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645B1 -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645B1
KR101780645B1 KR1020170031940A KR20170031940A KR101780645B1 KR 101780645 B1 KR101780645 B1 KR 101780645B1 KR 1020170031940 A KR1020170031940 A KR 1020170031940A KR 20170031940 A KR20170031940 A KR 20170031940A KR 101780645 B1 KR101780645 B1 KR 10178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ine
heat
heat exchanger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이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석 filed Critical 이민석
Priority to KR102017003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1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s from heat-exchange fluids,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8Expansion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 열교환기로 사용된 오일을 공급하는 회수 라인.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오일을 소정의 공정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 회수 라인과 연결되고 오일을 보관하고 오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팽창 탱크. 회수 라인과 상기 팽창 탱크를 서로 연결하되 공기를 상기 팽창 탱크로 이동시키는 제 1 라인 및 오일을 상기 팽창 탱크로 이동시키는 제 2 라인을 포함하는 팽창 라인 및 제 2 라인 상에 형성되는 U 형상의 방열 라인을 포함하고, 방열 라인에서 오일의 열기가 방열되어 팽창 탱크로 열기가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라인에 형성되는 U 형상의 방열 라인으로 인해 팽창 탱크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방열되는 열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과도한 열로 인해 오일이 산화되거나 기화량이 감소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PIPING SYSTEM OF HEAT EXCHANGER FOR OIL}
본 발명은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제어 방식 또는 밀폐 여부에 따라 다양한 열교환기가 사용된다. 밀폐형의 콘덴싱 방식의 열교환기는 가열되는 공간으로 열 매체를 수용한 파이프가 지나감으로써 열 매체와 가열된 공간의 온도와 서로의 온도차로 인해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열 매체가 파이프를 지나감으로써 가열된 공기와 서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열 매체가 가열되는데, 이러한 열 교환 작용은 열 에너지의 낭비 및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 또는 구조의 열교환기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일례로 코일 형상을 갖는 파이프를 도입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코일 형상을 갖는 파이프의 경우 소정의 공간으로 한정된 발열 공간에 파이프가 위치될 때 코일 형상을 따라 열 매체가 이동되기 때문에 방열 공간에 열 매체가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열 매체와 가열된 공기와의 열 교환 시간이 증가된다. 다만, 오늘날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교환기의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효율 높고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열 교환 방식 또는 구조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오일이 열 매체로 가열되는 경우 과도한 온도로 오일이 가열되는 경우 산화 작용이 발생하거나 불순물이 발생하는 등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오일이 열매체로 사용되는 경우 오일을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열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오일을 열매체로 사용하는 경우 한정된 공간 내에서 과도한 열을 가하지 않되 신속하게 오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오일을 열 매체로 사용하는 배관 구조의 경우 배관의 고열이 팽창탱크로 전달되어 오일이 기화되거나 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2183호(2010.03.04.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오일용 열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열교환기. 열교환기로 사용된 오일을 공급하는 회수 라인.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오일을 소정의 공정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 회수 라인과 연결되고 오일을 보관하고 오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팽창 탱크. 회수 라인과 상기 팽창 탱크를 서로 연결하되 공기를 상기 팽창 탱크로 이동시키는 제 1 라인 및 오일을 상기 팽창 탱크로 이동시키는 제 2 라인을 포함하는 팽창 라인 및 제 2 라인 상에 형성되는 U 형상의 방열 라인을 포함하고, 방열 라인에서 오일의 열기가 방열되어 팽창 탱크로 열기가 전달되지 않는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라인에 형성되는 U 형상의 방열 라인으로 인해 팽창 탱크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방열되는 열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과도한 열로 인해 오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과도한 열로 인해 오일의 불필요한 기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낸 배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낸 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의 산도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의 병렬 배치되는 산도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의 불순물 제거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등장하는 상측, 상단, 상방, 하측, 하단, 하방 등 이의 유사어의 방향은 도면의 동서남북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Oil)용 열교환기(10)의 배관 시스템은 열교환기(10), 열교환기(10)로 사용된 오일(Oil)을 공급하는 회수 라인(20), 열교환기(10)에서 가열된 오일(Oil)을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30), 회수 라인(20)과 연결되고 오일(Oil)을 보관하고 오일(Oil)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팽창 탱크(40), 회수 라인(20)과 상기 팽창 탱크(40)를 서로 연결하되 공기(Air)를 상기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키는 제 1 라인(51) 및 오일(Oil)을 상기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키는 제 2 라인(52)을 포함하는 팽창 라인(50) 및 제 2 라인(52) 상에 형성되는 U 형상의 방열 라인(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Oil)은 방열 라인(53)을 통과하며 오일(Oil)의 열기가 방열됨으로써 팽창 탱크(40)로 열기가 전달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열교환기(10)는 회수 라인(20)을 통해 회수된 오일(Oil)을 공급받고, 가열부(12)를 이용해 공기(Air)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Air)와 공급받은 오일(Oil)을 열 교환시키며, 열 교환을 통해 가열된 오일(Oil)을 공급 라인(30)으로 공급해 다시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열교환기(10)는 몸체부(11), 제 1 나선부(13), 제 2 나선부(14) 및 배출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몸체부(11)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는 내부에 가열된 공기(Air)가 다중 경로로 지나갈 수 있도록 소정의 발열 공간(C)이 형성된다. 몸체부(11)는 상면에 가열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2)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몸체부(11)의 중심축 선상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2)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12)는 공기(Air)를 흡입하고 이를 가열한 뒤 몸체부(11)의 가열 공간으로 가열된 열기를 발산하는 가열부(12)일 수 있다. 가열부(12)는 버너일 수 있다.
또한,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는 발열 공간(C)에 형성된다. 제 1 나선부(13)는 발열 공간(C)에 위치되고 몸체부(11)의 중심축을 따라 제 1 직경(T1)으로 권취된다. 제 1 나선부(13)는 버너의 외직경과 같거나 조금 큰 크기의 제 1 직경(T1)으로 권취된다. 제 1 나선부(13)는 몸체부(11)의 상면과 접하되 저면과는 접하지 않는 높이로 권취된다. 제 2 나선부(14)는 발열 공간(C)에 위치되고 몸체부(11)의 중심축을 따라 제 1 직경(T1)보다 큰 크기의 제 2 직경(T2)으로 권취된다. 제 2 나선부(14)는 제 1 직경(T1)을 갖는 제 1 나선부(13) 보다 큰 크기의 제 2 직경(T2)으로 권취된다. 제 2 나선부(14)는 몸체부(11)의 저면과 접하되 상면과는 접하지 않는 높이로 권취된다.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는 파이프이고 내부에 오일(Oil)이 흐른다.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는 각각의 타단에서 각각의 일단으로 오일(Oil)이 흐른다.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의 각 타단은 상측 방향에 위치되고,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의 각 일단은 저면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구(15)는 몸체부(11)의 측면의 하측 방향에 형성된다. 배출구(15)는 가열부(12)를 통해 가열된 공기(Air)가 몸체부(11)의 소정의 공간에 잔류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열 교환을 마친 뜨거운 공기(Air)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구(15)는 몸체부(11)의 측면에 형성되되 하측 방향에 형성된다. 추가적인 일례로 배출구(15)에서 배출된 공기(Air)는 다시 가열부(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배출구(15)에서 배출된 공기(Air)는 열 교환을 마쳤으나 외부 공기(Air)보다는 높은 온도를 갖는다. 이때 뜨거운 온도를 갖는 공기(Air)를 외부 공기(Air)와 열 교환을 통해 외부 공기(Air)를 가열시킨뒤 가열된 외부 공기(Air)를 가열부(12)로 공급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돌아와서, 도 1을 참고하면, 공급 라인(30)은 열교환기(10)에서 열 교환을 통해 가열된 오일(Oil)을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공급 라인(30)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의 각 일단과 연결된다. 공급 라인(30)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를 통해 가열된 오일(Oil)을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한다. 공급 라인(30)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의 각 일단에 연결되기 때문에 하측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급 라인(30)을 통해 공급되는 오일(Oil)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를 통해 가열된 오일(Oil)을 병합하고, 공급 라인(30)을 통해 병합된 오일(Oil)은 공급 라인(30)을 따라 소정의 공정(F)으로 이동된다. 공급 라인(30)에는 열교환기(10)에서 열 교환을 통해 가열된 오일(Oil)을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시키기 위해 동력부(M)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수 라인(20)은 소정의 공정(F)에서 사용된 오일(Oil)을 회수해 열교환기(10)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수 라인(20)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의 각 타단과 연결된다. 회수 라인(20)은 공급 라인(30)으로부터 오일(Oil)을 공급받은 뒤 사용된 오일(Oil)을 다시 회수하여 몸체부(11)로 오일(Oil)을 공급하는 라인이다. 회수 라인(20)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의 각 타단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측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수 라인(20)을 통해 회수되는 오일(Oil)은 회수 라인(20)의 끝단에서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로 분배되고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오일(Oil)은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를 통과하며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12)를 통해 가열된 공기(Air)는 제 1 나선부(13)의 내측을 따라 제 1 경로(1p)로 이동되며, 제 1 경로(1p)로 이동을 마친 공기(Air)는 다시 제 2 나선부(14)의 내측과 제 1 나선부(13)의 외측 사이를 통과하며 제 2 경로(2p)로 이동되고, 제 2 경로(2p)로 이동을 마친 공기(Air)는 제 2 나선부(14)의 외측과 몸체부(11)의 측벽 사이를 통과하며 제 3 경로(3p)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12)를 통해 가열된 공기(Air)는 제 1 나선부(13), 제 2 나선부(14) 및 몸체부(11)의 측벽에 의해 3 개의 경로로 이동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오일(Oil)과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팽창 탱크(40)는 오일(Oil)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압력 및 부피가 증가를 흡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팽창 탱크(40)는 밀폐형 팽창 탱크(40)일 수 있다. 상세하게, 팽창 탱크(40)는 오일(Oil)을 보관하고 오일(Oil)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을 흡수한다. 보다 상세하게, 팽창 탱크(40)는 후술하는 제 1 라인(51) 및 제 2 라인(52)과 연결되어 공기(Air)와 오일(Oil)을 공급받아 부피가 증가한 오일(Oil)에 대한 쿠션 역할을 수행하고, 오일(Oil)이 부족한 경우 이를 보충할 수 있다.
팽창 라인(50)은 회수 라인(20)과 팽창 탱크(4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팽창 라인(50)은 회수 라인(20)과 연결되어 팽창 탱크(40)와 연결되며 팽창변이 형성될 수 있다. 팽창 라인(50)은 회수 라인(20)과 연결되어 회수 라인(20)으로부터 오일(Oil)을 공급받되 오일(Oil)과 공기(Air)를 분리할 수 있다. 팽창 라인(50)은 회수 라인(20)과 연결되어 오일(Oil) 및 공기(Air)를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킨다. 팽창 라인(50)은 회수 라인(20)과 연결되고 공기(Air)를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키는 제 1 라인(51) 및 오일(Oil)을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키는 제 2 라인(5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라인(53)은 제 2 라인(52) 상에 형성된다. 방열 라인(53)은 오일(Oil)이 팽창 탱크(40)로 이동되는 제 2 라인(5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라인(53)은 팽창 탱크(40)로 이동되는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방열 라인(53)은 제 2 라인(52) 상에 형성되고 U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방열 라인(53)은 U 형상으로 구비되고 U 형상의 방열 라인(53)으로 오일(Oil)이 통과되며 방열을 수행함으로써 온도가 낮아진다. U 형상의 방열 라인(53)은 적어도 1M의 길이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고 U턴 부분에서 방향이 바뀐 뒤 다시 적어도 1M의 길이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일례로 몸체부(11)는 제 1 지지부(131) 및 제 2 지지부(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지지부(131)는 제 1 나선부(13)를 지지하는 구성이고, 제 2 지지부(141)는 제 2 나선부(14)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 1 지지부(131)는 몸체부(11)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지지부(131)는 몸체부(11)의 상면에 구비되고 원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지지부(131)는 몸체부(11)의 상면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내부가 개구된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 1 나선부(13)는 상기와 같은 제 1 지지부(13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부(131)는 제 1 나선부(13)의 제 1 직경(T1)과 동일하거나 제 1 나선부(13)가 지지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지지부(141)는 몸체부(11)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지지부(141)는 몸체부(11)의 저면에 구비되고 원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지지부(141)는 몸체부(11)의 저면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내부가 개구된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 2 나선부(14)는 상기와 같은 제 2 지지부(14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지지부(141)는 제 2 나선부(14)의 제 2 직경(T2)과 동일하거나 제 2 나선부(14)가 지지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나선부(13)는 제 1 지지부(131)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나선부(13)의 상단과 몸체부(11)의 상면과의 사이는 제 1 지지부(131)로 인해 밀폐된다. 또한, 제 2 나선부(14)는 제 2 지지부(141)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나선부(14)의 저면과 몸체부(11)의 저면과의 사이는 제 2 지지부(141)로 인해 밀폐된다.
도 2과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갖는 오일(Oil)용 열교환기(10)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갖는 오일(Oil)용 열교환기(10)에서 산도 제어 모듈(60)이 더 포함된다. 산도 제어 모듈(60)은 회수 라인(2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산도 제어 모듈(60)은 케이스부(61), 주입관(62), 배출관(63), 구획부재(64), 제 1 필터부(65) 및 제 2 필터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61)는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부(6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부(61)의 상면 및 저면은 회수 라인(20)이 연결된다. 케이스부(61)는 상면에 주입관(62)이 형성되고 저면에 배출관(63)이 형성된다. 주입관(62)은 케이스부(61)의 상면을 관통한다. 주입관(62)은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고 케이스부(61) 내부의 소정의 공간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세하게, 주입관(62)은 케이스부(61)의 상면을 관통해 케이스부(61)의 소정의 공간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케이스부(61)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관(63)은 케이스부(61)의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부(61)의 상면에 형성되는 주입관(62)과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관(63)의 양 끝단은 회수 라인(20)과의 연결을 위해 플렌지가 형성될 수 있고, 회수 라인(20)과 서로 플랜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획부재(64)는 케이스부(61) 내부에 형성된다. 구획부재(64)는 케이스부(61) 내부의 소정의 공간에 구비된다. 구획부재(64)는 소정의 공간에 위치되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소정의 공간은 상 하로 구획한다. 구획부재(64)는 소정의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 하로 구획하기 위해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획부재(64)는 외주면의 직경이 케이스부(61)의 내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되어 케이스부(61)의 소정의 공간을 상 하로 구획하여 서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구획부재(64)는 케이스부(61)의 소정의 공간을 상측 방향의 공기(Air)가 위치되는 제 1 공간(D1)과 하측 방향의 오일(Oil)이 위치되는 제 2 공간(D2)으로 구획한다. 또한, 구획부재(64)는 주입관(62)에 체결되어 주입관(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 하로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부재(64)는 주입관(6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주입관(62)의 외직경과 동일한 외직경을 갖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61)는 주입관(62)이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배출관(63)이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구획부재(64)가 중력에 의해 케이스부(61)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구획부재(64)의 밀도는 제 2 공간(D2)에 위치되는 오일(Oil)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로 구비되어 오일(Oil)에 가라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필터부(65)는 구획부재(64)에 형성된다. 제 1 필터부(65)는 공기(Air)가 통과되되 오일(Oil)은 차단할 수 있는 필터이다. 제 1 필터부(65)는 구획부재(64)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필터부(65)를 구획부재(64)에 형성하는 경우 오일(Oil)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구획부재(64)가 제 2 공간(D2)의 오일(Oil)에 가라앉고, 구획부재(64)가 오일(Oil)에 가라앉는 경우 제 2 공간(D2)에 위치되는 공기(Air)가 제 1 필터부(65)를 통해 제 1 공간(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필터부(66)는 케이스부(61)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 2 필터부(66)는 주입관(62)과 배출관(63)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필터부(66)는 주입관(62)과 배출관(63) 사이에 형성되어 주입관(62)으로부터 공급된 오일(Oil) 내에 포함된 불순물(b1)이 배출관(6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불순물(b1)을 필터링한다.
즉, 산도 제어 모듈(60)은 오일(Oil) 내에 산소와 같은 공기(Air)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Oil)이 가열됨으로써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일(Oil)이 공기(Air)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오일(Oil)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산도 제어 모듈(60)은 병렬식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회수 라인(20)의 오일(Oil)의 유압이 상기 산도 제어 모듈(60)이 구비되기 전의 유압과 동일한 유압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산도 제어 모듈(60)로 인해 회수 라인(20) 내에 오일(Oil)의 유압이 변화될 수 있는데, 원활한 공정을 위해 산도 제어 모듈(60)로 인해 증가된 유압을 복수개의 산도 제어 모듈(60)을 병렬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증가된 유압을 낮출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도 7을 참고하면, 구획부재(64)는 유도부재(6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도부재(641)는 구획부재(64)가 제 2 공간(D2) 방향의 오일(Oil)에 가라앉는 경우 오일(Oil)에 포함되는 공기(Air)가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유도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유도부재(641)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제 1 필터부(65)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되어 있으며,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1 필터부(65)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유도부재(641)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제 1 필터부(65)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1 필터부(65)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개두되되 원형의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부재(641)는 제 1 필터부(65) 방향원형 형상을 갖는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원뿔대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도부재(641)를 형성하는 경우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갈수록 유도부재(641)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구획부재(64)가 오일(Oil)에 가라앉는 경우 오일(Oil)에 포함된 공기(Air)가 유도부재(641)에 의해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9는 불순물 제거 모듈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불순물 제거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갖는 오일(Oil)용 열교환기(10)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를 갖는 오일(Oil)용 열교환기(10)에서 불순물 제거 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 제거 모듈(70)의 경우 회수 라인(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불순물 제거 모듈(70)은 파이프부(71), 절연 가스켓(72), 수거 부재(73) 및 자기 코일(74)부를 포함한다.
파이프부(71)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회수 라인(20)과 플랜지를 통해 연결된다. 파이프부(71)는 금속 재질의 전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파이프부(71)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되 다양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회수 라인(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부(71)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절연 가스켓(72)은 파이프부(71)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위치된다. 절연 가스켓(72)은 후술되는 자기 코일(74)부에 의해 자력력이 부여되는 파이프부(71)가 회수 라인(20)과 접함으로써 자력이 회수 라인(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절연 가스켓(72)은 파이프부(71)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형성되어 파이프부(71)와 회수 라인(20)을 서로 절연되도록 한다.
수거 부재(73)는 파이프부(71) 내측에 위치되고 봉 형상을 갖는다. 수거 부재(73)는 파이프부(7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갖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파이프부(71)의 내측에 위치된다. 수거 부재(73)는 파이프부(71)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수거 부재(73)는 파이프부(71)의 내부에 위치되고 파이프부(7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수거 부재(73)는 파이프부(71)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거 부재(73)는 파이프부(71)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되 파이프부(71)의 고정될 수 있도록 파이프부(71)의 내주면과 지지 부재(73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수거 부재(73)와 지지 부재(731)는 전도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부(71)의 내부에 구비되고 파이프부(71)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파이프부(7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수거 부재(73)의 경우 단면이 식물 연근의 단면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자기 코일(74)부는 파이프부(71)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자기 코일(74)부는 파이프부(7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파이프부(71)를 감싸는 형상으로 권취된다. 자기 코일(74)부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고, 자기 코일(74)부의 일단 및 타단은 외부 전력과 연결된다. 자기 코일(74)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자기 코일(74)부는 자기를 발생하고 자기 코일(74)부의 유도 전류에 의해 자기 코일(74)에 의해 권취되는 파이프부(71)는 자력이 부여된다. 자력이 부여된 파이프부(71)는 파이프부(71)와 지지 부재(731)를 통해 연결된 수거 부재(73)에 자력이 전달된다. 즉, 자력이 부여된 수거 부재(73) 및 파이프부(71)에 의해 파이프부(71)를 통과하는 오일(Oil) 내에 포함되는 금속 재질의 불순물(b2)이 수거 부재(73) 및 파이프부(71)의 자력에 의해 달라붙게 된다. 파이프부(71) 및 수거 부재(73)에 달라붙은 불순물(b2)의 경우 파이프부(71)를 회수 라인(20)에서 제거한 뒤 자기 코일(74)에 인가된 전류를 제거함으로써 파이프부(71) 내부의 불순물(b2)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열교환기
11: 몸체부 12: 가열부
13: 제 1 나선부 131: 제 1 지지부
14: 제 2 나선부 141: 제 2 지지부
15: 배출구 C: 발열 공간
1p: 제 1 경로 2p: 제 2 경로
3p: 제 3 경로
20: 회수 라인 30: 공급 라인
40: 팽창 탱크 50: 팽창 라인
51: 제 1 라인 52: 제 2 라인
53: 방열 라인
60: 산도 제어 모듈
61: 케이스부 62: 주입관
63: 배출관 64: 구획부재
641: 유도부재 65: 제 1 필터부
66: 제 2 필터부 D1: 제 1 공간
D2: 제 2 공간
70: 불순물 제거 모듈
71: 파이프부 72: 절연 가스켓
73: 수거 부재 731: 지지 부재
74: 자기 코일
F: 소정의 공정 M: 동력부
b1: 불순물 b2: 금속 재질의 불순물
T1: 제 1 직경 T2: 제 2 직경

Claims (7)

  1. 열교환기(10);
    상기 열교환기(10)로 사용된 오일(Oil)을 공급하는 회수 라인(20);
    상기 열교환기(10)에서 가열된 오일(Oil)을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하는 공급 라인(30);
    상기 회수 라인(20)과 연결되고 오일(Oil)을 보관하고 오일(Oil)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팽창 탱크(40);
    상기 회수 라인(20)과 상기 팽창 탱크(40)를 서로 연결하되 공기(Air)를 상기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키는 제 1 라인(51) 및 오일(Oil)을 상기 팽창 탱크(40)로 이동시키는 제 2 라인(52)을 포함하는 팽창 라인(50); 및
    상기 제 2 라인(52) 상에 형성되는 U 형상의 방열 라인(53);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라인(53)에서 오일(Oil)의 열기가 방열되어 상기 팽창 탱크(40)로 열기가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열교환기(1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소정의 발열 공간(C)이 형성되고 상면에 가열부(12)가 형성되는 몸체부(11);
    상기 발열 공간(C)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중심축을 따라 제 1 직경(T1)으로 권취되며 내부에 오일(Oil)이 수용되는 제 1 나선부(13);
    상기 발열 공간(C)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제 1 직경(T1)보다 큰 크기의 제 2 직경(T2)으로 권취되며 내부에 오일(Oil)이 수용되는 제 2 나선부(14); 및
    상기 몸체부(11)의 하측 방향의 측면에 형성되어 열 교환이 이루어진 공기(Air)를 배출하는 배출구(15);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라인(30)은 상기 제 1 나선부(13) 및 상기 제 2 나선부(14)의 각 타단과 연결되어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를 병합하고 상기 오일(Oil)을 소정의 공정(F)으로 공급하며,
    상기 회수 라인(20)은 상기 소정의 공정(F)에서 사용된 상기 오일(Oil)을 회수하고 상기 제 1 나선부(13) 및 상기 제 2 나선부(14)의 각 일단과 연결되어 회수된 상기 오일(Oil)을 제 1 나선부(13) 및 제 2 나선부(14)로 분배하고,
    상기 제 1 나선부(13)는 상기 몸체부(11)의 상면과 접하되 저면과는 이격되고, 상기 제 2 나선부(14)는 상기 몸체부(11)의 저면과 접하되 상면과는 이격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상면에 원형의 관 형상으로 하방 돌출되고 상기 제 1 나선부(13)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131); 및
    상기 몸체부(11)의 저면에 원형의 관 형상으로 상방 돌출되고 상기 제 2 나선부(14)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수 라인(20) 상에 구비되는 산도 제어 모듈(60)이 더 포함하고,
    상기 산도 제어 모듈(6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부(61);
    상기 케이스부(61) 상면을 관통하고 상기 소정의 공간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주입관(62);
    상기 케이스부(61)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관(63);
    상기 소정의 공간에 위치되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공간을 상측 방향의 공기(Air)가 위치되는 제 1 공간(D1) 및 하측 방향의 상기 오일(Oil)이 위치되는 제 2 공간(D2)으로 구획하며 상기 주입관(62)에 체결되어 상기 주입관(62)을 따라 상 하로 가이드 이동되는 구획부재(64);
    상기 구획부재(64)에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공기(Air)는 통과되되 상기 오일(Oil)은 차단하는 제 1 필터부(65); 및
    상기 주입관(62) 및 상기 배출관(63) 사이에 형성되고 불순물(b1)이 배출관(6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 2 필터부(66);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64)의 밀도는 상기 오일(Oil)의 밀도보다 높은 밀도로 구비되어 가라앉고, 상기 구획부재(64)가 가라앉음으로써 상기 제 2 공간(D2)에 위치되는 공기(Air)가 상기 제 1 필터부(65)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D1)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64)는 저면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필터부(65)와 대응되는 위치는 개구되되 상기 제 1 필터부(65)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유도부재(6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 제어 모듈(60)은 병렬식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회수 라인(20)의 오일(Oil)의 유압이 상기 산도 제어 모듈(60)이 구비되기 전의 유압과 동일한 유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라인(20) 상에 구비되는 불순물 제거 모듈(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 제거 모듈(70)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도체 재질의 파이프부(71);
    상기 회수 라인(20)과 절연되도록 상기 파이프부(71)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구비되는 절연 가스켓(72);
    상기 파이프부(71)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봉 형상의 복수개의 수거 부재(73); 및
    상기 파이프부(71)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는 자기 코일(74)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 코일(74)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유도 전류로 인해 상기 파이프부(71) 및 상기 수거 부재(73)에 자력이 부여되며,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오일(Oil)에 포함되는 금속 재질의 불순물(b2)이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KR1020170031940A 2017-03-14 2017-03-14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KR10178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40A KR101780645B1 (ko) 2017-03-14 2017-03-14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40A KR101780645B1 (ko) 2017-03-14 2017-03-14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645B1 true KR101780645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940A KR101780645B1 (ko) 2017-03-14 2017-03-14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061A (ja) * 2008-12-22 2010-07-01 Samson Co Ltd 熱媒システム
KR101132005B1 (ko) * 2010-01-07 2012-03-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101196913B1 (ko) * 2010-06-11 2012-11-05 (주)귀뚜라미 저탕식 비례제어 콘덴싱 보일러
KR101626920B1 (ko) 2014-09-25 2016-06-03 삼아디오시스템 주식회사 자기장 발열부를 이용한 보일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061A (ja) * 2008-12-22 2010-07-01 Samson Co Ltd 熱媒システム
KR101132005B1 (ko) * 2010-01-07 2012-03-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101196913B1 (ko) * 2010-06-11 2012-11-05 (주)귀뚜라미 저탕식 비례제어 콘덴싱 보일러
KR101626920B1 (ko) 2014-09-25 2016-06-03 삼아디오시스템 주식회사 자기장 발열부를 이용한 보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5257B1 (en) Heat storage apparatus
US7505269B1 (en) Thermal energy storage transfer system
JP5031209B2 (ja) 蓄熱ユニット及び蓄熱ユニットの運転方法
US20100252238A1 (en) Two-phase-flow, panel-cooled, battery apparatus and method
JP2010526986A (ja) 熱交換器、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US20130048254A1 (en) Heat transfer bridge
US20210318028A1 (en) Internally heated phase change material heat batteries
KR101780645B1 (ko) 오일용 열교환기의 배관 시스템
JP2006266605A (ja) 蓄熱式熱供給装置
KR101799515B1 (ko) 다중 경로를 갖는 오일용 열 교환기
JP2006132913A (ja) 熱交換式冷却器
EP2629037B1 (en) Low temperature melting furnace and metal sector using an external cooling passage
JP2010080507A (ja) 電子装置
JP4388253B2 (ja) 潜熱蓄熱装置
Yuki et al. Development of functional porous heat sink for cooling high-power electronic devices
US20070079953A1 (en) Recurring natural water cooling device
CN211233379U (zh) 一种直流电水加热装置
JP2007224625A (ja) 融雪システム
JP2017112189A (ja) サーモサイフォン冷却装置
KR101089366B1 (ko) 변압기의 방열장치
EP3147618A1 (en) Heat energy accumulator based on solid-liquid phase-change materia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unit
CA2469341A1 (en) Electron collector
CN220857409U (zh) 一种新型内隔离散热的电气箱
EP38829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management in inductors
RU2783613C2 (ru) Нагреваемые изнутри тепловые аккумуляторы с материалом с фазовым переход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