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486B1 -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486B1
KR101778486B1 KR1020170002953A KR20170002953A KR101778486B1 KR 101778486 B1 KR101778486 B1 KR 101778486B1 KR 1020170002953 A KR1020170002953 A KR 1020170002953A KR 20170002953 A KR20170002953 A KR 20170002953A KR 101778486 B1 KR101778486 B1 KR 10177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ousing
elastic
fixing brack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708A (ko
Inventor
조경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4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헤드램프와의 결합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도 단순한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고정패널을 지지하도록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걸림되도록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단차부에 결합시 하측으로 변형되면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헤드램프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ACTUATOR OF HEADLAMP LEVEL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헤드램프와의 결합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으로도 단순한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차량에는 차체의 자세변화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각도를 조절해주는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Headlamp Leveling Device)가 장착된다.
이러한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는 소정 구동 수단으로 리플렉터를 밀었다 당겼다 하며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동수단이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actuator)이다.
도 1은 엑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엑추에이터에 오링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엑추에이터(10)는 외형상 크게 내부에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하는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1),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엑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조사각을 조정하는 샤프트(13)으로 구성된다.
엑추에이터(10)는 헤드램프의 후방 케이스(미도시)에 결합되는데, 일반적으로 하우징(11)의 축방향으로 상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의 상단에는 헤드램프와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인 고정브라켓(20)이 배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은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측에는 단턱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헤드램프의 케이스는 상기 홈부위에 안착하고 단턱에 의해 걸림됨으로써 엑추에이터(10)가 헤드램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위의 유격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오링(14)이 상기 홈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은 이와 같은 헤드램프와 고정브라켓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 엑추에이터가 결합하는 헤드램프의 케이스부위는 고정패널(30)이라 지칭한다.
고정브라켓(20)은 축방향으로 상측에서부터 걸림턱(21), 홈 및 결합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홈은 걸림턱(21)과 결합부(22) 사이의 외주면상의 오목한 부위를 지칭하는데, 오링(14)은 링 형성으로 상기 홈에 끼워진다. 고정패널(30)에는 상기 홈의 단면의 직경에 대응하는 홈부 내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와 같이 개방된 부위에 고정브라켓(20)이 홈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걸림턱(21), 고정패널(30) 및 오링(14) 순으로 배치되고, 오링(14)의 탄성에 의해 엑추에이터(10)가 고정패널(30)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탄성재질의 오링을 사용하는 경우 제작 및 조립공정이 늘어나고, 오링이라는 추가적인 부품을 장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경제성 및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추가적인 부품의 장착이 없이도 헤드램프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고정패널을 지지하도록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걸림되도록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단차부에 결합시 하측으로 변형되면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는, 상기 탄성부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돌출된 상측은 상기 고정패널의 타면을 지지하고, 하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의 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는,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는,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에 2개 이상이 형성된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는 고정브라켓 자체에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헤드램프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엑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엑추에이터와 오링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엑추에이터와 고정패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와 고정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엑추에이터와 고정패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의 고정브라켓이 분해된 사시도이다. 이하, 샤프트(130)가 인출되는 방향을 상측 또는 상방으로, 인입되는 방향을 하측 또는 하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전자기력에 의하여 샤프트(130)를 상하운동시킬 수 있는 부품들을 수용하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130)는 하우징(110)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헤드램프의 조사각을 조정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 단부에는 헤드램프와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인 고정브라켓(20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외주면은 하우징(110)의 외주면과 대략 일치하게 형성되며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공부위에 샤프트(130)가 삽입되어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께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하우징(110)의 상면에서 고정결합하고, 후술할 바와 같이 고정패널(300)에 엑추에이터(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브라켓(200)은 상측으로부터 걸림부(210), 단차부(230) 및 결합부(220)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최하측에 위치한 결합부(220)는 하우징(110)의 외주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20)는 하우징(110)의 상단부에서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220)의 상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차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3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고정브라켓(200)의 가장 오목한 부위를 이루게 되며, 고정패널(300)이 끼워져서 직접 지지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단차부(230)의 상측에는 걸림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210)는 단차부(230)보다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패널(300)의 일면에 걸림되어 축방향으로의 엑추에이터(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210)는 복수의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체가 단차부(230)에 비해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상기 결합부(22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탄성부(22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221)는 판스프링과 같이 별도의 탄성부재가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221)가 결합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고정브라켓(200)은 전체가 사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부(221)는 돌출된 주위로 다른 부위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221)는 결합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되 일단부만이 결합부(220)와 고정되고 나머지 부위에서는 변형이 용이하도록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221)는 상측 뿐만이 아니라 하측으로도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탄성부가 배치된 엑추에이터가 고정패널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00)에 상하부로 돌출된 탄성부(221)가 구비되는 경우, 단차부(230)에 고정패널(300)이 결합하면 탄성부(221)가 하측으로 변형되면서 고정패널(300)의 타면 즉, 하측면을 탄성지지하게 된다.
탄성부(221)의 변형에 따라 탄성부(221)의 하측 돌출부는 하우징(110)의 상단면에 지지될 수 있고, 이 경우 탄성부(221)의 상측 돌출부는 고정패널(300)의 타면을 지지하고 하측 돌출부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지지되어 지지력이 극대화되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탄성부(221)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결합부(22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221)가 결합부(220)의 외곽에 위치하는 경우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측방으로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221)는 단일로 배치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탄성부(221)가 단일로 배치되는 경우 별도로 고정패널(300)을 지지하는 부위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221)의 지지면적이 작거나 탄성부(221)의 배치되는 개수가 적은 경우 종래기술의 오링에 비해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부(220)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22)는 탄성부(221)와 달리 탄성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주변에 이격된 부위가 존재하지 않은 차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22)의 상단부에서 걸림부(210)의 하단부까지의 축방향 거리는 고정패널(300)의 두께와 일치하게 된다. 이는 탄성부(221)가 변형되지 않았을 때 탄성부(221)의 상부 돌출부위의 상단부에서 걸림부(210)의 하단부까지의 축방향 거리가 고정패널(300)의 두께보다 적은 차이점을 가짐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정패널(300)은 헤드램프의 케이스를 이루고 있는 부위이고, 고정패널(300)은 엑추에이터(100)를 고정하기 위해 개구부 내지는 홈부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엑추에이터(100)의 고정브라켓(200)을 상기 고정패널(300)에 결합시 단차부(230)를 삽입하면서 회전시키면서 고정하는 방법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221) 또는 상기 지지부(222)는 회전결합하는 부위에서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을 가짐에 따라 결합과정이 더욱 부드러워지고 자연스러운 변형을 유도할 수 있어 결합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의 고정브라켓에 탄성부가 배치됨에 따라 종래기술의 오링이라는 추가적인 부품을 제외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도 생산의 효율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링을 통해 탄성지지하는 방식에 비해 결합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엑추에이터 110...하우징
130...샤프트 200...고정브라켓
210...걸림부 220...결합부
221...탄성부 222...지지부
230...단차부

Claims (10)

  1.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보다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단부와 상기 걸림부의 하단부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하 방향 거리보다 작은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측 단부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는 고정패널과 결합하고,
    상기 상측 돌출부는 상기 고정패널의 아랫면을 지지하고, 상기 하측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윗면을 지지하는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작은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2개 이상인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탄성부의 이격 공간은 상기 탄성부의 변형을 위한 공간인 헤드램프 레벨링 엑추에이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02953A 2017-01-09 2017-01-09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KR10177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53A KR101778486B1 (ko) 2017-01-09 2017-01-09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53A KR101778486B1 (ko) 2017-01-09 2017-01-09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35A Division KR101696931B1 (ko) 2010-08-23 2010-08-23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708A KR20170007708A (ko) 2017-01-19
KR101778486B1 true KR101778486B1 (ko) 2017-09-13

Family

ID=5799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953A KR101778486B1 (ko) 2017-01-09 2017-01-09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4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577A (ja) * 2000-05-31 2001-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及び車両用前照灯の照射軸調整装置
JP3822007B2 (ja) * 1999-10-21 2006-09-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0726221B1 (ko) * 2005-12-09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램프의 벌브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2007B2 (ja) * 1999-10-21 2006-09-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1341577A (ja) * 2000-05-31 2001-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及び車両用前照灯の照射軸調整装置
KR100726221B1 (ko) * 2005-12-09 2007-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램프의 벌브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708A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273B1 (ko)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용 가이드
US10041654B1 (en) Adjustable lighting finishing structure
US9784422B2 (en) Self-centering hyperbolic trim
JP2001500087A (ja) 車両ブレーキ装置の油圧ユニットの弾性支承装置
KR101778486B1 (ko)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엑추에이터
KR101696931B1 (ko)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의 액추에이터
WO2009064186A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JP5781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JP4554339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相手部品に光源を装着する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883576B1 (ko) 천장 매입등
US20130236340A1 (en) Motor, disk drive apparatus, and fan
CN109562665A (zh) 包括相对于车身的固定件的上悬置、包括这种悬置的组件和用于将这种悬置接合至车身的方法
EP2527723A2 (en) Vehicle headlamp and projection lens mounting method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KR200485669Y1 (ko) 천장용 엘이디 등기구
KR10187439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챔버의 푸시로드 가이드와 푸시로드 가이드 커버의 체결구조
CN111096679A (zh) 温控器组件、加热装置组件及烹饪装置
JPS5810242Y2 (ja) ヘツドランプの灯体保持機構
CN110736068A (zh) 球头限位结构、车辆灯具用调光结构及车辆
CN219713192U (zh) 筒射灯
KR101369976B1 (ko) 차량용 램프의 진동 방지 장치
JP3224707U (ja) 照明ユニット
KR200467984Y1 (ko) 차량용 램프
KR101171286B1 (ko) 자동차 엔진용 밸브 리테이너 자동조립장치
KR20120069876A (ko) 헤드램프 레벨링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