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61B1 -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61B1
KR101784161B1 KR1020150159108A KR20150159108A KR101784161B1 KR 101784161 B1 KR101784161 B1 KR 101784161B1 KR 1020150159108 A KR1020150159108 A KR 1020150159108A KR 20150159108 A KR20150159108 A KR 20150159108A KR 101784161 B1 KR101784161 B1 KR 101784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hromosome
cold
qldt
prime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090A (ko
Inventor
신동진
김태헌
조준현
손영보
이지윤
한상익
송유천
박동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상기 분자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 및 상기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이용하면 내한발성 벼 계통 및 품종의 육종 효율을 증대할 수 있고 내한발성 대량 생물검정을 위한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Molecular marker for drought resistance in Samgangbyeo}
본 발명은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상기 분자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 및 상기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농업분야에서 침수와 가뭄이 심각하게 발생되고 있어 가뭄에 대한 작물의 재배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뭄 환경에서 잘 적응하는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2012년 이후부터 매년 발생한 가뭄으로 농업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벼의 가뭄 피해는 생육 시기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생육 초기에는 파종이나 이앙시기에 영향을 미치며, 출수기 때는 불임을 유발하여 수확량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앙시기에 가뭄에 따른 물 부족이 심하여 벼 생육 부진을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으로 자연적인 가뭄 지역을 이용하여 관행 육종을 바탕으로 하여 계통 선발 및 생산력 검정을 통한 내한발성 품종을 육성하고 있다. 하지만 연차별 강우량의 변이에 따른 어려움과 내한발성의 대량 검정의 어려움으로 내한발성 계통 선발을 위한 시간과 노력이 많이 투자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관행육종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국제미작연구소(IRRI) 등 연구 그룹에서 가뭄조건에서 쌀수량 손실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내한발성 증진 QTL인 qDTY2.2, qDTY12.1 등을 보고하였다. 최근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는 분자육종을 통해 이들 QTL이 도입된 NIL 계통들을 육성하여 가뭄조건에서 재배안정성이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분자육종을 이용하여 침수 저항성 유전자인 Sub1가 도입된 NIL 계통들을 육성하였고, 이들 NIL 계통들이 홍수에 의한 침수에 저항성인 계통들임을 보고하였다.
국내에서는 가뭄에 대한 재배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한 검정 시설이 부족함으로 분자육종을 통한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 육성이 필요하나 아직 내한발성 증진 QTL 연구와 이와 연관된 분자마커 개발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내한발성 벼 품종 및 육종의 후대 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삼강벼 유래 계통을 이용하여 내한발성 관련 QTL을 탐색하였고 삼강벼 유래 계통 2번 염색체, 6번 염색체, 11번 염색체에 QTL이 존재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분자마커 검출용 제제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2번 염색체의 11418704번째 염기 내지 12049373번째 염기, 6번 염색체의 20978637번째 염기 내지 22278060번째 염기, 11번 염색체의 157690003번째 염기 내지 19497296번째 염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삼강벼"는 식량원 남부작물부에서 수집한 벼 유전자원 371종 중 가뭄 처리 후 잎끝이 마르지 않거나 약간 마르는 정도의 표현형을 가지는 내한발성 형질을 가지는 벼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삼강벼와 낙동벼에 대한 표현형, 잎의 상대수분함량, 생체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현형의 경우, 낙동벼의 표현형은 가뭄 처리 후 재관수 1주일 후에 고사하는 반면, 삼강벼의 표현형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잎의 상대수분함량의 경우, 삼강벼의 잎 상대수분함량은 가뭄처리 4 내지 5주 후에도 낙동벼에 비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생체중의 경우, 가뭄처리 후 재관수 1주일 후 삼강벼의 생체중은 낙동벼에 비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삼강벼와 낙동벼에 대한 쌀 수량 손실율을 확인한 결과, 가뭄조건에서 삼강벼의 쌀 손실량이 낙동벼와 비교하여 매우 적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내한발성"은 식물이 한해(drought disaster)에 견뎌낼 수 있는 성질로써 내건성, 한발저항성 또는 가뭄 저항성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식물의 내한발성에는 구조적 내한발성과 원형질적 내한발성이 있다. 구조적 내한발성은 원형질 내의 수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식물체의 구조가 발달되어 있거나 생리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한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원형질적 내한발성은 원형질 속에 있는 수분이 감소되었을 경우 또는 수분이 감소된 원형질이 다시 수분을 흡수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장해에 대하여 식물체가 내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서 식량원 남부작물부에서 수집한 벼 유전자 371종에서 가뭄처리 후 1주일 동안 재관수한 후 40종이 잎 끝이 마르지 않거나 약간 마르는 정도의 표현형을 나타내어 내한발성 정도가 강한 것으로, 48종이 가뭄 처리 후 잎이 1/2이상 말라 고사하지만 식물체가 살아 있어 내한발성 정도를 중으로, 나머지 283종이 6주의 가뭄처리에 의하여 식물이 대부분 고사하여 내한발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본 발명에 다른 일실시예에서, 삼강벼와 낙동벼를 교배하고 이들 F2 계통을 이용하여 약배양을 수행하고 101개의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을 육성한 후, 상기 계통집단에 대한 내한발성 정도를 1은 식물체 잎이 가뭄 스트레스에 대하여 마르지 않는 것을, 3은 식물체의 잎이 1/4 이상 마르지 않는 것을, 5는 식물체 잎이 1/2 이상 마르지 않는 것을, 7은 식물체 잎이 3/4 이상 마르지 않는 것을, 9는 식물체가 고사하는 것으로, 1부터 9까지의 단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상기 101개의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의 집단에서 내한발성 부본으로 사용된 삼강벼는 내한발성 정도가 3으로 분석되었으며, 감수성 모본으로 사용된 낙동벼는 내한발성 정도가 9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양적형질 유전자좌(quantitative trait loci, QTL)"는 유전적으로 분명한 RIL(recombinant inbred line) 집단에서 양적으로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유전자 지도상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분자 표지인자를 이용하고 측정이 가능한 형질에 관여하는 염색체의 특정부분을 확인함으로써 특정 환경에서 수량성, 과실 무게, 출수기 등 주요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 및 염색체의 위치, 개개 유전자의 영향력 상위작용, 양적형질 유전자좌와 환경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양적형질 유전자좌와 유전적인 배경과의 상호작용 등 주요 농업형질의 유전적 배경에 대한 전반적이고 직접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서 유전 연관지도를 바탕으로 Composit interval mapping 분석법에 의하여 삼강벼 유래 계통의 내한발성 QTL을 분석한 결과, 염색체 2번 QTL인 qLDT-2, 염색체 6번 QTL인 qLDT-6, 염색체 11번 QTL인 qLDT-11를 확인하였고(도 6), 상기 3개의 내한발성 QTL은 41.8% 표현형 설명력(phenotypic variation)을 나타내며, 각각 QTL 중 표현형 설명력과 LOD 수치는 qLDT-11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QTL 집적에 의한 내한발성 정도를 분석한 결과, QTL이 없는 계통의 평균 내한발성 정도과 비교하여 qLDT-2, qLDT-6, qLDT-11이 단독으로 도입된 경우는 감수성 판단되거나 감수성 쪽에 가까웠지만, 상기 qLDT-2, qLDT-6, qLDT-11을 두 개이상으로 직접된 경우는 내한발성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RIL (Recombinant Inbred Line)이란 양적형질 유전자좌에 대한 유전자연관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물의 집단으로서, 동종 교배를 통해 동질성을 가지는 재조합체를 만들고 상기의 재조합체는 형질 지도 제작 및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전자 연관지도"는 유전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유전지도로서, DNA 마커들(유전자와 다른 식별 가능한 DNA 서열/SNP, SSR, STS)의 유전적 성질 패턴에 따라 그들의 상대적인 염색체 위치를 나타낸다. 지도에서 마커 간 거리는 그들이 얼마나 자주 함께 유전되는지에 대한 빈도를 나타낸다. 유전적 연관 지도는 가계 트리 내에서 두 개의 마커가 얼마나 빈번하게 같이 유전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구축된다. 상기 연관지도는 임의로 육성된 어떤 실험집단에서 양친 사이에 다형성을 보이는 표지를 상호간의 재조합 값(recombination value)을 거리로 환산하고 이들의 순서를 정하여 표지 간의 연관군(Linkage group)을 만드는 맵핑 작업을 통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모부본에서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SSR 마커 69종과 STS 마커 116종의 분자마커, 총 185종의 SSR 및 STS 분자마커 정보와 IciMapping(CAAS, Chi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전연관지도를 작성하였다(도 6). 그 결과, 총 연관지도의 길이는 2,791 cM이였으며, 인접한 분자마커간 평균 간격은 16.1 cM이였다. 또한 각 염색체별로 분자마커의 수는 8 내지 27개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LOD (Logarithm of odds)"는 특정 표현형질과 대립형질 간의 관련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로그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QTL 영역 내에 위치한 마커를 분석한 결과, qLDT-2 QTL 내에 존재하는 분자마커 중에는 RM424 분자마커, qLDT-6 QTL 내에 존재하는 분자마커 중에는 RM20180 분자마커, qLDT-11 내에 존재하는 분자마커 중에는 RM26582 분자마커가 가장 높은 LOD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상기 높은 LOD 수치를 RM424 분자마커, RM20180 분자마커, RM26582 분자마커가 2개 이상 나타내는 계통 및 품종을 선발하면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을 육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브"는 시료의 DNA 또는 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특정 DNA 또는 R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 (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 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 (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즉, DNA 폴리머레이즈 또는 역전사효소) 및 상이한 4 가지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PCR 증폭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의 생성 여부를 통해 피부 타입을 예측할 수 있다. PCR 조건, 센스 및 안티센스 프라이머의 길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기초로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번 염색체의 11418741번째 염기 내지 1141887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324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 및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2번 염색체의 11418704번째 염기 내지 11418942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424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3 및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2번 염색체의 12049182번째 염기 내지 12049373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2016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5 및 6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6번 염색체의 20978637번째 염기 내지 20978799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6022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7 및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6번 염색체의 21009161번째 염기 내지 2100952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0180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9 및 10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6번 염색체의 22277867번째 염기 내지 22,278,06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6023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1 및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사용하였으며, 11번 염색체의 19497166번째 염기 내지 19497296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6765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3 및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11번 염색체의 15769003번째 염기 내지 1576940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6582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5 및 16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또는 11번 염색체의 19059931번째 염기 내지 19060229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87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7 및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핵산 서열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타이드 1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타이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 (예: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 (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이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에 해당하는 QTL을 증폭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삼강벼의 내한발성 형질을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DNA 칩 또는 SNP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일 수 있다.
DNA 칩 또는 SNP 칩 키트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고체 지지판, 전형적으로는 현미경용 슬라이드보다 크지 않은 유리 표면에 핵산 종을 격자형 배열 (gridded array)로 부착한 것으로, 칩 표면에 핵산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DNA 칩 또는 SNP 칩 상의 핵산과 칩 표면에 처리된 용액 내에 포함된 상보적인 핵산 간에 다중 혼성화 (hybridization) 반응이 일어나 대량 병렬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이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DNA 또는 RNA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마이크로어레이로 이루어진다.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기판상에 고정화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혼성화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핵산의 상보성 가닥에 서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로브로서, 같은 종의 두 개체로부터 유래한 핵산 단편 중에 다형성 부위가 존재하여, 한 개체로부터 유래한 DNA 단편에는 혼성화하나, 다른 개체로부터 유래한 단편에는 혼성화하지 않는다. 이 경우 혼성화 조건은 대립유전자간의 혼성화 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립유전자 중 하나에만 혼성화 하도록 충분히 엄격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대립유전자 형태 간에 좋은 혼성화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는 삼강벼의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의 선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진단 방법에는 서던 블롯 등과 같은 핵산의 혼성화에 근거한 검출방법들이 포함되며, DNA 칩을 이용한 방법에서 DNA 칩의 기판에 미리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혼성화란 엄격한 조건, 예를 들면 1 M 이하의 염 농도 및 25 ℃ 이상의 온도하에서 보통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 x SSPE (750 mM NaCl, 50 mM Na Phosphate, 5 mM EDTA, pH 7.4) 및 25 내지 30 ℃의 조건이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로브 혼성화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의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의 선발과 연관된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기판상에 고정화하는 과정도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상에서의 핵산의 혼성화 및 혼성화 결과의 검출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검출은 예를 들면, 핵산 시료를 형광 물질, 예를 들면 Cy3 및 Cy5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검출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표지물질로 표지한 다음, 마이크로어레이 상에 혼성화하고 상기 표지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혼성화 결과를 검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벼로부터 수득한 DNA로부터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NA 수득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가능하다. 특히 CTAB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로 핵산과 결합하여 복합체 형성을 통해서 유전체 (genomic) DNA를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시퀀싱 분석, PCT 방법,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한 혼성화, SSCP, PCR-RFLP 분석 또는 TaqMan 기법, SNPlex 플랫폼(Applied Biosystems), 질량 분석법 (예를 들면, Sequenom의 MassARRY 시스템), 미니-시퀀싱 (mini-sequencing) 방법, Bio-Plex 시스템 (BioRad), CEQ and SNPstream 시스템 (Beckman), Molecular Inversion Probe 어레이 기술 (예를 들면, Affymetrix GeneChip), 및 BeadArray Technologies (예를 들면, Illumina GoldenGate 및 Infinium 분석법)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PCR 방법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서열번호 1 및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3 및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5 및 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7 및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9 및 10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11 및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13 및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15 및 16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서열번호 17 및 1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QTL인 qLDT-2, qLDT-6, qLDT-11에 존재하는 9개의 싱글마커의 영역을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TaqMan 방법은 (1) 원하는 DNA 단편을 증폭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 및 TaqMan 탐침을 설계 및 제작하는 단계; (2)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의 탐침을 FAM 염료 및 VIC 염료로 표지 (Applied Biosystems)하는 단계; (3) 상기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 및 탐침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4) 상기의 PCR 반응이 완성된 후, TaqMan 분석 플레이트를 핵산 분석기로 분석 및 확인하는 단계; 및 (5) 상기 분석결과로부터 단계 (1)의 폴리뉴클레오티들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시퀀싱 분석은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유전자분석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를 이용하면 내한발성 벼 계통 및 품종의 육종 효율을 증대할 수 있고 내한발성 대량 생물검정을 위한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가뭄 처리 후 벼 종에 따른 내한발성 표현형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가뭄 처리 후 삼강벼와 낙동벼의 내한발성 표현형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삼강벼와 낙동벼의 교배를 통해 얻은 F2를 약배양한 후 F11 세대까지 육성한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삼강벼와 낙동벼의 교배를 통해 얻은 F2를 이용하여 얻은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의 내한발성 정도를 1부터 9까지 단위로 나누어 분석한 사진이다.
도 5는 삼강벼와 낙동벼의 교배를 통해 얻은 F2를 이용하여 얻은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의 내한발성 정도를 정규분포 그래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삼강벼와 낙동벼의 교배를 통해 얻은 F2를 이용하여 얻은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을 이용하여 제작된 유전 연관지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2번, 6번, 1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QTL에 해당하는 LOD 수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한발성 및 가뭄에 의한 수량 안정성이 우수한 삼강벼 선발
실시예 1-1: 내한발성 표현형 분석
내한발성 유전자원을 확보하고자 식량원 남부작물부에서 수집한 벼 유전자원 371종의 내한발성 표현형을 분석하였다.
내한발성 표현형 분석을 위하여 종자 소독 후 수도용 상토에서 3주간 키운 모를 온실 논토양 배드에 이앙하였다. 가뭄처리를 위하여 이앙 후 1주일에 온실 논토양 배드에서 물을 배수하고 6주 동안 무관수로 재배 하였다. 가뭄처리 후 1주일동안 재관수한 후 표현형을 조사하였다(도 1, 표 1).
내건성 정도 품종

(40품종)
Samgang, Cheongcheongbyeo, Namyeongbyeo, Chen Shin Ai4, Congshengla, DNJ46, Gumei2, Gumei4, IR73103-B-1-1-2-1-K1, Jasmine85, Manjushree, N29, NEPHUONG, NR10353-8-2-1, TN1, TW16, UltraMerah, N22, Dular, Dharial - mutant, D4050-S, D7623-1, IR63307-4B-4-3, IR71896-3R-8-3-1, Gia Loc 101, Khausuu, Quethom, Neptan Lao cai, Xuanso 2, KDđB, CB243, Tadukan, PEBI HUN, Teqing, Tung Ting Wan Hien 1, Milyang295, Milyang296, Suwon585, Suwon572, Apo

(48품종)
Andabyeo, Areumbyeo, Chilseongbyeo, Hangangchalbyeo, Yongjubyeo, Yongmunbyeo, 2428, B1053A-5-10-1-2, Basmati389, Chen Ma Ai, Dharial, IR68144-2B-2-2-3-1, IR74371-54-1-1 ,Milyang21, Odorokimochi, P1401, Pokharili Mashino, SESIA, SR30071-3-7-23-6-2-1-1-1, Takanari, Tetep, Mokwoo, Milyang259, Milyang215, NNZ-SAL9, SAHEL208, đson6162, Nephai, OM5625, Black, As999, EM90, Rantaiemas, BOMDIA, M311, IRBB1, IRBB8, IRBB10, IRBB53, IRBB58, IRKU_2, Kalu balawee, IR22, IR24, Milyang288, Jeonnam3, Suwon573, Milyang278

(283품종)
Goun, Gyehwabyeo, Handeul, Jinbongbyeo, Jungmo1005, Jungmo1011(Jinbu47), Jungmo1014(Milyang236), Jungmo1012(Sangju40), Keumobyeo1, Keumobyeo2, Manweolbyeo, Obongbyeo, Odae1, Saegyehwabyeo, Sangnambatbyeo, eomyeong, Undubyeo, Yeonganbyeo, 04P251, 92Tangi2964, Akenohoshi, ARPA303, Basmati wx, Binhaeselection 1, Bugkyeongselection, C21, C39, C40, Cheongmu, Dan9877, Dawdam, Dian35, Dohoku144, Dragon Eye ball 100, Erguailai, Gamheukmi, Gillimcollection 1, Gyeongchal1, Hawn, Heijiao, Heughyangjeong, Hinohikari, Hoshinishiki, Hosiaoba, IR66158-38-3-2-1-1, IR71664-36-3-3-2, IR71684-36-3-3-2, IRAT13, Jeogtomi, Kahei, Kanto208, Kinuhikari, Kirara397, Kusahonami, LA1, LGC-1, LGC-soft, Midorinomochi, Milky Princess, Milky Queen, Mirenishiki, Mochiminori, Nipponbare, Norin PL9, Princess Sari, Sakaichal243, Sanghaehyanghyeolna, Sanho, Sasanishiki, Sasanishiki BL4, Seogeum(Seonong13), SLG-1, SR21102-6-2-1-2-2, SR23783-30-3-3-2-1, SWH100(52)-25-11-1, Yeonchal1, YR21907Acp96-4-2-2, YR22156-B-B-B-4, YR22156-B-B-B-45, YR22627-26-2-2, YR23517Acp79, YR24099-B-B-71-1, YR24353-60-1-1, YR24982-9-1, Zhy-Lian-Ari-Yun-Nan, Gopumbyeo, Geumtap, Yaecheonchalbyeo, 미산금(美山錦), 북륙사(北陸飼)209, 서남나(西南)141, 조자(朝紫), 농림(農林)1, 홍의(紅衣), 북륙주(北陸酒)238, べごあおば(베고아오바), 원씨대수(袁氏大穗), Geumyeong, Hanseol, Mangeumbyeo, Sandeuljinmi, C18, Nerca14, A69-1, D5077-1-B-77-12, XT28bong nho, Luachum, EM5, EM21, EM22-2, EM47, EM72, EM76, snowpearl, esp-3, esp-4, ST.NO1, ST-2, BL-1 , BL1, PTB18, SILEWAH, Silewah, STEJAREE45, 관동PL3, 관동PL4, 관동PL5, 관동PL6, 관동PL7, 관동PL11, KantoPL 12, Sasanishiki BL3, 동농415, Brittle culm 2, Brittle culm 4, Lemont, M302, Stay-green, IRBB102, IRBB111, Nipponbare(IRRI), IRKU_1, IRKU_3, IRKU_4, IRKU_5, Matatag1, Matatag2, Matatag9, IR46, 화청벼, 화청du-1, 화청du-2, 화청du-4, 화청du-6, 화청flo, 화청wx, 화청su-1, 화청su-2, Hamzadere, EFE, Cakmak, Gyehwa38, Iksan571, Iksan572, Iksan573, Iksan574, Iksan575, Milyang291, Milyang292, Milyang297, Milyang298, Milyang299, Suwon577, Suwon578, Suwon579, Suwon582, Suwon583, Yeongdeog61, Yeongdeog62, Milyang293, Milyang294, Suwon580, Suwon581, Cheolwon89, Cheolwon90 등
그 결과 분석한 유전자원 중 삼강벼, Apo, Gumei4, N22, Dular 등 40종의 유전자원(10.8%)이 잎 끝이 마르지 않거나 약간 마르는 정도의 표현형을 나타내어 내한발성 정도가 강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안다벼와 한강찰벼, Dharial 등 48종의 유전자원(12.9%)이 가뭄 처리 후 잎이 1/2이상 말라 고사하지만 식물체가 살아 있어 내한발성 정도를 중으로 분류하였다. 하지만 나머지 283종의 유전자원 6주의 가뭄처리에 의하여 식물이 대부분 고사하여 내한발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삼강벼는 상기 표현형 분석을 통해서 잎 끝이 마르지 않거나 약간 마르는 정도의 표현형을 나타내므로, 371종의 벼 중에서 내한 발성 정도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 삼강벼와 낙동벼를 이용한 내한발성 표현형 검증
상기 실시예 1-1을 통해 강으로 분류된 삼강벼의 내한발성 표현형을 약으로 분류된 낙동벼의 표현형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강으로 분류된 40종의 유전자원 중 삼강벼와 약으로 분류된 낙동벼를 이용하여 온실 논토양 배드에서 내한발성 표현형을 검증하였다(도 2).
그 결과, 낙동벼는 가뭄 처리 후 재관수 1주일 후에 잎에서 엽록소가 사라지고 식물체가 고사하였다. 그러나 삼강벼는 가뭄 처리 후에도 잎의 끝만 약간 영향을 받아 거의 가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잎의 상대수분함량을 분석하여 가뭄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였다. 낙동벼는 가뭄처리 3주, 4주, 5주에 각각 89.6%, 53.1%, 25.8%의 잎 상대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삼강벼의 잎 상대수분함량은 가뭄처리 3주, 4주, 5주에 각각 91.8%, 89.6%, 72.4%를 나타내었다. 또한 재관수 1주일 후 삼강벼의 생체중은 65 g/주 였으나, 낙동벼는 30 g/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삼강벼는 가뭄 처리 후 표현형에서 잎의 끝만 약간 영향을 받았고 잎의 수분함량의 변화가 낙동벼에 비교하여 적었으며, 재관수 후 삼강벼의 체중이 낙동벼보다 증가하므로, 가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한발성을 가지는 종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삼강벼와 낙동벼를 이용한 가뭄에 의한 쌀 수량 손실율 분석
내한발성을 가지는 삼강벼의 가뭄에 의한 쌀수량 손실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 밀양에 소재한 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에서 4주된 어린모를 본답에 이앙한 후 10일부터 자연강우에 의존하여 재배를 하여 이를 통해 얻어진 쌀의 수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삼강벼는 관수재배(정상조건)와 무관수 재배에서 각각 541 kg/10a와 517 kg/10a의 생산량을 나타내어 약 4.4%의 수량이 감소하였지만, 낙동벼는 관수재배(정상조건)와 무관수재배에서 477 kg/10a, 279 kg/10a로 쌀 생산량이 약 41.1% 감소하였다.
따라서, 삼강벼는 가뭄조건에서 쌀 손실량이 낙동벼와 비교하여 매우 적음으로, 삼강벼는 내한발성 품종이며 내한발성 양적형질 유전자좌(Quantative Trait Loci, QTL) 탐색을 위한 유전재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삼강벼 유래 내한발성 연관 QTL 탐색
실시예 2-1: 삼강벼 유래 계통의 육성
상기 실시예 1을 통해서 내한발성을 가지는 삼강벼를 이용하여 삼강벼 유래 내한발성을 가지는 QTL 탐색을 위하여, 삼강벼와 낙동벼를 교배하고 이들 F2 계통에 약배양 수행하고 101개의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을 육성하였다. 이 집단을 자식계로 육성하여 약배양 유래 F11 세대까지 고정하였고, 이를 QTL 탐색에 시험에 활용하였다(도 3).
실시예 2-2: 삼강벼 유래 계통의 내한발성 정도 분석
삼강벼 유래 내한발성을 가지는 QTL 탐색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에서 육성된 집단의 내한발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내한발성 검정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하여 삼강벼 유래 계통의 내한발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재관수 1주일 후에 표현형 조사는 1부터 9까지의 단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으며, 1은 식물체 잎이 가뭄 스트레스에 대하여 마르지 않는 것을, 3은 식물체의 잎이 1/4 이상 마르지 않는 것을, 5는 식물체 잎이 1/2 이상 마르지 않는 것을, 7은 식물체 잎이 3/4 이상 마르지 않는 것을, 9는 식물체가 고사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도 4).
그 결과, 상기 101개의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의 집단에서 내한발성 부본으로 사용된 삼강벼는 내한발성 정도가 3으로 분석되었으며, 감수성 모본으로 사용된 낙동벼는 내한발성 정도가 9로 조사되었다. 101개의 계통은 정규분포를 나타내었다(도 5).
따라서, QTL 탐색에 활용될 101개의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의 집단에서 내한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유전자 지도를 이용한 내한발성 연관 QTL 마커 탐색
실시예 2-1을 통해 얻은 101개의 약배양 유래(SN-DH) 계통의 집단을 이용하여 유전자 연관지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979종의 SSR 마커와 150의 STS 마커를 사용하여 모부본에서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내는 SSR 마커 69종과 STS 마커 116종의 분자마커를 선발하였다.
각각의 계통에 대한 총 185종의 SSR 및 STS 분자마커 정보와 IciMapping(CAAS, Chin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전연관지도를 작성하였다(도 6). 총 연관지도의 길이는 2,791 cM이였으며, 인접한 분자마커간 평균 간격은 16.1 cM이였다. 또한 각 염색체별로 분자마커의 수는 8 내지 27개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4: 삼강벼 유래 내한발성 증진 QTL 분석
실시예 2-3에서 제작된 유전 연관지도를 바탕으로 Composit interval mapping 분석법에 의하여 삼강 유래 내한발성과 관련된 QTL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염색체 2번과 염색체 6번, 염색체 11상에 QTL(3개)이 탐색되었고, 이들 QTL을 qLDT-2와 qLDT-6, qLDT-11로 명명하였다(도 6). 삼강벼에서 유래된 3개의 내한발성과 관련된 QTL은 41.8% 표현형 설명력(phenotypic variation)을 나타냈다.
이들 QTL 중 qLDT-2는 RM324와 s2016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이들 마커간 간격은 0.6 cM이였다. 상기 QTL은 9.0%의 표현형 설명력과 3.4의 LOD 수치를 나타내었다. qLDT-6는 s6022와 s6023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이들 마커간 간격은 1.3 cM이였다. 상기 QTL은 11.7%의 표현형 설명력과 4.5의 LOD 수치를 나타내었다. qLDT-11는 RM26765와 RM287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이들 마커간 간격은 3.7 cM이였다. 상기 QTL의 표현형 설명력과 LOD는 각각 21.1%와 7.3으로 다른 두 개의 QTL 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도 7).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qLDT-2와 qLDT-6, qLDT-11가 내한발성과 관련된 QTL임을 알 수 있었고 각각 QTL중 표현형 설명력과 LOD 수치는 qLDT-11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QTL 집적에 의한 내한발성 정도 분석
상기 실시예 2-4에서 QTL 분석을 통해 탐색된 3개의 QTL에 대하여 개개 QTL과 QTL 집적에 내한발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QTL과 QTL을 2개이상으로 집적하여 내한발성 정도를 분석하였다(표 2).
QTLs 계통 수(No. of lines) 내한발성 정도(평균)
Non 12 7.3 ± 1.5
qLDT-2 6 7.2 ± 0.8
qLDT-6 7 6.1 ± 1.1
qLDT-11 15 5.7 ± 1.8
qLDT-2 + qLDT-6 3 3.7 ± 0.6
qLDT-2 + qLDT-11 14 4.0 ± 1.0
qLDT-6 + qLDT-11 20 4.1 ± 1.6
qLDT-2 + qLDT-6 + qLDT-11 22 3.2 ± 1.2
그 결과, 내한발성 QTL이 하나도 없는 계통의 평균 내한발성 정도는 7.3으로 분석되었다. qLDT-2 또는 qLDT-6가 도입된 계통의 평균 내한발성 정도는 각각 7.2와 6.1로 감수성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qLDT-11 역기 단일 QTL로 도입되었을 때 평균 내한발성 정도가 5.7로 감수성 쪽에 가까웠다. 하지만 qLDT-2와 qLDT-6 QTL이 같이 도입된 계통의 평균 내한발성 정도는 3.7로 내한발성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qLDT-2/qLDT-11와 qLDT-6/qLDT-11과 같이 두 개의 QTL이 각각 도입되었을 때 평균내한발성 정도는 각각 4.0과 4.1로 조사되었다. 탐색된 모든 QTL(qLDT-2/qLDT-6/qLDT-11)이 도입된 계통의 평균 내한발성은 내한발성 부본으로 사용된 삼강벼의 내한발성 정도와 거의 유사한 3.2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서, 2개 이상의 QTL을 도입하였을 경우, 단독 QTL을 도입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내한발성 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육성을 위한 내한발성 분자마커 탐색
QTL 도입을 통한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 육성에 적합한 분자마커를 탐색하기 위하여, 이들 QTL 영역내에 위치한 분자마커에 대한 각 싱글마커(Single marker) 분석을 수행하였다(표 3).
염색체 마커 위치(cM) LOD PVE(%) Add
2

RM324 126.4 2.8 12.4 -0.69
RM424 127.5 3.2 14.0 -0.74
S2016 147.1 2.0 9.1 -0.61
6

S6022 190.8 2.1 9.2 -0.60
RM20180 209.6 5.2 21.5 -0.91
S6023 231.6 2.3 10.0 -0.63
11

RM26765 159.0 7.1 28.2 -1.15
RM26582 163.2 8.0 31.0 -1.22
RM287 182.9 4.4 18.6 -0.94
그 결과, qLDT-2 QTL 내에 존재하는 싱글마커는 RM324 등 3개이며 이들 중 RM424 싱글마커가 가장 높은 LOD 수치 3.2 를 나타내었다. qLDT-6 QTL 내에 존재하는 싱글마커는 s6022 등 3개이며 이들 중 RM20180 싱글마커가 가장 높은 LOD 수치 5.2 를 나타내었다. qLDT-11 QTL 내에 존재하는 싱글마커는 RM26765 등 3개이며 이들 중 RM26582 싱글마커가 가장 높은 LOD 수치 8.0 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 육성을 위하여 두 개 이상의 QTL 도입할 경우, 각각의 QTL에 대하여 가장 높은 LOD 수치를 나타낸 RM424, RM20180, RM26582을 활용 수 있으며, 이들 중 2개 이상 삼강벼 유전형을 나타내는 계통 및 품종을 선발하면 내한발성 계통 및 품종을 육성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Molecular marker for drought resistance in Samgangbyeo <130> KPA151164-KR <160> 1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2_RM324_forward <400> 1 ctgattccac acacttgtg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2_RM324_reverse <400> 2 gattccacgt caggatcttc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2_RM424_forward <400> 3 tttgtggctc accagttgag 20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2_RM424_reverse <400> 4 tggcgcattc atgtcatc 18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2_S2016_forward primer <400> 5 gcagtcggtt ctcaattggt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2_S2016_reverse primer <400> 6 gattttccag cccattctca 20 <210> 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6_S6022_forward primer <400> 7 ttagttggag aagaaaggtg tagaga 26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6_S6022_reverse primer <400> 8 accatccaaa taccctagtc g 21 <210> 9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6_RM20180_forward primer <400> 9 caccggtgta gctagttctg tgc 23 <210> 1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6_RM20180_reverse primer <400> 10 agaagactgc aatcggagtg acg 23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6_S6023_forward primer <400> 11 gggttagaac ccgtttggat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6_S6023_reverse primer <400> 12 tacgtcctgg ctttgtaccc 20 <210> 1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11_RM26765_forward primer <400> 13 gttgacgccc agaagaggta tcc 23 <210> 1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11_RM26765_reverse primer <400> 14 tttcctccac ataagcgaag agc 23 <210> 1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11_RM26582_forward primer <400> 15 gccattgaca ccaaatgatc acc 23 <210> 1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11_RM26582_reverse primer <400> 16 ggcatataag gtccatggtg aattgg 26 <210> 1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11_RM287_forward primer <400> 17 ggctacacct acacgcgaga acc 23 <210> 1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LDT-11_RM287_reverse primer <400> 18 agatgcatgg aatgcctgtt tgg 23

Claims (8)

  1. 삼강벼의 2번 염색체의 11418704번째 염기 내지 11418942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424, 6번 염색체의 21009161번째 염기 내지 2100952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0180 및 11번 염색체의 15769003번째 염기 내지 1576940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6582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삼강벼의 2번 염색체의 11418741번째 염기 내지 1141887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324, 2번 염색체의 12049182번째 염기 내지 12049373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2016, 6번 염색체의 20978637번째 염기 내지 20978799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6022, 6번 염색체의 22277867번째 염기 내지 22,278,06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6023, 11번 염색체의 19497166번째 염기 내지 19497296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6765, 11번 염색체의 19059931번째 염기 내지 19060229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87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싱글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프로브 또는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2번 염색체의 11418704번째 염기 내지 11418942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424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3 및 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6번 염색체의 21009161번째 염기 내지 2100952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0180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9 및 10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및 11번 염색체의 15769003번째 염기 내지 1576940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6582를 증폭시킬 수 있는 서열번호 15 및 16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번 염색체의 11418741번째 염기 내지 11418874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324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이고; 상기 2번 염색체의 12049182번째 염기 내지 12049373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2016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5 및 6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이고; 6번 염색체의 20978637번째 염기 내지 20978799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6022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7 및 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이고; 6번 염색체의 22277867번째 염기 내지22,278,060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S6023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1 및 12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이고; 11번 염색체의 19497166번째 염기 내지 19497296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6765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3 및 14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이고; 또는 11번 염색체의 19059931번째 염기 내지 19060229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싱글마커 RM287를 증폭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7 및 18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인 것인,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R 키트 DNA 칩 키트, SNP 칩 키트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칩 키트인 것인, 키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벼로부터 수득한 DNA로부터 싱글마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한발성 삼강벼 선별방법.



  8. 삭제
KR1020150159108A 2015-11-12 2015-11-12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84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08A KR101784161B1 (ko) 2015-11-12 2015-11-12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08A KR101784161B1 (ko) 2015-11-12 2015-11-12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090A KR20170056090A (ko) 2017-05-23
KR101784161B1 true KR101784161B1 (ko) 2017-10-13

Family

ID=5905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108A KR101784161B1 (ko) 2015-11-12 2015-11-12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80B1 (ko) 2013-10-08 2015-02-17 대한민국 벼 품종인식을 위한 Indel 마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980B1 (ko) 2013-10-08 2015-02-17 대한민국 벼 품종인식을 위한 Indel 마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nt Science, Volume 242, pp. 278-287 (온라인 게시일 2015.08.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090A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207B2 (ja) ホウレンソウにおけるperonospora耐性の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JP2010516236A (ja) 新規なトウモロコシ植物
KR101877532B1 (ko) 하례조생 품종 특이적 snp 마커 검출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N107099588B (zh) 用于鉴定陆地棉早熟性的ssr标记的开发及其应用
KR102234489B1 (ko) DNA 마커를 포함하는 벼 키다리병 저항성 유전자 qBK1을 가진 벼 품종 선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항성 벼 품종 선별 방법
CN108004236B (zh) 玉米茎腐病抗病分子育种方法及其应用
KR101878539B1 (ko) 콩의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84161B1 (ko) 삼강벼 내한발성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014238B1 (ko) 수박 f1 종자 순도 검정 방법
Amin et al. Identification of novel submergence tolerant local rice cultivars of Bangladesh
US11319554B2 (en) Cucumber mosaic virus resistant pepper plants
US10717986B1 (en) Resistance alleles in soybean
WO2012017679A1 (en) Stalk-length-related marker of plant of the genus saccharum and the use thereof
WO2012017682A2 (en) Leaf-blade-length-related marker of plant of the genus saccharum and the use thereof
Yuskianti et al. Detection of pollen flow in the seedling seed orchard of Acacia mangium using DNA marker
RU2740404C1 (ru) ДНК-маркер для селекции сортов ярового ячменя, устойчивых к темно-бурой пятнистости
CN116814846B (zh) 与东乡普通野生稻耐盐基因qSST4相连锁的分子标记及其应用
US20240043862A1 (en) Marker associated with smut resistance in plant belonging to genus saccharum and use thereof
US10883148B2 (en) Molecular markers associated with Orobanche resistance in sunflower
KR101892461B1 (ko)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WO2012073495A2 (en) Sugarcane-stalk-number-related marker and the use thereof
Singh et al. Significant role of molecular markers in sugarcane improvement
WO2012017683A1 (en) Leaf-area-related marker of plant of the genus saccharum and the use thereof
WO2012073494A2 (en) Sugarcane-stalk-diameter-related marker and the use thereof
US9677134B2 (en) Sugarcane-stalk-sugar-content-related marker and the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