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151B1 - 용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151B1
KR101781151B1 KR1020150030360A KR20150030360A KR101781151B1 KR 101781151 B1 KR101781151 B1 KR 101781151B1 KR 1020150030360 A KR1020150030360 A KR 1020150030360A KR 20150030360 A KR20150030360 A KR 20150030360A KR 101781151 B1 KR101781151 B1 KR 10178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ving
driving
conveying conveyor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519A (ko
Inventor
임의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비
Priority to KR102015003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9Driving means for the conveyors
    • B65G2811/095Speed variation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전측단부와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전측단부와 연결되는 제2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제1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밀어내 이송시키는 용기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바가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밀어 이송시킴에 따라, 용기가 이동바의 이동력에 의해 이동됨으로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 이송장치{Container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병 등의 용기를 제조하는 과정 중 용기를 서냉과정 후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용기의 쓰러짐 현상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이송시점 및 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송과 더불어 작업의 단계별 연속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병 등은 성형 후 서냉 과정을 거친 뒤 선별 등의 후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서냉 과정을 마친 용기는 네트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한 뒤 후공정으로의 진입 위한 선별 컨베이어 상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용기는 네트 컨베이어의 이송력에 의존해서만 선별 컨베이어 상으로 이송되는데, 따라서 용기가 네트 컨베이어와 선별 컨베이어 간 경계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용기의 쓰러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된다.
즉 용기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단순히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네트컨베이어의 이송력이 용기의 바닥면에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용기가 선별 컨베이어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균형이 쉽게 흐트러져 쓰러지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기존에는 네트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선별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이 상호 수직을 이루고 있고 용기가 네트 컨베이어로부터, 선별컨베이어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선별컨베이어가 이동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용기가 더욱 쉽게 쓰러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용기가 이송과정에서 쓰러질 경우 쓰러지는 과정에서 타 용기가 함께 쓰러지거나 위치가 흐트러지게 될 뿐만 아니라, 쓰러진 용기를 분리해 내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결국 공정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312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1111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945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성형된 용기가 제1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다가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용기의 쓰러짐 현상을 최소화함에 따라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로 인해 전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를 제1이송컨베이어에서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시점과 이송 속도를 구간별로 제어하여 용기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는 제1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전측단부와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전측단부와 연결되는 제2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제1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밀어내 이송시키는 용기 이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과정에서 상기 용기를 밀어 이동시키는 이동바;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의 이동궤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회전체; 상기 구동회전체의 후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종동회전체; 상기 제1종동회전체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종동회전체; 상기 제2종동회전체의 전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구동회전체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3종동회전체; 상기 구동회전체와 제1, 2, 3종동회전체에 동시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일단부가 상기 벨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회전체와 제1 종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지난 뒤 제 종동회전체 2, 3 및 구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형태의 궤도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회전체와 대칭 형태로 마주하고 있는 보조 구동회전체; 상기 제1, 2, 3종동회전체와 대칭 형태로 마주하고 있는 제1, 2, 3보조 종동회전체; 및 상기 제1, 2, 3보조 종동회전체에 연결되어 있는 무한궤도 형태의 보조벨트부재; 상기 구동회전체와 상기 보조 구동회전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재 및 보조벨트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바 중 상기 용기 표면에 접촉되는 테두리에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용기의 둘레면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 중 상기 용기와 접촉되는 면에는 완충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의 작동시점 및 이동바의 위치에 따른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용기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된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1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의 쓰러짐 상태를 체크하는 제2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바가 상기 구동회전체와 제1종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지나는 속도에 비해 제2종동회전체를 지난 후 용기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되는 구간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제어되고, 용기를 밀어내면서 제2종동회전체와 제3종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지나는 속도에 비해 제3종동회전체를 지나면서 용기와 분리될 때까지 이동되는 구간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바가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밀어 이송시킴에 따라, 용기가 이동바의 이동력에 의해 이동됨으로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이송되는 과정에서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바가 구동부에 의해 일정궤도를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용기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이송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가 이동바의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 과정에서의 용기 쓰러짐 현상이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홈 내에 별도의 완충패드를 형성시킴으로써 용기가 삽입홈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용기 표면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작동 및 정지시점이 제어부에 의해 구간별로 제어되되, 용기가 제 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되어 1 있는지 여부 및 이송된 용기가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 안착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바의 이동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단계별 작업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즉 이동바의 이동속도 또한 제어부에 의해 구간별로 조절되되, 이동바가 제1컨베이어 상에서 용기와 최초 결합되는 과정 및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용기와 분리되는 과정의 속도가 타 구간을 지나는 속도에 비해 느리도록 제어함에 따라, 용기와의 안정적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용기가 이동바의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용기가 이동바의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본원발명인 이송장치는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이송플레이트(20), 제2이송컨베이어(30), 본체프레임(40) 및 용기 이동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는 유리병의 제조 시 서냉(annealing)과정을 거친 용기가 외부로 인출되는 경로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모터 및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일반적인 컨베이어벨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의 재질 등에 따라 그물망 형태의 와이어 네트 컨베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서냉 과정을 거친 용기(1)는 제1이송컨베이어(10) 상에 세워진 상태로 일렬 횡 배열된 상태에서 제1이송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플레이트(20) 부근까지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의 전측 단부에 배치되는 이송플레이트(20)는 제1이송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된 용기를 용기 이동부(1000)를 통해 제2이송컨베이어(30)까지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용기의 받침판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이송플레이트(20)는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제2이송컨베이어(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다리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20)는 평판 형태이고 후측 테두리가 이송플레이트(20)의 전측 단부 테두리에 거의 근접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플레이트(20)와 제1이송컨베이어(10)의 경계지점의 간극은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용기(1)를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이송플레이트(20)의 경계지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20)의 상부면과 제1이송컨베이어(10)의 상부면의 높이를 동일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용기가 경계지점을 지나는 과정에서 높이차에 의한 걸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20)의 전측에 배치되는 제2이송컨베이어(30)는 제1이송컨베이어(10)로부터 이송플레이트(20)를 지나 이송된 용기에 대한 선별 등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는 공지된 컨베이어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이동방향이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수직방향, 즉 좌우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는 일측 테두리가 이송플레이트(20)의 전측단부와 거의 근접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와 이송플레이트(20)의 경계지점의 간극은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상부면의 높이차도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용기(1)를 제2이송컨베이어(30)와 이송플레이트(20)의 경계지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용기(1)는 이송플레이트(20)의 후측에서 전측을 향해 직선이동되다가 제2이송컨베이어(3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변환되어 이송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이송플레이트(20) 및 제2이송컨베이어(30) 상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40)은 용기 이동부(1000)의 설치를 위한 지지체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프레임(40)은 뼈때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형 프레임의 단부가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의 전측단부에서부터 제2이송컨베이어(30)의 후측 단부 구간에 걸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40)은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이송플레이트(20) 및 제2이송컨베이어(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상호 대칭 형태로 배치된다.
참고로 상기 본체프레임(40)의 구조 및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용기 이동부(1000)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본체프레임(40)에 설치되는 용기 이동부(1000)는 제1이송컨베이어(10) 단부까지 이송된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30)까지 쓰러짐 없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40)은 크게 구동부(100)와 이동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00)는 이동바(130)를 통해 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10)와 동력전달부(120)로 나누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10)는 구동부(100) 중에서 실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된 DC 또는 AC모터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종류에 따라서는 별도의 인버터(inverter)가 연결되어 정역회전은 물론 회전속도 등이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는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0)는 한쪽 본체프레임(40)의 전측 상단부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1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구동모터(110)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동바(130)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바(130)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바(13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동력전달부(120)는 구동회전체(121), 제1종동회전체(122), 제2종동회전체(123), 제3종동회전체(123a) 및 벨트부재(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회전체(121)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최초로 입력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스프로킷 휠 구조이고 중심부가 구동모터(110)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1종동회전체(122)는 구동회전체(121)에 입력된 동력이 전달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2, 3종동회전체(123)(123a)와 더불어 벨트부재(124)의 이동궤도 형성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종동회전체(122)는 스프로킷 휠 형태이고 본체프레임(40) 중 구동회전체(121)의 후측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종동회전체(122)는 본체프레임(40)에 형성된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종동회전체(123)는 제1종동회전체(122)와 마찬가지로 동력의 전달기능 및 벨트부재(124)와 이동바(130)의 이동궤도 설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프로킷 휠 형태이고 본체프레임(40) 중 제1종동회전체(122)의 아래쪽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종동회전체(123)는 제1이송컨베이어(10)의 전측 단부 바로 위쪽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이동바(130)가 제2종동회전체(123)를 지남과 동시에 제1이송컨베이어(10) 단부 상에 위치한 용기의 하부에 곧바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종동회전체(123)도 본체프레임(40)에 형성된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3종동회전체(123a)는 제1, 2종동회전체(122)(123)와 마찬가지로 동력의 전달기능 및 벨트부재(124)와 이동바(130)의 이동궤도 설정 기능을 하는 것으로, 스프로킷 휠 구조이고 본체프레임(40) 중 구동회전체(121)의 아래쪽에 위치되되 제2종동회전체(123)와 전후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회전체(121)와 제1, 2, 3종동회전체(122)(123)(123a)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 배열구조를 이루며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동력전달부(120)를 구성하는 벨트부재(124)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이동바(130)로 최종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동바(130)의 이동궤도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스프로킷 체인 형태이고 구동회전체(121)와 제1, 2, 3종동회전체(122)(123)(123a)에 동시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부재(124)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무한궤도 형태를 이루며 구동회전체(121)의 회전시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상기 벨트부재(124)와 구동회전체(121) 및 제1, 2, 3종동회전체(122)(123)(123a)는 체인 및 스프로킷 휠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벨트 및 풀리 형태 등으로도 변형 구현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렇게 설치된 상기 벨트부재(124)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이동바(130)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124a)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편(124a)은 이동바(130)의 설치개수를 고려해 벨트부재(124)의 경로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이동바(130)를 한 개만 설치할 경우 연결편(124a)도 그에 맞게 하나만 형성시킬 수도 있음을 밝힌다.
상기 동력전달부(120)는 양 본체프레임(40)에 대칭 구조로 설치된다.
즉 반대쪽 본체프레임(40)에도 위와 동일한 구조의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데, 구동회전체(121)와 대칭되는 지점에는 보조 구동회전체(126)가 설치되고 제1, 2, 3종동회전체(122)(123)(123a)와 대칭되는 지점에는 제1, 2, 3보조 종동회전체(127)(128)(12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회전체(121)와 보조 구동회전체(126)의 중심부를 별도의 연결봉(125)으로 연결하여, 구동회전체(121)와 보조 구동회전체(126)가 연결봉(125)을 매개로 하여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보조 벨트부재(129a) 중 벨트부재(124)와 마주하는 면에도 이동바(130)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124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100)에 설치되는 이동바(130)는 구동부(100)의 동력을 이용해 용기(1)를 제1이송컨베이어(10)에서부터 제2이송컨베이어(30)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130)는 이송시 용기(1)의 쓰러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각형바 형태이고 벨트부재(124)와 보조 벨트부재(129a) 사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바(130)의 양단부는 벨트부재(124) 및 보조 벨트부재(129a)의 연결편(124a)에 연결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바(130)는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이송플레이트(20)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에서 벨트부재(124) 및 보조 벨트부재(129a)의 이동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이동바(130)는 구동회전체(121)와 제1종동회전체(122) 사이구간과 제1, 2 종동회전체(122)(123) 사이 구간, 제2, 3종동회전체(123)(123a) 사이 구간 및 제3종동회전체(123a)와 구동회전체(121)구간을 순환하는 형태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130)의 전측 테두리에는 용기(1)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삽입홈(135)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삽입홈(135)의 형상은 해당 용기의 둘레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삽입홈(135)의 형성개수 및 배열 간격 또한 제1이송컨베이어(10)상에 배열되어 있는 용기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5) 중 용기(1)의 둘레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용기(1)가 삽입홈에 삽입되는 과정이나 이송되는 과정에서 용기표면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완충패드(136)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왼충패드(136)는 용기의 재질 등에 따라 표면 훼손 우려가 없을 경우에는 얼마든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바(130)는 제1이동바(132)와 제2이동바(134)로 나뉘어 구성되어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됨에 따라 각 제1, 2이동바(132)(134)가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며 용기를 이송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이동바(130)가 두 개로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이동바(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 환경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배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바(13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00)의 구동모터(110)는 별도의 제어부(20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구동모터(110)의 구간별 작동 및 정지 시점을 제어하고 구간별로 구동모터(1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바(13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용기(1)와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전후 지점, 즉 제2종동회전체(123)를 지나 용기와 결합되는 사이 구간과 제3종동회전체(123a)를 지나 용기와 분리되는 구간의 이동속도를 타 구간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형성시킴으로써, 용기와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용기의 균형 상실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200)는 용기(1)가 제1이송컨베이어(10)의 테두리 상에 위치되기 직전과 이송된 용기가 제2이송컨베이어(30) 상에서 선별이 완료된 직후까지 구동모터(110)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용기가 적정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바(130)와 용기 간의 안정적인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구동모터(110)의 회전속도 등의 제어는 일반적인 주파수나 전압조절방식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구간별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제어과정은 후술하는 작용설명과정에서 추가 언급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바(130)나 본체프레임(40)에는 용기(1)가 제1이송컨베이어(10)의 단부에 정상적으로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제1위치감지센서(21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21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1위치감지센서(210) 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상에는 위치한 용기 중에서 쓰러져 있는 용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2위치감지센서(220)를 더 설치시키고, 이도 제어부와 연결시켜 쓰러진 용기가 감지될 경우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이송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110)에 의해 구동회전체(121)가 회전하면 제1, 2, 3종동회전체(122)(123)(123a)가 벨트부재(124)에 의해 연동되고, 벨트부재(124)는 형성된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된다.
더불어 연결봉(125)을 통해 구동회전체(121)를 비롯한 보조 벨트부재(129a)도 동시에 연동 되며 이로 인해 제1, 2이동바(132)(134)는 벨트부재(124)의 이동궤도를 따라 함께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이동바(132)가 구동회전체(121)와 제1종동회전체(122) 사이 구간을 지난 뒤 제1종동회전체(122)를 지나는 과정, 즉 용기(1)가 제1이송컨베이어(10)의 전측 단부에 위치될 시점에서, 제1위치감지센서(210)가 용기의 위치상태 여부를 체크 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10)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중지되고 이로 인해 제1이동바(132)는 용기가 해당 지점까지 정상적으로 위치될 때까지 하강하지 않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더불어 제1이송컨베이어(10)의 단부 상에 위치한 용기 중 쓰러진 용기가 제2위치감지센서(220)에 의해 감지될 경우 용기가 적정지점에 위치되더라도 구동모터는 작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며 쓰러진 병을 선별 처리한 뒤 재작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1)가 해당 지점에 정상적으로 위치되면 구동모터(110)는 다시 작동하여 제1이동바(132)가 제2종동회전체(123)를 향해 하강된 뒤 제2종동회전체(123)를 지나면서 다시 각도가 변화되어 삽입홈(135)이 형성된 테두리면이 용기(1)의 뒤쪽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바(132)가 제2종동회전체(123)를 지나 제3종동회전체(123a)를 향해 전진함과 동시에 삽입홈(135)이 용기의 후측 둘레면을 감싼 상태가된다.
이때 상기 제1이동바(132)가 제2종동회전체(123)를 지나 용기가 삽입홈에 끼워지는 과정(도 4에서의 a구간)에서는 구동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제어부에 의해 저하되어 제1이동바(132)와 용기 간의 결합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바(132)와 용기(1) 간의 결합과정에서 제1이동바(132)의 속도에 의해 용기가 앞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각 용기(1)가 제1이동바(132)의 각 삽입홈(135)에 끼워짐과 동시에 제1이동바(132)는 제3종동회전체(123a)를 향해 전진하면서 각 용기(1)를 앞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렇게 용기(1)가 이동바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이송플레이트(20)간 경계지점을 안정적으로 넘어가게 되고, 제1이동바(132)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용기는 이송플레이트(20)를 지나 제2이송컨베이어(30)쪽으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동바(132)가 제3종동회전체(123a)에 위치됨과 동시에 해당 용기(1)는 제2이송컨베이어(30) 상부면 까지 이송된 상태가 되고 이 과정에서 용기(1)는 제1이동바의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송플레이트(20)와 제2이송컨베이어(30) 간 경계지점을 안정적으로 넘어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바(132)가 제3종동회전체(123a) 앞쪽 부근에 위치될 시점, 즉 용기가 제2이송컨베이어 상으로 넘어가기 직전의 시점부터 제2이송컨베이어 상에 안착될 시점 사이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킴에 따라, 제1이동바(132)가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 상으로 천천히 이송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이동바(132)가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 상으로 넘기는 과정 및 용기를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임에 따라, 용기가 정지되는 시점에서 작용되는 관성력이 최소화되므로 정지 과정에서 용기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동바(132)는 제3종동회전체(123a)를 지나 구동회전체(121)쪽으로 상승하면서 각도가 변화되어 자연스럽게 용기(1)가 삽입홈(135)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도 구동모터(110)의 회전속도가 저감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용기(1)가 삽입홈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1이동바(132)가 용기와 분리된 후 구동회전체(121) 쪽을 향해 상승될 때 제2이동바(134)는 제1종동회전체(122)를 지난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가 제1이송컨베이어(10)상에 정확히 위치될 때까지 대기하는 시점이므로 구동모터(110)의 작동이 중지되며, 이로 인해 제1이동바(132)도 함께 정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바(134)는 앞의 제1이동바(132)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용기(1)를 제2이송컨베이어(30)쪽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제1이동바(132) 및 제2이동바(134)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로 넘어온 용기는 선별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제2이송컨베이어(30)를 따라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제1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용기를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이동바(130)로 용기를 밀어내 이동시킴으로써 용기가 이동바(1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이송과정에서 쓰러짐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렇게 이송과정에서 용기의 쓰러짐 현상이 최소화 됨에 따라, 전체 공적흐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국 전체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간별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이동바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용기와 이동바 간의 안정적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용기 이송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이송컨베이어 20 : 이송플레이트
30 : 제2이송컨베이어 40 : 본체프레임
1000 : 용기 이동부 100 : 구동부
110 : 구동모터 120 : 동력전달부
121 : 구동회전체 122 : 제1종동회전체
123 : 제2종동회전체 123 : 제3종동회전체
124 : 벨트부재 124a : 연결편
125 : 연결봉 126 : 보조 구동회전체
127 : 제1보조 종동회전체 128 : 제2보조 종동회전체
129 : 제3보조 종동회전체 129a : 보조벨트부재
130 : 이동바 132 : 제1이동바
134 : 제2이동바 135 : 삽입홈
136 : 완충패드 200 : 제어부
210 : 제1위치감지센서 220 : 제2위치감지센서

Claims (9)

  1. 제1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전측단부와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전측단부와 연결되는 제2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제1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까지 밀어내 이송시키는 용기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이동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과정에서 상기 용기를 밀어 이동시키는 이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회전체;
    상기 구동회전체의 후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종동회전체;
    상기 제1종동회전체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종동회전체;
    상기 제2종동회전체의 전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구동회전체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3종동회전체;
    상기 구동회전체와 제1, 2, 3종동회전체에 동시에 연결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이동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일단부가 상기 벨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회전체와 제1 종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지난 뒤 제1, 2, 3종동회전체 및 구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형태의 궤도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의 작동시점 및 이동바의 위치에 따른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용기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된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1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한 용기의 쓰러짐 상태를 체크하는 제2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바가 상기 구동회전체와 제1종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지나는 속도에 비해 제2종동회전체를 지난 후 용기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되는 구간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용기를 밀어내면서 제2종동회전체와 제3종동회전체 사이 구간을 지나는 속도에 비해 제3종동회전체를 지나면서 용기와 분리될 때까지 이동되는 구간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회전체와 대칭 형태로 마주하고 있는 보조 구동회전체;
    상기 제1, 2, 3종동회전체와 대칭 형태로 마주하고 있는 제1, 2, 3보조 종동회전체; 및
    상기 제1, 2, 3보조 종동회전체에 연결되어 있는 무한궤도 형태의 보조벨트부재;
    상기 구동회전체와 상기 보조 구동회전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는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재 및 보조벨트부재에 연결되는 용기 이송장치.
  6.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 중 상기 용기 표면에 접촉되는 테두리에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용기의 둘레면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는 용기 이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중 상기 용기와 접촉되는 면에는 완충패드가 형성되는 용기 이송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50030360A 2015-03-04 2015-03-04 용기 이송장치 KR10178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60A KR101781151B1 (ko) 2015-03-04 2015-03-04 용기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60A KR101781151B1 (ko) 2015-03-04 2015-03-04 용기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19A KR20160107519A (ko) 2016-09-19
KR101781151B1 true KR101781151B1 (ko) 2017-10-23

Family

ID=5710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360A KR101781151B1 (ko) 2015-03-04 2015-03-04 용기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943A (ja) * 2001-09-03 2003-03-12 Koyo Autom Mach Co Ltd 被搬送体の供給装置
US20070227857A1 (en) 2002-03-27 2007-10-04 Peterman Thomas H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130243558A1 (en) 2012-03-14 2013-09-19 Krone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 layers between adjacent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287A (ko) 1995-02-21 1996-09-17 이정익 건강음료용기의 포장장치
KR20060111102A (ko) 2005-04-22 2006-10-26 이태욱 용기 포장시스템용 이송장치
KR20110094534A (ko) 2010-02-17 2011-08-24 권창식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943A (ja) * 2001-09-03 2003-03-12 Koyo Autom Mach Co Ltd 被搬送体の供給装置
US20070227857A1 (en) 2002-03-27 2007-10-04 Peterman Thomas H Retractable Transfer Device Mete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130243558A1 (en) 2012-03-14 2013-09-19 Krone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 layers between adjacent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19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90248U (zh) 一种基于90°升降转向装置的物流输送系统
JP2016159250A (ja) 物品仕分装置
CA2604340C (en) Feeding device for a packaging machine
AU2019258175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JP2016044056A (ja) 物品仕分装置
JP2016132034A (ja)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JP6615715B2 (ja) 物品供給装置
CN104582303A (zh) 一种双工作头异型插件机
JP2009292601A (ja) 仕分装置
JP6524469B2 (ja) 移載装置用コントローラ及び搬送装置
KR20100033354A (ko) 피반송물 구분 장치 및 피반송물 구분 방법
CN209794900U (zh) 一种喷码设备
JP6109509B2 (ja) 物品整列供給装置
KR101781151B1 (ko) 용기 이송장치
WO2018139098A1 (ja) 物品移載装置
JP4960267B2 (ja) 物品供給装置
JP5159206B2 (ja) パネル排出装置
JP2006160476A (ja) 振分装置
CN104044860A (zh) 一种输送装置
KR20210118503A (ko)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소재 이송형 컨베이어 장치
JPH0940160A (ja) 仕分け設備
JP2017081677A (ja) 分離搬送システム
JP2018034965A (ja) 物品整列装置及び物品整列方法
KR20200013457A (ko) 협소 공간용 컨베이어 벨트 장치
US20090110534A1 (en) Bag supp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