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440B1 -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440B1
KR101777440B1 KR1020130116327A KR20130116327A KR101777440B1 KR 101777440 B1 KR101777440 B1 KR 101777440B1 KR 1020130116327 A KR1020130116327 A KR 1020130116327A KR 20130116327 A KR20130116327 A KR 20130116327A KR 101777440 B1 KR101777440 B1 KR 10177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olymer
dehydration
drying
mechanical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092A (ko
Inventor
나육열
김노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1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4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3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28B13/06Removing the shaped articles from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4/00Treatment of rubber before vulcanisat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C1/00 - C08C3/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혹은 배치방식으로 제조되는 고무 중합체의 고형화(스트리핑(stripping)) 공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기계식 다단 탈수에 후속하여 기류에 더하여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수분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속도를 향상시키고,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수득되는 고무 중합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 및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상기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탈수된 고무 중합체에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탈수시키는 복합탈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Continuous rubber polymer drying apparatus and drying method}
본 발명은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혹은 배치방식으로 제조되는 고무 중합체의 고형화(스트리핑(stripping)) 공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기계식 다단 탈수에 후속하여 기류에 더하여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수분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속도를 향상시키고,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수득되는 고무 중합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무 중합체는 단량체를 중합조 내에서 중합한 후, 수득되는 고무 중합체를 고형화(stripping)하여 회수하게 되는데, 이때 고형화에서는 스트리퍼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트리퍼에 의한 고형화는 일반적으로 고무 중합체와 용매를 분리하여 고무 중합체를 회수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화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방법으로 고무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고온의 물속에 투입하고, 스팀을 사용하여 용매를 수증기와 함께 휘발시켜 제거함으로써 크럼(crumb)이라 명명되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공성의 고무 중합체를 회수하는 스트리핑 공정이 사용되며, 이후 고형화된 고무 중합체의 함수율을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고무 베일(rubber bale)로 제조된다.
이때, 종래기술에서는 고형화 공정 이후, 4 내지 5회의 기계적인 기계적인 탈수 및 열풍건조를 통하여 건조공정을 거친 후, 고무 베일로 제조하는 데, 이때 탈수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경우, 고무 베일 내에 워터스팟(water spot)이 형성되고, 이러한 워터스팟 등의 존재로 인해 고무 베일 내 최종 수분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렇게 최종 수분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특히 워터스팟은 컴파운딩(compounding) 공정에서 수분증발에 의하여 믹서(mixer)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 필러(filler) 혹은 약품의 분출현상 등을 유발하며, 성형공정에서 고무 압출물의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등 가공상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원료로서의 고무 베일에서 함수율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나, 공정 상의 한계로 인하여 함수율이 높은 고무 베일이 제조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 베일의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기계식 다단 탈수에 후속하여 기류에 더하여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수분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수득되는 고무 중합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는,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 및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상기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탈수된 고무 중합체에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탈수시키는 복합탈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방법은, (1) 고무 중합체를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하여 탈수시키는 1차 탈수단계; 및 (2) 상기 1차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고무 중합체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시키면서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함수율이 0.1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수시키는 2차 탈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혹은 배치방식으로 제조되는 고무 중합체의 고형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기계식 다단 탈수에 후속하여 기류에 더하여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수분함량을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속도를 향상시키고,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수득되는 고무 중합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함수율은 고무 중합체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미량의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은 고려하지 않고 고무 중합체 중에 포함되는 수분의 함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함수율 0.1중량%는 다른 미량의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는 불순물을 고려함이 없이 고무 중합체 99.9중량%에 수분이 0.1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는,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 및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상기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탈수된 고무 중합체에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탈수시키는 복합탈수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계식 탈수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열풍 건조 만을 수행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파의 적용과 같은 에너지파 건조 만을 수행하는 것과는 달리 기계식 탈수 이후에 열풍, 냉풍 및/또는 냉풍과 열풍이 교호하는 냉열풍과 같은 기류와 함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복합탈수를 수행하여 건조되는 고무 중합체의 탈수속도 및 탈수효율을 높이면서도 고무 중합체의 열변성을 감소시켜 우수한 품질의 고무 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특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는 기계식 탈수장치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기계식 탈수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탈수컨베이어(4); 탈수압출기(5); 건조압출기(6)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컨베이어(4)는 무한궤도를 구성하여 그 위에 놓여지는 고무 중합체가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고무 중합체 중의 수분이 고무 중합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고무 중합체의 입자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공극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가지는 탈수컨베이어(4)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탈수컨베이어(4)의 벨트면은 고무 중합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망목(그물눈)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조(1)에서 중합된 고무 중합체는 슬러리의 형태로 스트리퍼(2)로 도입되고, 또한 상기 스트리퍼(2)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스팀공급라인(3)을 통하여 상기 스트리퍼(2) 내로 스팀을 도입하여 스팀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슬러리 형태의 고무 중합체가 고형화된다. 이후, 고형화된 고무 중합체는 상기 스팀이 액화된 수분을 포함하게 되며, 수분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가 상기 탈수컨베이어(4) 위에 올려져서 이동되면서 중력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고무 중합체 중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탈수압출기(5)는 수분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를 기계적으로 압축시킴과 동시에 좁은 구경의 노즐을 통하여 고무 중합체를 방출하면서 상기한 바의 기계적인 압축에 의해 상기 고무 중합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기본구조에는 구동부, 원료공급기(feeder). 스크루(screw), 바렐(barrel) 및 다이 (die)가 포함된다. 이 중, 스크루가 가장 중요하며, 과거부터 사용되어온 일축형은 스크루가 1개인 형식이고, 원료인 고무 중합체는 스크루와 바렐과의 공간에서 압축되고 고상(solid bed)이 형성되어 충분한 마찰이 생기면 연속 압출이 가능해진다. 스크루가 2개인 2축형도 있다. 상기 스크루에 의한 고무 중합체의 압축에 의하여 상기 고무 중합체에 기계적인 압력이 가해지면서 고무 중합체로부터 수분이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수분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바렐에 다수의 통수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수구는 고무 중합체가 상기 바렐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수분이 상기 바렐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압출기로는 통상적으로 탈수공정에 사용되는 압출기 및 공지된 다양한 탈수압출기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역회전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수압출기는 비한정적으로 앤더슨 또는 프렌치 오일 밀 머시너리의 축출기(expeller)일 수 있다. 압출기에 유입된 엘라스토머 슬러리는 배럴에 있는 스크류에 의해 압축되고, 물의 배럴에 있는 홈을 따라 배수되어 배출구 다이에서 증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탈수압출기로는 웰딩 엔지니어스 인코포레이티드의 탈수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건조압출기(6)는 수분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를 기계적으로 압축시킴과 동시에 좁은 구경의 노즐을 통하여 고무 중합체를 방출하면서 상기한 바의 기계적인 압축에 의해 상기 고무 중합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가열이 가능한 진공 혼련기(vacuum knead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열이 가능한 진공 혼련기의 기본구조에는 구동부, 원료공급기(feeder). 스크루(screw), 바렐(barrel), 바렐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 등을 압력조절장치(예를 들면, 진공펌프와 진공도 조절장치)와 온도조절장치(예를 들면, 스팀 또는 오일 등의 열매체가 순환하는 열자켓이나 열선) 및 다이 (die)가 포함되며, 추가로 응축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장치에 의하여 바렐 내부의 기압을 낮추어 수분의 증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에서도 수분이 쉽게 기화되어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건조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을 현저히 절감하면서, 효과적인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감압 하, 낮은 온도에서 건조 공정의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무 중합체에 포함된 이중 결합이 부가 반응을 일으켜, 제품의 물성이 악화되거나, 변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합탈수장치는 열풍, 냉풍 및 냉풍과 열풍이 교호하는 냉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송풍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기류로서 냉풍, 열풍 또는 냉열풍을 적용시켜 건조 중인 고무 중합체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높은 온도에 의한 열변성 내지는 제품의 물성의 악화나 변색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탈수장치는 915 내지 2450㎒의 범위 이내의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수직으로 인가되는 교차장이 존재하는 고진공 속에서 발생된 전자빔의 전기에너지를 고출력 전자기파 에너지로 변환하여 방사하는 고효율, 고출력의 전자기파 발생장치이다. 이는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음극과 일정한 동작주파수를 갖는 공진회로 및 공진회로에서 발생된 전자기파를 외부로 방사시키기 위한 안테나 구조를 갖는 출력부로 구성되며, 이러한 마그네트론은 공진을 일으키는 조건에 따라 마이크로파 대역부터 테라헤르츠파 대역까지의 전자기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산업용 및 가정용으로는 주로 915 내지 2450㎒의 범위의 마이크로파를 사용한다. 이러한 마그네트론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마이크로파오븐(microwave oven)은 2450㎒에서 운용된다. 상기 마그네트론은 0 내지 1500W의 범위 이내의 전력(power)의 조절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을 가동시키는 전력이 0W인 경우는 마그네트론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이며, 예를 들어, 1000W의 전력으로 가동할 때 시간 당 약 1134g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방법은, (1) 고무 중합체를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하여 탈수시키는 1차 탈수단계; 및 (2) 상기 1차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고무 중합체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시키면서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함수율이 0.1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수시키는 2차 탈수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1차 탈수단계는 고무 중합체를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하여 탈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탈수단계는 탈수컨베이어; 탈수압출기; 건조압출기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의한 기계적 탈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적 탈수장치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 (2)의 2차 탈수단계는 상기 1차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고무 중합체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시키면서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함수율이 0.1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탈수단계에서의 기류에 의한 탈수는 열풍, 냉풍 및 냉풍과 열풍이 교호하는 냉열풍의 공급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풍은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의 범위 이내의 온도를 갖는 것이 될 수 있고, 상기 냉풍은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의 범위 이내의 온도를 갖는 것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냉열풍은 상기 냉풍과 상기 열풍이 교대로 공급되도록 상기 냉풍과 열풍을 교호시켜 공급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류는 실온의 온도를 갖는 것이 되거나, 또는 40 내지 50℃의 온풍이 될 수도 있다.
상기 2차 탈수단계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탈수는 또한 상기 기류와 함께 915 내지 2450㎒의 범위 이내의 대역의 마이크로파의 공급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탈수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공급이 마그네트론에 0 내지 1500W의 범위 이내의 전력의 공급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마이크로파의 공급을 위한 마그네트론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의 적용의 대상이 되는 상기 고무 중합체에는 스티렌계 중합체(styrenic polymer), 폴리올레핀 블렌드물(polyolefin blend), 탄성체 합금(elastomeric alloy),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hermoplastic copolyester) 및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상기와 같은 고무 중합체 중에서도, 부타디엔 고무(BR; butadiene rubber)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에 효율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티렌계 중합체(ex. SBS)의 경우, 중합체 자체가 이중 결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 과정이 고온에서 수행될 경우, 제품의 변색 및 물성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기류로서 냉풍을 적용하거나 냉풍과 온풍이 교호하는 냉온풍이 고무 중합체의 건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비록 상기 고무 중합체의 건조 중 탈수에서 마이크로파가 적용되어 가열될 수 있고, 또한 상기 1차 탈수단계에서 건조압출기에서도 가열되기는 하나, 상기 기류로 냉풍 및/또는 냉온풍의 적용에 의하여 고무 중합체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건조 자체가 저온에서도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조(1) 내에서 중합에 의해 수득된 고무 중합체로서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 styrene butadiene rubber)를 스트리퍼(2)로 이송시키고, 상기 스트리퍼(2)에 연결되는 스팀공급라인(3)을 통하여 스팀을 공급하여 고무 중합체를 고형화시킨 후, 고형화된 고무 중합체를 탈수컨베이어(4), 탈수압출기(5) 및 건조압출기(6)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기계적 탈수로 이루어지는 탈수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탈수를 10회 수행하고, 탈수된 고무 중합체의 함수율을 10회 반복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후, 탈수가 완료된 고무 중합체를 본 발명에 따른 복합탈수장치(7)의 컨베이어벨트(71) 상에 적치하고, 이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복합탈수장치(7)의 송풍수단에 의하여 기류로서 열풍(72)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1200W의 전력을 공급하여 마그네트론을 가동시켜 2450㎒의 대역의 주파수의 마이크로파(73)를 적용시켜 2차 건조를 수행하였다. 2차 건조의 건조시간은 각각 1분(실시예 1), 2분(실시예 2) 및 3분(실시예 3)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들 2차 건조를 각각 5회씩 수행하고, 그 결과를 역시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2차 건조에서 마이크로파를 적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측정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비교예에 비해 고무 중합체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건조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건조 자체가 저온에서도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위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 중합조 2: 스트리퍼
3: 스팀공급라인 4: 탈수컨베이어
5: 탈수압출기 6: 건조압출기
7: 복합건조장치 71: 컨베이어벨트
72: 기류 73: 마이크로파

Claims (10)

  1.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 및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상기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탈수된 고무 중합체에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켜 탈수시키는 복합탈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기계식 탈수장치가 탈수컨베이어; 탈수압출기; 및 건조압출기로 순차 구성되고,
    상기 복합탈수장치의 기류는 60~140℃의 열풍을 송풍 수단을 통하여 적용하며,
    상기 복합탈수장치의 마이크로파는 915 내지 2450 MHz 대역인 것으로,
    열 변성 및 변색을 방지하고, 고무 중합체 총중량 기준으로 0.1~1.0 중량%의 함수율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탈수장치가 915 내지 2450㎒ 대역의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이 0 내지 1500W의 범위 이내의 전력의 조절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6. (1) 고무 중합체를 연속식 탈수가 가능한 기계식 탈수장치에 의하여 탈수시키되, 상기 탈수가 탈수컨베이어; 탈수압출기; 및 건조압출기의 순서로 기계적 탈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1차 탈수단계; 및
    (2) 상기 1차 탈수단계에서 탈수된 고무 중합체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시키면서 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적용시키되,
    상기 기류는 60~140℃의 열풍을 송풍 수단을 통하여 적용하며,
    복합탈수장치의 마이크로파는 915 내지 2450 MHz 대역인 것으로, 열 변성 및 변색을 방지하고, 함수율이 0.1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수시키는 2차 탈수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탈수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의 공급이 마그네트론에 0 내지 1500W의 범위 이내의 전력의 공급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반응으로 생성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방법.
KR1020130116327A 2013-09-30 2013-09-30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77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327A KR101777440B1 (ko) 2013-09-30 2013-09-30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327A KR101777440B1 (ko) 2013-09-30 2013-09-30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092A KR20150037092A (ko) 2015-04-08
KR101777440B1 true KR101777440B1 (ko) 2017-09-26

Family

ID=5303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327A KR101777440B1 (ko) 2013-09-30 2013-09-30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4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219A (ja) * 1998-07-06 2002-07-02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ゴム弾性ポリマーを脱水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219A (ja) * 1998-07-06 2002-07-02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ゴム弾性ポリマーを脱水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092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563B1 (ko) 폴리에스테르 물질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과립 제조방법 및 제조된 과립의 가공 방법
CN108044858A (zh) 一种eps泡沫制品及其生产工艺
CN201974012U (zh) 微波热风联合干燥设备
CN102613687A (zh) 一种采用气体热媒的微波膨胀烟梗的方法
JP2014508090A (ja) 有機廃棄物から粒状有機無機肥料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11828534B2 (en) Natural rubber initial processing machinery and method
CN100523687C (zh) 采用微波对高粘度多聚物进行干燥的方法
CN102909796A (zh) 天然橡胶初加工装置及其方法
KR101777440B1 (ko) 고무 중합체의 연속식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N103159214A (zh) 一种生产活性炭的方法
JP2011178092A (ja) 籾殻等を原料とした断熱ボード等の製造方法
JP2013522435A (ja) 水および溶媒を含まないポリマーの製造方法
CN108673782B (zh) 一种氟橡胶脱水工艺
JP7293997B2 (ja) 合成ゴムの製造方法
CN103660069B (zh) 一种氟橡胶脱水工艺
CN106433844A (zh) 一种生物质颗粒燃料脱水炭化处理工艺
CN117507293A (zh) 一种基于微波干燥的卤化丁基橡胶干燥脱挥及尾气处理工艺方法
US11059951B2 (en) Method for polycondensation of recycled PET
CN214962549U (zh) 一种猪配合饲料制粒后再熟化装置
CN208557990U (zh) 一种氟橡胶脱水系统
CN117001880A (zh) 共轭二烯均聚物及其干燥方法
KR102479891B1 (ko) 2축 스크류형 압출건조기를 이용한 아크릴 고무 펠렛의 제조방법
KR20140065591A (ko) 극초단파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CN219283790U (zh) 一种邻/对甲苯磺酰胺连续高效干燥装置
CN106633395A (zh) 一种改性聚丙烯复合增强增韧板材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6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27

Effective date: 201707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