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28B1 -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28B1
KR101780428B1 KR1020170050657A KR20170050657A KR101780428B1 KR 101780428 B1 KR101780428 B1 KR 101780428B1 KR 1020170050657 A KR1020170050657 A KR 1020170050657A KR 20170050657 A KR20170050657 A KR 20170050657A KR 101780428 B1 KR101780428 B1 KR 10178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using
furniture
rod memb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170050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는 가구와 결합되는 본체와,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본체에서 선택적으로 신장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전도 방지부와, 전도 방지부에 연결되도록 본체에 구비되며, 본체가 들림에 따라 전도 방지부를 본체에서 신장시키는 신장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전도방지장치{ANTI-UPSIDE DOWN DEVIC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이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구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일정높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인테리어나 수납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구는, 바닥면에 대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목재나 철재,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 사용되며, 적절한 무게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가구는, 사용목적에 따라 특정 기능과 미적 요소가 추가됨은 물론 사용자의 취미나 취향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종류로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가구는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예를 들어 유아나 어린이가 서랍부분을 잡고 당기거나, 어른이라도 부주의에 의해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넘어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80156호 (2016.04.12., 고안의 명칭 : 서랍장 넘어짐 방지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한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리더라도 전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벽체 또는 바닥면에 고정하지 않아도 전도를 예방할 수 있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제공하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는, 가구와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서 선택적으로 신장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전도 방지부와, 상기 전도 방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들림에 따라 상기 전도 방지부를 상기 본체에서 신장시키는 신장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도 방지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구와 결합되는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도 방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전도 방지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전도 방지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신장되는 상기 전도 방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 방지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장 작동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신장 작동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이 구속되는 전도 방지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 방지로드는, 상기 본체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 방지로드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로드부재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로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로드부재 및 상기 제2로드부재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 상기 신장 작동부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장 작동부는, 상기 전도 방지부를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와,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된 상기 전도 방지부를 구속하며, 상기 지면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전도 방지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 구속부는, 상기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도 방지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 구속부재와, 상기 본체와 상기 걸림 구속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구속부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상기 걸림 구속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 구속부는, 상기 걸림 구속부재가 상기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도 방지부를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상기 걸림 구속부재에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장 작동부는, 상기 작동 구속부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에 탈착되는 장착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가구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본체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전도 방지부가 본체에서 신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접촉되는 작동 구속부가 지면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전도 방지부를 신장시키므로,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 방지부 및 신장 작동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구를 지면이나 벽체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구는 물론 벽체나 바닥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되어 가구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전도 방지부가 신장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전도 방지부가 신장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10)와, 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도 방지부(120)와, 전도 방지부(120)의 작동을 위한 신장 작동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가 움직임에 따라 본체(110) 및 신장 작동부(130)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본체(110)에 삽입되어 있던 전도 방지부(120)가 본체(110)의 외측으로 신장되면서 지면에 지지된다. 이로 인하여,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의 지지 면적이 넓어져 외력에 의해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10)는 가구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도 방지부(120) 및 신장 작동부(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10)는 전도 방지부(120) 및 신장 작동부(13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도 방지부(120)의 이동을 안정되게 가이드하도록 하우징(111)과 작동 가이드부(113)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중공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전도 방지부(12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중앙부에 신장 작동부(130)를 결합하기 위한 설치구멍(111a)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1)은 신장 작동부(130)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작동 가이드부(113)가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1)은 사각의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작동 가이드부(113)는 전도 방지부(120)가 안정되게 직선이동하도록 가이드함은 물론 전도 방지부(120)가 하우징(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 가이드부(113)는 전도 방지부(120)의 출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13a)와, 전도 방지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13b)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13a)는 전도 방지부(120)가 관통하도록 가이드홀부(113c)를 구비하며, 하우징(111)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전도 방지부(12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13a)는 하우징(111)에서 신장하는 전도 방지부(120)가 가이드홀부(113c)의 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신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도 방지부(120)의 작동시 전도 방지부(120)가 하우징(111)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하우징(111)에서 원활하게 신장하게 된다.
이탈방지부재(113b)는 전도 방지부(120)를 관통하도록 하우징(111)에 결합되며, 하우징(111)에서 신장하는 전도 방지부(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전도 방지부(120)가 하우징(111)에서 완전하게 신장하면 이탈방지부재(113b)에 걸리게 된다.
전도 방지부(120)는 하우징(111)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가구의 전도시 하우징(111)에서 돌출되어 가구의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전도 방지부(120)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신장 작동부(130)에 의해 하우징(111)에서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전도 방지로드(121)를 구비한다.
특히, 전도 방지로드(121)는 가구의 전도를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11)에 복수개 구비되며, 가구의 전도시 하우징(111)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가구의 전도를 보다 안정되고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도 방지로드(121)는 하우징(111)의 일단부에 삽입되는 제1로드부재(123)와, 하우징(111)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제2로드부재(125)를 포함하며,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신장 작동부(130)에 의해 탄성지지 및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홀부(113c)를 통해 하우징(111)에 삽입되고, 신장 작동부(130)에 의해 하우징(111)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또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는 하우징(111)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그 이동이 구속되도록 신장 작동부(130)에 걸림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로드부재(123)는 이탈방지부재(113b)가 관통하는 제1장홀(123a)이 형성되며, 끝단에 제1마감캡(123b)이 결합된다. 또한, 제1로드부재(123)는 신장 작동부(130)에 걸리도록 제1걸림편(123c)이 돌출 형성되고, 제1걸림편(123c)에 제1걸림홀(123d)이 형성된다.
제2로드부재(125)는 이탈방지부재(113b)가 관통하는 제2장홀(125a)이 형성되며, 끝단에 제2마감캡(125b)이 결합된다. 더하여 제2로드부재(125)는 신장 작동부(130)에 걸리도록 제2걸림편(125b)이 돌출 형성되고, 제2걸림편(125b)에 제2걸림홀(125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는 가구에 외력이 가해져 신장 작동부(130)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신장 작동부(1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하우징(111)에서 신장하여 지면에 지지된다.
도 2,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장 작동부(130)는 전도 방지부(120)와 연결되도록 본체(110)에 구비되며,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를 탄성지지함은 물론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신장 작동부(130)는 가구가 흔들림에 따라 지면에서 이격되면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을 통해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를 하우징(111)에서 신장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신장 작동부(130)는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를 각각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131)와,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작동 구속부(133)를 포함한다. 이때, 신장 작동부(130)는 탄성지지부재(131)를 통해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를 하우징(111)의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작동 구속부(133)에 의해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가 걸림 지지된다.
탄성지지부재(131)는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제1스프링(131a)과 제2스프링(131b)를 구비한다. 제1스프링(131a)은 일단이 이탈방지부재(113b)에 접촉되고, 타단이 제1마감캡(123b)에 지지되도록 제1로드부재(123)로 삽입된다. 제2스프링(131b)은 일단 이탈방지부재(113b)에 접촉되고, 타단이 제2마감캡(125b)에 지지되도록 제2로드부재(125)로 삽입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재(131)는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하우징(111)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제1스프링(131a) 및 제2스프링(131b)이 압축되면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지지부재(131)는 작동 구속부(133)에 의해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의 구속이 해제되면 제1스프링(131a) 및 제2스프링(131b)이 이완되면서 하우징(111)에서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를 신장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스프링(131a) 및 제2스프링(131b)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작동 구속부(133)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하우징(111)에 결합되어 하우징(111)으로 삽입되는 전도 방지로드(121)의 이동을 구속하며, 가구가 움직임에 따라 지면에서 이격되면 전도 방지로드(121)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를 위하여 작동 구속부(133)는 전도 방지로드(121)가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 구속부재(134)와, 걸림 구속부재(134)의 구속을 해제시키기 위한 구속 해제부재(135)와, 전도 방지로드(121)의 용이한 구속을 위한 걸림부재(136)와, 하우징(111)에 탈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137)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 구속부(133)는 장착 브래킷(137)에 걸림 구속부재(134), 구속 해제부재(135) 및 걸림부재(136)가 설치된 상태에서 장착 브래킷(137)이 하우징(111)의 설치구멍(111a)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작동 구속부(133)를 하우징(11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작동 구속부(133)가 하우징(11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할 수 있다.
걸림 구속부재(134)는 장착 브래킷(137)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속 해제부재(135)에 의해 걸림부재(136)의 구속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걸림 구속부재(134)는 구속 해제부재(135)의 안정된 결합을 위한 스프링삽입홈(134a)이 형성되고, 하면 중앙부에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재(134b)가 나사 체결된다. 받침부재(134b)는 회전을 통해 걸림 구속부재(134)에서 그 길이가 조절된다.
더하여, 걸림 구속부재(134)는 걸림부재(136)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림부재(13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편(134c)이 형성된다. 탄성편(134c)은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에 걸림부재(136)가 걸리면서 걸림 구속부재(134)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걸림 구속부재(134)는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 접촉하면 가구의 중량에 의해 구속 해제부재(135)를 압축시키면서 이동되어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를 걸림부재(136)에 구속시킨다. 그리고 걸림 구속부재(134)는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구속 해제부재(135)의 탄성에 의해 이동되어 걸림부재(136)에 구속된 제1로드부재(123)와 제2로드부재(125)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구속 해제부재(135)는 하우징(111)과 걸림 구속부재(1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프링삽입홈(134a)에 결합되며, 걸림 구속부재(134)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속 해제부재(135)는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 접촉되면 걸림 구속부재(134)에 의해 압축되고,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이완되면서 걸림 구속부재(134)를 이동시킨다. 즉, 구속 해제부재(135)는 받침부재(134b)의 지면 접촉 여부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면서 걸림 구속부재(134)의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속 해제부재(135)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걸림부재(136)는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걸려서 구속되도록 걸림 구속부재(134)에 결합된다. 이러한, 걸림부재(136)는 하우징(111)에서 신장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를 걸림 구속부재(134)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우징(111)으로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걸림 구속부재(13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재(136)는 제1로드부재(123)를 구속하는 제1걸림버튼(136a)과, 제2로드부재(125)를 구속하는 제2걸림버튼(136b)을 구비하며,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이 제1걸림홀(123d) 및 제2걸림홀(125d)에 삽입됨에 따라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를 걸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1걸림버튼(136a)과 제2걸림버튼(136b)은 걸림 구속부재(134)의 탄성편(134c)에 걸리도록 걸림 구속부재(134)에 결합된다. 또한,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은 걸림 구속부재(134)에 구비되는 제1지지스프링(136c) 및 제2지지스프링(136d)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더하여,
이러한, 제1걸림버튼(136a)과 제2걸림버튼(136b)은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삽입됨에 따라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제1걸림편(123c) 및 제2걸림편(125b)이 가이드되는 경사면(136e)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장착 브래킷(137)은 나사를 통해 하우징(111)에 결합되며, 작동 구속부(133)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부(137a)가 형성된다. 설치공간부(137a)에는 작동 구속부(13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신장 작동부(130)의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 접촉도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를 본체(110)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하면,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에 각각 걸리면서 본체(110)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때,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는 제1걸림편(123c) 및 제2걸림편(125b)이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의 경사면(136e)에 접촉되면서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을 눌러주게 되므로,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에 용이하게 구속된다.
즉,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이 제1걸림홀(123d) 및 제2걸림홀(125d)에 삽입되므로, 전도 방지로드(121)가 본체(110)에서 신장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구에 외력이 가해져 가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거나 들리면서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구속 해제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 구속부(133)가 하우징(111)의 하측으로 하강하고, 이에 의해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도 작동 구속부(133)와 함께 하강하면서 제1걸림홀(123d) 및 제2걸림홀(125d)에서 이탈하면서 제1걸림버튼(136a) 및 제2걸림버튼(136b)에 의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제1스프링(131a)과 제2스프링(131b)이 이완되면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를 본체(110)의 외측으로 신장시킨다. 그리고 본체(110)에서 신장하는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지면에 접촉되면서 가구가 넘어지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구가 외력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가구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본체(110)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본체(110)에서 신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지면에 접촉되는 작동 구속부(133)의 받침부재(134b)가 지면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가 본체(110)에서 신장되므로, 제1로드부재(123) 및 제2로드부재(125)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100)는 전도 방지부(120) 및 신장 작동부(130)가 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가구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착 브래킷(137)을 통해 신장 작동부(130)를 본체(110)에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설치는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구를 지면이나 벽체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구는 물론 벽체나 바닥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구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되어 가구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에 의하면, 가구의 전도시 전도 방지부가 전도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함으로써, 가구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스위치부가 가구의 전도와 동시에 작동될 수 있어 작동신뢰성이 향상되며, 고정브라켓에 의해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므로 벽체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110 : 본체
111 : 하우징 113 : 작동 가이드부
113a : 가이드부재 113b : 이탈방지부재
120 : 전도 방지부 121 : 전도 방지로드
123 : 제1로드부재 123a : 제1장홀
123b : 제1마감캡 123c : 제1걸림편
123d : 제1걸림홀 125 : 제2로드부재
125a : 제2장홀 125b : 제2마감캡
125c : 제2걸림편 125d : 제2걸림홀
130 : 신장 작동부 131 : 탄성지지부재
131a : 제1스프링 131b : 제2스프링
133 : 작동 구속부 134 : 걸림 구속부재
135 : 구속 해제부재 136 : 걸림부재
137 : 장착브래킷

Claims (10)

  1. 가구와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서 선택적으로 신장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전도 방지부; 및 상기 전도 방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들림에 따라 상기 전도 방지부를 상기 본체에서 신장시키는 신장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 작동부는, 상기 전도 방지부를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삽입된 상기 전도 방지부를 구속하며, 상기 지면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전도 방지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구속부는,
    상기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도 방지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 구속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걸림 구속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구속부가 지면에서 이격되면 상기 걸림 구속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구속 해제부재; 및
    상기 걸림 구속부재가 상기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전도 방지부를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상기 걸림 구속부재에 구비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도 방지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구와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전도 방지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전도 방지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동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전도 방지부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신장되는 상기 전도 방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방지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신장 작동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신장 작동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이 구속되는 전도 방지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방지로드는, 상기 본체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방지로드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로드부재;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로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로드부재 및 상기 제2로드부재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 상기 신장 작동부에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작동부는, 상기 작동 구속부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에 탈착되는 장착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20170050657A 2017-04-19 2017-04-1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1780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57A KR101780428B1 (ko) 2017-04-19 2017-04-1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57A KR101780428B1 (ko) 2017-04-19 2017-04-1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428B1 true KR101780428B1 (ko) 2017-09-20

Family

ID=6003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57A KR101780428B1 (ko) 2017-04-19 2017-04-19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17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가구
KR102217905B1 (ko) * 2020-06-30 2021-02-19 주식회사 퍼맥스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087A (ja) * 2005-03-23 2006-10-05 Michihiko Watanabe 家具類転倒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087A (ja) * 2005-03-23 2006-10-05 Michihiko Watanabe 家具類転倒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17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가구
KR102217905B1 (ko) * 2020-06-30 2021-02-19 주식회사 퍼맥스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612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1780428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1421876B1 (ko)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US20100244518A1 (en) Child booster seat and height-adjustment mechanism thereof
GB2425714A (en) Vacuum cleaner with power cord support
US8847085B2 (en) Power device
KR200432614Y1 (ko) 옷걸이용 홀더
US20150239707A1 (en) Spool holder and sewing machine
KR20090097100A (ko) 격납식 훅장치
KR101788613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US20070056229A1 (en) Fastening means of return air grille
KR101809253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200436737Y1 (ko)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1809254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1819653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KR101164782B1 (ko) 의자용 팔걸이
JP2006348517A (ja) 扉開き防止装置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KR20110083807A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JP2003147834A (ja) 壁面取付装置
KR102098755B1 (ko) 고정봉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JP2005213860A (ja) 便器上面設備
KR20150063890A (ko) 선박용 서랍의 푸쉬버튼장치
JP5099835B2 (ja) 棒状物のロック機構
KR100360171B1 (ko) 착탈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