분말로 구성되는 발효 보조제,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하는 복합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조에 물과 함께 넣고 교반하여 발효시킨 후, 고형물을 침전시켜 제거한 후, 일정 기간 숙성시켜 인삼의 성장에 필요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하여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으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켜, 이를 통하여 성장한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제조하는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은 1차 발효조에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들을 투입하는 단계, 상온에서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하여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숙성 과정을 통하여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순수한 물, 콩과 쑥의 다린물, 당류, 발효 보조제 및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효소들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를 구성하는 조성물과 함량비는 물 100 중량부와, 이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 당류 2 내지 3 중량부, 발효 보조제 6 내지 10 중량부 및 복합 효소 2 내지 4 중량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원료들, 즉 물 100 중량부를 1차 발효조에 넣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 당류 2 내지 3 중량부, 발효 보조제 6 내지 10 중량부 및 복합 효소 2 내지 4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발효조는 기존 발효조와 달리, 산소 발생기 및 히터 등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은 상온에서 진행된다.
상기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를 구성하는 조성물 중, 물은 순수한 물에 해당하고,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은 일정량의 콩과 쑥을 일정량의 물에 넣고 일정한 시간동안 다려서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100 중량부의 다림 제공물과 이 다림 제공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 1 내지 1.5 중량부와 쑥 0.4 내지 0.8 중량부를 추출기에 함께 넣고 유효 성분이 충분히 우려 나오도록 11 ~ 13 시간 동안 다려서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을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진 콩과 쑥의 다린물은 상기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인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0 내지 170 중량부만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된다.
상기 콩과 쑥을 다리지 않고 그대로 발효조에 넣게 되면, 분자량이 너무 크고 섬유질 등 필요없는 부분들이 완전 발효되지 않아서 나중에 부패할 수 있다. 따라서 콩과 쑥을 다려서 필요한 콩과 쑥의 유기물을 추출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을 구성한다. 즉,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는 콩과 쑥을 물에 넣고 다린 후 추출되는 콩과 쑥의 추출물 130 내지 170 중량부와 동일한 의미에 해당된다.
이러한 콩과 쑥의 추출물은 질소원으로서 발효시 배양되는 미생물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유기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은 발효 과정에서 미생물의 증식과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을 얻기 위해 상기 다림 제공물에 투입되는 콩과 쑥은 그냥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유효 성분의 추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불리는 과정을 거치고, 상기 콩은 불려진 후 전기 맷돌에 의하여 분쇄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콩과 쑥은 11 ~ 13 시간 동안 물에 불리고, 상기 콩은 전기 맷돌로 갈려진 상태로 상기 다림 제공물에 투입되어 다려진다. 이와 같이 불린 후 갈아진 콩과 불린 쑥을 이용함으로써, 다리는 과정에서 콩과 쑥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의 추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은 상기 쑥 다린물을 원료로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쑥은 인삼 성장에 효과적인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더 나아가 콩 단백질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료로 포함된다.
당류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3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시킨다. 상기 당류는 설탕을 이용할 수 있고, 이 설탕은 탄소원(에너지원)으로서, 발효시 미생물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된다. 즉, 미생물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당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탄소원으로서 설탕을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에 포함시킨다.
상기 발효 보조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6 내지 10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시킨다. 이러한 발효 보조제는 발효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발효를 촉진하는 기능과 발효가 완전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발효를 보조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발효 보조제는 제오라이트 분말과 맥반석 분말 및 인산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보조제는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오라이트 분말 1 내지 2 중량부와 백반석 분말 1 내지 2 중량부 및 인산염 4 내지 6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된다.
상기 인산염은 발효 과정에서 발효를 촉진시키는 발효 촉진제로서 활용된다. 상기 인산염은 강에서 발생하는 녹조 현상 및 바다에서 발생하는 적조 현상의 주범이긴 하지만, 발효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과정에 사용된다.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은 고운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은 교반 시에 물에 떠오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그 표면에 붙어 있는 유기물은 산소와 접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발효조 내의 용존 산소량이 증가하여 발효가 촉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과 맥반석 분말이 고운 분말을 사용하는 이유는 교반 후 일정 시간 동안 쉽게 가라앉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교반 후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에 산소가 많이 접촉하게 하여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고운 분말을 사용하여 교반 후 쉽게 가라앉지 못하게 한다.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은 발효 과정에서 흡착력을 이용하여 발효를 촉진시키고, 발효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은 변질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효소는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4 중량부가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효소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시킨다. 상기 복합 효소는 원료에 미생물을 증식한 후, 동결 건조한 다음 파쇄하고, 여기에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을 첨가하여 만들 수 있는데, 반드시 상기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복합 효소의 주성분인 아밀라제는 상기 당류를 분해하기 위한 효소로 작용하고, 상기 복합 효소의 주성분인 프로테아제는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단백질)을 분해하기 위한 효소로 작용한다.
상기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효소는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하여 미생물이 유기물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효소에 의하여 분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빠르고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1차 발효조에 상기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를 투입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발효 과정 즉,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다. 이 때, 상기 1차 발효 단계는 20도 내지 30도 사이의 상온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발효조에 산소 발생기 및 히터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제조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온에서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고형물질을 여과 과정을 통해 제거시킨 후, 1차 발효 용액을 얻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침전되어 상기 1차 발효조 바닥에 가라 않은 상기 발효 보조제, 구체적으로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제거하여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얻는다.
상기와 같이 침전된 고형물, 즉 제로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제거하여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얻은 후에는 2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일정 기간 동안 숙성 과정을 통하여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2차 발효 단계를 거쳐서 얻어지는 발효 용액이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에 해당한다.
다만, 실제 인삼 담수경 재배에 사용되는 양액은 상기 2차 발효 단계를 거쳐 얻어진 발효 용액과 물을 1 : 350 ~ 450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 양액이다. 즉, 최종적으로 인삼 담수경 재배에 사용되는 양액은 상기 2차 발효 단계를 거쳐서 얻어진 발효 용액을 물로 350배 ~ 450배 희석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는 식물 재배용 양액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조 첨가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의하면, 콩과 쑥의 다린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이를 통해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신속하게 분해시키기 때문에, 인삼 성장에 필요한 생리 활성 물질을 다량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인삼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생리 활성 물질을 통한 인삼의 잔뿌리 성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사포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다량 포함되어 있는 잔뿌리를 많이 가지고 있는 양질의 인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 인삼 담수경 재배 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유기물(특히 인삼에서 떨어지는 잔뿌리)을 지속적으로 분해시키기 때문에, 유기물의 부패로 인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림 제공물 80ℓ에 콩 1kg과 쑥 400g을 추출기에 넣고 12시간 정도 다려서 콩과 쑥 다린물을 얻었다. 상기 다림 제공물에 넣어지는 콩은 12시간 동안 불린 후 전기 맷돌을 통해 분쇄한 다음 투입되고, 상기 다림 제공물에 넣어지는 쑥은 12시간 동안 불린 후 그대로 투입된다.
그런 다음, 순수한 물 20ℓ(20kg)를 1차 발효조에 넣고 상기 콩과 쑥 다린물 30ℓ(30kg), 설탕(당류) 500g, 제오라이트 분말 300g, 맥반석 분말 300g, 인산염 1kg 및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효소 600g을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시켰다.
상기와 같이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원료들을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시킨 후, 상기 원료들이 골고루 섞여서 발효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하루에 2번(매 12시간마다) 교반기로 저어주되, 매 교반 시 1시간씩 교반기로 저어주었다. 상기 1차 발효는 7일 동안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1차 발효가 일어나서 발효조 속에서 미생물이 증가하면서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고형물에 해당하는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제거하여 1차 발효 용액을 얻어내기 위하여 2일간의 침전 기간을 거쳤다. 결과적으로, 물에 녹지 않는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이 바닥에 가라앉았다.
이후 전기 펌프를 이용하여 가라앉은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제외한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2~3개월(온도가 낮을 때는 3개월, 온도가 높은 여름에는 2개월) 정도 정도 숙성시켜서 2차 발효 단계를 진행하여 2차 발효 용액을 얻었다.
이 2차 발효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곰팡이가 2차 발효조를 덮으면 발효에 필요한 산소 투입이 차단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곰팡이를 제거하였다. 상기 곰팡이 제거는 1~2주에 한 번 정도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충분히 발효가 이루어진 2차 발효 용액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2차 발효 용액은 실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생리 활성 물질의 과다 흡수로 인하여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얻어진 2차 발효 용액과 물을 1 : 400으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물로 400배 희석된 양액, 즉 인삼 담수경 재배를 위해 실제 사용되는 양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최종적으로 얻어진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은 잔뿌리가 많고, 이로 인하여 사포닌 성분 함유량이 향상된다.
실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양액을 이용하여 각각 인삼을 재배한 후, 각 재배된 인삼에 대한 성분 검사를 수행해 보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 성분 함유량을 분석한 시험 성적서이고, 도 2는 시중에 판매되는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 성분 함유량을 분석한 시험 성적서이다.
사포닌은 대략 32 ~ 36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모든 성분 검출에 한계가 있어서, 이 중, 주요 성분에 해당하는 Re, Rg1, Rb1, Rg2(R), Rg2(S), Rh1(R), Rh1(S), Rb2, Rd, Rg3(S), Rg3(R), Rh2(S) 및 Rh2(R)에 대하여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는 14.361mg/g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요 성분 13개 중, Rg2(R), Rh2(S) 및 Rh2(R)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성분은 표시된 양만큼 검출되었으며, 이들 전체에 해당하는 사포닌 함유량은 총 14.361mg/g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는 미량이지만 Rh1(S) 성분도 검출되었다.
반면, 시중에 판매되는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는 12.892mg/g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요 성분 13개 중, Rg2(R), Rh1(S), Rh2(S) 및 Rh2(R)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고 나머지 성분은 표시된 양만큼 검출되었으며, 이들 전체에 해당하는 사포닌 함유량은 총 12.892mg/g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시중에 판매되는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과 달리 Rh1(S) 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은 총 14.361mg/g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서, 12.892mg/g의 사포닌이 함유하고 있는 시중에 판매되는 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한 인삼에 비하여, 사포닌이 약 11.395%만큼 더 함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이 기존 시중에 판매되는 양액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Claims (3)

  1.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에 있어서,
    물 100 중량부를 1차 발효조에 넣고,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과 쑥의 다린물 130 내지 170 중량부, 당류 2 내지 3 중량부, 발효 보조제 6 내지 10 중량부 및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효소 2 내지 4 중량부를 상기 1차 발효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온에서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여과 과정을 통하여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2차 발효조로 옮겨서 숙성 과정을 통하여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콩과 쑥의 다린물은 100 중량부의 다림 제공물과, 다림 제공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불린 후 갈아진 콩 1 내지 1.5 중량부와 불린 쑥 0.4 내지 0.8 중량부를 추출기에 넣고 다려서 얻어지고,
    상기 발효 보조제는 제오라이트 분말 1 내지 2 중량부, 맥반석 분말 1 내지 2 중량부 및 인산염 4 내지 6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1차 발효 단계를 진행한 후, 침전되어 상기 1차 발효조 바닥에 가라앉은 상기 제오라이트 분말 및 맥반석 분말을 제거하여 상기 1차 발효 용액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KR1020160146822A 2016-11-04 2016-11-04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KR10178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822A KR101784267B1 (ko) 2016-11-04 2016-11-04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822A KR101784267B1 (ko) 2016-11-04 2016-11-04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267B1 true KR101784267B1 (ko) 2017-10-11

Family

ID=6013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822A KR101784267B1 (ko) 2016-11-04 2016-11-04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2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14B1 (ko) 2019-06-18 2019-10-21 김종환 이온화 물을 이용한 담수경 재배 시스템
KR20190142544A (ko) * 2018-06-18 2019-12-27 (주)에스팜엠텍 어린삼 재배 장치 및 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배 방법
KR20200022070A (ko) 2018-08-22 2020-03-03 (주) 물마루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86B1 (ko) * 2008-06-11 2009-01-30 주식회사 한미엔텍 악취가 제거된 호기성 액비화 제조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586B1 (ko) * 2008-06-11 2009-01-30 주식회사 한미엔텍 악취가 제거된 호기성 액비화 제조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544A (ko) * 2018-06-18 2019-12-27 (주)에스팜엠텍 어린삼 재배 장치 및 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배 방법
KR102279095B1 (ko) * 2018-06-18 2021-07-19 주식회사 제이진바이오 어린삼 재배 장치 및 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배 방법
KR20200022070A (ko) 2018-08-22 2020-03-03 (주) 물마루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제조 방법
KR102034514B1 (ko) 2019-06-18 2019-10-21 김종환 이온화 물을 이용한 담수경 재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CN107759401A (zh) 一种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7235803A (zh) 一种番石榴的高产种植基肥及其制作方法
KR101784267B1 (ko)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 제조 방법
El-Khawaga Partial replacement of mineral N fertilizers by Using humic acid and Spirulina platensis algae biofertilizer in Florida Prince peach orchards
CN106083394A (zh) 一种利用芦苇粉制作金针菇栽培料的方法
CN105532231A (zh) 一种富硒牡丹的生产方法及应用
KR102069848B1 (ko) 가바 성분을 강화시킨 토마토의 재배방법
CN106613835A (zh) 一种石榴的扦插育苗基质
CN103250554A (zh) 一种核桃壳粉袋料保健金针菇的栽培方法
CN106631344A (zh) 一种能提高灵芝多糖和硒含量的灵芝袋栽培养基
JP6348292B2 (ja) 活性化フルボ酸の製造方法
CN110592052B (zh) 蚓酶多肽抑菌营养液的生产方法及其应用
CN108218587A (zh) 一种高生物活性复合海藻肥及其制备方法
CN111675555A (zh) 鱼腥藻和/或螺旋藻的提取物作为生物刺激素在农业生产中的应用
CN103535284A (zh) 野生松乳菇菌种分离培养基及栽培驯化方法
KR101238338B1 (ko)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포도 및 그 시비방법
CN105794459A (zh) 一种富集生物活性成分的平地人参的种植方法
CN109122151A (zh) 一种提高保证白芍药效的栽培方法
CN102273455B (zh) 提高青蒿素含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588410B (zh) 一种铁皮石斛栽培基质
CN105237290A (zh) 一种改良土壤的复混肥料
CN109429989A (zh) 一种促进蔬菜育苗发芽率和生长的基质及其制备方法
KR102089777B1 (ko) 라이조푸스 속 균주와 키토산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552B1 (ko) 장어 액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작두콩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