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534A -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534A
KR20110094534A KR1020100013989A KR20100013989A KR20110094534A KR 20110094534 A KR20110094534 A KR 20110094534A KR 1020100013989 A KR1020100013989 A KR 1020100013989A KR 20100013989 A KR20100013989 A KR 20100013989A KR 20110094534 A KR20110094534 A KR 2011009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container
conveying
disposable
transfer
transf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식
Original Assignee
권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창식 filed Critical 권창식
Priority to KR102010001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534A/ko
Publication of KR2011009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일회용 용기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일회용 용기를 검사장치에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 이송관을 따라서 이송되는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 검사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에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공급부는 이송관의 하부에 소정의 하방경사각도로 설치된 이송벨트와, 이송벨트로부터 낙하하는 일회용 용기를 역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라인에 공급하는 회전구동체로 구성되고;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일회용 용기에 대한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DISPOSABLE CUP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컵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일회용 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로 일회용 용기를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다수의 일회용 용기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일회용 용기를 검사장치에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용기는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폴 재질의 합성수지 제품 또는 종이재질 제품으로서 인스턴트 식품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 생활의 필수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소주컵과 같은 소용량의 용기에서부터 커피, 음료수 또는 라면, 치킨 등과 같은 음식물을 담는 대용량의 용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일회용 용기는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며, 이러한 제조과정에 있어서 이물질이 컵의 내부에 유입되거나 또는 컵의 외면이 찌그러지는 등 일회용 용기의 불량여부를 즉각적으로 검사하여야 하였다. 이와 같이 일회용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일회용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회용 용기를 제조장치(미도시)에서 이송하는 이송관(12)과, 이송관(12)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회용 용기를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14)와, 상기 공급부(14)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회용 용기를 검사부(18)로 이송하는 이송라인(16)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일회용 용기는 복수개의 이송관(12)을 따라서 컨베이어 타입의 이송라인(16)으로 공급되고, 이송라인(16)을 따라서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18)를 통과하면서 정상과 불량으로 검사된 후 배출부(20)에서 분리 배출된다. 이송라인(16)에 일회용 용기를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14)의 일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8293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서 합체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급부(14)는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부가하여, 종래의 공급부(14)는 일정한 크기의 일회용 용기만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다른 크기의 일회용 용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급부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였다.
한편, 일회용 용기의 이송라인(16)과 공급부(14) 사이의 간격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일회용 용기에 대한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제조하여야 하였다. 즉, 종래의 이송장치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일회용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없을 정도로 호환성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 검사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작하여 공급부와 이송라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 검사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에 일회용 용기를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가 컨베이어 방식의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이한 크기의 일회용 용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회용 용기가 통과하는 통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 검사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라인을 구비한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복수개 이송관을 따라서 이송되는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 검사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에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부는 이송관의 하부에 소정의 하방경사각도로 설치된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로부터 낙하하는 일회용 용기를 역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라인에 공급하는 회전구동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라인의 상부에 설치된 살균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일회용 용기가 상기 회전구동체 측에 낱개씩 낙하하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양측에서 하부측으로 수렴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부가 좌우로 선회동작할 수 있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회전벨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체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일회용 용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 검사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라인이 승하강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제작되어 공급부와 이송라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일회용 용기에 대한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이송관을 따라서 이송되는 일회용 용기를 이송라인으로 공급하는 공급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일회용 용기가 통과하는 통과부의 크기를 가변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일회용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하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사이드 가이드의 통과부가 최소 크기로 유지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사이드 가이드의 통과부가 최대 크기로 유지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스톱퍼의 단부가 개방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스톱퍼의 단부가 가장 근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제조장치(미도시)로부터 제조된 일회용 용기(1)를 이송하는 이송관(110)과, 이송관(110)을 따라서 이송된 일회용 용기(1)를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120)와,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일회용 용기(1)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라인(130)과, 이송라인(1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일회용 용기(1)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140)와, 검사부(140)를 통과한 일회용 용기(1)를 불량여부에 따라서 구분하여 배출하는 배출부(1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송관(110) 하부에서 소정의 하방경사각도로 설치되어 일회용 용기(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벨트(122)와, 이송벨트(122)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1)를 역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이송라인(130)에 공급하는 회전구동체(124)로 구성된다. 이때, 이송벨트(122)와 회전구동체(124) 사이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평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일회용 용기(1)는 이송벨트(122)의 이동에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매끄러운 평판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구동체(124) 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송벨트(122)는 그의 양단부에 설치된 회전풀리(122a)에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풀리는 구동모터(미도시)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함에 따라서 회전풀리(122a)는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이송벨트(122)는 그의 상부면이 화살표 방향의 하방을 향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송관(110)과 이송벨트(122)의 사이는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며, 충분한 이격공간에 의해서 다양한 크기의 일회용 용기(1)는 이송관(110)으로부터 낙하하고 이러한 일회용 용기(1)는 이송벨트(122)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상기 상부면의 이동에 따라서 하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구동체(124)는 공기소통공간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형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구동체(124)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공기소통공간과 연통하는 흡입구(124a)가 소정 간격, 예를 들어 90°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회전구동체(124)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기소통공간과 외측의 흡기수단(미도시)을 연결하는 파이프가 설치된다. 상기 흡기수단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공기소통공간은 진공화되므로 흡입구(124a)를 통해서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소통공간으로 흡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수단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 이송벨트(122)를 따라서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1)가 회전구동체(124)의 흡입구(124a)에 안착하게 되면, 흡입구(124a)를 통한 공기흡입작용에 의해서 일회용 용기는 회전구동체(124)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구동체(124)의 회전에 의해 역전된 상태로 이송라인(130)에 공급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체(124)에 인접하여 스톱퍼(160)가 설치된다. 스톱퍼(160)는 일회용 용기(1)가 이송라인(130)에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스톱퍼(160)는 회전구동체(124)가 회전함에 따라서 그의 단부가 서로를 향해 접근하여 일회용 용기가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서 일회용 용기가 공급되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회전구동체(124)가 회전하는 동안, 스톱퍼(160)의 단부는 회전구동체(124)의 흡입구(124a)가 일회용 용기를 흡착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를 향해 접근한 상태를 유지한다. 일회용 용기가 흡입구(124a)에 흡착된 후에 스톱퍼(160)의 단부는 벌어져서 일회용 용기가 회전구동체(12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회용 용기가 스톱퍼(160)의 단부를 통과한 후에 스톱퍼(160)의 단부들은 서로를 향해 접근하게 되어서 회전구동체(124)의 흡입구에 흡착되지 않은 다른 일회용 용기가 임의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은 스톱퍼(160)의 단속작용은 회전구동체(124)의 회전속도에 비례하게 된다.
이송벨트(122)의 양측면에는 이송관(110)에서 낙하한 후 이송벨트(122)의 상부면이 이동함에 따라서 하부측으로 이동하는 일회용 용기를 이송벨트(122)의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126)가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 가이드(126)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판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의 상부는 힌지축(미도시)에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126)의 하단부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단부 사이의 이격공간은 일회용 용기가 통과하는 통과부로 작용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가이드(126)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그의 상부를 중심으로 선회동작하게 되므로, 상기 통과부의 크기는 검사하고자 하는 일회용 종이컵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이드 가이드(12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가이드에는 회전벨트(126a)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사이드 가이드(126)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 각각에 회전축을 설치한다. 그리고, 2개의 회전축을 연결하도록 회전벨트(126a)를 설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은 회전모터(미도시)에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회전벨트(126a)는 이송벨트(12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모터는 작동하게 된다.
복수개의 이송관(110)으로부터 다수개의 일회용 용기가 이송벨트(122) 측으로 낙하하는 경우, 이송벨트(122)의 하부측에는 복수개의 일회용 용기가 밀집되어 사이드 가이드(126)의 하단부에서 일회용 용기의 병목현상이 발생하므로 일회용 용기가 상기 하단부를 용이하게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회전벨트(126a)가 이송벨트(122)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벨트(126a)에 접촉하는 일회용 용기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이드 가이드(126)의 하단부에서의 병목현상은 해소되므로 일회용 용기를 용이하게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는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일회용 용기를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방식의 이송라인(130)과, 이송라인(13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2)과, 지지 프레임(13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134)를 더 포함한다.
승하강부재(134)는 예를 들어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재(134)의 동작에 의해서 지지 프레임(132)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는 공급부(120)와 이송라인(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승하강부재(134)가 최대 길이로 신장한 상태에서 공급부(120)와 이송라인(130) 사이의 간격은 작아지는 반면에 승하강부재(134)가 최소 길이로 축소하게 되면 공급부(120)와 이송라인(130) 사이의 간격은 최대로 유지된다.
이송라인(130)에는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의 흡기수단(미도시)에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흡입 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 하우징의 내부는 중공형이며, 이러한 중공부는 이송라인(130)에 형성된 소통구(130a)와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소통한다. 따라서, 상기 흡기수단의 동작에 의해서 소통구(130a)를 통해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 하우징의 중공부로 흡입되는 동안 회전구동체(124)로부터 공급되는 일회용 용기는 이송라인(130)의 상부에 흡착된다.
이송라인(130)의 상부에 설치된 검사부는 일회용 용기(1)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이고, 이러한 검사장치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송라인(130)의 상부에는 자외선 살균기와 같은 살균수단을 가진 소독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라인(130)을 따라서 이송되는 일회용 용기는 소독부(150)의 하부를 통과하는 동안 살균처리되므로, 일회용 용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110 : 이송관
120 : 공급부
122 : 이송벨트
124 : 회전구동체
126 : 회전벨트
130 : 이송라인
132 : 지지프레임
134 : 승하강부재
140 : 검사부
150 : 소독부
160 : 스톱퍼

Claims (8)

  1. 일회용 용기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로 일회용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라인을 구비한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2.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로 일회용 용기를 이송하는 이송라인에 상기 일회용 용기를 낱개씩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한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소정의 하방경사각도로 설치된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서 이송된 일회용 용기를 역전된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이송라인에 공급하는 회전구동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일회용 용기를 상기 이송벨트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의 상부는 힌지축에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벨트를 더 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체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일회용 용기의 공급을 단속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의 상부에 설치된 살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KR1020100013989A 2010-02-17 2010-02-17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KR20110094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89A KR20110094534A (ko) 2010-02-17 2010-02-17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89A KR20110094534A (ko) 2010-02-17 2010-02-17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534A true KR20110094534A (ko) 2011-08-24

Family

ID=4493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989A KR20110094534A (ko) 2010-02-17 2010-02-17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5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19A (ko)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금비 용기 이송장치
KR20190105761A (ko) * 2018-03-06 2019-09-18 (주)씨엔루브 용기 마개 체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519A (ko)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금비 용기 이송장치
KR20190105761A (ko) * 2018-03-06 2019-09-18 (주)씨엔루브 용기 마개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9429B2 (ja) カプセル充填封緘装置
KR101264510B1 (ko) 캡슐 취급 장치 및 캡슐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캡슐 처리 장비
JP5557527B2 (ja) 容器から桿状体を配送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後続の搬送装置
JP6552947B2 (ja) 包装機及び包装方法
US20030056466A1 (en) Solution filling and plugging system to a container
JP2016094224A (ja) 容器搬送制御装置
JP4385606B2 (ja) 壜等の容器の側面検査装置
US20210245958A1 (en) Transport apparatus having rotary cylinder and clamping belt
KR20110094534A (ko)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KR100912932B1 (ko) 계란 오토 로더 장치
JP3614326B2 (ja) 中空成形品の検査装置
JP3990584B2 (ja) 紙カップ漏れ検査装置
CN219044836U (zh) 一种基于灌装设备的引导剔除机构
JP6151229B2 (ja) カップ状容器の反転装置
KR200401824Y1 (ko) 컵이송장치
JP5633004B2 (ja) 容器搬送装置
CN114304254A (zh) 一种物体干燥设备
JP2012103020A (ja) ペットボトルのリーク検査および外観検査装置
KR101887818B1 (ko) 일회용 용기 이송장치
JP3887575B2 (ja) 紙カップ漏れ検査装置
JP2015113188A (ja) 壜台、容器搬送装置および検査装置
CN218987990U (zh) 杀菌消毒机的持续送料机构
KR101501327B1 (ko) 작업성 향상 기능을 갖는 전자라벨 부착장치
KR200271259Y1 (ko) 통형상 종이컵 이송장치
KR20020035802A (ko) 캔용기 검사용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