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684B1 -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684B1
KR101776684B1 KR1020160087974A KR20160087974A KR101776684B1 KR 101776684 B1 KR101776684 B1 KR 101776684B1 KR 1020160087974 A KR1020160087974 A KR 1020160087974A KR 20160087974 A KR20160087974 A KR 20160087974A KR 101776684 B1 KR101776684 B1 KR 10177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alloy
extrusion
heat exchanger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택
김용호
김정한
유효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9/00Cooling or heating work or parts of the extrusion press; Gas treatment of work
    • B21C29/003Cooling or heating of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0/00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 F28F2260/02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having micro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미시메탈(misch metal) 0.1~2.0 중량%, 규소(Si) 0.3 중량% 이하, 철(Fe) 0.7 중량% 이하, 구리(Cu) 0.5 중량% 이하, 아연(Zn) 0.3 중량% 이하 및 망간(Mn) 0.1~2.5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알루미늄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미시메탈(misch metal)의 첨가 및 미시메탈(misch metal), 규소(Si), 철(Fe), 구리(Cu), 아연(Zn), 망간(Mn) 등과 같은 원소들의 함량 관계에 의해 향상된 내식성 및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열교환기 부품, 특히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의 압출성형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Aluminum alloy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strength, and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합금 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성분들의 조합에 의해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알루미늄의 열교환기 소재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열교환기는 에너지 절감의 달성 및 친환경 부품 수요의 확대로 인해 고효율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열교환기의 경량화를 위해 열교환기 소재가 구리에서 알루미늄으로 대체되고 있고, 열교환기의 고효율화를 위해 열교환기 타입이 핀(Fin) 타입이나 매크로튜브(macro-tube) 타입에서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타입으로 전환되고 있다.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타입의 열교환기는 열교환 효율이 높고 냉매 주입량이 감소되며, 단일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리사이클링이 가능한 친환경 열교환기이다. 현재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타입의 알루미늄 열교환기는 경량화 및 고효율화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열교환기의 95%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가정용 에어컨의 경우 에너지 등급 규제 등으로 인해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타입의 알루미늄 열교환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열교환기의 수명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소재인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의 재료를 구리에서 알루미늄으로 대체하는 경우 내부식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내식성을 가진 열교환기 소재용 알루미늄 합금의 개발이 요구된다. 고내식성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464호에는 철(Fe) 0.05 내지 0.5 중량%, 규소(Si) 0.01 내지 0.2 중량%, 망간(Mn) 0.6 내지 1.2 중량%, 및 구리(Cu) 0.15 내지 0.45 중량%를 포함하고, 추가로 티타늄(Ti), 스트론튬(Sr), 크롬(Cr), 지르코늄(Zr), 및 이트륨(Y)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금원소 0.01 내지 0.1 중량%를 포함하며, 나머지 잔량부가 알루미늄(Al)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석출물 중 면적이 2.0 ㎛2 이상인 석출물이 직경이 100 ㎛인 원의 단위면적당 40개 이하로 존재하고, 면적이 2.0 ㎛2 이상인 임의의 석출물을 기준으로 이에 인접하고 면적이 2.0 ㎛2 이상인 다른 석출물 중 상기 석출물과의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10개의 석출물과의 거리의 평균인 석출물간 평균거리가 10 내지 40 ㎛인, 열교환기 배관용 알루미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3221호에는 0.05 내지 0.5wt.%의 철과, 0.05 내지 0.2wt.%의 규소와, 0.6 내지 1.2wt.%의 망간과, 0.15 내지 0.45wt.%의 구리를 함유하고, 잔부가 알루미늄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용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3555호에는 망간(Mn) 0.6 내지 1.2 중량%, 철(Fe) 0.1 내지 0.3 중량%, 구리(Cu) 0.1 내지 0.5 중량%, 아연(Zn) 0.15 내지 0.6 중량%, 및 티타늄(Ti) 0.05 내지 0.3 중량%를 포함하고, 나머지 잔량부가 알루미늄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배관용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열교환기 소재용 알루미늄 합금은 규소(Si), 철(Fe), 구리(Cu), 망간(Mn), 마그네슘(Mg), 지르코늄(Zr) 등의 원소 함량 제어를 통해 소정의 내식성을 달성하고 있으나,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에 요구되는 내식성을 만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하여 정교한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압출성형성을 가진 알루미늄 합급 및 정밀 압출 공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 합금의 열교환기 부품 소재로의 용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미시메탈(misch metal) 0.1~2.0 중량%, 규소(Si) 0.3 중량% 이하, 철(Fe) 0.7 중량% 이하, 구리(Cu) 0.5 중량% 이하, 아연(Zn) 0.3 중량% 이하 및 망간(Mn) 0.1~2.5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알루미늄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미시메탈(misch metal) 0.2~1.5 중량%, 규소(Si) 0.05~0.25 중량%, 철(Fe) 0.1~0.3 중량%, 구리(Cu) 0.2~0.4 중량%, 아연(Zn) 0.05~0.25 중량% 및 망간(Mn) 0.3~1.5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알루미늄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내식성 및 강도를 모두 고려할 때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미시메탈(misch metal) 0.2~1.0 중량%, 규소(Si) 0.05~0.25 중량%, 철(Fe) 0.1~0.3 중량%, 구리(Cu) 0.2~0.4 중량%, 아연(Zn) 0.05~0.25 중량% 및 망간(Mn) 0.3~1.5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알루미늄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내식성 및 압출 성형성을 모두 고려할 때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미시메탈(misch metal) 0.5~1.5 중량%, 규소(Si) 0.05~0.25 중량%, 철(Fe) 0.1~0.3 중량%, 구리(Cu) 0.2~0.4 중량%, 아연(Zn) 0.05~0.25 중량% 및 망간(Mn) 0.3~1.5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알루미늄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기지 조직에 세륨(Ce)이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술한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하여 압출재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압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500℃, 더 바람직하게는 200~4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은 내식성 또는 압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전에 어닐링(annealing) 하거나 상기 압출재를 어닐링(annealing)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어닐링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0~650℃, 더 바람직하게는 550~600℃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어닐링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20 hr인, 더 바람직하게는 12~18 hr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열교환기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술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된 열교환기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에서 상기 성형은 바람직하게는 압출성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 부품에서 상기 열교환기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술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전술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헤더 파이프(header pipe)를 구비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상기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상기 압출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500℃, 더 바람직하게는 200~400℃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미시메탈(misch metal)의 첨가 및 미시메탈(misch metal), 규소(Si), 철(Fe), 구리(Cu), 아연(Zn), 망간(Mn) 등과 같은 원소들의 함량 관계에 의해 향상된 내식성 및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열교환기 부품, 특히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의 압출성형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Ø12㎜(직경)의 봉상 압출재를 제조할 때 압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의 상 다이어그램을 Pand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이다.
도 3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XRD((X-ray Diffraction Spectroscopy)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O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상 분율(phase fraction)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O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IPF(Inverse Pole Figure) 이미지이다.
도 9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boundary angle map이다.
도 10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IPF(Inverse Pole Figure) 이미지이다.
도 11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boundary angle map이다.
도 12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인장 특성을 상온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3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인장 특성을 상온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4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인장 특성을 고온 조건(Test temperature : 420℃, holding time : 20 min)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5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 측정 결과이고, 도 16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 측정 결과를 mmPy와 Duration으로 환산한 결과이다.
도 17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 AlTiB 또는 AlB를 첨가하거나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의 망간(Mn)을 미시메탈(misch metal)로 대체하여 제조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를 다양한 압출 속도에서 압출성형하여 압출 시편을 제조할 때 압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PFC tube용 금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PFC tube의 전체 형상 및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다수의 마이크로채널을 구비한 PFC tube를 제조할 때 압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방법
(1)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 및 압출용 빌렛(billet)의 제조
고주파유도로 내의 카본 도가니에 알루미늄(Al) 및 합금 원소를 첨가하고 800℃ 온도에서 용해한 후, 200℃로 예열된 Ø75㎜(직경)×280㎜(길이) 크기의 금형에 출탕하여 주조재를 제조하였다. 이후, 주조재를 압출에 적합하도록 Ø70㎜×90㎜로 선반 가공하여 빌렛을 제조하였다.
(2) 압출재의 제조(Ø12 봉상)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압출기는 내부 크기가 Ø75㎜(직경) 및 405㎜(길이)이고 450℃까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500톤 압력 용량을 갖는 수평식 복동 압출기이다. 압출 전에 빌렛을 전기로에서 400℃ 온도로 예열하였고,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조건은 압출비가 37:1이고 컨테이너 온도 350℃이고 압출 다이의 온도는 200℃이며, 최종적으로 Ø12㎜(직경)의 봉상 압출재를 제조하였다.
(3) 인장시험
압출재의 인장 시편으로 16㎜의 표점 거리와 6㎜의 폭을 가지는 봉상 시편을 사용하였다. 기계적 성질을 분석하기 위해 10-3/s 변형속도로 만능인장시험기(Shimadzu AG-IS)를 사용하여 파단이 일어날 때까지 수행하였고, 상온(원소재 및 570℃-1hr 열처리 시편) 및 420℃ 고온(570℃-1hr 열처리 시편) 조건으로 시험하였다.
(4) 전기화학 부식시험
알루미늄 합금에 첨가된 원소의 변화에 따른 부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ASTM G102(89) 규격으로 3.5wt% NaCl 수용액 내에서 Bio Logic SASSP200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화학 부식시험을 실시하였다. Ø12㎜(직경)의 봉상 압출재를 부식 시험 규격에 맞게 압연하여 폭 15㎜ 및 길이 1200㎜의 알루미늄 합금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후, 알루미늄 합금 시편을 570℃에서 1hr 동안 열처리 하였다.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알루미늄 합금 시편을 사용하고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으로 그라파이트 로드(graphite rod)를 사용하였으며, 전극의 표면적은 1㎠ 이었다.
(5) 시편준비 및 집합조직 분석
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주조재 또는 압출재를 #600, #800, #1200까지 연마 후 DP suspension 3㎛, 1㎛로 연마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EBSD Kikuchi 패턴은 표면으로부터 10~20 ㎚ 두께에서 측정되므로 집합조직 분석을 하기 위해 10% Perchloric acid(과염소산) 전해액으로 전해 연마하여 표면의 잔류 응력을 최소화하고 시편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을 초음파 세척을 통해 제거하였다. 집합조직은 주사전자현미경(FESEM; JSM7000F, JEO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TSL OIM 4.6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tep size 0.5㎛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2.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원소 조성
하기 표 1에 본 실험에서 사용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원소 조성을 나타내었다.
합금
구분
합금 원소 및 함량(wt%)
Al Si Fe Cu Mn Zn MM AlTiB AlB
Base 합금 Balance 0.15 0.2 0.3 0.9 0.15 - - -
Base 변경합금1 Balance 0.15 0.2 0.3 1.5 0.15
Base 변경합금2 Balance 0.15 0.2 0.3 2.1 0.15
합금1 Balance 0.15 0.2 0.3 0.9 0.15 0.2 - -
합금2 Balance 0.15 0.2 0.3 0.9 0.15 0.5 - -
합금3 Balance 0.15 0.2 0.3 0.9 0.15 1.0 - -
합금4 Balance 0.15 0.2 0.3 0.9 0.15 1.5 - -
합금5 Balance 0.15 0.2 0.3 0.9 0.15 - 0.1 -
합금6 Balance 0.15 0.2 0.3 0.9 0.15 - 0.5 -
합금7 Balance 0.15 0.2 0.3 0.9 0.15 - 1.0 -
합금8 Balance 0.15 0.2 0.3 0.9 0.15 - 1.5 -
합금9 Balance 0.15 0.2 0.3 0.9 0.15 - - 2.0
합금10 Balance 0.15 0.2 0.3 - 0.15 1.0 - -
A1100 Balance 0.09 0.54 0.14 0.01 0.01 - - -
* Base 합금 : 상용 알루미늄 합금인 A3004
* MM : 미시메탈(misch metal)로서, 약 40~55 wt%, 바람직하게는 약 50 w%의 세륨(Ce)과 란타늄(La, 약 20~40 w%, 바람직하게는 약 25 w%), 네오듐 등의 희토류 원소 약 45~60 wt%를 포함하는 희토류 원소의 합금
* A1100 : 상용 알루미늄 합금인 A1100
* Base 합금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
* Base 변경합금1의 표기 : Al-0.15Si-0.2Fe-0.3Cu-1.5Mn-0.15Zn
* Base 변경합금2의 표기 : Al-0.15Si-0.2Fe-0.3Cu-2.1Mn-0.15Zn
* 합금1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 합금2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 합금3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 합금4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 합금5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0.1AlTiB
* 합금6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0.5AlTiB
* 합금7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1.0AlTiB
* 합금8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1.5AlTiB
* 합금9의 표기 : Al-0.15Si-0.2Fe-0.3Cu-0.9Mn-0.15Zn-2.0AlB
* 합금10의 표기 : Al-0.15Si-0.2Fe-0.3Cu-0.15Zn-1.0MM
* A1100의 표기 : Al-0.09Si-0.54Fe-0.14Cu-0.01Mn-0.01Zn
3.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가공 특성
도 1은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Ø12㎜(직경)의 봉상 압출재를 제조할 때 압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2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Ø12㎜(직경)의 봉상 압출재를 제조할 때 압출 가공 조건 및 압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Max pressure
(㎏f)
Ram speed
(㎜/sec)
Specimen speed
(m/min)
Extrudability
Al-0.15Si-0.2Fe-0.3Cu-0.9Mn-0.15Zn 217 7 17.72 Excellent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219 7 15.10 Excellent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219 7 14.82 Excellent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225 7 14.79 Excellent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247 7 12.98 Excellent
4. 미시메탈( misch metal) 첨가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의 상 다이어그램, 결정 및 조직 특성
도 2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의 상 다이어그램을 Pand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이다.
도 3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XRD((X-ray Diffraction Spectroscopy)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O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도 5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다. 또한, 도 5에서 기호 "R"은 미시메탈(misch metal)에 함유된 Ce를 나타낸다.
도 6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상 분율(phase fraction)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하기 표 3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의 상 분율(phase fraction) 값을 나타낸 것이다.
Phase 알루미늄 합금 구분
Base 합금 합금1 합금2 합금3 합금4
Al 97.95 97.54 96.79 95.9 94.5
Al6(Fe,Mn)+
Al15(Fe,Mn)3Si2
2.05 1.91 1.93 1.99 1.96
Al11Ce3 - 0.56 1.28 2.11 3.54
도 7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O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도 8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IPF(Inverse Pole Figure) 이미지이다. 도 8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시메탈(misch metal)은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 크기를 감소시키고 등축정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9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boundary angle map이다. 도 9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도 10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IPF(Inverse Pole Figure) 이미지이다. 도 10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도 11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pattern) boundary angle map이다. 도 11에서 (a)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대한 결과이고, (b)는 Al-0.15Si-0.2Fe-0.3Cu-0.9Mn-0.15Zn-0.2MM에 대한 결과이고, (c)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에 대한 결과이고, (d)는 Al-0.15Si-0.2Fe-0.3Cu-0.9Mn-0.15Zn-1.0MM에 대한 결과이고, (e)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에 대한 결과이다.
5. 미시메탈( misch metal) 첨가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의 인장 특성
도 12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인장 특성을 상온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하기 표 4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상온 인장 특성을 다양한 파라미터로 나타낸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UTS
(㎫)
YS
(㎫)
Elongation
(%)
Uniform Elongation(%)
Al-0.15Si-0.2Fe-0.3Cu-0.9Mn-0.15Zn 103.23 51.7 34.8 14.75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100.64 55.72 33.36 13.65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86.52 46.66 39.27 16.61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82.35 42.59 41.62 16.91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85.60 41.12 44.98 20.25
도 13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인장 특성을 상온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하기 표 5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상온 인장 특성을 다양한 파라미터로 나타낸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UTS
(㎫)
YS
(㎫)
Elongation
(%)
Uniform Elongation(%)
Al-0.15Si-0.2Fe-0.3Cu-0.9Mn-0.15Zn 76.68 31.84 41.80 21.07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69.98 23.78 46.24 22.55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67.28 22.17 47.06 22.18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68.01 22.97 45.91 22.15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69.34 23.32 46.03 22.48
도 14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인장 특성을 고온 조건(Test temperature : 420℃, holding time : 20 min)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하기 표 6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를 570℃에서 16시간 동안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였을 때의 고온 인장 특성을 다양한 파라미터로 나타낸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UTS
(㎫)
YS
(㎫)
Elongation
(%)
Uniform Elongation(%)
Al-0.15Si-0.2Fe-0.3Cu-0.9Mn-0.15Zn 17.19 17.08 70.49 3.21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16.37 16.20 83.36 3.09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16.12 16.00 81.27 3.76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16.04 15.87 81.98 2.79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15.87 15.74 85.58 4.80
6. 미시메탈( misch metal) 첨가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의 부식 특성
도 15는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 측정 결과이고, 도 16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 측정 결과를 mmPy와 Duration으로 환산한 결과이다. 하기 표 7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을 mmPy와 Duration으로 나타낸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mmPy(㎜/year) Duration(hr)
Al-0.15Si-0.2Fe-0.3Cu-0.9Mn-0.15Zn 0.04736 1124.252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0.02394 2094.530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0.01919 2640.510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0.02031 2461.690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0.02093 2388.680
Al-0.09Si-0.54Fe-0.14Cu-0.01Mn-0.01Zn 0.07250 690.111
도 17은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에 미시메탈(misch metal), AlTiB 또는 AlB를 첨가하거나 Base 합금인 Al-0.15Si-0.2Fe-0.3Cu-0.9Mn-0.15Zn의 망간(Mn)을 미시메탈(misch metal)로 대체하여 제조한 알루미늄 합금 압출재의 부식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7에서 X축 "Mn"은 순서대로 Al-0.15Si-0.2Fe-0.3Cu-0.9Mn-0.15Zn, Al-0.15Si-0.2Fe-0.3Cu-1.5Mn-0.15Zn 및 Al-0.15Si-0.2Fe-0.3Cu-2.1Mn-0.15Zn을 나타내고, "MM"은 순서대로 Al-0.15Si-0.2Fe-0.3Cu-0.9Mn-0.15Zn-0.2MM,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Al-0.15Si-0.2Fe-0.3Cu-0.9Mn-0.15Zn-1.0MM 및 Al-0.15Si-0.2Fe-0.3Cu-0.9Mn-0.15Zn-1.5MM을 나타내고, "AlTiB"는 순서대로 Al-0.15Si-0.2Fe-0.3Cu-0.9Mn-0.15Zn-0.1AlTiB, Al-0.15Si-0.2Fe-0.3Cu-0.9Mn-0.15Zn-0.5AlTiB, Al-0.15Si-0.2Fe-0.3Cu-0.9Mn-0.15Zn-1.0AlTiB 및 Al-0.15Si-0.2Fe-0.3Cu-0.9Mn-0.15Zn-1.5AlTiB를 나타내고, "AlB"는 Al-0.15Si-0.2Fe-0.3Cu-0.9Mn-0.15Zn-2.0AlB를 나타내고, "Mn→MM"은 Al-0.15Si-0.2Fe-0.3Cu-0.15Zn-1.0MM을 나타낸다. 또한, "A1100" 또는 "상용합금 1100"은 Al-0.09Si-0.54Fe-0.14Cu-0.01Mn-0.01Zn을 나타낸다.
7. 미시메탈( 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의 고속 압출시 성형성 평가
내식성 및 연성이 우수한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를 다양한 압출 속도에서 압출성형할 때의 압출 압력과 압출 속도를 측정하여 고속 압출시의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압출 전에 빌렛을 380℃ 온도로 예열하고, 컨테이너 온도 350℃ 및 압출 다이 온도를 380℃로 고정한 후 Ram speed를 2.4, 7 및 14 ㎜/sec로 증가시키면서 압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도 18은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를 다양한 압출 속도에서 압출성형하여 압출 시편을 제조할 때 압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에서 기호 "R1"은 미시메탈(misch metal)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8은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를 다양한 압출 속도에서 압출성형하여 압출 시편을 제조할 때 성형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알루미늄 합금 Max pressure
(㎏f)
Ram speed
(㎜/sec)
Specimen speed
(m/min)
Extrudability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213 2.4 6.12 Excellent
187 7 10.14 Excellent
186 14 40.91 Excellent
8. 미시메탈( 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형을 통한 열교환기용 PFC(Parallel Flow Condenser) tube의 제조
미시메탈(misch metal)이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열교환기용 PFC(Parallel Flow Condenser) tube를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마이크로채널 단면을 가진 PFC tube용 금형을 설계하고,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 또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알루미늄 합금 주조재를 상기 금형을 통해 직접 압출하여 PFC tube를 제조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알루미늄 합금 빌렛 예열 온도 500℃, 압출기 컨테이너 온도 350℃ 및 압출 금형 온도 350℃ 이었고, 압출비는 307:1 이었다. 도 19는 PFC tube용 금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0은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PFC tube의 전체 형상 및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1은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다수의 마이크로채널을 구비한 PFC tube를 제조할 때 압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에서 "Specimen-1"은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한 경우이고 Specimen-2"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한 경우이다. 하기 표 9는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알루미늄 합금 또는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성형하여 다수의 마이크로채널을 구비한 PFC tube를 제조할 때 압출 가공 조건 및 압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Max pressure
(㎏f)
Ram speed
(㎜/sec)
Specimen speed
(m/min)
Extrudability
Al-0.15Si-0.2Fe-0.3Cu-0.9Mn-0.15Zn-0.5MM 266 7 51.0 Excellent
Al-0.15Si-0.2Fe-0.3Cu-0.9Mn-0.15Zn-1.5MM 264 7 61.4 Excellen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미시메탈(misch metal) 0.2~1.5 중량%, 규소(Si) 0.05~0.25 중량%, 철(Fe) 0.1~0.3 중량%, 구리(Cu) 0.2~0.4 중량%, 아연(Zn) 0.05~0.25 중량% 및 망간(Mn) 0.3~1.5 중량%를 포함하고, 잔부는 알루미늄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합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기지 조직에 세륨(Ce)이 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4.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하여 압출재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온도는 200~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전에 어닐링(annealing) 하거나 상기 압출재를 어닐링(annealing)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온도는 500~6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시간은 10~20 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부품은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부품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된 열교환기 부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은 압출성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부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부품은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헤더 파이프(header pi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부품.
  13.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헤더 파이프(header pipe)를 구비하는 열교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채널튜브(microchannel-tube) 또는 상기 헤더 파이프(header pipe)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 온도는 200~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60087974A 2016-04-29 2016-07-12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 KR101776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42 2016-04-29
KR20160052742 2016-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684B1 true KR101776684B1 (ko) 2017-09-11

Family

ID=5992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74A KR101776684B1 (ko) 2016-04-29 2016-07-12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6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667A (ja) * 1999-01-25 2000-08-02 Mitsubishi Alum Co Ltd 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し管
JP2000212668A (ja) 1999-01-25 2000-08-02 Mitsubishi Alum Co Ltd 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し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2667A (ja) * 1999-01-25 2000-08-02 Mitsubishi Alum Co Ltd 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し管
JP2000212668A (ja) 1999-01-25 2000-08-02 Mitsubishi Alum Co Ltd 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し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6791B (zh) 电子材料用Cu-Ni-Si-Co系铜合金及其制造方法
KR101277297B1 (ko) 이방성이 낮은 고강도 고연성 마그네슘 합금 압출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33385B1 (ko) 알루미늄 합금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89905A (ko)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재 및 그 제조 방법
JP5112723B2 (ja) 強度および成形性に優れたチタン合金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037744A (zh) 列车车厢用铝合金板材的制造方法
KR101773319B1 (ko) 초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열교환기 배관
CN108642346B (zh) 一种强度高耐高温铝合金建筑材料及其生产方法
JP4666271B2 (ja) チタン板
JP6723215B2 (ja) アルミニウム−亜鉛−銅(Al−Zn−Cu)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TWI519649B (zh) magnesium alloy
CA2950075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member and aluminum alloy member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594729B1 (ko) 열교환기 배관용 고강도 고내식성 알루미늄 합금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교환기 배관
JP4541934B2 (ja) 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KR20150087426A (ko) 열 저항 알루미늄 기본 합금 및 제조 방법
JP2006257475A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Al−Mg−Si系合金板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板材から得られる自動車外板
JP5059505B2 (ja) 高強度で成形が可能なアルミニウム合金冷延板
JP6223670B2 (ja) 自動車部材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4550598B2 (ja) 成形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KR101776684B1 (ko) 내식성 및 강도가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
JP2018080355A (ja) 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
JPH07197165A (ja) 高耐磨耗性快削アルミニウム合金とその製造方法
KR101776687B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알루미늄 합금 및 이의 용도
JP4257185B2 (ja) 成形加工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69941B2 (ja) 曲げ加工性に優れる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形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