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59B1 -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559B1
KR101781559B1 KR1020167002457A KR20167002457A KR101781559B1 KR 101781559 B1 KR101781559 B1 KR 101781559B1 KR 1020167002457 A KR1020167002457 A KR 1020167002457A KR 20167002457 A KR20167002457 A KR 20167002457A KR 101781559 B1 KR101781559 B1 KR 10178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display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830A (ko
Inventor
데이빗 에이. 쿠머
댄 제이. 미닉
Original Assignee
에코스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스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코스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1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14Vertic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은 휴대 통신 기기에서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메커니즘이다. 휴대 통신 기기는 다수 부분의 스크린이 제공되며, 상기 다수 부분의 스크린의 일부는 확대되어 확대된 뷰잉 디스플레이 표면을 제공하거나 삽입되어 감소된 뷰잉 모드를 제공하거나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감소된 뷰잉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다수 부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은 삽입되거나/되고 시야에서 사라져서 통신 기기의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확대 뷰잉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은 확대되고/되거나 다수 부분의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과 동일한 평면으로 이동해서 증가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휴대 통신 기기 내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메커니즘에 관련된다.
전자 디스플레이 기기 기술은 초기 십 년 전부터 크게 진화해왔다. 캐소드-레이 튜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액체 결정 디스플레이(LCD) 및 발광 다이오드(LED) 기반의 디스플레이가 보편화 되면서 매우 구식이 되었다. 이 새로운 기술은 얇고 밝은 디스플레이의 증가를 가져오게 했고 그에 따라서 높은 해상도 및 품질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휴대성 있는 기기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계없이, 크고 높은 해상도의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과 더욱 휴대 가능한 기기를 만드는 것 사이에 휴대 전자 기기의 설계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이들은 랩톱 또는 넷북보다 더욱 휴대 가능한 기기 내에 상대적으로 크고 높은 해상도에 관련된 중요한 컴퓨팅 전력을 제공하기 때문에APPLE®의 IPAD®와 같은 태블릿 컴퓨팅 기기는 높은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다. 비록 태블릿 크기의 휴대 컴퓨팅 기기가 다양한 편의와 이점을 제공한다 하여도, 이들은 주머니 또는 홀스터에 합리적으로 넣어 다니기에 너무 크다. 따라서 사람들은 그 또는 그녀가 그들의 일상 생활에서 표준 스마트폰보다 큰 통신 기기를 가지고 다니려고 할 경우에는 이동 가방이 필요하다. 이것은 태블릿 기기를 넣기에 적당한 사이즈의 가방을 일반적으로 가지고 다니는 여성들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국 사회는 이 문제점을 극복하지 않고(또는 이전되거나 특정인의 관점에 의존), 남자가 "멀스(murse)" 또는 제리 세인필드는 이것을 "유럽피언 캐리-올"이라고 함, 남성용 가방을 가지고 다니는 것을 사회적으로 받아주며, 여기서 그는 쉽게 태블릿 사이즈 기기를 그가 가는 곳 어디든 가지고 간다. 남자는 백팩 또는 브리프 케이스를 어떤 상황에서 남자다움에 대한 손상 없이 가지고 다닐 수 있으나, 이러한 기기는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항상 적절하지는 않다. 예컨대, 남자는 저녁식사, 영화관, 데이트 때 또는 친구와 교외 등에서 휴대 통신 기기를 원한다. 따라서 여자가 그녀가 원하는 언제든 어디서나 그녀의 지갑 내에 그녀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아이템 목록에 있어서 스마트폰보다 큰 스크린의 통신 기기를 가지고 다니는 반면, 남자는 다양한 일상 생활에서 태블릿을 가지고 다니는 것에 대하여 사회적인 허용성이 매우 적거나 없다. 이 휴대성 불평등은 단지 통신 기기의 스크린 사이즈 및 그 이동성 사이의 관계에 있다.
휴대 통신 기기에서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휴대 통신 기기는 다수 부분의 스크린이 제공되며, 상기 다수 부분의 스크린의 일부는 확대되어 확대된 뷰잉 디스플레이 표면을 제공하거나 삽입되어 감소된 뷰잉 모드를 제공하거나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감소된 뷰잉 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다수 부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은 삽입되거나/되고 시야에서 사라져서 통신 기기의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확대 뷰잉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은 확대되고/되거나 다수 부분의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과 동일한 평면으로 이동해서 증가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설명에 있어서, 휴대 통신 기기는 멀티파트(multi-part)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의 일 부분은 확대되어서 확대된 뷰잉 디스플레이 표면을 제공하거나, 삽입되어(retracted) 뷰잉 모드를 감소시켜서 휴대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축소된 뷰잉모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우선, 멀티파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보이는 부분이 제공되고, 여기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들은 삽입되거나/되고, 통신 기기의 휴대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가려질 수(obscured) 있다. 확대 뷰잉 모드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들은 확대되거나/되고 상기 멀티파트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과 같은 동일한 평면으로 가져가져서 확대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1a-1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2a-2c는 도1a-1d의 통신 기기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4a-4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5a-5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접는 메커니즘을 이용한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6a-6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접는 메커니즘을 이용한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7a-7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고 접히는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 컴포넌트 및 휴대 통신 기기를 도시한다.
도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기기에서 그래픽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를 묘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 통신 기기가 제공된다. 휴대 통신 기기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정보(communication)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들어오는 통신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로직 및 기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기기는 그래픽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며, 이는 그래픽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데이터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스크린 영역을 더 포함하며, 이는 상기 기기가 제1모드일 때, 상기 기기의 하우징내에 하우징되고, 활성화(activated)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제2 스크린 영역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확대되어 일 위치(position)로 이동하며, 이는 제1 스크린 영역과 동일 평면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2 스크린 영역의 에지(edge)는 제1 스크린 영역의 에지에 직접 근접(adjacent)하고 인접(abutting)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2 스크린 영역은 활성화 상태가 된다. 제2 스크린 영역이 모두 확대되고, 활성화 상태가 되면, 그래픽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 모두에서 렌더링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에 포함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이용되어 하나의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휴대 통신 기기가 제공되며, 이는 제1 스크린 영역 및 제2 스크린 영역을 포함한다. 휴대 통신 기기는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놓여지고, 여기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은 제2 스크린 영역의 위에 접혀서,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평면 표면이 제2 스크린 영역의 평면 표면에 대향하여 바라보고(oppositely facing),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2평면 표면 만이 통신 기기의 사용자를 바라보고 보여진다, 여기서 상기 제2평면 표면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평면 표면에 대향한다. 제1 스크린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접혀지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평면 표면 및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평면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표면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휴대 통신 기기는 휴대 전화기기, 태블릿 기기, 휴대 게임기기, 핸드핼드 컴퓨팅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100)를 도시한다. 도1a의 휴대 통신 기기(100)는 하우징(102)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은 전자적 구성요소 및 회로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기기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하우징한다. 하우징(102)은 하우징(102)로 부터 표면을 향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크린 영역(104)를 감싼다(encase). 하우징(102)은 도1a의 제2 스크린 영역(106)을 또한 감싸고,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은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기기의 휴대모드를 제공하고 따라서 하우징(102)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기의 설명에 따라, 도1b, 1c 및 다른 것들에 관련되어, 제2 스크린 영역(106)은 뷰잉 스크린, 즉, 통신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해 하우징(102)으로부터 확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휴대 통신 기기(100)는 선택적인 액추에이터(108)를 더 포함하며, 액추에이터는 하우징(102)으로부터 제2 스크린 영역(106)을 확대시키기 위해 휴대 통신 기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이 하우징(10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확대되도록 액추에이터(108)는 눌리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부분적으로 확대되면, 하우징(102)으로부터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되도록 사용자는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일 부분을 잡을 수 있다-또는 다른 부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1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기기(100)를 도시한다. 도1b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은 하우징(10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확대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2 스크린 영역(106)의 확대를 시작시키기 위해서 액추에이터(108)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부분적으로 확대되면-충분하게 사용자는 제2 스크린 영역을 잡고 있을 수 있음-사용자는 부드럽게 제2 스크린 영역(106)을 밀어서 하우징으로부터 이것을 확대시킨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의 확대는 하우징내에 배치될 수 있는 트랙 및 베어링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스크린 영역(106)의 뒷면 또는 에지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트랙은 하우징 내(102)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 또는 롤러와 함께 미끄러져서 스크린 영역(106)의 확대를 가이드할 수 있고, 스크린 영역(106)의 슬라이딩을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며, 결국 작은 노력으로 이것이 확대되게 할 수 있다.
도1c는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된 휴대 통신 기기(100)를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되면, 제2 스크린 영역은 제1 스크린 영역(104)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도1a 및 1b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은 제1 스크린 영역(104) 아래에 있고, 따라서 이것은 제1 스크린 영역(104)와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으며,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된 포지션으로 움직이며, 도1c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안쪽 에지(도에서는 왼쪽 에지)는 제1 스크린 영역(104)의 에지 약간 앞(도에서는 오른쪽 에지)으로 이동하여, 제2 스크린 영역(106)이 제1 스크린 영역(104)과 동일한 평면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에지는 제1 스크린 영역(104)의 에지로 직접 근접할 수도 있다. 동일 평면에 서로 직접 접근한 두 스크린 영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영역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더 큰 사이즈와 좋은 해상도를 가진다.
예컨대 스프링 또는 상술한 트랙 및 베어링 시스템의 일부분과 같은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부 또는 다른 기계적인 장치가 제2 스크린 영역(106)이 제1 스크린 영역(104)과 같은 평면으로 이동시켜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 내의 스프링 메커니즘 장치는 제2 스크린 영역(106)에 장력을 제공하여, 제2 스크린 영역(106)이 제1 스크린 영역(104)의 평면으로 밀리고,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안쪽 에지는 제1 스크린 영역(104)에서 떨어진다. 추가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을 확대된 포지션으로 지지하고 평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제공하는, 예컨대, 상술한 트랙 구조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물이 제2 스크린 영역(106)의 뒤면 및/또는 에지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스크린 영역(104) 및/또는 (106)은 이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백리트(back-lit) 또는 에지 리트(edge-lit) 액정표시장치(LCD) 스크린,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기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영역은 LED 발광소스를 사용한 백리트 및/또는 에지 리트인 LCD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라즈마 스크린 기술장비가 이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기술장비가 이용될 수 있다. OLED는 픽셀을 구성하는 전자적 구조물이 그들 자체적인 광을 제공하고 따라서 백리트가 필요하지 않은 기술장비이다. OLED 스크린은 하기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1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스크린 영역(106)은 모두 확대되고/되거나 제1 스크린 영역(104)과 동일한 평면으로 "스냅된(snapped)" 상태가 되고,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104, 106)은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으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통신 기기(100)의 휴대모드에서 제1 스크린 영역(104)에 제공되고 있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도1a 및 1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되거나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표시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6)이 확대된 때 제공된 추가적인 스크린 면적을 이용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스크린 해상도가 확대되어서 제2 스크린 영역(106)에 의해 제공된 추가적인 해상도가 통합된다. 예컨대, 제1 스크린 영역(104)의 스크린 해상도가 320x240이고,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스크린 해상도가 이와 동일한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확대되면,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은 총 해상도 320x480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이 두 개 이상의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형성될 경우 회전될 수도 있다. 도1a-1c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도1c의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에 제공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확대되고, 도1a에서 제공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에서 90도 회전된다. 이것은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으로 제공된 새로운 스크린 해상도에 관련되어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이 가장 적절한 비율(proportion)을 제공하도록 수행된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기기는 물리적인 회전 자세 또는 통신 기기의 방향에 민감할 수 있고, 따라서 이미지는 사용자가 기기를 잡고 있는 자세에 따라서 수직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도1d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통신기기의 그래픽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104, 106)의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1d에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이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기 보다는, 도1d에서 제공되는 예시적인 결합된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1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104) 상에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고, 제2 스크린 영역(106) 상에는 추가적인 그래픽 구성요소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추가적인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진행중인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세트를 구성한다. 그러나 가상으로 임의의 종류의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이 제2 스크린 영역(106)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제1 스크린 영역(104)에 동시에 표시되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과 관련되거나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
도1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이 터치 스크린 표면에 결합되어 모바일 기기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크린 영역(106)의 디스플레이 층은 투명 전극 층으로 결합되고, 이에 더하여 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면 발생하는 캐패시턴스 또는 전기적 전류의 작은 변화를 감지하는 캐패시턴스 및/또는 전류변화 감지기술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불가청음 파동의 또는 적외선광의 반사와 같은 파동반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2a는 도1a에 도시된 통신 기기(100)의 제2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2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신 기기(100)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하우징(102)은 통신 기기(100)내에 포함되는 전자적 구성요소들은 감쌀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신 기기(100)는 통신 기기(100)의 일 표면에 배치된 제1 스크린 영역(104)을 포함한다. 기기(100)는 또한 삽입된 포지션의 제2 스크린 영역(106)을 포함하며, 제2 스크린 영역은 제1 스크린 영역(104)의 아래에, 상기 하우징(102)내에 완전히 감싸진다. 이러한 배치형태에서, 모든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제1 스크린 영역(104)에 제공되고, 기기는 최대의 휴대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통신 기기(100)는 선택적인 액추에이터(10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어 제2 스크린 영역(106)의 확대를 시작할 수 있다.
버튼과 같은 액추에이터(108)가 도1a-1c, 2a 및 다른 다양한 도에서 도시되었지만, 제2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106)이 사용자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확대되거나 확대될 수 있도록 동작을 제공하는 가상의 임의의 액추에이터, 기계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또는 전기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통신 기기(100)상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스위치가 제1위치에 위치되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06)이 하우징(102)내에 삽입된 포지션으로 잠글 수 있다. 스위치는 사용자에의 해서 동작되어 제2 포지션으로 위치될 수 있고 여기서 제2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의 일부가 확대되어서 사용자는 제2 스크린 영역(106)을 모두 확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스크린 영역(104)상에 표시되는 전자적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인터랙트하여 제2 스크린 영역(106)이 하우징(10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확대되거나 방출(release)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기계장치 또는 전자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어서 제2 스크린 영역(106)에 부착된 부재를 방출하고 사용자는 누르고, 밀고 또는 다른 인터래그를 이용하여 제2 스크린 영역(106)을 모두 확대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액추에이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없이 제2 스크린 영역(106)을 추출할 수 있다.
도2b는 제2 스크린 영역(106)이 부분적으로 확대된 통신 기기(1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은 사용자에의 한 액추에이터(108)의 작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것을 모두 확대시키기 위해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에지를 잡을(grip)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영역(106)은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분과 함께 스크린 에지 부분이 없을 수도 있다(미도시). 이 부분은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컨대, 스크린의 번짐(smudging) 또는 미끄럽거나 덜 견고한 표면을 잡지 않고, 사용자가 이 부분을 잡고 제2 스크린 영역(106)을 확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스크린 영역이 모두 확대된 포지션 쉽게 미끄러지도록 하우징(102)내에 배치된 대응하는 베어링 및/또는 롤러와 함께,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아래면 또는 에지는 하나 이상의 트랙이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롤러 또는 볼 베어링이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106)의 아래면 표면에 반대에 직접 돌아가는 다른 메커니즘은 제2 스크린 영역(106)의 부드러운 확대를 용이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106)의 확대를 부드럽게 하거나 강화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2c는 제2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된 통신 기기(100)를 도시한다. 제2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106)이 모두 확대되면, 이것은 제1 스크린 영역(104)와 동일한 평면으로 가도록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큰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스크린 영역(106)의 이동은 제1 스크린 영역(104)과 도일한 평면으로 가기 때문에, 제2 스크린 영역의 에지는 제1 스크린 영역의 에지에 직접 근접하며, 이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02)과 결합된 스프링 또는 스프링과 같은 메커니즘을 가진 장치가 제2 스크린 영역(106)에 위쪽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2 스크린 영역은 모두 확대되고, 제2 스크린 영역(106)의 내부 에지는 제1 스크린 영역(104)의 아래 면에서 떨어지고 상기 에지는 위로 눌려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2 스크린 영역(106)위를 가볍게 위로 눌러서 스크린 영역을 제1 스크린 영역(104)과 동일한 평면에 "스냅(snap)"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임의 부분에서 설명되고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린 영역(106)은 모두 확대되면, 제1 스크린 영역(104)에 앞서 표시되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104, 106)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확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결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통신 기기(100)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의 방향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왜곡(skew)을 제거하거나 감소하고/하거나 스크린 공간 및 규모의 이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의 회전이 유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이 사용자에 관련하여 기기(100)의 물리적인 방향을 기초로 회전될 수도 있다.
도3은 도1a-1d 및 도2a-2c에 도시된 통신 기기(100)와 일부 유사점을 가지는 통신 기기(300)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의 통신 기기(300)는 제1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304) 및 제2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306)에 더하여 제3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307)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크린 영역(306) 및 제3디스플레이 영역(307)은 상술한 제2 스크린 영역(106)의 특징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제3스크린 영역(307)은 삽입 모드에서, 통신 기기(300)의 하우징(302) 내에 하우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3스크린 영역(307)은 삽입 모드(미도시)에서, 제2 스크린 영역(306)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은 제1 스크린 영역(304) 아래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에서 제3스크린 영역(307)의 확대를 시작하기 위한 선택적인 제2액추에이터(도3에서는 보이지 않음)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다른 물리적 또는 전자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가 제1액추에이터(308)에 더하여 있을 수 있고 이는 제2 스크린(306)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액추에이터(308)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실행되어 제2 스크린 영역(306) 및 제3스크린 영역(307)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확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부분적으로 제3스크린 영역(307)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있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3스크린 영역(307)을 모두 확대시키기 위해, 제3스크린 영역 또는 이에 연결된 부재를 잡을 수 있다. 상술한 통신 기기(100)와 같이, 제3스크린 영역(307)이 모두 확대되면, 이것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1 스크린 영역(304) 및/또는 제2 스크린 영역(306)과 동일한 평면으로 이동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 영역(304) 및/또는 제2 스크린 영역(306)에 제공되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변경, 회전 및/또는 확대되어서,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304, 306)에 더하여 제3스크린 영역(307)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스크린 공간이 활용될 수 있다.
도4a는 통신 기기: 통신 기기(400) 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기기(400) 및 그 구성요소들은 이전 도면들에서 도시된 통신 기기(100,300)에 관련되어 상술된 몇몇의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통신 기기들과 유사하게, 통신 기기(400)는 하우징(402), 제1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404)을 포함하고, 선택적인 액추에이터(40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기기(400)는 에지부분(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지부분(412)은 금속 물질, 고무재질의 물질, 또는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402)의 다른 외부 부분들을 포함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 에지부분(412)은 제1 스크린 영역(404), 다른 디스플레이스크린 영역, 및 하우징(402)내에 하우징된 통신 기기(4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우연치 않게 떨어뜨리거나, 물에 의한 손상 또는 다른 손상으로부터 상기 기기의 케이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b는 하우징(402)으로부터 확대된 제2 스크린 영역(406)을 가지는 통신 기기(400)를 도시한다. 제2 스크린 영역(406)은 에지부분(412)에 부착된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모드에서, 제2 스크린 영역(406)은 하우징(402)내로 하우징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08)가 에지부분(412)을 방출하기 위해서 사용자에의해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지부분(412)를 잡고서, 제2 스크린 영역(406)이 모두 확대될 때까지 확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확대되기 전에, 제2 스크린 영역(406)은 제1 스크린 영역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스크린 영역(406)이 모두 확대되면, 제2 스크린 영역(406)은 제1 스크린 영역(404)와 동일한 평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여기서 에지부분(412)과 대향하는 제2 스크린 영역(406)의 안쪽 에지는 제1 스크린 영역(404)의 인접한 에지에 직접 근접하여, 증가된 사이즈 및 해상도를 갖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한다.
도4c는 일 실시예의 통신 기기(400)를 보여준다. 도4a 및 4b에 관하여 상술된 구성요소들에 더하여, 도4c는 추가적으로 확대된 뷰잉모드에서 하우징(402)으로부터 확대되거나, 휴대모드에서 하우징(402)내에 삽입된 선택적인 제3스크린 영역(4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스크린 영역(406,407)이 삽입 모드에 있으면, 하나 이상의 다른 것들이 제1 스크린 영역(404) 아래에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남은 스크린 영역은 다른 두 개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스크린 영역(407)은 제2 에지부분(413)에 부착되며, 일부 실시예에서 에지부분(412)과 유사하게 이는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서 방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에지부분(413) 및/또는 제1 에지부분(412)은 임의의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방출 메커니즘 장치 없이 하우징(402)로부터 확대될 수도 있으나, 단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확대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기가 휴대모드에 있을 때, 제2 에지부분(413)은 모두 삽입된 포지션으로 밀어지고, -하우징(402)내에 포함된 약간의 스프링의 밀어냄(extrusion)을 통해, 또는 디자인 선호도에 기반한 다른 임의의 기계장치에 의해- "딱" 들어맞아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러나, 사용자는 "딱"들어 맞아지게 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메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서 작은 힘을 가하고, 하우징(402)로부터 제2 에지부분(413) 및 대응하는 제3스크린 영역(407)을 확대시킬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통신 기기와 유사하게, 제2 스크린 영역(407)이 하우징(402)으로부터 모두 확대되면, 그것은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404. 406)과 평면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 스크린 영역(404)의 평면으로 이동해서 증가된 해상도와 함께, 더 큰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을 제공한다. 도3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그래픽 프리젠테이션 또는 이미지는 확대, 방향변경, 및/또는 회전되어, 확대된 스크린 영역(들)에 의해 제공되는 새롭게 이용 가능한 스크린 해상도를 이용할 수 있다.
도5a는 확대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지는 통신 기기(500)에대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통신 기기(500)는 통신 기기(500)의 그래픽 프로세서에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을 표시하는 제1 스크린 영역(504)을 포함한다. 통신 기기(500)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기의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하우징하는 하우징(502) 및 통신 기기(5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확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는 선택적인 액추에이터(508)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2)은 스크린(504)을 보호하는 에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5b는 디스플레이의 확대가 개시되고 있는 통신 기기(500)를 도시한다. 제2 스크린 영역이 하우징(502)의 안쪽에서 확대될 수 있는 도1a-4c에 도시된 기기와 다르게, 통신 기기(500)에서, 가장 바깥쪽 스크린 영역-이 경우 제1 스크린 영역(504)-이 통신 기기(500)에서 펼쳐져서 제2 스크린 영역(506)이 드러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504,506)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는 축을 따라서 제1 스크린 영역(504)는 접혀있지 않을 수도 있다-그리고 순차적으로 다시 접힘-.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접히는 메커니즘은, 스크린 영역이 디스플레이를 확대하고 삽입하기 위해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축(들)을 형성할, 스크린 물질(들)의 단일 시트에 하나 이상의 홈(grooves), 물결 주름(corrugation), 주름(creases)을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앞면 스크린 영역을 방출하기 위해서 선택적인 액추에이터(508)을 동작시켜서 이것을 펼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이것을 제1 스크린 영역을 펼치기 위해, 예컨대 스위치, 후크(hook), 탭(tab) 등을 이용하여, 제1 스크린 영역을 방출하는 다른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앞면 스크린 영역은 하우징(502) 내에 제공된 볼 베어링 또는 약간 밀어냄으로서 "딱" 들어맞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 영역을 방출하고 펼치기 위해서, 스크린 영역의 에지를 잡고 스크린 영역에 부착된 부재를 약간 밀어내거나 액추에이터를 동작 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출 또는 액추에이터가 필요하지 않고, 제1 스크린 영역(504)은 사용자에의해 간편하게 펼쳐질 수도 있다.
도5c는 제1 스크린 영역(504)가 펼쳐진, 즉, 더 확대된, 통신 기기(500)를 도시한다. 도5d는 제1 스크린 영역(504)의 전체 확대된 상태를 도시하며,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504, 506)은 동일 평면이고,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두 배의 해상도와 큰 사이즈를 갖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한다. 도5a-5d, 도6a-6c, 및 도7a-7b에 도시된 구성의 통신 기기(500)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스크린 영역(504)(또는 도6a-6c 및 도7a-7b의 경우에서 (604) 및 (704)와 유사한(analogues))는 스크린 영역이 삽입 모드인지 확대 모드인지(즉, 펼쳐진)에 따라서 스크린 영역의 두 표면에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도5a 및 5b 는 도5d와 비교된다는 것이 보여진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500)가 휴대모드, 즉 제1 스크린 영역(504)이 접혀있고, 제2 스크린 영역(506)을 덮고 있는 경우, 바깥쪽, 마주하여 보이는 제1 스크린 영역(504)의 표면이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크린 영역(504)이 펼쳐짐으로써,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영역은 동일한 표면에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계속 제공하거나 선택적으로 펼쳐지는 동안 그래픽 출력이 이용할 수 없게 되거나 반대 표면 또는 스크린 영역(506)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 영역(504)이 모두 확대되면, 스크린 영역에 대향하는 표면은 바로 바깥쪽 표면이 되고 활성화된다. 제1 스크린 영역(504)의 이 표면은 제2 스크린 영역(506)과 함께 사용자에게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5a-5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스크린 영역(504)은 두 표면에 그래픽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스크린 영역은 접힌(삽입된) 및 펼쳐진(확대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양면성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기술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크린 영역(504)을 포함하는 패널은 두 개의 독립적인 LCD 또는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각 표면에 대하여 하나씩.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통신 기기(500)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즉, 휴대)모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 향하여 겉면을 향한다- 통신 기기(500)로부터 그래픽 출력을 제공한다.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영역 504 및 506을 포함하는 확대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쳐지면, 둘째, 제1 스크린 영역(504)에 대하여 대향하여 마주보는 LCD패널이 스크린 영역(504)의 다른 표면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여 확대된 배치형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독립된 LCD 또는 LED 패널을 이용하는 다른 기술들이 이용되어서 제1 스크린 영역(504)의 표면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그 두 면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스크린 영역(504)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이 적용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없이 물질의 박막 또는 박막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를 가능 하게하는 최근의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OLED는 전류에 응답하여 발광하는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층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방사성 전기장 발광층을 포함한다. OLED의 방사성 전기장 발광층을 만드는 물질이 상기 층에 전류를 제공하는 두 전극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층 내의 유기물질 발광할 것이다. 다양한 발광물질 및/또는 유색부분들이 상기 층내에 배치되어 일반적인 LED기반 디스플레이, LCD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와 유사하게 그래픽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컬러 디스플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OLED 그 자체가 발광하기 때문에, OLED는 백라이트가 없는 몇몇 배치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특징은, 반투명하거나 매우 투명한 OLED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투명 또는 반투명 스크린 층과 함께, 투명 또는 반투명 방사성 물질 및/또는 전극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은 폴리머로 제조되는 점을 고려하면, OLED는 표시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구부러지고 접힐 수 있게 디자인될 수 있다. OLED는 접힐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은 도5a-5d, 도6a-6c 및 도7a-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히는 것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 적합하다. OLED기술은 OLED의 이점에 있어서,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에 경쟁하는 해상도를 가지는 모든 기능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도6a-6c는 통신 기기(500)와 일부 유사한 통신 기기(600)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통신 기기(600)는 하우징(602) 및 선택적인 액추에이터(608)를 포함한다. 도6a-6c에 도시된 실시예의 통신 기기(600)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제1 스크린 영역(604)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층과 같은 다른 물질의 층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OLED층에 더해질 수 있다. 도6b에 도시된 바에 따라, 도5a-5d에 관련되어 상술된 바와 유사하게, 제1 스크린 영역(604)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스크린을 확대시키기 위해 펼쳐지면,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묘사되는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른 표면상에 계속 보여질 수 있다. 도6b의 예에서, 이미지는 뒤집어(inverted)(즉, 거울 이미지) 나타나며, 사용자의 시야를 고려하면, 이미지는 반대표면에 보여진다. 그 결과 OLED에 포함되는 제1 스크린 영역(604)은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 시트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OLED를 이용하는 실시예는 제1 스크린 영역(604)의 양 표면에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표시하기 위해서 하나의 OLED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의 비거울이미지(non-mirror-imaged) 뷰를 제공하기 위해서, 통신 기기(600)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제1 스크린 영역(604)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펼쳐지는(즉, 확대되는) 것을 검출한다. 이것이 검출되면, OLED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뒤집어지고, 제1 스크린 영역(604)의 반대표면을 바라보고 있는 사용자가 통신 기기(600)를 마주하는 시야로부터 적절하게 보여질 수 있다. 도6c 및 상기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유사하게 도시된 바에 따르면, 뒤집히는 것에 더하여, 이미지는 확대 및/또는 회전되어 확대된 뷰를 제공하고, 제1 스크린 영역(604) 및 제2 스크린 영역(606)을 포함하는 확대된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해상도 및 스크린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6b 및 6c의 제2 스크린 영역(606)은 OLED물질로 구성되거나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예컨대, LCD)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604, 606)은 하나의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물질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7a 및7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적어도 일 실시예의 통신 기기(700)는 제1패널(704) 및 제2패널(706)에 더하여 제3패널(707)을 가질 수 있다. 패널들은 하우징(702)으로 감싸진다. 통신 기기가 휴대모드(도7a 또는 7b에는 미도시)인 경우, 제1패널(704) 및 제3패널(707)은 안쪽으로 접힌다. 제3패널(707)은 제2패널(중심)(706)의 바로 위에 접히고, 제1패널(704)은 제3패널(707)의 위에 접혀서 가장 바깥쪽 패널이된다. 이와 같은 배치형태에서, 가장 바깥쪽 패널인 제1패널(704)만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것이다. 제1패널(704)의 바깥쪽을 바라보는 표면은 사용자에게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형태는 변화될 수 있으며, 제3패널(707)이 가장 바깥쪽 패널이되어 휴대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는 제1및 제3패널이 바깥쪽을 바라보는지 검출하고 그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7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패널(704) 및 제3패널(707)은 상당히 확대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펼쳐질 수 있다. 도7b는 통신 기기(700)를 도시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확대된 스크린 공간 및 해상도를 가진 확대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1, 제2 및 제3 스크린 영역(704, 706, 및 707) 각각을 걸쳐서 제공된다. 통신 기기(700)에 도시된 스크린은 도6a-6c에 관련되어 설명된 OLED 스크린이거나 예컨대 상술한 LCD와 같은 다른 종류의 스크린일 수 있다.
도5a-5d, 도6a-6c 및 도7a-7b에서, 도시된 다양한 스크린 영역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 시트로 구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스크린 영역에 부착되는 각각의 스크린 영역이 개별적인 디스플레이 패널 시트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시트는, (하나 이상의 LCD, LED 또는 OLED 요소의 시트) 디스플레이 물질층,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층, 백라이트 물질층, 보호층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층들은 투명이거나 반투명일 수 있다.
도8은 일 실시예의 휴대 통신 기기(800)를 도시한다. 통신 기기(80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통신 기기(예컨대, 100, 300, 400, 500, 600 및 700)를 표현한다. 통신 기기(800)가 통신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통신 기기(800)는 상기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하여 통신한다. 모바일 통신 기기(800)는 하우징(802), 안테나(804), 통신 인터페이스(806),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 마이크로폰(810), 스피커(812), 제어로직(814), 메모리(816), 배터리(818), 그래픽 프로세서(820) 및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스크린 영역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822)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기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8은 통신 기기(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들의 구성요소들은 기능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하드웨어에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의해서 실행될 수 있으며, 통합유닛으로 통합되거나 도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난 것 이상으로 다수의 유닛으로 독립될 수 있다. 게다가, 통신 기기(800)은 도8에 도시된것들 이상으로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엔터테인먼트 기기(8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버스 또는 연결을 통해서 연결되도록 도시된다. 도8에 도시된 연결들은 단지 설명적인 것이고; 엔터테인먼트 기기(800)의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수의 버스 또는 다른 연결을 이용하여 임의의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802)은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하우징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822)은 하우징에 연결되고, 그 표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은 삽입 모드에서, 하우징(802) 내에 하우징될 수 있고, 확대된 뷰잉 모드에서는 그 밖으로 확대될 수 있다. 하우징(802)은 하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확대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 베어링 및/또는 트랙과 같은 추가적인 기계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을위한 지지 구조물이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하우징(802)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도8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이전 도에서는 도시됨)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확대된 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다른 사용자 입력 메커니즘(기계적 또는 전자적)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802)의 크기 및 그에 대한 구성요소들은 디자인된 디자인 기준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안테나(804)는 하우징(802)의 에지 내에 또는 에지를 따라서 배치된다.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여 통신 기기(80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제공한다. 예컨대 안테나는 무선 LAN 또는 WAN과 같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와 통신을 제공하거나, 다양한 무선 프로토콜등을 통해서 다른 기기와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다중 안테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일 안테나가 있을 수 있다. 안테나(804)에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806)는 안테나(804)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 종류의 무선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06)는 필요한 디자인 기준에 따라서 임의 종류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는 하우징(802)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키로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는 트랙볼, 록커 스위치(rocker switches),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등을 포함하는 다른 종류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808)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통합된 터치 스크린 패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마이크로폰(81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스피커(812)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폰(810) 및 스피커(812)는 하우징(802)의 표면 내에 또는 상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810) 및/또는 스피커(812)는 몇몇 실시예에서 선택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는 예컨대 카메라 기기와 같은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로직(814)은 통신 기기(8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로직(814)은 하나의 프로세싱 장치이거나 협동적으로 통신 기기(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로직(814)은 통신 기기(80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원격장치 사이에서 통화 및/또는 데이터 작업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로직(814)은 통신 기기(800)의 기능을 제공하거나/하고 향상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를 실행할 수 있다.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는 메모리(816)와 연결된 제어로직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을 저장 및 불러오고, 상기 기기에 처리 능력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통신 기기(800)는 배터리 및/또는 전기전류의 외부소스와 연결을 제공하거나/하고 가능하게 하는 전력소스일 수 있는 전력소스(818)를 포함한다.
통신 기기(800)은 제어로직(814), 메모리(816) 및/또는 통신 기기(800)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스크린(들)(822)에 표시하기 위해, 포맷을 정하고(format)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그래픽 프로세서(820)를 포함한다. 상기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픽 프로세서(820)는 확대되거나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기초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의 해상도, 사이즈 및/또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스크린 영역이 있는 시스템에서, 그래픽 프로세서(820)는 제2 스크린 영역이 삽입되면, 제1 스크린 영역에 그래픽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제1포맷으로 이의 그래픽 출력을 제시할 수 있다. 제2 스크린 영역이 확대되면, 그래픽 프로세서(820)는 제1 스크린 영역과 제2 스크린 영역의 결합으로 제공된 더 큰 스크린 공간을 이용하기 위해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의 크기 및/또는 방향을 제2포맷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은 삽입되기 위해서 접힐 수 있는 내용에 대한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프로세서(820)는 스크린 영역의 대향하는 표면에 제공되는 스크린 사이에 프리젠테이션을 바꿀(switch) 수 있다. 스크린 영역의 두 표면에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하나의 OLED 스크린을 이용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6a-6c에 도시되고 상술된), 그래픽 프로세서(820)는 스크린 영역이 바라보는 방향에 기반하여 이미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예컨대, 그래픽 프로세서는 스크린 영역이 접혀지고 스크린의 제1표면이 보여지면, 도7a에서와 같이, 제1 방향으로 이미지를 표시하고, 도7c에서와 같이 스크린 영역이 펼쳐지면 제2 방향으로 그림을 조절하고/하거나 도치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로세서(820)는 스크린 영역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을 하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이 확대되거나 삽입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린 영역의 확대 또는 삽입은 필요한 디자인 기준에 따라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 또는 전자 검출 장치(예컨대, 스위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9는 통신 기기상에 그래픽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를 보여준다. 먼저, 통신 기기가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놓여지는 것이 검출된다(동작 901).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통신 기기의 제1 스크린 영역은 통신 기기의 제2 스크린 영역의 위에 접힌다. 통신 기기의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그래픽이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표면에 표시된다(동작 902).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가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있으면, 제1 스크린 영역의 제2표면은 제2 스크린 영역의 표면을 향해서 내부를 바라본다. 순차적으로, 제2 스크린 영역과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스크린 영역이 제2 스크린 영역에 대하여 펼쳐지는,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통신 기기가 놓이지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동작 903). 펼쳐진 상태에서, 제1표면에 대향하는 제1 스크린 영역의 제2표면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스크린 영역의 표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고 동일한 평면에 있다. 제2그래픽 출력의 제1부분은 제1 스크린 영역의 제2표면상에 표시된다(동작 904). 제2그래픽 출력의 제2부분은 제2 스크린 영역의 표면에 표시되어서, 제2그래픽 출력은 결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하나에서 표시된다(동작 905).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스크린 영역은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 및 제2표면 모두에서 보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 시트일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프로세스에대한 일부 실시예에서,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의 제1그래픽 출력은 상기 통신 기기가 제1 디스플레이배치형태에 있는 경우 제1 스크린 영역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스크린 영역이 펼쳐져서 제2(확대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를 제공하면,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 방향은 그래픽 프로세서에의해 도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 영역의 반대 표면이 보여지는 표면이 된다. 따라서 그래픽 출력의 거울 이미지를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그래픽 방향은 수평적으로 도치되어서 확대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제2그래픽 출력의 제1부분을 바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확대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있으면, 제1 스크린 영역 및 제2 스크린 영역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결합됨으로써 제공된 추가적인 스크린 공간을 이용하기 위해, 제2그래픽 출력의 해상도는 제1그래픽 출력에 대하여 증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래픽 출력은 새롭게 이용 가능한 스크린 공간 및 해상도를 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회전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의해 정의된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되고 출원 데이터 시트(Application Data Sheet)에서 언급된 모든 미국 특허출원공보, 특허출원, 외국특허, 외국특허출원 및 비특허문헌이 참조로 그 전체로서 통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제공하기위한 출원 및 공보들에대한 다양한 특허의 개념을 채용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실시예들의 측면들은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것들 및 다른 변경이 상술한 설명을 고려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이용되는 용어는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가 가지는 균등한 모든 범위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상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하우징;
    그래픽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그래픽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제1 스크린 영역 및 제2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으로 연장되는 물리적인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 및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위에 접혀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을 향하여 안쪽을 바라보고,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2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바깥쪽을 바라보는 제1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있으면,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그래픽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 있으면,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에지에 직접 근접하고 연결된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에지를 포함하는 축을 따라서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의 위치로부터 펼쳐져서 상기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2 스크린 영역과 동일한 평면이고, 옆에 함께 위치되어,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 형태이며,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2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된 상기 그래픽 출력을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이 계속하여 표시할 때,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상에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세트가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 및 상기 제2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내에 배치된 두 개의 서로 상이하고 대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 및 상기 제2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내에 위치한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점을 제공하고,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 또는 상기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 중 어느 것으로 되어 있는지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 사이의 축은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 내에서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가 접히는 주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는 터치스크린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제3 스크린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3 스크린 영역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 위에 접혀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휴대형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3 스크린 영역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에 부착된 반대편 에지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축을 따라 펼쳐지며,
    상기 제2 확장된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 스크린 영역은 옆에 함께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크린 영역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3 스크린 영역의 평면 표면이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 및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8. 통신 기기 상에 그래픽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기기가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신 기기의 제1 스크린 영역은 상기 통신 기기의 제2 스크린 영역상에 접혀지고,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및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으로 연장되는 물리적인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로 구성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 표면에, 상기 통신 기기의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의 제1 그래픽 출력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신 기기가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에 관하여 펼쳐져서,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2 표면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표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고 동일한 평면에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표면이 결합된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표면상의 상기 제1 그래픽 출력의 표시를 중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표면상에서 상기 제1 그래픽 출력의 표시를 계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2 표면상에,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상기 표면상의 상기 제1 그래픽 출력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래픽 출력 및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세트는 상기 결합된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표면 모두에서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된 때에,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표시되는, 상기 통신 기기의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로부터의 상기 제1 그래픽 출력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기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로 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 제어 세트를 표시하도록 제2 방향으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을 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내에 위치하며 서로 상이하고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점을 제공하며,
    상기 그래픽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기기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 중 어느 것으로 되어 있는지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크린 영역 사이의 축은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 내에서 상기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가 접히는 주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단일 디스플레이 시트는 터치스크린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제3 스크린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3 스크린 영역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 위에 접혀서 상기 제1 스크린 영역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 스크린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3 스크린 영역이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에 부착된 반대편 에지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축을 따라 펼쳐지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배치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 스크린 영역은 옆에 함께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크린 영역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3 스크린 영역의 평면 표면이 상기 제1 스크린 영역의 제1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 및 상기 제2 스크린 영역의 평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단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67002457A 2011-05-03 2012-05-03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KR101781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2138P 2011-05-03 2011-05-03
US61/482,138 2011-05-03
PCT/US2012/036354 WO2012151418A2 (en) 2011-05-03 2012-05-03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204A Division KR20140002052A (ko) 2011-05-03 2012-05-03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830A KR20160018830A (ko) 2016-02-17
KR101781559B1 true KR101781559B1 (ko) 2017-09-26

Family

ID=47089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204A KR20140002052A (ko) 2011-05-03 2012-05-03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KR1020167002457A KR101781559B1 (ko) 2011-05-03 2012-05-03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204A KR20140002052A (ko) 2011-05-03 2012-05-03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9927839B2 (ko)
EP (3) EP3940963A1 (ko)
JP (1) JP5740527B2 (ko)
KR (2) KR20140002052A (ko)
CN (1) CN103620967B (ko)
TW (2) TWI591469B (ko)
WO (1) WO201215141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41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2190B2 (en) 2010-10-01 2015-07-28 Z124 Smartpad split screen
US9372618B2 (en) 2010-10-01 2016-06-21 Z124 Gestur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20120218202A1 (en) 2010-10-01 2012-08-30 Sanjiv Sirpal Windows position control for phone applications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8907906B2 (en) 2011-09-27 2014-12-09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deactivation
TWI528826B (zh) * 2012-08-08 2016-04-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顯示面板、可攜式裝置與應用於其上的控制方法
TWI540466B (zh) * 2012-09-06 2016-07-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可摺疊式顯示器及其影像處理方法
WO2014101238A1 (zh) * 2012-12-31 2014-07-03 深圳市中柏电脑技术有限公司 一体式电脑及电脑主机
US20140233747A1 (en) * 2013-02-19 2014-08-21 DreamLight Holdings Inc. formerly known as A Thousand Miles, LLC Immersive sound system
KR102082781B1 (ko) * 2013-04-01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3034A (ko) * 2013-05-09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268B1 (ko) * 2013-06-28 2019-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029229A1 (en) *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KR102097496B1 (ko) 2013-10-07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I508035B (zh) * 2013-11-01 2015-11-11 Buwon Prec Sciences Co Ltd 折疊式電子裝置
TWI512570B (zh) * 2013-12-17 2015-12-11 Inventec Corp 具有雙觸控顯示裝置的電子裝置及其畫面顯示方法
US9891663B2 (en) 2014-02-10 2018-02-13 Samsung El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016127B1 (ko) * 2014-02-1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10379573B2 (en) 2014-02-10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642808B1 (ko) * 2014-03-03 2016-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D775601S1 (en) * 2014-04-18 2017-01-03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7132S1 (en) * 2014-04-18 2017-01-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77131S1 (en) * 2014-04-18 2017-01-24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KR102245363B1 (ko) * 2014-04-21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5022599A (zh) * 2014-04-29 2015-11-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屏幕显示方法
KR20150126193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35038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443773B (zh) 2014-05-23 2024-04-26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373217A (zh) * 2014-09-02 2016-03-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屏显示装置
US10754604B2 (en) 2014-09-03 2020-08-25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186843B1 (ko) * 2014-11-24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6873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635755B (zh) 2014-12-03 2019-03-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显示器调整方法和设备
CN104483825B (zh) * 2014-12-11 2017-01-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智能手表的表盘和智能手表
KR102372443B1 (ko) 2015-02-02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기반 전자 장치
CN106055221B (zh) * 2015-04-22 2019-05-31 昆山纬绩资通有限公司 多电子装置间屏幕画面互动的方法及电子系统
US11676518B2 (en) * 2015-04-29 2023-06-13 Intel Corporation Imaging for foldable displays
CN107533449B (zh) * 2015-05-08 2022-04-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移动定位信息来控制体育场布置中的超宽视频显示器
EP3314553A1 (en) * 2015-06-25 2018-05-02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N106325728B (zh) * 2015-06-30 2024-05-2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03211B2 (en) * 2015-09-13 2019-12-10 Intel Corporation Multi-orientation display device
USD822633S1 (en) * 2015-11-04 2018-07-10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20801S1 (en) *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387115B1 (ko) 2015-11-18 2022-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00060B1 (ko)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015435B2 (en) 2015-12-18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84744B1 (ko) 2015-12-18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11837A1 (en) 2015-12-26 2017-06-29 Intel Corporation Bendable and foldable display screen to provide continuous display
USD833351S1 (en) * 2015-12-28 2018-11-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dashboard display
US10339531B2 (en) 2016-06-10 2019-07-0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US9697388B1 (en) * 2016-06-14 2017-07-04 Bank Of America Corporation Unfoldable OLED reader/displays for the visually-impaired
US10970027B2 (en) 2016-06-21 2021-04-0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mbin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evice
CN105892979A (zh) * 2016-06-21 2016-08-24 北京灵铱科技有限公司 一种双丝杠式三屏自动开合显示设备
US9665818B1 (en) 2016-06-21 2017-05-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universal plastic
US10163154B2 (en) 2016-06-21 2018-12-2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eller windows
US10783336B2 (en) 2016-06-21 2020-09-2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shape-able OLED device for positioning payment instrument
US10460135B1 (en) 2016-06-21 2019-10-2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Folda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urchasing instrument reader
US9747539B1 (en) 2016-06-21 2017-08-2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ravel card
CN106128098B (zh) * 2016-06-29 2018-08-03 山西通畅工程勘察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能够进行交通流量预测的多屏显示装置
US9858558B1 (en) 2016-07-08 2018-01-0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Multi-scree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automated teller assist (ATA) machines for use by wheelchair users
US9760124B1 (en) 2016-07-11 2017-09-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based displays
US10580068B2 (en) 2016-07-11 2020-03-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LED-based secure monitoring of valuables
CN106201407A (zh) * 2016-07-15 2016-12-07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显示方法及终端
JP1583195S (ko) * 2016-07-27 2017-08-07
KR102534580B1 (ko) * 2016-07-2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043183B2 (en) 2016-08-30 2018-08-0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visual authentication circuit board
US10176676B2 (en) 2016-09-23 2019-01-0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with quick service terminal (“QST”) functionality
US9880800B1 (en) * 2016-10-26 2018-01-30 Dell Products L. P. Routing content in a dual-display computing device
US10228839B2 (en) * 2016-11-10 2019-03-12 Dell Products L.P. Auto-scrolling input in a dual-display computing device
US10514844B2 (en) 2016-11-16 2019-12-24 Dell Products L.P. Automatically modifying an input area based on a proximity to one or more edges
US10198044B2 (en) * 2017-01-20 2019-02-0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er interface configuration and provisioning
US10156871B2 (en) * 2017-01-20 2018-12-18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display configuration management
US10429901B2 (en) * 2017-01-20 2019-10-01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er interface peripheral keyboard configuration
CN106847094B (zh) * 2017-03-31 2019-09-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09302525B (zh) 2017-07-25 2021-06-15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播放声音的方法及多屏终端
CN107483996B (zh) * 2017-08-29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播放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46369B (zh) * 2017-09-01 2019-01-01 宏碁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與電子裝置
CN107957839B (zh) * 2017-11-20 2020-03-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334163A (zh) * 2018-01-05 2018-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双屏电子设备及其显示控制方法
CN108259649B (zh) * 2018-02-09 2021-07-3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08336124B (zh) * 2018-04-19 2023-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应用方法
KR102246777B1 (ko) 2018-05-09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8813858A (zh) * 2018-05-21 2018-11-1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拉杆箱及拉杆箱系统
US10872490B2 (en) 2018-06-14 2020-12-22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Layered display monitors
TWI676130B (zh) * 2018-07-05 2019-11-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10802549B2 (en) 2018-07-31 2020-10-13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multi-layered hinge
US10296053B1 (en) 2018-07-31 2019-05-21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ttachable keyboard
US10852773B2 (en) 2018-07-31 2020-12-01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n accessory backpack
US10254803B1 (en) 2018-07-31 2019-04-09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layered, foldable, bendable, flippable, rotatable, removable, displaceable, and/or slideable component(s)
US10296052B1 (en) * 2018-07-31 2019-05-21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removable keyboard
US10725506B2 (en) 2018-08-21 2020-07-28 Dell Products, L.P. Context-aware user interface (UI)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IHSs)
CN108848226B (zh) * 2018-08-24 2023-04-28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及其控制方法
CN108986677A (zh) * 2018-08-30 2018-12-11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智能穿戴显示设备
US10636244B1 (en) 2018-10-03 2020-04-28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ilia PTY Limited Gaming signage including one of more movable display monitors
US10852769B2 (en) 2018-10-29 2020-12-01 Dell Products, L.P. Display management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0831307B2 (en) 2018-10-29 2020-11-10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utomatically reconfigurable palm rejection
US10592051B1 (en) 2018-10-31 2020-03-17 Dell Products, L.P. Touch input correction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0860065B2 (en) 2018-11-15 2020-12-08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utomatically reconfigurable hardware keys
US11157047B2 (en) 2018-11-15 2021-10-26 Dell Products, L.P.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touch continuity across displays
US11237598B2 (en) 2018-11-15 2022-02-01 Dell Products, L.P. Application management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0712832B2 (en) 2018-11-15 2020-07-14 Dell Products, L.P. On-screen keyboard detection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IHSs)
US11157094B2 (en) 2018-12-12 2021-10-26 Dell Products, L.P. Touch input switching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0503207B1 (en) 2018-12-12 2019-12-10 Dell Products, L.P. Dock for a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0642313B1 (en) * 2018-12-13 2020-05-05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D912045S1 (en) * 2018-12-19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928855B2 (en) 2018-12-20 2021-02-23 Dell Products, L.P. Dock with actively controlled heatsink for a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KR20200100926A (ko)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96718B2 (en) 2019-04-03 2021-05-04 Dell Products, L.P. Foldable case for a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 detachable keyboard
US10739826B1 (en) 2019-04-03 2020-08-11 Dell Products, L.P. Keyboard deployment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IHSs)
US10747272B1 (en) 2019-04-03 2020-08-18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keyboard with respect to a display of a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1099605B2 (en) 2019-04-03 2021-08-24 Dell Products, L.P. Charger stand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IHSs)
US10747264B1 (en) 2019-04-03 2020-08-18 Dell Products, L.P. Hinge actions and virtual extended display modes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JP1646025S (ko) * 2019-04-10 2021-11-08
US11071218B2 (en) 2019-04-10 2021-07-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sliding expandable displays
US20220107672A1 (en) * 2019-04-18 2022-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hinge assemblies
KR20200128925A (ko) * 2019-05-07 2020-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KR102235533B1 (ko) 2019-05-13 2021-04-05 넷마블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단말 및 이의 게임 제공 방법
US11043183B2 (en) * 2019-05-23 2021-06-22 Dell Products, L.P. Mitigation of screen burn-in for a foldable IHS
CN110111721B (zh) 2019-05-28 2022-09-06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拼接结构
TWI742380B (zh) * 2019-05-31 2021-10-1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顯示裝置的拼接結構
US11138488B2 (en) 2019-06-26 2021-10-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ingle-use payment instrument
KR20210013800A (ko) 2019-07-29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에 따라 형태가 전환되는 접이식 전자 장치 및 그 접이식 전자 장치의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
US10694145B1 (en) * 2019-08-29 2020-06-23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ing a portion of a first display on a second display positioned relative to the first display
US10817020B1 (en) * 2019-09-30 2020-10-27 Robert Charles DeMaio Laptop with multi-display functionality
US10809762B1 (en) 2019-11-04 2020-10-20 Alex Cole Levine Accessory display device
CN110825169B (zh) * 2019-11-04 2021-04-20 广州科技职业技术大学 一种变形的软体计算机
CN111198668B (zh) * 2019-12-26 2023-06-16 成都中科合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浏览器的多屏系统和多屏交互方法
CN111207909B (zh) * 2020-01-19 2021-12-03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模拟显示屏在前挡风玻璃成像的测试装置
KR20220103742A (ko) * 2020-01-20 2022-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522523A (zh) * 2020-04-30 2020-08-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USD989015S1 (en) * 2020-06-02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CN113852701B (zh) * 2020-06-28 2022-1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D966259S1 (en) 2020-09-25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256042B1 (ko) * 2020-10-13 2021-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789492B2 (en) * 2020-11-02 2023-10-17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ing device
TWD213275S (zh) * 2020-11-06 2021-08-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筆記型電腦
CN113067921B (zh) * 2021-03-18 2023-03-31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屏终端及终端供电方法
CN113098998A (zh) * 2021-03-30 2021-07-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693558B2 (en) *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US11706399B2 (en) * 2021-09-27 2023-07-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generation based on altered distances between imaging devices
TWI801040B (zh) * 2021-12-17 2023-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多螢幕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US11987176B1 (en) * 2022-03-09 2024-05-21 Lopsun Vehicle electronic display
US11899497B1 (en) 2023-06-03 2024-02-13 Xebec, Inc. Article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7838B1 (en) * 1997-08-29 2001-10-02 Xerox Corporation Spinning as a morpheme for a physical manipulatory grammar
JP2000278373A (ja) * 1999-03-29 2000-10-06 Ricoh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US6859219B1 (en) * 1999-10-08 2005-02-22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having multiple display devices
KR100322101B1 (ko) 1999-12-09 2002-02-06 김순택 개인 휴대 통신장치
JP2003520998A (ja) * 2000-01-24 2003-07-08 スポットウェア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型化可能/たたみ込み可能なモジュールpda
JP3501710B2 (ja) 2000-02-23 2004-03-02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138962B2 (en) * 2000-03-29 2006-11-21 Eric Koenig Multi-task interactive wireless telecommunications device
US7289083B1 (en)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US6850780B1 (en) * 2001-01-16 2005-02-01 Palmone, Inc. Compact palmtop computer system and wireless telephone with foldable dual-sided display
JP2003158573A (ja) 2001-11-21 2003-05-30 Canon Inc 折り畳み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050835B2 (en) * 2001-12-12 2006-05-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US7095387B2 (en) * 2002-02-28 2006-08-22 Palm, Inc. Display expan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50248501A1 (en) 2002-09-17 2005-11-10 Si Han Kim Multi display device
TWM251406U (en) 2003-12-16 2004-11-21 Arima Communication Corp Duo-display mobile phone
KR101033569B1 (ko) 2004-02-21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형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GB0412193D0 (en) * 2004-06-01 2004-06-30 Filtrona United Kingdom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rticle tagging
TWM264541U (en) 2004-09-21 2005-05-11 Invente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tacked display
US20060082518A1 (en) 2004-10-19 2006-04-20 Pranil Ram Multiple monitor display apparatus
KR100700004B1 (ko) * 2004-11-10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 발광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72307B1 (ko) 2004-11-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6676B1 (ko) 2004-12-13 2007-04-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접철식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TWI254555B (en) 2004-12-23 2006-05-01 Giga Byte Comm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WI260921B (en) * 2005-04-22 2006-08-21 Su-Ching Yiu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rotatable display screen
KR100755851B1 (ko) 2005-10-14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방법,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이동 단말기용 크래들
JP2007124025A (ja) 2005-10-25 2007-05-17 Aruze Corp 携帯電話機
CN101171621B (zh) 2006-01-06 2012-02-15 夏普株式会社 便携终端装置
TW200742531A (en) 2006-04-20 2007-11-01 Mitac Int Corp Sliding type electronic device
KR100800337B1 (ko) 2006-05-10 2008-02-04 오준수 휴대기기 구조
US7787917B2 (en) * 2006-12-28 2010-08-31 Intel Corporation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EP2108141A1 (en) * 2007-01-31 2009-10-14 Agere Systems, Inc. Handheld device with multiple displays
CN101242438A (zh) 2007-02-09 2008-08-13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移动通信终端屏幕装置
KR20080076005A (ko)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20090009423A1 (en) * 2007-07-07 2009-01-08 Yuming Huang Variable size electronic display based on slide-out and slide-in mechanism
KR20090122601A (ko) 2008-05-26 2009-12-01 박정우 눈보호 커버지지대
KR101406169B1 (ko) 2007-10-24 2014-06-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565002B2 (ja) 2007-12-28 2010-10-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2009180846A (ja) * 2008-01-30 2009-08-1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KR101211549B1 (ko) 2008-03-05 2012-12-12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TWI441116B (zh)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KR101537685B1 (ko) 2008-06-04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DE602008005865D1 (de) 2008-05-29 2011-05-12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US20100007603A1 (en) * 2008-07-14 2010-01-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rientation
US7953462B2 (en) * 2008-08-04 2011-05-31 Vartanian Harr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aptively responsive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00050319A (ko) 2008-11-05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53906B1 (ko) 2008-08-27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27502A (ko) 2008-09-02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866840B2 (en) 2008-09-0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ending a parameter based on screen size or screen resolution of a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to a server
KR101563685B1 (ko) 2009-02-12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101860579A (zh) 2009-04-10 2010-10-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201039099A (en) 2009-04-22 2010-11-01 Song-Yuan Hu Electronic device
TWM371622U (en) 2009-05-13 2010-01-01 Ho-Yi Chen Enclosure of tool box with built-in color display layer
CN201550146U (zh) 2009-07-31 2010-08-11 华为终端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外壳及移动终端
CN201440678U (zh) 2009-08-28 2010-04-21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推拉结构移动终端外壳及移动终端
TWM377622U (en) 2009-09-16 2010-04-01 Ming-Yan Chung A folding notebook computer
CN102035910B (zh) 2009-09-29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屏手机
KR20110038560A (ko) 2009-10-08 2011-04-14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WO2011067455A1 (en) * 2009-12-02 2011-06-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22635B1 (ko) * 2010-02-12 2016-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TWI376590B (en) 2010-03-17 2012-11-11 Hon Hai Prec Ind Co Ltd Dual-screen electronic device
US20120005602A1 (en) * 2010-07-02 2012-01-05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task switching
TWM395340U (en) * 2010-08-04 2010-12-21 Micro Star Int Co Ltd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20105428A1 (en) * 2010-10-28 2012-05-03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display configuration modes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7387600B2 (ja) * 2018-06-20 2023-11-28 ヌヴォトンテクノロ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内視鏡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2941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5608A2 (en) 2014-03-12
EP3462624B1 (en) 2021-06-23
CN103620967B (zh) 2016-11-02
EP3940963A1 (en) 2022-01-19
US10409330B2 (en) 2019-09-10
TWI591469B (zh) 2017-07-11
CN103620967A (zh) 2014-03-05
EP2705608A4 (en) 2015-03-04
EP3462624A1 (en) 2019-04-03
JP5740527B2 (ja) 2015-06-24
US10317944B2 (en) 2019-06-11
US20190377384A1 (en) 2019-12-12
KR20160018830A (ko) 2016-02-17
WO2012151418A2 (en) 2012-11-08
US20230176617A1 (en) 2023-06-08
US9927839B2 (en) 2018-03-27
JP2014519244A (ja) 2014-08-07
US20180173276A1 (en) 2018-06-21
US11416031B2 (en) 2022-08-16
US20120280924A1 (en) 2012-11-08
US20210173445A1 (en) 2021-06-10
TW201301003A (zh) 2013-01-01
WO2012151418A3 (en) 2013-01-17
TW201610649A (zh) 2016-03-16
KR20140002052A (ko) 2014-01-07
US20180232010A1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559B1 (ko) 확대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통신 기기
EP3731503B1 (en)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display
JP7244112B2 (ja) 電子機器
US9317198B2 (en) Multi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9516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102313066B1 (ko) 휴대용 표시 장치
KR20100085397A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KR20150126193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659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0858A (ko)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75206A (ko) 이동 단말기
GB2584541A (en) Methods and systems for application control in a hinged electronic device
KR201100823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546545B (zh) 图文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20100099416A (ko)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15052061A (zh) 电子设备
CN116888950A (zh) 终端、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20150011692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29232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