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87B1 -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987B1
KR101780987B1 KR1020160094494A KR20160094494A KR101780987B1 KR 101780987 B1 KR101780987 B1 KR 101780987B1 KR 1020160094494 A KR1020160094494 A KR 1020160094494A KR 20160094494 A KR20160094494 A KR 20160094494A KR 101780987 B1 KR101780987 B1 KR 101780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product
finished
printing
digital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에프 filed Critical (주)아이디에프
Priority to KR102016009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64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on plastics, horn, rubber, or other organ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색의 면 소재 또는 울 소재로 제작된 니트 완제품에 전처리 약품으로 스프레이 방식 또는 함침(impregnation) 방식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니트 완제품에 대한 전처리 약품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미리 준비된 평판에 니트 완제품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에 대한 정면 또는 배면에 대한 평면도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스캐닝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스캐닝된 형태 이미지의 테두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를 오프셋(offset) 정보를 기준으로 니트 완제품의 양팔과 몸체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1차 작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하드보드 또는 알루미늄판에 대해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이용한 커팅을 수행하여 지그 프레임에 대한 제작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니트 완제품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그래픽 2차 작업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니트 완제품 내부에 지그 프레임이 끼워진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테두리를 설정하는 오프셋 정보를 이용해 상기 평판에 니트 완제품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선을 프린팅을 수행하는 제 7 단계; 상기 평판의 기준선 내에 지그 프레임이 삽입된 니트 완제품을 올려놓고 생성된 그래픽 2차 작업된 그래픽 이미지 정보의 니트 완제품으로의 프린팅을 평판 프린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제 8 단계; 프린팅된 인쇄잉크를 고착하기 위해 스티머(steamer)를 작동하여서 찌는 과정인 경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9 단계; 및 인쇄용액에 대한 경화 과정이 완료된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수세 작업 후 건조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처리를 통해 니트 완제품과 인쇄잉크 사이에서 인쇄잉크를 번지지 않게 잡아주며, 스티머로 찌는 과정에서의 전처리 약품이 인쇄잉크를 니트 완제품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프린팅된 인쇄용액의 발색을 강화하여 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으로의 기준선 설정을 통해 여러 장의 동일한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동일하거나 다른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프린팅시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니트 완제품에 끼워지는 지그 프레임 이미지 설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프린팅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평판에 프린팅된 기준선 내부로의 안착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printing of knitted articles, and fully automatic method for digital printing based on the same}
본 발명은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니트 완제품에 디지털 프린팅 작업으로 직접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니트 의류는 주로 편직을 통해 색상 이미지를 구현하였으며, 디지털 프린팅에 의해 색상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법은 대부분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설사 디지털 프린팅의 방법으로 색상 이미지가 구현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주로 원단에 색상 이미지를 구현한 후 재단, 봉제하여 완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었지 완제품 상태로 니트 의류에 색상을 프린팅 하는 기술은 현재까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1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85712호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가공방법(Method Of Digital Textile Printing For Polypropylene Textiles)"은 폴리프로필렌섬유의 낮은 온도의 작업환경에 맞게 발색성과 첨예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별히 제조한 복합호료를 사용하여 전처리공정을 확립하여 디지털 날염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2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66878호 "전사용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지(digital printing textile's manufacture method and digital printing textile)는 직물지의 잉크흡수 및 잉크고착성을 강화시켜 주기 위한 약재를 조성하기 위한 공정과, 위 약재를 폴리에스터 직물에 도포하는 공정과, 약재가 도포된 직물지를 건조하는 공정과, 직물지의 재단 및 권취(롤링)하기 위한 공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그러나 종래의 기술 1 및 종래의 기술 2와는 다르게 일반적으로 니트 제품은 폴리프로필렌 직물 또는 폴리에스터 직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니트 완제품에 대한 인쇄잉크에 대한 디지털 날염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가공방법은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기술 3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25853호 "디지털홀로그램 프린팅 방법(A printing method of digital hologram)"은 한 쌍의 양안 시차 디지털이미지 각각을 구성하는 개별 도트의 농담값 정도를 간섭무늬가 형성된 그레이팅의 회전각도와 연계시켜 포토레지스트 플레이트에 홀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홀로그램의 프린팅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 3은 양안 시차 디지털이미지를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간섭무늬를 체계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설정 구역의 개별 좌표 각각의 도트 농담값 각각을 포토레지스트 플레이트(P)에 기록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디지털홀로그램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대량복제가 가능한 마스터 홀로그래픽기록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니트 완제품에 대해 적용이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4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654974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은 초박형 직물 원단의 일면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계열의 약재를 처리하여 직물원단의 강직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잉크제트 프린터의 소제 인식용 센서의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물 원단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잉크제트 프린터에 의한 원활한 프린팅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직물 원단에 대한 프린팅 과정에서 직물 원단이 구겨지거나 말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 4는 직물에 대한 프린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나, 니트 완제품은 직물 원단이 구겨지거나 말리는 현상이 상대적으로 자주 일어나지 않으므로, 니트 완제품의 프린팅 작업시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85712호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가공방법(Method Of Digital Textile Printing For Polypropylene Textile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5258530호 "디지털홀로그램 프린팅 방법(A printing method of digital hologram)"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766878호 "전사용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지(digital printing textile's manufacture method and digital printing textile)"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0654974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처리된 디지털프린팅용 초박형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박형 디지털 프린팅용 직물 원단(manufacture method since thin digital printing thin textile by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resin processing and digital printing thin texti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처리를 통해 니트 완제품과 인쇄잉크 사이에서 인쇄잉크를 번지지 않게 잡아주며, 스티머로 찌는 과정에서의 전처리 약품이 인쇄잉크를 니트 완제품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프린팅된 인쇄용액의 발색을 강화하여 채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으로의 기준선 설정을 통해 여러 장의 동일한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동일하거나 다른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프린팅시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니트 완제품에 끼워지는 지그 프레임 이미지 설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프린팅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평판에 프린팅된 기준선 내부로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은, 백색의 면 소재 또는 울 소재로 제작된 니트 완제품에 전처리 약품으로 스프레이 방식 또는 함침(impregnation) 방식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니트 완제품에 대한 전처리 약품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미리 준비된 평판에 니트 완제품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에 대한 정면 또는 배면에 대한 평면도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스캐닝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스캐닝된 형태 이미지의 테두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를 오프셋(offset) 정보를 기준으로 니트 완제품의 양팔과 몸체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1차 작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하드보드 또는 알루미늄판에 대해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이용한 커팅을 수행하여 지그 프레임에 대한 제작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니트 완제품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그래픽 2차 작업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니트 완제품 내부에 지그 프레임이 끼워진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테두리를 설정하는 오프셋 정보를 이용해 상기 평판에 니트 완제품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선을 프린팅을 수행하는 제 7 단계; 상기 평판의 기준선 내에 지그 프레임이 삽입된 니트 완제품을 올려놓고 생성된 그래픽 2차 작업된 그래픽 이미지 정보의 니트 완제품으로의 프린팅을 평판 프린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제 8 단계; 프린팅된 인쇄잉크를 고착하기 위해 스티머(steamer)를 작동하여서 찌는 과정인 경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9 단계; 및 인쇄용액에 대한 경화 과정이 완료된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수세 작업 후 건조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니트 완제품과 인쇄잉크 사이에서 인쇄잉크를 번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후처리 과정인 상기 제 9 단계에서 스티머로 찌는 과정에서 인쇄잉크를 니트 완제품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프린팅된 인쇄용액의 발색을 강화하여 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헥사메타린산 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메이세린 및 정제한 알카리수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되, 각 요소의 중량비를 1 : 1 : 5 : 6 : 8 : 1 : 20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타르타르산 암모늄, 헥사메타 인산소다, 요소, 메이세린 및 정제한 알카리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사용하되, 각 요소의 중량비를 1.4 : 1.4 : 1 : 15 : 3 : 175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0 단계의 수세 작업시,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물의 온도가 40 내지 60℃로 설정되며,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물의 온도가 25 내지 4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은, 전처리를 통해 니트 완제품과 인쇄잉크 사이에서 인쇄잉크를 번지지 않게 잡아주며, 스티머로 찌는 과정에서의 전처리 약품이 인쇄잉크를 니트 완제품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프린팅된 인쇄용액의 발색을 강화하여 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은, 평판으로의 기준선 설정을 통해 여러 장의 동일한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동일하거나 다른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프린팅시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규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은, 니트 완제품에 끼워지는 지그 프레임 이미지 설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프린팅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평판에 프린팅된 기준선 내부로의 안착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서의 오프셋 정보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서의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니트 완제품(1)에 전처리 약품으로 전처리를 수행한다(S10). 여기서 니트 완제품(1)은 주로 백색의 면 소재 또는 울 소재 등으로 제작된 니트 의류로 전처리 약품으로 전처리시 스프레이 방식 또는 함침(impregnation)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계(S10)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의류인 니트 완제품(1)과 인쇄잉크 사이에서 인쇄잉크를 번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후처리 과정인 후술하는 단계(S100)의 스티머로 찌는 과정에서 인쇄잉크를 니트 완제품(1)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단계(S90)에서 프린팅된 인쇄용액의 발색을 강화하여 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전처리 약품은 니트 완제품(1)의 재질이 면 소재 또는 울 소재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즉,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1)의 경우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헥사메타린산 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메이세린 및 정제한 알카리수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한다. 이때,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헥사메타린산 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메이세린, 정제한 알카리수의 중량비를 1 : 1 : 5 : 6 : 8 : 1 : 200으로 하여 전처리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 흰색 바탕인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1)에서의 인쇄용액의 각 색상에 대한 채도가 가장 향상되는 것이 시험적으로 나타났다.
하기의 [표 1]에서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1)에서 인쇄용액에 의해 발현되는 채도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 헥사메타린산 나트륨 : 탄산수소나트륨 : 초산나트륨 : 요소 : 메이세린 : 정제한 알카리수의 중량비가 1 : 1 : 5 : 6 : 8 : 1 : 200일 경우를 기준 채도로서 선명도(chromaticness, colorfulness)를 1로 설정한 경우에 각 시험예에 따른 상대적인 채도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구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 헥사메타린산 나트륨 : 탄산수소나트륨 : 초산나트륨 : 요소 : 메이세린 : 정제한 알카리수 선명도(chromaticness, colorfulness)
시험예1 1 : 1 : 5 : 6 : 8 : 1 : 200 1
시험예2 2 : 1 : 5 : 6 : 8 : 1 : 200 0.87
시험예3 1 : 2 : 5 : 6 : 8 : 1 : 200 0.76
시험예4 1 : 1 : 6 : 6 : 8 : 1 : 200 0.77
시험예5 1 : 1 : 5 : 7 : 8 : 1 : 200 0.93
시험예6 1 : 1 : 5 : 6 : 9 : 1 : 200 0.74
시험예7 1 : 1 : 5 : 6 : 8 : 2 : 200 0.69
시험예8 1 : 1 : 5 : 6 : 8 : 1 : 210 0.91
시험예9 0.5 : 1 : 5 : 6 : 8 : 1 : 200 0.79
시험예10 1 : 0.5 : 5 : 6 : 8 : 1 : 200 0.71
시험예11 1 : 1 : 4 : 6 : 8 : 1 : 200 0.85
한편,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1)의 경우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타르타르산 암모늄, 헥사메타 인산소다, 요소, 메이세린 및 정제한 알카리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사용한다. 이때,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 타르타르산 암모늄 : 헥사메타 인산소다 : 요소 : 메이세린 : 정제한 알카리수의 중량비를 1.4 : 1.4 : 1 : 15 : 3 : 175로 하여 전처리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 흰색 바탕인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1)에서의 인쇄용액의 각 색상에 대한 채도가 가장 향상되는 것이 시험적으로 나타났다.
하기의 [표 2]에서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1)에서 인쇄용액에 의해 발현되는 채도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 타르타르산 암모늄 : 헥사메타 인산소다 : 요소 : 메이세린 : 정제한 알카리수의 중량비가 1.4 : 1.4 : 1 : 15 : 3 : 175일 경우를 기준 채도로서 선명도(chromaticness, colorfulness)를 1로 설정한 경우에 각 시험예에 따른 상대적인 채도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구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 타르타르산 암모늄 : 헥사메타 인산소다 : 요소 : 메이세린 : 정제한 알카리수 선명도(chromaticness, colorfulness)
시험예1 1.4 : 1.4 : 1 : 15 : 3 : 175 1
시험예2 2.4 : 1.4 : 1 : 15 : 3 : 175 0.77
시험예3 1.4 : 2.4 : 1 : 15 : 3 : 175 0.85
시험예4 1.4 : 1.4 : 2 : 15 : 3 : 175 0.69
시험예5 1.4 : 1.4 : 1 : 16 : 3 : 175 0.86
시험예6 1.4 : 1.4 : 1 : 15 : 4 : 176 0.82
시험예7 0.4 : 1.4 : 1 : 15 : 3 : 175 0.76
시험예8 1.4 : 0.4 : 1 : 15 : 3 : 175 0.87
시험예9 1.4 : 1.4 : 0.5 : 15 : 3 : 175 0.91
시험예10 1.4 : 1.4 : 1 : 14 : 3 : 175 0.72
시험예11 1.4 : 1.4 : 1 : 15 : 2 : 174 0.69
단계(S20) 이후,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전처리 약품에 대한 건조를 수행한다(S20). 즉, 실온에서 전처리 약품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빠른 건조를 위해 1분 내지 80분간 고온 처리할 수도 있다.
단계(S20) 이후, 미리 준비된 평판(2)에 니트 완제품(1)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정면 또는 배면에 대한 평면도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스캐닝을 수행한다(S30). 즉 평판(2)에 니트 완제품(1) 의류의 정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가 전체로 보여지도록 펼쳐 놓고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수행한다.
단계(S30) 이후, 니트 완제품(1)에 대해서 스캐닝된 형태 이미지의 테두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예: 2 내지 5cm)를 오프셋(offset) 정보를 기준으로 니트 완제품(1)의 양팔과 몸체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1차 작업을 수행한다(S40).
여기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 생성시 니트 완제품(1)이 상의인 경우, 양팔과 몸체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나 하의인 경우는 양다리와 몸체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40) 이후, 하드보드 또는 알루미늄판에 대해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이용한 커팅을 수행하여 지그 프레임(3)에 대한 제작을 수행한다(S50).
여기서 하드보드 원판 또는 알루미늄 원판에서 지그 프레임(3)으로의 커팅 작업은 레이저 커팅 또는 일반 칼날 커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단계(S40)의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에 의해 단계(S50)에서 제작되는 지그 프레임(3)은 니트 완제품(1) 속으로 끼워지는데, 하드보드 재질은 1회용 지그 프레임에 사용되며, 알루미늄 재질은 재사용 지그 프레임에 사용된다. 각 지그 프레임(3)은 단계(S30)에서의 니트 완제품(1)이 전체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오프셋 정보만큼 약간 크게 제작됨으로써, 후술하는 단계(S80)에서의 그래픽 1차 작업에 의한 평판(2)의 기준선과 상하로 포개질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단계(S50) 이후, 니트 완제품(1)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그래픽 2차 작업을 수행한다(S60).
여기서 그래픽 2차 작업은 니트 완제품(1)인 의류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니트 완제품(1)의 정면(앞면)과 배면(뒷면) 별로 별도로 작업한다.
단계(S60) 이후, 니트 완제품(1) 내부에 단계(S50)에서 생성된 지그 프레임(3)을 끼워 넣는다(S70). 즉, 니트 완제품(1)이 상의인 경우 몸체에 해당하는 지그 프레임(3)을 먼저 끼운 상태에서 양팔에 해당하는 지그 프레임(3)을 각각 끼워서 니트 완제품(1)이 오프셋 정보만큼 크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단계(S70) 이후, 단계(S40)에서 생성된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테두리를 설정하는 오프셋 정보를 이용해 평판(2)에 니트 완제품(1)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선을 프린팅을 수행한다(S80).
평판(2)에 기준선을 프린팅하는 이유는 평판(2)에서 기준선으로 정해진 위치에서 니트 완제품(1)에 대해서 규격대로 프린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기준선 내부에 니트 완제품(1)을 위치시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여러 장의 동일한 니트 완제품(1)에 대해서 동일하거나 다른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규칙적으로 프린팅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단계(S80) 이후, 평판(2)의 기준선 내에 지그 프레임(3)이 삽입된 니트 완제품(1)을 올려놓고 단계(S60)에서 생성된 그래픽 2차 작업된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평판 프린터를 이용하여 프린팅을 수행한다(S90).
여기서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는 인쇄용액은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며, 단계(S10)에서 전처리 약품과의 반응에 의해 발색이 최대로 발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프린팅 작업시 사용되는 인쇄용액은 반응성 염료 20 내지 60wt%에 대해서 물 40 내지 59wt%, 가성소다 6 내지 10wt%, 규성소다 1 내지 3wt%로 조성되어 전체의 합이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90)의 프린팅 작업시 전면(앞면)을 먼저 하고 건조한 후 배면(뒷면)을 일반적으로 수행하나, 반대로 배면(뒷면)을 먼저 작업할 수도 있다.
단계(S90) 이후, 프린팅된 인쇄잉크를 고착하기 위해 스티머(steamer)를 작동하여서 찌는 과정인 경화 과정(또는 curing 과정)을 수행한다(S100). 즉 단계(S100)는 니트 완제품(1)의 양면에 대한 프린팅이 완료시 스티머로 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과정에 해당한다.
단계(S100) 이후, 인쇄용액에 대한 경화 과정이 완료된 니트 완제품(1)에 대해서 수세 작업 후 건조함으로써,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과정을 완료한다(S110).
여기서 수세 작업시 수세용 물의 온도는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1)의 경우 40 내지 60℃로 설정되며,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1)의 경우 25 내지 40℃로 설정되는 것이, 단계(S20)에서 전처리 용액과 단계(S80)에서 사용된 인쇄용액 간의 응착력이 수세 후 최대화되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나타났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서의 오프셋 정보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에서의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은 전처리 장치(10), 건조 장치(20), 스캐닝 장치(30), 그래픽 처리 장치(40), 커팅 장치(50), 디지털 평판 프린터(60), 스티머(steamer)(70), 수세기(rinsing machine)(80), 그리고 중앙 제어 단말(90)이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니트 완제품(1)에 대한 프린팅 과정을 위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이 콘베이어벨트 또는 이송바퀴 등을 포함하는 '전자동 이동수단'을 통해 전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송바퀴는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캐스터로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바퀴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동수단의 베이스프레임 하부에 이송바퀴가 장착되고, 이동수단에 대한 이동제어를 중앙 제어 단말(90)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network)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network)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network)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network)는 전처리 장치(10), 건조 장치(20), 스캐닝 장치(30), 그래픽 처리 장치(40), 커팅 장치(50), 디지털 평판 프린터(60), 스티머(steamer)(70), 수세기(rinsing machine)(80), 중앙 제어 단말(9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처리 장치(10)는 약품 분사를 위한 스프레이 장치 또는 함침(impregnation) 장치일 수 있으며,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전처리 약품 처리를 수행한다.
건조 장치(20)는 중앙 제어 단말(90)의 제어에 따라 전처리 장치(10)로부터 전자동 이동수단을 통해 전처리 약품 처리된 니트 완제품(1)을 전달받아, 전처리 약품 처리된 니트 완제품(1)에 대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건조를 수행한다.
스캐닝 장치(30)는 중앙 제어 단말(90)의 제어에 따라 건조 장치(20)로부터 전자동 이동수단을 통해 건조가 완료된 니트 완제품(1)을 미리 준비된 평판(2)에 올려놓은 상태로 전달받아서, 건조가 완료된 니트 완제품(1)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정면 또는 배면에 대한 평면도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스캐닝을 수행한다.
한편, 스캐닝 장치(30)는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스캐닝 과정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디코딩을 수행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디코딩된 이미지(Decoded-image)를 3차원 형상으로 인식하기 위한 폴리곤의 집합에 대한 텍스쳐맵핑을 수행하여 3차원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3차원 촬영 이미지는 후술하는 디지털 평판 프린터(60)에 의한 니트 완제품(1)의 일면으로 인쇄 분사구를 이용한 인쇄잉크를 분사시 상하의 높이 조절에 활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평판 프린터(60) 장치는 상하로 이동하여 인쇄잉크를 분사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 및 평면상의 이동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그래픽 처리 장치(40)는 네트워크(network)와 연결된 중앙 제어 단말(9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스캐닝 장치(30)로부터 스캐닝 완료신호 및 스캐닝된 형태 이미지를 수신받아, 저장부(41)에 저장한 뒤, 니트 완제품(1)에 대해서 스캐닝된 형태 이미지의 테두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예: 2 내지 5cm)를 오프셋(offset) 정보를 기준으로 니트 완제품(1)의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1차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그래픽 처리 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단말(90)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중앙 제어 단말(90)의 내부에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한편, 도 3(a)은 그래픽 처리 장치(40)에 의한 상의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오프셋 정보(offset1) 생성시의 예를 나타내며, 도 3(b)는 그래픽 처리 장치(40)에 의한 하의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오프셋 정보(offset2) 생성시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그래픽 처리 장치(40)가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 생성시 도 4(a)과 같이 니트 완제품(1)이 상의인 경우, 양팔(3a-1)과 몸체(3a-2)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나 도 4(b)와 같이 니트 완제품(1)이 하의인 경우는 양다리(3b-1)와 몸체(2b-2)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처리 장치(40)는 니트 완제품(1)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그래픽 2차 작업도 수행한다. 여기서 그래픽 2차 작업은 니트 완제품(1)인 의류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니트 완제품(1)의 정면(앞면)과 배면(뒷면) 별로 별도로 작업하며, 정면(앞면)과 배면(뒷면)의 프린팅 작업에서 한번에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정면(앞면)과 배면(뒷면) 중 먼저 수행되는 면의 그래픽 이미지 정보와 다음으로 수행되는 면의 그래픽 이미지 정보 사이에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정보를 삽입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팅 장치(50)는 레이저 커팅기 또는 일반 칼날 커팅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network)와 연결된 중앙 제어 단말(90)에 의한 제어에 따라 그래픽 처리 장치(40)로부터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준비된 하드보드 또는 알루미늄판에 대해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이용한 커팅을 수행하여 지그 프레임(3)에 대한 제작을 수행한 뒤, 평판(2) 상부에 놓인 니트 완제품(1)이 전자동 이동수단을 통해 제공받으면, 제작된 지그 프레임(3)을 니트 완제품(1)으로 삽입한 뒤, 디지털 평판 프린터(60)로 제공한다.
디지털 평판 프린터(60)는 중앙 제어 단말(90)의 전자동 이동수단에 대한 제어에 따라 평판(2)을 전달받은 뒤, 니트 완제품(1)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테두리를 설정하는 오프셋 정보를 이용해 평판(2)에 니트 완제품(1)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선을 프린팅한다.
이후, 디지털 평판 프린터(60)는 커팅 장치(50)에 의해 생성된 지그 프레임(3)이 니트 완제품(1) 내부로 끼워진 상태로 중앙 제어 단말(90)의 제어를 받는 전자동 이동수단으로부터 기준선 내부로 위치하도록 전달받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40)에 의해 그래픽 2차 작업된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니트 완제품(1)의 전면(앞면)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한다. 니트 완제품(1) 전면(앞면)의 프린팅 작업이 완료시, 상술한 시간 간격 정보만큼의 딜레이(delay) 과정에서 플립(flip) 장치(미도시)는 중앙 제어 단말(90)의 제어에 따라 니트 완제품(1)을 평판(2)의 기준선에 일치하도록 뒤집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디지털 평판 프린터(60)는 전면(앞면)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 정보에 따른 프린팅 과정을 먼저 하고 건조한 후 배면(뒷면)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 정보에 따른 프린팅 과정을 수행한다.
스티머(70)는 프린팅된 인쇄잉크를 고착하기 위한 장치로, 프린팅 완료된 니트 완제품(1)에 대한 경화 과정(또는 curing 과정)을 수행한다.
수세기(80)는 인쇄용액에 대한 경화 과정이 완료된 니트 완제품(1)에 대해서 수세 작업 후 건조함으로써,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과정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니트 완제품
2 : 평판
3 : 지그 프레임
10 : 전처리 장치
20 : 건조 장치
30 : 스캐닝 장치
31 : 카메라
40 : 그래픽 처리 장치
41 : 저장부
50 : 커팅 장치
60 : 디지털 평판 프린터
70 : 스티머(steamer)
80 : 수세기(rinsing machine)
90 : 중앙 제어 단말

Claims (5)

  1. 백색의 면 소재 또는 울 소재로 제작된 니트 완제품에 전처리 약품으로 스프레이 방식 또는 함침(impregnation) 방식 전처리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니트 완제품에 대한 전처리 약품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미리 준비된 평판에 니트 완제품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에 대한 정면 또는 배면에 대한 평면도를 추출하기 위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스캐닝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스캐닝된 형태 이미지의 테두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를 오프셋(offset) 정보를 기준으로 니트 완제품의 양팔과 몸체로 구분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래픽 1차 작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하드보드 또는 알루미늄판에 대해서 지그 프레임용 이미지를 이용한 커팅을 수행하여 지그 프레임에 대한 제작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니트 완제품에 프린팅할 그래픽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그래픽 2차 작업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니트 완제품 내부에 지그 프레임이 끼워진 상태에서 니트 완제품에 대한 이미지 형태의 테두리를 설정하는 오프셋 정보를 이용해 상기 평판에 니트 완제품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선을 프린팅을 수행하는 제 7 단계;
    상기 평판의 기준선 내에 지그 프레임이 삽입된 니트 완제품을 올려놓고 생성된 그래픽 2차 작업된 그래픽 이미지 정보의 니트 완제품으로의 프린팅을 평판 프린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제 8 단계;
    프린팅된 인쇄잉크를 고착하기 위해 스티머(steamer)를 작동하여서 찌는 과정인 경화 과정을 수행하는 제 9 단계; 및
    인쇄용액에 대한 경화 과정이 완료된 니트 완제품에 대해서 수세 작업 후 건조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니트 완제품과 인쇄잉크 사이에서 인쇄잉크를 번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후처리 과정인 상기 제 9 단계에서 스티머로 찌는 과정에서 인쇄잉크를 니트 완제품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프린팅된 인쇄용액의 발색을 강화하여 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헥사메타린산 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메이세린 및 정제한 알카리수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되, 각 요소의 중량비를 1 : 1 : 5 : 6 : 8 : 1 : 200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전처리 약품은,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타르타르산 암모늄, 헥사메타 인산소다, 요소, 메이세린 및 정제한 알카리수를 혼합한 혼합용액을 사용하되, 각 요소의 중량비를 1.4 : 1.4 : 1 : 15 : 3 : 175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0 단계의 수세 작업시,
    면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물의 온도가 40 내지 60℃로 설정되며,
    울 소재용 니트 완제품의 경우 물의 온도가 25 내지 4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KR1020160094494A 2016-07-26 2016-07-26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KR101780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94A KR101780987B1 (ko) 2016-07-26 2016-07-26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494A KR101780987B1 (ko) 2016-07-26 2016-07-26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987B1 true KR101780987B1 (ko) 2017-09-25

Family

ID=6003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494A KR101780987B1 (ko) 2016-07-26 2016-07-26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148B1 (ko) * 2019-02-21 2019-10-08 박재성 원단 프린팅 시스템
AT522744A1 (de) * 2019-06-18 2021-01-15 J Zimmer Maschb Gesellschaft M B H Verfahren zum Bedrucken wenigstens eines textilen Substra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584A (ja) 2008-03-26 2009-10-15 Tokyo Neo Print Kk プリント生地の製造方法
KR101635173B1 (ko) 2014-12-03 2016-06-30 충남직물공업협동조합 디지털프린팅 날염 친환경 자카드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584A (ja) 2008-03-26 2009-10-15 Tokyo Neo Print Kk プリント生地の製造方法
KR101635173B1 (ko) 2014-12-03 2016-06-30 충남직물공업협동조합 디지털프린팅 날염 친환경 자카드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148B1 (ko) * 2019-02-21 2019-10-08 박재성 원단 프린팅 시스템
AT522744A1 (de) * 2019-06-18 2021-01-15 J Zimmer Maschb Gesellschaft M B H Verfahren zum Bedrucken wenigstens eines textilen Substrats
AT522744B1 (de) * 2019-06-18 2021-12-15 J Zimmer Maschb Gesellschaft M B H Verfahren zum Bedrucken wenigstens eines textilen Substra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87B1 (ko) 니트 완제품에 대한 디지털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디지털 프린팅 전자동화 방법
CN106087318A (zh) 一种毛毯的生产方法
CN103498339A (zh) 一种含纤维素纤维织物的单面免烫整理方法
WO2013137836A1 (en) Method of making pattern with laser having high efficiency for textile products
CN103015240A (zh) 尼龙毛绒静电植绒布的湿法转移印花方法
CN107956164A (zh) 一种用于块状面料的平网和数码联合印花方法
JP2018003229A (ja) 編み物の染色仕上げ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所定の色を有する生地、アッパー生地
JP2011529141A (ja) パターン印刷を用いて可溶性不織芯地を作製する方法
CN106494108B (zh) 一种仿珠片转移印花织物的制备方法
CN102433778A (zh) 一种水感印花面料的生产工艺
JP2000096439A (ja) 合成系繊維材料の抜蝕剤および抜蝕加工方法
EP2857580B1 (en) Stereoscopic fabrics with special patterns and tactile texture produced by an eco-friendly non-dye formulation
CN210066238U (zh) 一种布料熨烫装置
CN105803817A (zh) 一种仿皮印花工艺
JP3211333U (ja) ニット製衣服
JP3807967B2 (ja) 立体柄模様を有する立毛布帛とその製造方法
WO2002103104A3 (en) Dyeing and finishing of lyocell fabrics
KR20000041352A (ko) 그라비어 인쇄를 이용한 입체 화상의 프린트 방법
CN104109957A (zh) 一种士林染料悬浮体轧染工艺
CN107400964A (zh) 一种无需烂花而形成3d印花图案的绒布的生产方法及绒布
CN110258135B (zh) 一种印染方法
KR100655758B1 (ko) 원단의 요철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해 요철처리된 원단
CN106319968A (zh) 一种渗透印花法
US20200277717A1 (en) Method of producing a processed material
KR20010034956A (ko) 기모가공된 파일원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