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12B1 - 식기처리기 - Google Patents

식기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612B1
KR101783612B1 KR1020110025071A KR20110025071A KR101783612B1 KR 101783612 B1 KR101783612 B1 KR 101783612B1 KR 1020110025071 A KR1020110025071 A KR 1020110025071A KR 20110025071 A KR20110025071 A KR 20110025071A KR 101783612 B1 KR101783612 B1 KR 10178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e
rack
tines
dish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398A (ko
Inventor
장보영
안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61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를 보관, 세척 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식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는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위치되어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랙은, 복수 개의 접시를 나란히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2열의 기준 와이어, 그리고 각각의 기준 와이어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타인 사이에 접시가 기울어지게 세워졌을 때, 이웃하는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타인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처리기 {Dish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를 보관, 세척 또는 건조시키기 위한 식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기를 수용하는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처리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랙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다.
식기처리기는 가장 단순하게는 이러한 식기를 수용하는 랙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별도의 공간이 상기 랙과 함께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식기 처리기는 일반적인 바구니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순히 식기를 수납 내지는 보관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할 수 있다.
또한, 식기처리기는 식기의 건조나 살균을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식기를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건조나 살균이 수행되는 공간에 수용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식기처리기는 랙과 상기 랙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식기처리기는 식기를 세척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세척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이나 살균 기능까지 수행하는 식기처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식기처리기도 랙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는데, 이러한 공간을 터브라 할 수 있다. 즉, 터브 내에 랙이 수용되고, 랙에 수용된 식기들이 터브 내부에서 세척이나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의 세척 기능 이외에 살균이나 건조 기능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식기세척기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가 처리되는 공간, 다시 말하면 식기의 세척, 건조, 살균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터브라 한다. 상기 터브는 상기 랙을 수용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처리기에 있어서, 어느 경우나 랙은 필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식기라 함은 그 종류와 형상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러한 랙의 구조 내지 형상은 다양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식기는 냄비, 프라이팬, 사발, 깊이가 높은 접시, 깊이가 낮은 접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부엌칼 등과 같은 다양한 요리 도구나 수저와 포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 내부의 공간이 일정하다면 가능한 많은 식기가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식기가 랙에 수용된 상태에서 건조나 세척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식기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공간을 통해 건조 공기 또는 세척수가 용이하게 공급되어 효과적인 건조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식기들 사이의 공간 형성은 공급되는 건조 공기나 세척수의 방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접시를 랙에 상하로 적층시키는 경우, 더욱 많은 양의 접시가 랙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접시와 접시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건조 및 세척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접시와 접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시들을 상하로 적층시키는 경우, 건조 공기나 세척수가 상하로 공급된다면 건조 및 세척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공간으로 건조 공기나 세척수가 효과적으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을 갖는 랙 또는 이러한 랙과 아울러 랙을 수용하는 한정된 공간 터브의 내부의 공간을 감안하면, 다양한 형태의 식기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랙이 필요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여기서 효과적인 식기의 수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양의 식기를 수용하고, 건조나 세척이 잘 수행되도록 식기 사이의 적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랙과 식기 사이 접촉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여 이러한 접촉 면적으로 인한 건조나 세척 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것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랙을 갖는 식기처리기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많은 경우 이러한 식기처리기는 식기의 세척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종래의 식기세척기, 특히 랙에 대해서 설명한다. 랙 이외의 다른 구성 자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는 크게 연관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랙(10)은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프레임(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은 랙(10)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13)과 랙의 외주벽을 이루는 외주 프레임(12, 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프레임(13)은 복수 개의 와이어가 종횡으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며, 양단 부분이 상부로 절곡되어 수직 외주 프레임(14)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직 외주 프레임(14)은 복수 개의 수평 외주 프레임(12)과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랙의 프레임(1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11)은 와이어 형태를 절곡시켜 제작되는데, 이를 통해 랙의 내부로 세척수나 공기의 유입이 수월하게 된다. 왜냐하면, 와이어와 이웃하는 와이어 사이를 통해 랙 내부와 외부가 용이하게 연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와이어는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기 때문에 식기와 맞닿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의 소정 부분에는 복수 개의 바퀴(40)가 구비되어 랙(1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바퀴로 인해 랙을 들지 않고 랙을 터브 내부로 넣거나 외부로 뺄 때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100)에는 타인(tine, 21, 31)이라 불리는 복수 개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인(21, 31)은 상기 하부 프레임(13)에 대해서 소정 각도를 갖도록 솟아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랙(10)의 바닥면이나 대부분의 하부 프레임(13)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타인의 솟아나는 각도를 이하에서는 타인 각도로 한다.
상기 타인 각도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인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며, 도 1에는 타인 각도가 고정된 고정 타인 어셈블리(20)와 타인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 타인 어셈블리(3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타인 어셈블리(20, 30)는 접시 형태 식기의 세척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2열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어 중심부에 접시를 세워 넣으면, 접시의 양쪽에서 타인(21)이 접시가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접시의 하부 모서리 부분은 하부 프레임(13) 등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랙 하부로 접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 프레임(13) 등에 의한 접시의 지지는 접시가 세워지고 쓰러지지 않는 것과는 무관할 것이다.
먼저, 고정 타인 어셈블리(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은 후방(뒤)이라 하고 우측은 전방(앞)이라 한다. 그리고 랙(10)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부를 상방(위)라 한다.
고정 타인 어셈블리(20)는 기준 와이어(22)와 상기 기준 와이어(22)에서 위로 솟아오르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타인(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준 와이어(22)는 전술한 하부 프레임(13)일 수 있으며,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 타인 어셈블리(20)는 외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고정 타인 어셈블리(20)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세척을 필요로 하는 식기 형태와 개수가 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접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식기, 예를 들어 커다란 냄비 등을 다수 개 세척하는 경우타인(21)으로 인해 오히려 랙(10)에 수용될 수 있는 식기의 양이 줄어들 여지가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이러한 고정 타인 어셈블리(20)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랙에는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21)은 곧은 직선 형태로 형성(직선 타인)되거나 일부 구간이 꺽여 있는 형태(꺽임 타인)로 형성되었다. 즉, 후자의 타인은 하부의 직선부, 하부의 직선부에서 연장된 사선부, 그리고 상기 사선부에서 더욱 연장되는 상부의 직선부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21a, 21b는 이러한 직선 타인, 그리고 21c, 21d는 꺽임 타인을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접시가 이러한 타인(21)을 통해 고정되기 위해서는 4개의 타인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타인(21a), 이웃하는 타인(21b) 그리고 이러한 타인들(21a, 21b)과 각각 쌍을 이루는 타인(21c, 21d)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타인들(21a, 21b, 21c, 21d)에 접시가 삽입되면 접시의 일측은 타인들(21a, 21b) 그리고 타측은 타인들(21c, 21d)에 의해 지지 되어 고정된다.
즉, 접시의 후면(일반적으로 테이블에 맞닿는 부분을 의미) 하부 양쪽은 21a, 21c 타인이 지지하고, 접시의 전면(일반적으로 음식이 놓여 지는 부분을 의미) 상부 양쪽은 21b, 21d 타인이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나의 접시에 4개의 타인이 접촉하여 접시를 지지하는데, 타인과 접시의 접촉이 점 접촉이 아닌 선 접촉이 될 여지가 크다. 이는 접시가 기울어질수록 선 접촉 면적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이 부분에서 세척 및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여지가 크다.
한편, 접시가 커질수록 이웃하는 접시 간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접시의 상부가 이웃하는 접시의 상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세척이 일어날 때 접시가 클수록 충분히 지지 되지 않아 기울어짐 각도가 커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뒤에 위치한 접시와 앞에 위치한 접시가 서로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접촉이 발생 되지 않아도 접시 사이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접시 상부에서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여지가 크다.
이러한 문제는 전술한 꺽임 타인(21c, 21d)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직선 타인보다는 접시와 선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 수는 있지만, 타인 상부에서 접시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전술한 고정 타인 어셈블리(20)의 문제점 중 하나는 식기의 크기, 특히 접시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이에 대처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2열 타인(21a, 21c) 사이의 거리, 타인 길이 그리고 타인 각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시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이를 지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타인 어셈블리(30)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변 타인 어셈블리(30)의 경우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먼저, 가변 타인 어셈블리(30)은 회전 중심부(3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중심부(32)는 하부 프레임(13)에 고정부(3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회전 중심부(32)에는 복수 개의 타인(31)이 구비되며, 각각의 타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회전 중심부(32)와 타인(31)는 2열 형태로 구비된다.
타인(31) 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타인(31)과 동일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조절부(33)가 회전 중심부(32)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부(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부(32)의 일측을 절곡시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33)에 대응되는 고정편(34)이 수직 외주 프레임(14) 또는 수평 외주 프레임(12)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33)는 타인(31) 그리고 회전 중심부(32)와 일체로 구비되므로, 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타인(31)도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32)는 고정편(34)에 구비된 슬롯(34a)에 고정된다. 상기 슬롯(34a)은 하나의 고정편(34)에 예를 들어 각각 5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슬롯(34a)의 개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타인의 각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변 타인 어셈블리(30)은 연속적인 타인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상 가변 각도의 수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그리고 또한 타인 각도 조절을 위해서 두 개의 조절부(32)를 각각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 아울러, 가변 타인 어셈블리(30)를 상기 랙(10)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분리 및 재설치가 번거로운 문제 또한 갖게 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식기 세척이나 건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분리 및 재설치가 용이한 타인 어셈블리를 제공하거나 분리 및 재설치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된 타인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식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접시 형태의 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 건조할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타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위치되어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랙은 복수 개의 접시를 나란히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2열의 기준 와이어, 그리고 각각의 기준 와이어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타인 사이에 접시가 기울어지게 세워졌을 때 이웃하는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타인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타인 어셈블리는 고정 타인 어셈블리일 수 있고 가변 타인 어셈블리일 수 있다. 후자인 경우 상기 기준 와이어는 타인 각도를 가변을 위해 회전되는 회전 중심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인 경우에는 타인 각도가 고정될 것이다.
이러한 연장부는 특히 접시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뒤에 위치되는 접시의 기울어짐 각도가 큰 경우 앞에 위치되는 접시와 접촉하는 것을 상기 연장부가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부는 나란히 세워진 접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접시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와 연결된 타인 중심부, 그리고 상기 타인 중심부와 상기 기준 와이어(가변 타인인 경우 회전 중심부라 할 수 있음)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준 와이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인데, 상기 기준 와이어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인의 탄성 강화를 위해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굴곡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인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즉 타인 각도가 수직일 때) 기준 와이어와 상기 연결부 사이의 전방 각도는 예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의 각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식기를 고정하는 면적을 줄여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굴곡부의 최후방은 상기 타인 중심부의 최후방과 적어도 같거나 더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세 개의 지점이 접시를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하는 타인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세 개의 지점은 각도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인은 하나의 와이어를 굴곡시켜 제작할 수 있는데, 와이어의 굴곡 지점이 접시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굴곡 지점에서 접시를 지지하도록 하는 이유는 와이어의 일부분이 선접촉이 아닌 점접촉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타인과 접시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타인은, 상기 기준 와이어와 연결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더욱 연장되는 타인 중심부 그리고 상기 타인 중심부에서 더욱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 개의 지지점은, 상기 연결부에서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점(제1지점), 상기 굴곡부의 최후방 지점(제2지점), 그리고 상기 타인 중심부에서 상기 연장부를 형성하는 지점(제3지점)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굴곡부에서 상기 타인 중심부와 연결되는 부분도 굴곡 지점(제4지점)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2지점과 제3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4지점은 상기 직선 상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접시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지더라도 상기 제2지점과 제3지점을 통해 접시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타인과 접시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접시가 세워 졌을 때 이웃하는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사선 형태로 상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제1지점과 제2지점 외에 제3지점 또는 경우에 따라서 제4지점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접시의 세워짐 각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시가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세워진 경우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세워진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접시의 세워지는 각도는 가장 크게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상기 연장부를 통해서 상부에서 접시들이 접촉되지 않고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점은 하나의 타인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이웃하는 두 개의 타인 사이에 접시가 세워질 때 접시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후방 타인의 제1지점은 접시의 하부 후방을 지지하고 전방 타인의 제2지점은 접시의 하부 전방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점은 상기 제1지점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방 타인의 제3지점은 상기 접시의 상부 전방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시가 전방으로 더욱 기울어지게 세워질수록 타인은 전방으로 탄성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접시의 세워지는 각도가 전방으로 점점 작아짐에 따라, 다시 말하면 전방으로 더욱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말단은 이웃하는 접시의 후방을 밀어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3지점은 상기 연장부의 최하부로 전환되고 상기 연장부의 말단이 제4지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시의 기울어짐이 커지더라도 이웃하는 접시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타인과 접시가 선접촉되지 않고 점접촉으로 지지되어 효과적인 세척 및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접시를 나란히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2열의 기준 와이어와 각각의 기준 와이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tine)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각각의 기준 와이어를 서로 연동되어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타인 핸들을 포함하는 랙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랙을 포함하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와이어는 회전하므로 회전 중심부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인 핸들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타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타인을 바닥 프레임과 수평하게 조절할 수도 있기 때문에 타인 어셈블리를 분리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서로 배타적이거나 모순되지 않은 이상 전술한 실시예와 복합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양 실시예가 별도로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타인 핸들은, 수직 방향의 변위를 형성시키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수직 방향 변위를 상기 각각의 회전 중심부의 회전 각도 변위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중심부 각각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대칭으로 구비되어 상기 중심부들이 동일한 회전 각도 변위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중심부의 일측 말단은 상기 회전 중심부로부터 소정 모멘트 거리를 갖도록 단차부와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중심부와 상기 회전부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다. 그러나, 양자는 상기 단차부를 통해 서로 모멘트 거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 중심부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는 상기 단차부에 의한 회전 반경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 중심부, 단차부 그리고 회전부는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롯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롯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폭은 상기 회전 중심부의 최대 허용 회전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조절부의 수직 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상기 회전 중심부, 단차부 그리고 회전부에 큰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게 된다. 왜냐하면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한 위치를 구속 위치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속 위치에서는 일반적으로 매우 큰 모멘트가 전달되어 구성 요소들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 위치에서의 모멘트 거리가 최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는 이러한 구속 위치에서 상기 회전 중심부, 단차부 그리고 회전부로 전달되는 힘을 차단하여 최대의 모멘트 거리에도 불구하고 모멘트를 크기를 줄여주게 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랙의 측벽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랙의 측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조절부의 변위 발생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쉽게 당길 수 있도록 관통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열의 기준 와이어(회전 중심부), 상기 회전 중심부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tine)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 그리고 타인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타인 핸들은 하나의 선형 변위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회전 중심부 모두의 회전 각도 변위로 변환하여 상기 랙의 저면에 대한 상기 타인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2열의 회전 중심부 사이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각각의 회전 중심부의 회전 방향은 서로 다르되, 회전 각도 변위는 서로 갖도록 변환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타인 핸들은, 수직 방향의 변위를 형성시키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수직 방향 변위를 상기 각각의 회전 중심부의 회전 각도 변위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부의 일측 말단은 상기 회전 중심부와 모멘트 거리를 갖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롯의 폭은 상기 회전 중심부의 최대 허용 회전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조절부의 수직 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랙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랙의 측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조절부의 변위 발생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이 편리하고 식기 세척이나 건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및 재설치가 용이한 타인 어셈블리를 제공하거나 분리 및 재설치가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된 타인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사용 편의를 증진시킨 식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접시 형태의 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 건조할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타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인과 접시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한편 접시를 지지하는 지지점 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과 접시 사이의 접촉 면적으로 인한 세척 및 건조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있다. 그리고 보다 안정적으로 접시를 지지할 수 있어 접시끼리 부딪혀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랙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식기처리기, 특히 식기세척기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100)는 일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한 터브(60), 상기 세척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도어(53), 상기 세척공간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랙(10)을 포함한다.
상기 터브(60)에는 랙 서포터(13)가 구비되는데 상기 랙 서포터(13)는 랙(10)이 세척공간(60) 내부에 위치하도록 랙(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랙 서포터(13)는 세척공간(60) 내주면을 따라 레일(rail)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랙의 하부면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세척공간(60)의 내주면 양단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53)는 세척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은 도어(53)가 회전축(63)을 통해 터브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캐비닛(51)을 통해 외관이 형성되고, 캐비닛 내부에 터브(60) 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랙(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터브(60)에 2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터브(60)의 하부에는 세척대상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52)는 섬프급수부(62)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데, 상기 섬프급수부(62)는 식기세척기(1)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과 상기 섬프(2)를 연통시키는 급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2)에는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섬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섬프배수부(64)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섬프배수부(64)는 섬프(52)와 식기세척기(1)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수호스(65) 및 배수펌프(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식기세척기는 터브(60) 내부에 구비되어 랙(10)에 수용된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55)은 랙(10)의 하부나 상부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터브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구비되어 랙(10)의 상부 및 하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암(55)은 식기세척기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대상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2)에 저장된 세척수를 랙(10)에 수납된 세척대상으로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분사암(55)이 도 3과 같이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분사암(55)은 세척수 공급부(56)를 통해 상기 섬프(52)와 연통하게 된다. 즉, 상기 세척수 공급부(66)는 분사암(55)과 섬프를 연통시키는 공급유로(57)와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암(55)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5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랙(100)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고정 타인 어셈블리(120)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인(121)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한 것이다.
상기 랙(100)은 복수 개의 접시를 나란히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2열의 기준 와이어, 그리고 각각의 기준 와이어(122)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열의 기준 와이어(122)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그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기준 와이어(122)에는 복수 개의 타인(121)이 일정 간격(피치)를 갖고 구비된다. 그리고, 다른 기준 와이어(122)에서도 복수 개의 타인(121)이 같은 피치를 갖고 구비된다. 따라서, 하나의 접시는 4개의 타인을 통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타인(121)은 최하부만 상기 기준 와이어(122)에 고정되었을 뿐 그 상부는 지지되지 않는 구조이다. 즉 외팔보(Cantilever) 구조와 유사하다. 따라서, 자체의 탄성을 갖고 변형을 하게 된다.
상기 타인(121)의 상부에는 이웃하는 타인 사이에 접시가 기울어지게 세워졌을 때 이웃하는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타인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4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처음 접시는 수직하게 세워질 수도 있고, 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세워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접시에 가해지는 세척수의 충격으로 인해 접시가 기울어질 수 있다. 접시가 커질수록 세척 중 접시가 기울어질 수 여지가 더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접시가 커질수록 무게 중심이 높아질 수 밖에 없고, 심지어는 타인 높이 보다 높은 것에 무게 중심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접시의 세워짐 각도를 기준 와이어(122)에 대한 타인(121)의 각도(α)를 통해 달리할 수 있다. 도 4에는 기준 와이어(122)에 대한 타인의 후방 각도 α를 예각으로 하여 접시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반대로, 기준 와이어(122)에 대한 타인의 후방 각도를 둔각으로 하여 접시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α를 직각으로 하여 접시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세척수가 수직으로 공급된다면 상기 α를 예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타인 어셈블리는 고정 타인 어셈블리일 수 있고 후술하는 가변 타인 어셈블리일 수 있다. 후자인 경우 상기 기준 와이어는 타인 각도를 가변을 위해 회전되는 회전 중심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인 경우에는 타인 각도가 고정될 것이다.
상기 연장부(148)는 특히 접시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먼저 α가 둔각인 경우, 뒤에 위치되는 접시의 앞으로 더 기울어질 때 앞에 위치되는 접시와 접촉하는 것을 상기 연장부(148)가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장부는 나란히 세워진 접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접시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α가 예각인 경우, 앞에 위치되는 접시가 뒤로 더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연장부(148)에 의해서 접시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인(121)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인(121)은 연장부(148)와 연결된 타인 중심부(146), 그리고 상기 타인 중심부(146)와 상기 기준 와이어(122, 가변 타인 어셈블리인인 경우 회전 중심부라 할 수 있음)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1)는 상기 기준 와이어(1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인데, 상기 기준 와이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 α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41)는 상기 타인의 탄성 강화를 위해 굴곡부(143, 14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굴곡부(143, 144)는 상기 연결부(141)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인의 세워짐 각도 즉 타인 각도는 도 4에서 각도 β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마주보는 타인들의 최하부를 이은 선과 타인의 연장되는 선 사이의 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기 타인 각도가 수직일 때, 상기 각도 α는 예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부(148)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143)되고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굴곡부의 최후방(14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4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145)에서의 각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식기를 고정하는 면적을 줄여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굴곡부의 최후방(144)은 상기 타인 중심부(146)의 최후방(147)과 적어도 같거나 더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 개의 지점이 접시를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하는 타인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세 개의 지점은 각도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인은 하나의 와이어를 굴곡시켜 제작할 수 있는데, 와이어의 굴곡 지점이 접시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굴곡 지점에서 접시를 지지하도록 하는 이유는 와이어의 일부분이 선접촉이 아닌 점접촉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타인과 접시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먼저, 각도 α가 둔각이거나 수직인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세 개의 지지점은, 상기 연결부(141)에서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점(145, 제1지점), 상기 굴곡부의 최후방 지점(144, 제2지점), 그리고 상기 타인 중심부(146)에서 상기 연장부(148)를 형성하는 지점(147, 제3지점)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굴곡부(143, 144)에서 상기 타인 중심부(146)와 연결되는 부분(145)도 굴곡 지점(제4지점)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2지점과 제3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4지점은 상기 직선 상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접시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지더라도 상기 제2지점과 제3지점을 통해 접시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타인과 접시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접시가 세워 졌을 때 이웃하는 타인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사선 형태로 상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웃하는 타인의 연장부(148)들 사이에 간격이 생겨 이를 통해 접시를 타인들 사이에 용이하게 깨워놓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 α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각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지점과 제2지점 외에 제3지점 또는 경우에 따라서 제4지점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지점(142)와 제2지점(144)는 동일할 수 있으나 제3지점은 연장부(148)의 말단 부분(149)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든 실질적으로 점 접촉으로 접시 일측에서 3개소 이상 개소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경우든 상기 연장부를 통해서 상부에서 접시들이 접촉되지 않고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타인의 구조와 형상에 의해 접시와 타인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지지 개소를 더욱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접시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세척 중 접시가 더욱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시 사이에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와이어(122)와 연결된 타인 고정부(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타인 고정부(123)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인 고정부(123)은 랙의 프레임, 특히 랙의 수평 프레임(12)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인 고정부(123) 말단에는 손잡이(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미끌어지지 않고 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양측에는 상기 타인 고정부(123) 말단들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타인(121), 기준 와이어(122), 타인 고정부(123) 그리고 손잡이(12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인 고정부(123)를 수평 프레임(12)에 고정하는 수단(미도시)을 해제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들어 올리면 용이하게 고정 타인 어셈블리 전체를 쉽게 랙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랙의 프레임들은 금속 재질, 특히 스테인레스 등으로 재작 가능하다. 이러한 재질 특성상 금속 광택을 갖기 때문에 별도로 코팅을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124)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24)는 랙의 프레임들과는 달리 색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색이 달라짐으로 인해 관념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거나 필요한 구성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타인의 색도 손잡이의 색과 동일하게 코팅한다면 이러한 구성 전체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쉽게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성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대단히 편리하다.
도 5를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한 가변 타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 타인 어셈블리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타인 각도를 조절할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먼저, 가변 타인 어셈블리(130)은 회전 중심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중심부(132)는 하부 프레임(13)에 고정부(13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된다. 상기 회전 중심부(132)에는 복수 개의 타인(131)이 구비되며, 각각의 타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회전 중심부(132)와 타인(131)는 2열 형태로 구비된다.
타인(131) 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타인(31)과 동일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조절부(133)가 회전 중심부(132)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33)에 대응되는 고정편(34)이 수직 외주 프레임(14) 또는 수평 외주 프레임(12)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조절부(133)는 와이어가 아닌 일정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내부에 상기 회전 중심부(132)에서 연장된 와이어가 인서트 몰딩되어 전체적으로 조절부(13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133)의 상부는 더욱 넓은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조절부(133)의 넓은 평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넓은 평면(133a)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 성인이 한 손으로 엄지와 검지 또는 중지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넓은 평면 사이의 거리는 최대 15 내지 20 센티미터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부의 넓은 평면(133a)를 통해서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타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조절부의 넓은 평편(133a)를 잡고 가변 타인 어셈블리(130)을 랙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133)를 랙의 프레임과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변 타인 어셈블리의 타인과 회전 중심부도 랙의 프레임과 구별되는 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러한 부분이 사용자 조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타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타인 핸들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이나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들과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접시를 나란히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2열의 기준 와이어(232)와 각각의 기준 와이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231)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기준 와이어(232)를 서로 연동되어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타인 핸들(300)을 포함하는 랙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랙을 포함하는 식기처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와이어는 회전하므로 회전 중심부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인(231), 기준 와이어 또는 회전 중심부(232) 등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타인 핸들을 통해 한 번의 조작으로 2열의 타인 각도를 서로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타인을 바닥 프레임과 수평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 어셈블리를 랙에서 분리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타인 핸들(300)은 수직 방향의 변위를 형성시키는 조절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타인 핸들(300)은 상기 조절부(310)의 수직 방향 변위를 상기 각각의 회전 중심부(232)의 회전 각도 변위로 변환시키는 변환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320)는 상기 중심부(232) 각각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대칭으로 구비되어 상기 중심부(232)들이 동일한 회전 각도 변위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중심부(232)의 일측 말단은 상기 회전 중심부(232)로부터 소정 모멘트 거리를 갖도록 단차부(236)와 회전부(237)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237)가 상기 변환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중심부(232)와 상기 회전부(237)의 연장 방향은 동일하다. 그러나, 양자는 상기 단차부(236)를 통해 서로 모멘트 거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 중심부(232)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237)는 상기 단차부(236)에 의한 회전 반경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 중심부(23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 중심부(232), 단차부(236) 그리고 회전부(237)는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변환부(320)는 상기 회전부(237)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롯(3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237)는 상기 회전 중심부(232)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롯(321)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타인 각도가 최대인 경우, 예를 들어 수직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상기 회전부(237)은 슬롯(321)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됨과 동시에 가장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도 7에는 타인 각도가 최소인 경우, 예를 들어 0도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상기 회전부(237)은 슬롯(321)의 가장 안쪽에 위치됨과 동시에 가장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롯의 폭은 상기 회전 중심부의 최대 허용 회전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인 핸들은 수직 방향 변위를 발생시키고, 변환부(320)를 통해 회전 중심부(232)의 회전 변위로 전환시킨다. 이 경우 타인 핸들(30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수 있고 가변 타인 어셈블리에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도한 힘이 변환부(320)를 통해 회전 중심부(232) 등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타인 핸들(300)은 상기 조절부(310)의 수직 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제한부(331, 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한부(331, 332)는 상기 회전 중심부(232), 단차부(236) 그리고 회전부(237)에 큰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부는 타인 핸들(310)의 하측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 제한부(331)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한부는 타인 핸들(310)의 상측 이동의 범위를 제한하는 하부 제한부(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한부(331, 332)는 걸림턱이나 돌기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인 핸들(310)은 랙의 외주벽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인 핸들(310)은 선형 변위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선형 변위의 발생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타인 핸들(31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3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부(340)는 랙의 외주벽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랙의 고정부(340)는 선택적으로 상기 타인 핸들(310)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를 가압하여 고정부와 랙 외주벽 사이의 거리를 줄이면 타인 핸들(310)이 고정되어 조작이 불가능하고, 반대로 가압을 해제하면 타인 핸들(310)이 조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메커니즘에 의하면 타인 각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고정부와 타인 핸들 사이에 복수 개의 홈과 돌기 구조(미도시)를 형성하면 이러한 홈 또는 돌기의 수만큼 타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340)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타인 핸들의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조절부(310)의 변위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3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쉽게 당길 수 있도록 관통 슬롯(3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인 각도를 0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타인 각도가 줄어들 때, 마주보는 타인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부에서 소정 피치를 갖고 타인들이 구비될 때, 다른 하나의 회전 중심부에서는 소정 피치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편차를 갖도록 타인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의 타인이 상기 단차부(236)에서 소정 피치 거리를 두고 구비되기 시작한다면, 2열의 타인은 상기 단차부(236)에서 소정 피치의 절반 거리를 두고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주보는 타인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타인 각도를 0도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변 타인 어셈블리를 랙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분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 않고 한 번의 조절부 조작만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편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인 핸들(310)은 하나의 선형 변위를 발생시키고, 이를 양쪽의 회전 중심부(232) 모두의 회전 각도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타인 핸들(310)은 2열의 회전 중심부(232) 사이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타인 핸들을 통한 하나의 선형 변위를, 각각의 회전 중심부의 회전 방향은 서로 다르되 회전 각도 변위는 서로 갖도록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서로 조합 내지는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설명되지 않은 실시예들의 변형이나 조합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 100 : 랙 120 : 고정 타인 어셈블리
130 : 가변 타인 어셈블리 121, 131 : 타인
122, 132 : 기준 와이어(회전 중심부) 300 : 타인 핸들

Claims (20)

  1.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위치되어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는 식기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랙은:
    복수 개의 접시를 나란히 세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2열의 기준 와이어; 그리고 각각의 기준 와이어에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타인을 갖는 타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인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기 기준 와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타인은;
    상기 세워진 접시들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연결된 타인 중심부; 및
    상기 타인 중심부와 상기 기준 와이어 사이에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식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식기와 접촉하는 말단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인의 탄성 강화를 위해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가지며, 상기 굴곡부의 최후방부는 상기 식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식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식기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상기 최후방부는 상기 타인 중심부의 최후방과 적어도 같거나 더 후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이 연장됨에 따라 방향이 급격히 변하는 적어도 세 개의 지점이 상기 접시를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하는 식기처리기.
  6. 삭제
  7. 제 5 항에서,
    상기 세 개의 지지점은,
    상기 연결부에서 후방으로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는 지점(제1지점), 상기 굴곡부의 최후방 지점(제2지점), 그리고 상기 타인 중심부에서 상기 연장부를 형성하는 지점(제3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가 세워져 기울어지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상기 말단부가 상기 지지점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선형 변위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기준 와이어 모두의 회전 각도 변위로 변환하여 상기 랙의 저면에 대한 상기 타인의 각도를 조절하는 타인 핸들을 포함하는 식기처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2열의 기준 와이어 사이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각각의 기준 와이어의 회전 방향은 서로 다르되, 회전 각도 변위는 서로 갖도록 변환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 핸들은,
    수직 방향의 변위를 형성시키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수직 방향 변위를 상기 각각의 기준 와이어의 회전 각도 변위로 변환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식기처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와이어의 일측 말단은 상기 기준 와이어와 모멘트 거리를 갖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상기 변환부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롯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폭은 상기 기준 와이어의 최대 허용 회전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 핸들은, 상기 조절부의 수직 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랙의 측벽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랙의 측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조절부의 변위 발생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쉽게 당길 수 있도록 관통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기.
KR1020110025071A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기 KR10178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71A KR101783612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71A KR101783612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98A KR20120107398A (ko) 2012-10-02
KR101783612B1 true KR101783612B1 (ko) 2017-10-10

Family

ID=4727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71A KR101783612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206A (ja) * 2001-11-28 2003-06-03 Harman Pro:Kk 食器洗浄機用保持具
JP2004041686A (ja) * 2002-05-22 2004-02-1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4490851B2 (ja) * 2005-03-03 2010-06-30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206A (ja) * 2001-11-28 2003-06-03 Harman Pro:Kk 食器洗浄機用保持具
JP2004041686A (ja) * 2002-05-22 2004-02-1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4490851B2 (ja) * 2005-03-03 2010-06-30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98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EP2076162B1 (en) Dishwasher with adjustable basket(s)
KR101750314B1 (ko) 식기처리기
KR102002505B1 (ko) 식기세척기
KR102021823B1 (ko) 식기세척기
US10602910B2 (en) Modular dishwasher rack with interchangeable and customizable basket inserts
US9629515B2 (en) Multi-sided, rotable tines for a dishwasher rack
KR101961373B1 (ko) 식기세척기
US10694921B2 (en) Wire dishware and cutlery rack for dishwasher
US11612300B2 (en) Configurable lower rack for dishwasher
US11445887B2 (en) Adjustable rack assembly and dishwashing appliance
KR101783612B1 (ko) 식기처리기
US20220386847A1 (en) Dish washer
US20050045215A1 (en) Three rack dishwasher with door mounted silverware basket
KR2007000880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20220059163A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JP2004242901A (ja) 食器洗浄機
JP2004254830A (ja) 食器洗浄機
KR200369568Y1 (ko) 승강이 자유로운 싱크 볼이 형성된 싱크대
JP2004243103A (ja) 食器洗浄機
JP2003325427A (ja) 食器洗浄機
CN109985265B (zh) 一种碗架及消毒柜
JP7008611B2 (ja) 食器洗浄機
JP6924927B2 (ja) 食器洗い機
JP2002253470A (ja) 洗浄機用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