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121B1 -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121B1
KR101781121B1 KR1020160041177A KR20160041177A KR101781121B1 KR 101781121 B1 KR101781121 B1 KR 101781121B1 KR 1020160041177 A KR1020160041177 A KR 1020160041177A KR 20160041177 A KR20160041177 A KR 20160041177A KR 101781121 B1 KR101781121 B1 KR 10178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진열
박광일
김동건
조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장내 투과도를 우수한 정도로 감소시키므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부작용 없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for enteropathy comprising a fermentative product of an herbal extracts complex}
본 발명은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등의 장질환은 복부 팽만감, 소화불량과 같은 불쾌한 소화기 증상이 반복되며, 설사, 혈변 등의 배변장애 증상을 가져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명확한 발병기전은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 감염 등에 의한 과도한 장내 투과성에 의하여 발병됨이 보고되었다(Rapin JR, Clinics(Sao Paulo), 2010, 65(6): 635-643.). 나아가, 장내 투과성 조절의 장애는 상술한 장질환뿐만 아니라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자가면역 질환도 야기할 수 있음이 발표되었다(Fasano A, Physiol Rev. 2011, 91(1):151-75.; Rapin JR, Clinics(Sao Paulo), 2010, 65(6): 635-643.).
전술한 장내 투과성은 소화관의 장 벽(gut wall)이 투과성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영양분이 소화관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독소, 세균 등의 유해한 물질에 대해서는 장내 장애물(intestinal barrier)로 작용하여 신체의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장내 투과성은 세포 사이의 간격을 봉합하는 치밀결합(tight junction)에 의하여 조절된다. 치밀결합은 막 관통 단백질로 구성된 복합체 구조이며, 플라크 단백질을 통해 액틴 세포골격과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치밀결합의 조립, 분해 및 유지는 PKC, MAPK, MLCK 및 Rho GTPase 등의 신호분자 단백질(Ulluwishewa D., J Nutr., 2011, 141(5):769-76.), ZO-1, ZO-2, ZO-3, Occludin 및 Claudin 등의 막 관통 단백질(Chiba H., Biochim Biophys Acta., 2008, 1778(3):588-600.) 등에 의하여 조절되며, 치밀결합이 손상되면 장내 투과성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서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메살라민(mesalamine, 일본 공개특허 2012-504658) 등의 항염증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미국특허 7135455),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등의 면역억제제, 항생제 등이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설파살라진과 메살라민은 구역질, 속쓰림, 두통, 어지러움, 빈혈 및 피부발진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드물게는 간염, 빈혈, 췌장염, 폐렴 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메토트렉세이트는 구역질, 구내염, 설사 등을 유발하며, 사이클로스포린은 적절한 치료 용량을 결정하기 어려워 부작용이 흔한데, 신장에 대한 독성이 가장 문제가 되며, 이외에도 고혈압, 구역질, 두통 등도 비교적 흔한 부작용으로 나타남에 따라, 부작용이 없는 장질환 치료제의 개발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염증성 장질환 등의 장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 연구한 결과,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근,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으로 이루어진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이 장의 치밀결합을 보호하여 장내 투과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고삼"(苦蔘)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특이한 냄새가 있고 잔류성이며 약성은 매우 쓰고 찬 것이 특징이다. 하초습열로 인한 이질, 대하, 음부소양증, 피부가려움증 등에 사용하며 방광열로 인하여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감초"(甘草)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단 것이 특징이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고,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로서,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성질은 찬 것이 특징이다. 금은화는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있을 때 사용하며, 염증에 좋아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독, 장기의 염증, 농을 배출하는 데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당귀"(當歸)는 산형과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에서는 산형과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의 건조시킨 뿌리로서, 기운이 따뜻하고 맛은 달면서도 매운 것이 특징이다. 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 작용이 주를 이루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독활"(獨活)은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의 뿌리를 사용하여 만든 약재로서,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듯한 것이 특징이다. 독활은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근육통, 관절염, 요통, 무릎과 하지 동통에 사용하고, 조습작용을 통해 피부가려움증, 외감성 발열,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목향"(木香)은 국화과의 목향(Aucklandia lappa Decne.)의 뿌리로서,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한 것이 특징이다. 목향은 항균작용이 있어서 이질과 고환염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방풍"(防風)은 산형과의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防風)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사용해 만든 약재로서, 특이한 냄새가 있고 약성은 맵고 달며 따듯한 것이 특징이다. 방풍은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인후통 등 모든 풍증(風症)에 효과가 있다. 풍한습의 사지관절동통, 파상풍,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피부가려움증, 버짐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산조인"(酸棗仁)은 갈매나무과의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er)의 씨로 만든 약재로서, 약한 기름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한 것이 특징이다. 산조인은 신경과민, 불면증, 건망증, 식은땀 등에 사용하며,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어성초"(魚腥草)는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개화기의 지상부로서, 잎을 비벼서 부수면 생선비린내가 나며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찬 것이 특징이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사용하고,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연교"(連翹)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 Vahl)의 건조시킨 열매로서,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그 맛은 쓰고, 기운은 약간 찬 것이 특징이다. 연교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풍열(風熱)을 없애고,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도록 하거나 뭉치거나 몰린 것을 풀어주는 소종산결(消腫散結)하는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우방자"(牛蒡子)는 국화과 식물인 우엉(Arctium lappa L.)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한 것이 특징이다. 폐경, 위경 등에 작용하며, 풍열사(風熱邪)를 없애고 해독하며 발진을 순조롭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음양곽"(淫羊藿)은 매자나무과의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지상부로서, 냄새가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듯한 것이 특징이다. 음양곽은 발기부전, 유정, 자궁냉증, 사지냉증, 피부마비, 구안와사, 건망증, 반신불수, 허리와 무릎 연약증, 고혈압, 소아마비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인삼"(人蔘)은 두릅나무과의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로서,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한 것이 특징이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신기능을 높여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자근"(紫根)은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의 건조 뿌리로서, 자근의 추출액은 화상, 동상, 습진, 수포 등에 연고로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지유"(地楡)는 장미과 식물인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맛은 쓰고 달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찬 것이 특징이다. 지유는 이질, 위장 출혈, 대하증, 월경과다, 위산과다증, 악성 종기, 화상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천궁"(川芎)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진정, 진통, 강장 등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현삼"(玄蔘)은 현삼과의 다년초(Scrophularia buergeriana)로서, 고열이 있어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르는 증세, 고혈압, 편도선염, 임파선염, 혈전증, 결핵성임파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토혈, 식은땀을 흘리는 증세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호장근"(虎杖根)은 Polygonum cuspidata SIEB. et ZUCC.의 학명을 갖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풍습성동통(風濕性疼痛), 수종, 임탁(淋濁), 월경불순, 산후오로불하, 간염, 황달, 골수염, 이질, 악창, 암종 등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32311호에서는 상기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18종의 모든 생약재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특히 상기 18종의 생약재를 포함하는 추출물에 비해 이의 발효물에서 뛰어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삼 1 내지 20 중량부, 감초 1 내지 10 중량부, 금은화 1 내지 10 중량부, 당귀 1 내지 10 중량부, 독활 1 내지 10 중량부, 목향 1 내지 10 중량부, 방풍 1 내지 10 중량부, 산조인 1 내지 10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20 중량부, 연교 1 내지 10 중량부, 우방자 1 내지 20 중량부, 음양곽 1 내지 10 중량부, 인삼 1 내지 20 중량부, 자초 1 내지 10 중량부, 지유 1 내지 10 중량부, 천궁 1 내지 10 중량부, 현삼 1 내지 20 중량부 및 호장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고,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초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고,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유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또는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현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크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발효물"은 상기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발효한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발효"는 좁은 의미로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를 얻는 당 분해과정을, 넓은 의미로는 미생물이나 균류 등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얻어내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발효물은 발효시키고자 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배지에 균을 배양함으로써 다양한 효소작용 등을 통해 생산되는 인간에 이로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물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산균으로는 분리균주 또는 시판 중인 다양한 유산균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및 락토코커스 속(屬)의 미생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속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고, 더더욱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은 장관 내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으로, 장의 모든 염증성 질환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로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또는 베체트병(Behcet's disease)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은 내장 감각의 과민성 증가, 위장관 운동성의 변화, 위장관 팽창으로 인한 기능 장애에 의하여 복통, 설사, 변비, 점액질 변, 잦은 트림, 방귀, 전신 피로, 두통, 불면, 어깨 결림 등의 증상을 야기하는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연교, 음양곽,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8.70 : 4.35 : 4.35 : 4.35 : 4.35 : 4.35 : 4.35 : 4.35 : 8.70 : 4.35 : 8.70 : 4.35 : 8.70 : 4.35 : 4.35 : 4.35 : 8.70 : 4.35의 조성비로 포함하는 추출물과 이의 발효물을 제조하였으며(실시예 1), 상기 발효물은 추출물에 비하여 IL-6에 의해 무너진 세포 단일층의 치밀결합(tight junction)을 더욱 우수한 정도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도 3). 이는, 본 발명의 발효물은 추출물에 비해 장내 투과도를 우수한 정도로 감소시키므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 개체의 몸무게 1kg 당 일반적으로 1일 0.01mg 내지 5000mg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또는 적당한 집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염증성 장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예방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 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의 투여량은 50~500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발효물, 염증성 장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예방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식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식품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일 예로 건강음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구체적으로 약 0.02 ~ 0.03 g이 될 수 있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장내 투과도를 우수한 정도로 감소시키므로,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부작용 없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세포 간 투과성의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 신호전달 경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추출물(KIOM-MA-Control; K-M-Con) 및 이의 발효물(KIOM-MA-128; K-M-128)이 대장 상피세포(Caco2)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K-M-Con 및 K-M-128의 Caco2의 TER(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증가 및 덱스트란 투과율(Dextran permeability)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Caco2에서, K-M-Con 및 K-M-128에 의한 ZO-1 발현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Caco2에서, K-M-Con 및 K-M-128에 의한 ZO-1, Occludin 및 Claudin-2의 발현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Caco2에서, K-M-Con 및 K-M-128에 의한 ZO-1, ZO-2, ZO-3, Occludin, Claudin-1, Claudin-2 및 Claudin-7의 발현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Caco2에서, K-M-Con 및 K-M-128에 의한 세포골격 재배열 단백질의 발현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 및 그래프로서, A는 p-PLCγ1(y783)의 발현양을 보여주는 웨스턴 블롯 이미지이고, B는 p-PKCδ, MLCK 및 p-MLC2의 발현양을 보여주는 웨스턴 블롯 이미지, 및 단백질 발현양의 밀도를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생약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1: 복합 생약추출물의 제조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1840g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 18.4 ℓ를 가하고 1시간 동안 침적한 후, 경서 초고속 진공 추출기(Gyeongseo Extractor, COSMOS 660,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수득한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수득한 액상성분을 동결건조시켜서 분말상의 추출물(KIOM-MA-Control)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상의 추출물을 멸균증류수에 용해시켜서 이후의 실험에서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약재명 조성비 (%)
1 고삼 8.70
2 감초 4.35
3 금은화 4.35
4 당귀 4.35
5 독활 4.35
6 목향 4.35
7 방풍 4.35
8 산조인 4.35
9 어성초 8.70
10 연교 4.35
11 우방자 8.70
12 음양곽 4.35
13 인삼 8.70
14 자초 4.35
15 지유 4.35
16 천궁 4.35
17 현삼 8.70
18 호장근 4.35
합계 100
실시예 1-2: 복합 생약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복합생약 추출물 액상성분에 1 M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하여 pH 8.0으로 조절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 처리하여 실온에서 냉각하여, 유산균을 접종할 배지를 준비하였다.
락토바실루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MRS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상기 유산균을 1%(v/v) 농도로 접종하고, 호기조건하에서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배양액을 동결건조함으로써, 복합생약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KIOM-MA-12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복합 생약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의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의 복합 생약추출물(KIOM-MA-Control; K-M-Con) 및 이의 발효물(KIOM-MA-128; K-M-128)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장 상피세포주인 Caco2에 상기 K-M-Con 및 K-M-128을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의 생존율은 Dojindo's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caco-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 x 103/웰의 세포수로 분주한 다음, IL-6와 K-M-Con, 또는 K-M-128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CCK-8 용액을 각 웰마다 10 ㎕ 첨가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K-M-Con 및 K-M-128은 최고 농도인 400㎍/㎖에서도 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고(도 2의 A),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IL-6가 처리된 세포에 대해서도 생존율을 감소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2의 B).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M-128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생체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복합 생약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의 장내 투과도 감소 효과 확인
본 발명의 K-M-Con 및 K-M-128이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IL-6에 의해 무너진 세포 단일층의 치밀결합(tight junction)을 회복시키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aco2의 전기적 저항성(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R)과 덱스트란 투과율(Dextran permeability)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Caco2 세포를 0.4 μm의 직경을 갖는 0.33 cm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멤브레인 삽입물(polyethylene terephthalate membrane inserts)에 1 × 105의 세포수로 분주하였고, 세포 배양 배지는 2일마다 교체하였다. Caco2 세포에 IL-6를 처리하기 1시간 전에, K-M-Con 또는 K-M-128을 처리하였고, 50 ng/㎖의 IL-6를 처리한 뒤, 18 또는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완전히 분화된 세포의 TER 값은 밀리 셀 ERS-2-voltohmmeter(Millicell ERS-2 voltohmmete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TER 값은 옴 cm2(Ohm cm2)로 표현하였고, 3 개의 독립적인 실험을 3 회 반복 수행하였다.
세포간극(paracellular) 투과도는 비 흡수성, FITC가 부착된 덱스트란 프로브 (FD3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aco2 세포를 0.4 μm의 직경을 갖는 0.33 cm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멤브레인 삽입물(polyethylene terephthalate membrane inserts)에 1 × 105의 세포수로 분주하였고, IL-6와 K-M-Con 또는 K-M-128를 처리한 후, 정단 및 기저 구획(apical and basolateral compartments)을 멸균 PBS로 세척하였다. FITC(1 ㎎/㎖)를 정단면(apical side)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PBS는 기저 측에 첨가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기저측으로부터 매체의 100 ㎕를 96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방출 파장은 각각 490 및 520 nm였다.
그 결과, 세포의 치밀결합이 손상될수록 TER의 값은 낮게 측정되고, 덱스트란 투과율은 높아지는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K-M-Con 및 K-M-128은 IL-6에 의하여 감소된 TER 값을 증가시키고, 덱스트란의 투과율은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효과는 K-M-128가 K-M-Con 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K-M-128는 IL-6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와 비슷한 정도로 치밀결합을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M-128은 무너진 세포 단일층의 장벽을 회복시킴으로써 장내 투과도를 감소시키므로, 유해 물질의 장내 유입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복합 생약추출물 및 이의 발효물의 장내 투과도 감소 메커니즘 확인
실시예 4-1. 세포막에서의 ZO -1 발현양 측정
ZO-1은 세포의 치밀겹합을 유지하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K-M-Con 및 K-M-128이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IL-6에 의해 무너진 세포 단일층의 치밀결합을 회복시키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세포막에 발현되는 ZO-1의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Caco2 세포를 커버 슬립에 1 x 105의 세포수로 접종하였고, 배양배지에 IL-6와 K-M-Con 또는 K-M-128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aco-2 세포의 단층(monolayer)을 PBS로 두 번 세척하고, PBS에 희석한 4 %의 포름 알데히드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실온에서 고정하였으며, 5분 동안 0.25 % 트리톤 X-100을 이용하여 투과화하였다. 이후, Caco2 세포 단층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PBS 중 5 % 염소 혈청으로 차단(blocking)하고 토끼 폴리클로날 anti-ZO-1(1:50) 일차 항체로 4℃에서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차 항체(Alexa Fluor 594-anti-rabbit) 및 DAPI로 염색한 후, 염색된 ZO-1 단백질을 형광 현미경으로 확인 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K-M-Con 및 K-M-128은 IL-6에 의해 손상된 ZO-1의 원형 밴드를 회복시킴을 확인하였고, 세포막에서의 ZO-1 발현양을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K-M-128가 K-M-Con 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K-M-128는 IL-6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보다 ZO-1 발현양을 더욱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M-128는 무너진 세포 단일층의 장벽을 회복시킴으로써 장내 투과도를 감소시키므로, 유해 물질의 장내 유입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2. 치밀결합 단백질의 발현양 확인
ZO-1, ZO-2, ZO-3, Occludin, Claudin-1, Claudin-2 및 Claudin-7은 세포의 치밀겹합을 유지하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K-M-Con 및 K-M-128이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IL-6에 의해 발현이 감소된 상기 단백질들의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에 caco-2 세포를 1 x 105의 세포수로 분주한 다음, IL-6와 K-M-Con 또는 K-M-128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RIPA 용해 버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파괴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고, ZO-1, Occludin 및 Claudin-2의 발현양은 웨스턴블롯(Western blot)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TRIzol reagent를 이용하여 mRNA를 분리한 후, AccuPower Cycle Script RT premix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ZO-1, ZO-2, ZO-3, Occludin, Claudin-1, Claudin-2 및 Claudin-7의 mRNA 발현량을 Quantitative Real-Time PCR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IL-6는 ZO-1 및 Occludin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K-M-Con 및 K-M-128는 IL-6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상기 IL-6에 의하여 감소된 상기 단백질의 발현양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한편, IL-6는 Claudin-2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K-M-Con 및 K-M-128는 IL-6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상기 IL-6에 의하여 증가된 Claudin-2의 발현양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ZO-1와 Occludin 뿐만 아니라, ZO-2, ZO-3, Occludin, Claudin-1, Claudin-2 및 Claudin-7의 mRNA 발현양도 대조군보다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변화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K-M-128가 K-M-Con 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M-128는 세포의 치밀겹합을 유지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장내 투과도를 감소시키므로, 유해 물질의 장내 유입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3. 세포골격 재배열 단백질의 발현양 확인
p-PLCγ1(y783), p-PKCδ, MLCK, p-MLC2는 세포골격을 재배열시키는 단백질로서, 상기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하면 세포 간의 치밀결합이 느슨해진다. 본 발명의 K-M-Con 및 K-M-128이 염증 야기 사이토카인인 IL-6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상기 단백질들의 발현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 웰 플레이트에 caco-2 세포를 1 x 105의 세포수로 분주한 다음, IL-6와 K-M-Con 또는 K-M-128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RIPA 용해 버퍼로 세포를 파괴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고, 웨스턴블롯 기법을 이용하여 p-PLCγ1(y783), p-PKCδ, MLCK, p-MLC2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IL-6는 p-PLCγ1(y78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K-M-128는 IL-6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보다 더 우수한 정도로 상기 IL-6에 의하여 증가된 상기 단백질의 발현양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7의 A).
아울러, 도 7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K-M-Con 및 K-M-128는 IL-6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와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상기 IL-6에 의하여 증가된 p-PKCδ, MLCK 및 p-MLC2 단백질의 발현양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K-M-128는 세포의 치밀겹합을 파괴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장내 투과도를 감소시키므로, 유해 물질의 장내 유입을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로 발효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삼 1 내지 20 중량부, 감초 1 내지 10 중량부, 금은화 1 내지 10 중량부, 당귀 1 내지 10 중량부, 독활 1 내지 10 중량부, 목향 1 내지 10 중량부, 방풍 1 내지 10 중량부, 산조인 1 내지 10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20 중량부, 연교 1 내지 10 중량부, 우방자 1 내지 20 중량부, 음양곽 1 내지 10 중량부, 인삼 1 내지 20 중량부, 자초 1 내지 10 중량부, 지유 1 내지 10 중량부, 천궁 1 내지 10 중량부, 현삼 1 내지 20 중량부 및 호장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초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유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현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또는 베체트병(Behcet's disease)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발효물을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0.0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3. 고삼, 감초, 금은화, 당귀, 독활, 목향, 방풍, 산조인, 어성초, 연교, 우방자, 음양곽, 인삼, 자초, 지유, 천궁, 현삼 및 호장근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로 발효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60041177A 2016-04-04 2016-04-04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1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77A KR101781121B1 (ko) 2016-04-04 2016-04-04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177A KR101781121B1 (ko) 2016-04-04 2016-04-04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121B1 true KR101781121B1 (ko) 2017-09-22

Family

ID=6003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177A KR101781121B1 (ko) 2016-04-04 2016-04-04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5362A (zh) * 2018-08-06 2018-11-13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斜叶檀香精油在制备治疗或预防溃疡性结肠炎的药物中的应用
KR20190124525A (ko) * 2018-04-26 2019-11-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CN110463799A (zh) * 2018-05-10 2019-11-19 岳怀芬 一种护肝通便茶的野生植物组合物
CN110840928A (zh) * 2019-11-29 2020-02-28 广东药科大学 苦参总黄酮在制备治疗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WO2021034139A3 (ko) * 2019-08-22 2021-04-15 (주)녹십자웰빙 과민성장증후군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20021653A (ko) 2020-08-14 2022-02-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산조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525A (ko) * 2018-04-26 2019-11-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지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106400B1 (ko) 2018-04-26 2020-05-06 한국한의학연구원 지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CN110463799A (zh) * 2018-05-10 2019-11-19 岳怀芬 一种护肝通便茶的野生植物组合物
CN108785362A (zh) * 2018-08-06 2018-11-13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斜叶檀香精油在制备治疗或预防溃疡性结肠炎的药物中的应用
CN108785362B (zh) * 2018-08-06 2021-11-12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斜叶檀香精油在制备治疗或预防溃疡性结肠炎的药物中的应用
WO2021034139A3 (ko) * 2019-08-22 2021-04-15 (주)녹십자웰빙 과민성장증후군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N114786503A (zh) * 2019-08-22 2022-07-22 绿十字生命健康有限公司 用于缓解肠易激综合征的功能性食品组合物
EP4018844A4 (en) * 2019-08-22 2023-08-23 Green Cross Wellbeing Corporatio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RELIEF OF IRRITABLE BOWEL SYNDROME
CN110840928A (zh) * 2019-11-29 2020-02-28 广东药科大学 苦参总黄酮在制备治疗溃疡性结肠炎药物中的应用
KR20220021653A (ko) 2020-08-14 2022-02-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산조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121B1 (ko) 복합 생약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7247325B2 (en) Crude drug compositions and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m
CN112569323A (zh) 一种解酒护肝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60117034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7144B1 (ko) 관절염의 개선 효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신규 균주, 이의 발효 우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1951402B1 (ko) 뇌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사군자탕 유산균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200101113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KR20140015825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657007B1 (ko) 한약재 발효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5261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44659B1 (ko) 발효 우슬 추출 복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8970A (ko) 황금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036860B1 (ko) 몰로키아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