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587B1 -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87B1
KR101776587B1 KR1020150150103A KR20150150103A KR101776587B1 KR 101776587 B1 KR101776587 B1 KR 101776587B1 KR 1020150150103 A KR1020150150103 A KR 1020150150103A KR 20150150103 A KR20150150103 A KR 20150150103A KR 101776587 B1 KR101776587 B1 KR 101776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hair
hair loss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746A (ko
Inventor
정일래
강세찬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및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extract of Impatiens textori Miquel}
본 발명은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발 성장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피부의 부속 기관의 하나로 생태학적으로 상피에서 유래하며, 태생 2개월째부터 형성된다. 모발의 종류는 굵기에 따라 세모(vellus hair)와 경모(terminal hair)로 분류된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두피의 성모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두피 질환이나 탈모 등은 유전적 요인, 노화의 진행, 약물 복용 등이 주된 원인이지만 최근에는 산업 발전과 함께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고, 사람들의 스트레스가 급증하면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두피 질환이나 탈모 등을 개선하기 위한 탈모 치료법의 일 예는 모발 이식법으로 모발이 나 있는 피부의 플러그를 모발이 성장하는 두피의 부위로부터 탈모 부위로 이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허비되고 상대적으로 큰 고통이 따를 뿐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든다.
또 다른 치료법으로는 약물 요법이 있는데, 예를 들어 미녹시딜(minoxidil)과 같이 두피에 바름으로써 모세혈관 확장을 통해 탈모를 방지하거나,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같이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 호르몬인 DHT(5-a dihydrotestosterone)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 등을 통해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물은 탈모 방지를 개선하는 효과는 있으나, 그에 따른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발모,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이에 관한 특허 출원으로써, 전엽음양곽, 하늘타리, 강진향, 뱀무 및 조구등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76671호), 가시오가피, 송엽, 송화, 교맥, 생지황 및 지모를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조성물(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51586호), 노근, 작약, 복신, 석위, 제니, 센나엽, 자단향, 초과, 택사, 관중, 아마인, 갈화, 강황, 괄루인, 마인 및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4-0015199호) 등과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다수의 특허 출원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려진 성분 외에 경제적이면서도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성분을 갖는 조성물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내지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내지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모낭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모발 성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탈모 치료용 약학 조성물,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모유두 세포주(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를 이용하여 본 발명 조성물 처리군, 미녹시딜 처리군 및 대조군의 세포 증식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 조성물 처리군, 미녹시딜 처리군 및 대조군의 발모 촉진 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 조성물 처리군, 미녹시딜 처리군 및 대조군의 조직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제공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내지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은 물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을 말하는 것으로, 물봉선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는 알려진 바 없으며, 다만 물봉선의 잎과 줄기는 해독과 소독 작용을 하므로 종기의 치료나 뱀에 물렸을 때 사용하며, 괴사한 살을 제거하고 피부궤양을 치료하는 작용을 하며, 뿌리는 강장효과가 있으며 멍든 피를 풀어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다.
상기 물봉선 추출물은 물봉선의 잎, 줄기, 뿌리 또는 전초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봉선의 전초를 이용한 추출물이다.
이러한 추출물은 식물 추출물을 얻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각각의 천연물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예컨대 증류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1,3-부틸렌글라이콜,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단계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탄올로는 추출의 효율성을 위하여 주정 기준으로 70% 내지 90%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봉선 추출물은 물봉선의 전초 부위를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결과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물봉선 추출물이 2.5%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의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20%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품화 시 부형제 등의 원료와 섞이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흡수되어 속쓰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내지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은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추출물,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 추출물,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L.), 백계화(Althaea rosea Canival), 및 괴각(ophora japonica L.)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추출물 및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여기에 더하여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L.), 백계화(Althaea rosea Canival), 및 괴각(ophora japonica L.) 추출물을 더욱 추가하여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추출물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기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에센스, 토닉, 크림, 팩 및 로션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왁스, 헤어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눈썹영양제, 속눈썹 영양제 및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하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물봉선 추출물과 함께 통상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성분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고,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고,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으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다. 향료는 일반적으로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겔, 파우더, 스프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 형성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물봉선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및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물봉선 추출물은 물봉선의 잎, 줄기, 뿌리 또는 전초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봉선의 전초를 이용한 추출물이다.
이러한 추출물은 식물 추출물을 얻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각각의 천연물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예컨대 증류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1,3-부틸렌글라이콜,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단계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탄올로는 추출의 효율성을 위하여 주정 기준으로 70% 내지 90%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봉선 추출물은 물봉선의 전초 부위를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결과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추출물,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 추출물,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L.), 백계화(Althaea rosea Canival), 및 괴각(ophora japonica L.)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추출물 및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이에 더하여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L.), 백계화(Althaea rosea Canival), 및 괴각(ophora japonica L.)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추출물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상기 추출물 성분 중 하나를 물봉선 추출물과 함께 포함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2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5 내지 10 중량%의 함량의 물봉선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 비 경구 제형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비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제의 기제로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와 같은 종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학 조성물은 외용제 제형인 것이며, 이와 같은 피부 외용 약학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물봉선 추출물은 1일 25~200㎎/㎏으로, 바람직하게는 50~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물봉선 추출물의 제조
충북 지역으로부터 채집한 물봉선의 전초를 세척하고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용매로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이때 추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주정을 기준으로 30% 내지 9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은 상기 물봉선 재료 1kg 와 추출 용매 10L를 100 내지 400 rpm의 교반 속도로 상온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 뒤 여과하여 감압 농축을 진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증식능 실험
인간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는 (주)Sciencell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5% FBS, 1% 항생제(antibiotics)를 함유하는 MSC 배지, 37℃, 5% CO2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X104의 세포 수로 배양하였으며, 다음 날 FBS를 포함하지 않은 MSC 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현탁하여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MTT 시약을 처리하여 세포 증식능을 확인하였다.
이때, 실험군은 생리식염수 처리군인 대조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고, 기존 발모 촉진제인 미녹시딜 처리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획득한 물봉선 추출물 처리군을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1에서 두 성분의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모두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처리한 것으로,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물봉선과 그 외 성분의 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함께 처리하였을 때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 증식능이 뛰어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발모 촉진 동물 실험
실험 동물은 일반적으로 발모 촉진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6 주령의 C57BL/6J 마우스 수컷(체중 16 내지 18g, ㈜라온바이오) 40 마리를 이용하여 1주일간 사육 조건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개시 전까지 실험 동물의 유지 및 관리는 독립된 동물 실험실에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여 사육하였다.
이때,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생리식염수 처리군인 대조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고, 기존 발모 촉진제인 미녹시딜 처리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획득한 물봉선 추출물 처리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각 군당 5마리씩 배치하였다.
실험을 개시하기 전에 각 군에 해당하는 실험 동물을 다이에틸에테르(dietylether)를 이용하여 마취시킨 후 등 쪽 피부색이 붉은 색으로 보이는 휴지기에 클리퍼(clipper)를 이용하여 체모를 1차로 제거하였고, 제모 크림(Veet, Reckitt Benckise France)을 이용하여 2차로 남은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피부에 남은 제모 크림은 에탄올로 닦아내었다. 제모된 부위에 부드러운 브러쉬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추출물과 기존 발모 촉진제로 시판되고 있는 미녹시딜 및 생리 식염수를 각각 0.2 mL씩 1일 1회씩, 약 3주간 도포하였고, 발모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물봉선 출출물은 미녹시딜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발모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한편 실험기간 동안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이 처리된 실험 동물 중 대조군에 비하여 특기할 만한 임상 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은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유의적인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에 모발 성장 촉진제로 알려진 제품과 동등하거나 우수하게 모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조직학적 검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추출물의 발모 촉진 효과를 조직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등의 털을 제모한 후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양성 대조군에는 미녹시딜 5%를, 실험군으로는 실시예 1의 추출물을 1일 1회씩, 총 3주간 충분히 도포하였다. 마우스는 실험 기간 동안 자유롭게 사료와 물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항온 항습의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3주 경과 후, 실험동물을 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약물 처리 부위로부터 2 × 3 cm 크기의 조직을 떼어내어 티슈텍 OCT 화합물(Tissue-Tek OCT Compound, Ted Pella, USA)로 충분히 포매한 후 즉시 - 80℃로 동결하였다. 이 조직을 통상적인 조직 처리 및 파라핀 포매 과정을 거쳐 약 6 mm 두께로 모낭의 결과 평행하게 초냉동 박절기(cryostat microtome)를 이용하여 절편하여 조직 슬라이드(slide)를 제작하였다. 조직 내 모낭의 상태 및 모낭의 활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조직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3은 각각 대조군, 미녹시딜 처리군 및 실시예 1 추출물 처리군의 조직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실험군에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으로 모낭의 상태가 정확히 관찰되었는데, 특히 대조군과 비교할 때 실시예 1의 추출물 처리군에서 뚜렷하게 모낭의 수가 증가하였고 모발의 성장주기(anagen)에 해당하는 모낭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527240-15
부처명: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기술사업화팀
연구사업명: 창의연구사업
연구과제명: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사멸효과 증진을 위한 항암물질 병합기술개발
기여율: 100%
주관기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기간: 2013.04.01.-2015.12.31

Claims (14)

  1. 물봉선의 전초 부위를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추출물 또는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L.), 백계화(Althaea rosea Canival), 또는 괴각(ophora japonica L.)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봉선 추출물 및 잔부의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에센스, 토닉, 크림, 팩 및 로션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8. 물봉선의 전초 부위를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uel)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봉선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20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추출물 또는 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L.), 백계화(Althaea rosea Canival), 또는 괴각(ophora japonica L.)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봉선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외용제 제형인, 탈모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50150103A 2015-10-28 2015-10-28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KR101776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03A KR101776587B1 (ko) 2015-10-28 2015-10-28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103A KR101776587B1 (ko) 2015-10-28 2015-10-28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46A KR20170049746A (ko) 2017-05-11
KR101776587B1 true KR101776587B1 (ko) 2017-09-12

Family

ID=5874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103A KR101776587B1 (ko) 2015-10-28 2015-10-28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5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746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JPH08283172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10265347A (ja) 毛髪成長期延長剤
JP2008127328A (ja) 化粧料及びそれに含有される抽出物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H0725763A (ja) 皮膚外用剤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984010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00956B1 (ko) 파이토스핑고신과 효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76004B1 (ko) 양파껍질과 비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1891B1 (ko) 섬오가피 및 문주란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10524868A (ja) ベルノニア属抽出物の使用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1018731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776587B1 (ko) 물봉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
KR20050077310A (ko) 인디고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눈썹 및 속눈썹 성장촉진제
KR102157395B1 (ko)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500B1 (ko) 육모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