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814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814B1
KR101776814B1 KR1020150087321A KR20150087321A KR101776814B1 KR 101776814 B1 KR101776814 B1 KR 101776814B1 KR 1020150087321 A KR1020150087321 A KR 1020150087321A KR 20150087321 A KR20150087321 A KR 20150087321A KR 101776814 B1 KR101776814 B1 KR 10177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ing portion
light transmitting
light sour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9744A (ko
Inventor
이희민
황재웅
반경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81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48/1131
    • H05B37/029
    • F21W21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베젤을 통하여 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을 투과시켜 제 1 투과광을 출사하는 제 1 광 투과부, 및 상기 제 1 광 투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광을 투과시켜 제 2 투과광을 출사하는 제 2 광 투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젤을 통하여 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 모듈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최근에는 램프 모듈이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한편,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온 기술인 만큼, 이를 통해서는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갖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의 보다 뚜렷한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0832호 (2010.01.0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베젤을 통하여 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을 투과시켜 제 1 투과광을 출사하는 제 1 광 투과부, 및 상기 제 1 광 투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광을 투과시켜 제 2 투과광을 출사하는 제 2 광 투과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베젤을 통하여 광이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시각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다른 차량용 램프들과의 차별성이 부여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광원이 비점등된 경우 알루미늄 또는 크롬이 증착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고, 광원이 점등된 경우 광 투과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광 투과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점등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량용 램프(100)가 차량의 전조등(10)에 인접하여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전조등(10)의 일측 모서리 또는 복수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램프(100)가 전조등(10)의 하측 모서리 및 측면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의 형태가 길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고, 복수의 광원에 의한 순차적인 점등 또는 소등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형태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광을 투과시켜 일정한 형태의 광 신호을 형성하는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는 상호간의 모서리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광 투과부(120)는 차체(미도시)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젤(bezel)이 제 2 광 투과부(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광 투과부(1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 1 광 투과부(110)는 차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제 1 광 투과부(110)를 투과하는 광원의 광을 제 1 투과광(L1)이라 하고, 제 2 광 투과부(120)를 투과하는 광원의 광을 제 2 투과광(L2)이라 한다.
제 1 투과광(L1) 및 제 2 투과광(L2)은 서로 다른 복수의 광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투과광(L1) 및 제 2 투과광(L2)은 턴 시그널(turn signal) 광 신호 또는 웰컴 광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턴 시그널 개시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를 투과한 광은 턴 시그널 광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웰컴 광 신호는 주차 중인 차량이 접근하는 사용자를 반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광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의 접근이 인식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와 같은 사용자 명령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를 투과한 광은 웰컴 광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신호가 턴 시그널 광 신호 및 웰컴 광 신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목적을 위한 다양한 광 신호가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제 1 투과광(L1) 및 제 2 투과광(L2)에 의한 광 신호가 턴 시그널 광 신호 또는 웰컴 광 신호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턴 시그널 광 신호 및 웰컴 광 신호는 그 외관이 동일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감지되는 광의 색상 및 점멸 패턴이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턴 시그널 광 신호 및 웰컴 광 신호는 그 외관이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에게 감지되는 광의 색상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여 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차량용 램프(100)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130), 광을 투과시켜 제 1 투과광(L1)을 출사하는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1 광 투과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광을 투과시켜 제 2 투과광(L2)을 출사하는 제 2 광 투과부(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광 투과부(110)와 제 2 광 투과부(120)는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제 1 광 투과부(110)는 제 2 광 투과부(120)를 통하여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부(130)의 광은 직광 형태로 조사되거나, 간접광 형태로 조사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광원부(130)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광 가이드와 같은 광 유도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광원부(130)의 광 중 일부는 제 1 광 투과부(110)를 투과하여 제 1 투과광(L1)을 형성하고, 광원부(130)의 광 중 다른 일부는 제 2 광 투과부(120)를 투과하여 제 2 투과광(L2)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은 제 1 광 투과부(110)가 렌즈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도광체일 수 있다. 따라서, 도광체인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를 통하여 광원부(130)의 광이 투과됨에 따라 이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의 형태로 면 발광이 인식될 수 있다.
제 2 광 투과부(120)는 제 1 광 투과부(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 광 투과부(1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 1 광 투과부(110)의 복수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제 1 광 투과부(110)의 상측 모서리에 제 2 광 투과부(120)가 연결된 차량용 램프(100)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제 1 광 투과부(110)의 상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에 제 2 광 투과부(120)가 각각 연결된 차량용 램프(101)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제 2 광 투과부(120)가 구비됨에 따라 광원부(130)의 광은 복수의 제 2 광 투과부(120)를 투과하여 복수의 제 2 투과광(L2)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투과광(L1) 및 제 2 투과광(L2)에 의하여 형성되는 광 신호는 턴 시그널 광 신호 또는 웰컴 광 신호를 포함한다. 한편, 턴 시그널 광 신호 및 웰컴 광 신호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광원부(130)는 턴 시그널 광 신호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색상의 광 또는 웰컴 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색상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턴 시그널 광 신호의 형성을 위하여 광원부(130)는 황색 광을 조사하고, 웰컴 광 신호의 형성을 위하여 광원부(130)는 청색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광원부(130)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30)는 황색 광을 조사하는 황색 광원 및 청색 광을 조사하는 청색 광원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광원부(130)는 턴 시그널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 황색 광원을 점등시키고, 웰컴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청색 광원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는, 광원부(130)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하나의 다색 광원(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턴 시그널 개시 신호 또는 웰컴 개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광원부(130)는 다색 광원을 제어하여 상황에 맞는 색상의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130)는 무색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는 색상 필름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색의 색상 필름이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에 부착될 수 있다. 색상 필름이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에 부착됨에 따라 제 1 투과광(L1) 및 제 2 투과광(L2)은 색상이 포함되어 관찰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에 부착되는 색상 필름의 색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광 투과부(110)에는 황색의 색상 필름이 부착되고, 제 2 광 투과부(120)에는 청색의 색상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광 투과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광 투과부(121, 122)는 제 1 광 투과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광 투과 패널(410), 및 특정 색상으로 광원부(130)의 광을 투과시키는 색상 필름(420)을 포함한다.
색상 필름(4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패널(4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패널(41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색상 필름(420)이 광 투과 패널(410)에 구비됨에 따라 제 2 광 투과부(121, 122)를 투과한 제 2 투과광(L2)은 색상 필름(420)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관찰자에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 필름(420)은 광 투과 패널(410)의 전체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 필름(420)은 광 투과 패널(410)의 일부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복수의 색상 필름(42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광 투과 패널(410)에 부착된 제 2 광 투과부(123)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색상 필름(420)이 일정간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관찰자에게는 색상 필름(420)에 의한 색상을 갖는 제 2 투과광(L2)과 광원부(130)의 색상을 갖는 제 2 투과광(L2)이 모두 인식될 수 있게 된다.
광 투과 패널(410)에 부착된 복수의 색상 필름(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색상을 가진 것일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제 2 광 투과부(124)와 같이 상이한 색상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상이한 색상을 갖는 복수의 색상 필름(420, 430)이 광 투과 패널(410)에 부착됨에 따라 관찰자에게는 복수의 색상을 혼합한 혼합색의 제 2 투과광(L2)이 인식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광 투과 패널(410)의 일면에 복수의 색상 필름(420)이 부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광 투과 패널(410)의 내부에 복수의 색상 필름(4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광 투과부(125)는 제 1 광 투과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광 투과 패널(410), 및 입사된 광 중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 필름(440)을 포함한다.
광원부(130)가 점등된 경우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부(130)에 의한 광 중 일부는 하프 미러 필름(440)을 투과하여 관찰자에 의하여 관측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어 관찰자에 의하여 관측되지 않는다. 즉, 관찰자는 광원부(130)의 광을 관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광원부(130)가 점등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램프(100)의 외부가 보다 밝은 상태를 갖게 되며, 차량용 램프(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광 중 일부는 하프 미러 필름(440)을 투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된다. 이러한 경우 하프 미러 필름(440)을 투과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로 입사된 광에 의한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 모습보다는 하프 미러 필름(440)에 의하여 반사된 광이 관찰자에게 크게 작용하게 된다. 하프 미러 필름(440)의 광 투과율 및 광 반사율의 비율이 50:50이라고 할 때, 차량용 램프(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100%의 광 중 하프 미러 필름(440)에 의하여 반사된 반사광은 50%인 반면, 하프 미러 필름(440)을 투과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로 입사되고 또 다시 하프 미러 필름(440)을 투과하여 출사되는 광은 25%인 것이다.
따라서, 제 2 광 투과부(125)에 하프 미러 필름(440)이 구비됨에 따라 광원부(130)가 비점등된 경우 제 2 광 투과부(125)가 알루미늄 또는 크롬이 증착된 것과 같이 외부 광을 반사시켜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에 구비된 복잡한 부품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광원부(130)가 점등된 경우 제 2 광 투과부(125)가 광원부(130)의 광을 일부 투과시켜 턴 시그널 광 신호 및 웰컴 광 신호는 정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광 투과부(126)가 광 투과 패널(410), 색상 필름(420) 및 하프 미러 필름(440)으로 구성된 경우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 모습의 노출 방지 및 색상이 포함된 광 신호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광 투과부(127)는 제 1 광 투과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 광 투과 패널(410), 및 광 투과 패널(410)에 하프 증착된 금속 산화물(450)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니켈, 크롬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산화물(450)이 광 투과 패널(410)에 하프 증착됨에 따라 제 2 광 투과부(127)는 입사하는 광 중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킨다.
이에, 광원부(130)가 점등된 경우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부(130)에 의한 광 중 일부는 제 2 광 투과부(127)를 투과하여 관찰자에 의하여 관측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어 관찰자에 의하여 관측되지 않는다. 이 때, 제 2 광 투과부(127)는 광원부(130)의 광을 일부 투과시켜 턴 시그널 광 신호 및 웰컴 광 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염료와 함께 금속 산화물(450)을 광 투과 패널(410)에 하프 증착하는 경우 색상이 포함된 광 신호의 구현도 가능하다.
한편, 광원부(130)가 비점등된 경우 제 2 광 투과부(127)는 외부 광을 반사시켜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에 구비된 복잡한 부품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광 중 일부가 제 2 광 투과부(127)를 투과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에까지 전달될 수 있지만, 내부에 전달된 광 중에서도 일부만이 제 2 광 투과부(127)를 투과하여 출사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눈에는 외부 광이 직접 제 2 광 투과부(127)에 의하여 반사된 광이 보다 크게 작용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전조등(10)의 일측 모서리 또는 복수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광원부(130)는 복수의 광원(S1~S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원부(130)는 제 1 광 투과부(110) 및 제 2 광 투과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S1~S8)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광원(S1~S8)에 의하여 조사된 광 중 일부는 제 1 광 투과부(110)를 투과하여 제 1 투과광(L1)을 형성하고, 각 광원(S1~S8)에 의하여 조사된 광 중 다른 일부는 제 2 광 투과부(120)를 투과하여 제 2 투과광(L2)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S1~S8)은 사전에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점등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광원(S1~S8)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에 턴 시그널 개시 신호 또는 웰컴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 각 광원(S1~S8)은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것이다. 점등이 지속되는 시간 간격 ?n 및 소등이 지속되는 시간 간격 ?f는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는 동일한 시점에 모든 광원(S1~S8)의 점등 및 소등이 개시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순차적으로 각 광원(S1~S8)의 점등 및 소등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S2->S3->S4->S5->S6->S7->S8의 순서로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이 수행되거나 S8->S7->S6->S5->S4->S3->S2->S1의 순서로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S1~S8)은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에 턴 시그널 개시 신호 또는 웰컴 개시 신호가 입력된 경우 S1->S2->S3->S4->S5->S6->S7->S8의 순서로 광원의 점등이 수행되는 것이다. 각 광원(S1~S8)간의 점등 시간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S8->S7->S6->S5->S4->S3->S2->S1의 순서로 광원의 점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S1, S2)->(S3, S4)->(S5, S6)->(S7, S8)와 같이 복수의 광원이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다.
광원부(13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S1~S8)은 점등된 순서대로 소등이 수행될 수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소등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광원부(13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S1~S8) 전체가 점등된 이후에 광원(S1~S8) 전체가 동시에 소등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차량용 램프
110: 제 1 광 투과부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제 2 광 투과부
130: 광원부
410: 광 투과 패널
420, 430: 색상 필름
440: 하프 미러 필름
450: 금속 산화물
L1: 제 1 투과광
L2: 제 2 투과광
S1~S8: 광원

Claims (10)

  1.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을 투과시켜 제 1 투과광을 출사하는 제 1 광 투과부; 및
    상기 제 1 광 투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광을 투과시켜 제 2 투과광을 출사하는 제 2 광 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광 투과부 및 상기 제 2 광 투과부는 전조등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광 투과부는 상기 제 1 광 투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광 투과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패널은 입사하는 광 중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고,
    상기 제 1 광 투과부의 광 출사면은 전방을 향하고,
    상기 제 1 광 투과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 2 광 투과부의 광 출사면은 상측을 향하며,
    상기 제 2 광 투과부는 상기 광 투과 패널에 하프 증착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과광 및 상기 제 2 투과광은 턴 시그널(turn signal) 광 신호 또는 웰컴 광 신호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턴 시그널 광 신호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색상의 광 또는 상기 웰컴 광 신호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색상의 광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 투과부는 특정 색상으로 상기 광을 투과시키는 색상 필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필름은 상기 광 투과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광 투과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필름은 상기 광 투과 패널의 전체 면 또는 일부 면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 1 광 투과부 및 상기 제 2 광 투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사전에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 투과부는 베젤(bezel)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087321A 2015-06-19 2015-06-19 차량용 램프 KR10177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21A KR101776814B1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21A KR101776814B1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44A KR20160149744A (ko) 2016-12-28
KR101776814B1 true KR101776814B1 (ko) 2017-09-14

Family

ID=5772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321A KR101776814B1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8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61B1 (ko) * 2014-03-14 2014-10-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32A (ko) 2008-06-25 2010-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61B1 (ko) * 2014-03-14 2014-10-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44A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412B2 (en) Color light guide applying lamp for vehicle
KR20100114916A (ko) 광빔 및 홀로그래픽 3d 영상을 발생하는 차량용 조명 장치
KR101451861B1 (ko) 차량용 램프
US10697608B2 (en) Lamp for vehicle
JP2018197010A (ja) 車両用灯具
KR101672031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US7572041B2 (en) Vehicle lamp
CN104110631B (zh) 基于投影原理的智能前照灯
JP4404626B2 (ja) 車両用灯具
CN105444084B (zh) 汽车信号灯
KR101295825B1 (ko) 차량용 포지션 램프 및 턴 시그널 램프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61928A (ko) 차량용 램프
KR101776814B1 (ko) 차량용 램프
JP6980510B2 (ja) 窓部材
JP2018106942A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灯具
JP5151316B2 (ja) 車両用ランプ
KR20210064666A (ko) 차량용 램프
JPS6315685B2 (ko)
KR101959785B1 (ko) 차량용 램프 및 상기 차량용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
TWI818781B (zh) 車燈及包含車燈的車輛
JP7139140B2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付きウィンドウパネル、車載ディスプレイ
KR20210028372A (ko) 차량용 램프
JP5171244B2 (ja)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