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962B1 - 발 받침대 - Google Patents

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962B1
KR101775962B1 KR1020170034870A KR20170034870A KR101775962B1 KR 101775962 B1 KR101775962 B1 KR 101775962B1 KR 1020170034870 A KR1020170034870 A KR 1020170034870A KR 20170034870 A KR20170034870 A KR 20170034870A KR 101775962 B1 KR101775962 B1 KR 101775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ide plates
trea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열
Original Assignee
유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열 filed Critical 유지열
Priority to KR102017003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한 한쌍의 측판;
상기 한쌍의 측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한 한쌍의 가로판;
상기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가로판으로 결합구성하는 받침대 본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발 디딤판으로 구성되어진 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 받침대{The structure of a foot support}
본 발명은 조립식 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착석자의 발을 받쳐주는 조립식 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8 은 종래기술에 관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발받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발받침대는 좌우 양면에 복수개의 끼움돌기(11)가 이격 형성된 디딤판(10)과, 면상에 디딤판(10)의 복수개의 끼움돌기(11)가 각각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공(21,22)이 좌우로 이격되고 상하로 다단 형성된 한 쌍의 측판(20)과, 이 측판(20)에 결합되어 디딤판(10)을 지지하는 지지횡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딤판(10)은 사용자의 두 발을 받쳐줄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이루어지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략 상하면이 납작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디딤판(10)은 사용자의 발의 사이즈가 다양하므로 디딤판(10)도 다양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발의 사이즈에 의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제공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디딤판(10)의 좌우 양단부면에는 복수개의 끼움돌기(11)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며, 끼움돌기(11)는 디딤판(10)의 좌우 양단부면에 각각 2개씩 형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이때, 끼움돌기(11)는 디딤판(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딤판(10)의 면상에는 좌우로 길게 연장된 복수개의 통기공(13)이 상하로 다단 형성되며, 중앙에는 통기공(13)에 비해 좌우로 길이가 짧은 장공 형태의 삽입공(4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판(20)은 디딤판(10)의 좌우 양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8과 같이 대략 상단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측판(20)의 면상에는 디딤판(10)의 복수개의 끼움돌기(11)가 각각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공(21,22)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하로 다단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단에 형성된 끼움공(21,22)은 2개로 이루어지며 상하 3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측판(20)의 면상에는 끼움공(21,22) 사이에 상기 지지횡바(30)의 단부가 결합되는 보조끼움공(23,24)이 형성된다. 측판(20)의 보조끼움공(23,24)과 끼움공(21,22)은 각각 장공 형태로서 서로 수직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양단부에 측판(20)의 보조끼움공(23)에 끼워지는 보조끼움돌기(32)가 일체로돌출된다. 중간지지횡바(40)는 상면에 디딤판(10)의 삽입공(1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1)가 일체로 돌출되고 양단부에 측판(20)의 보조끼움공(24)에 끼워지는 보조끼움돌기(42)가 일체로 돌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의 발 받침대는 수시로 발의 경사각도를 바꾸고 싶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분해하여 다시금 조립해야 하는 매우 불편한 점이 있다. 발을 자유롭게 위치하고 싶을 경우 즉 발을 넓게 벌리고 싶을 경우에는 측판이 있음으로 인하여 발판을 아주 크게 맞춤을 하여야 할 것이나 발판이 너무 큰 것은 다른 면에서 아주 불편을 초해할 수 있다.
종래기술은 구조상 측판이 디딤판보다 커서 오히려 사용자에게 지장을 줄 수 있다.
1.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512405 (2015.04.09) 2.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7-0009174(2017.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번째 목적으로는 수시로 발의 경사각도를 바꾸고 싶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단한 조작 즉 디딤판을 들어올리고 보조횡바를 올려놓는 것으로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편리하다.
두번째로는 발판을 작은 규격으로 제작하면서도 발을 자유롭게 위치하고 싶을 경우 즉 발을 넓게 벌리고 싶을 경우에도 자유롭게 할 수있어 프리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관함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름에 신선하게 발을 관리할 수도 있고 지압의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한 한쌍의 측판;
상기 한쌍의 측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한 한쌍의 가로판;
상기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가로판으로 결합구성하는 받침대 본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발 디딤판으로 구성하여 발받침대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측판에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끼움공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 디딤판은 하부에 지지대와 결합하되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공에 보조횡바를 삽입하여 발디딤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디딤판은 가로형태로 통기공을 구성하도록 세조각 이상의 조각판넬을 이격하여 결합구성하되 못이나 나사못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통기공에 지지횡바를 삽입하여 지압의 효과와 지지횡바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유통이 더욱 잘이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측판에는 3단계로 발 디딤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제1내지 제3끼움공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측판과 한쌍의 가로판은 결합수단으로서 나사못이나 못으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첫째 수시로 발의 경사각도를 바꾸고 싶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둘째 발판을 작은 규격으로 제작하면서도 발을 자유롭게 위치하고 싶을 경우 즉 발을 넓게 벌리고 싶을 경우에도 자유롭게 할 수 는 프리사이즈의 기능이 있다.
세째 보관함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넷째 여름에 신선하게 발을 관리할 수도 있고 지압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제1도는 받침대 본체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발 디딤판을 보이는 도이다.
제3도는 보조횡바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지지횡바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받침대 본체에 보조횡바를 재치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제2도와 제5도를 결합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가장 낮은 발받침대의 결합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종래의 기술에 관한 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내지 도2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한 한쌍의 측판(140,150);
상기 한쌍의 측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한 한쌍의 가로판(160,170);
상기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가로판으로 결합구성하는 받침대 본체(100);
상기 받침대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하는 발 디딤판(200)으로 구성하여 발받침대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측판에는 3단계로 발 디딤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제1내지 제3끼움공(110,120,130)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측판(140,150)과 한쌍의 가로판(160,170)은 결합수단으로서 나사못이나 못으로 결합하여 받침대 본체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발 디딤판(200)은 하부에 디딤판 제1지지대(240),디딤판제2지지대(250)와 결합하되 결합수단은 못이나 나사못에 의하여 결합구성한다.
그러나 어떤 수단으로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제1내지 제3끼움공에 보조횡바(300)를 삽입하여 발디딤판(2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보조횡바(300)를 제1끼움공에 결합하면 발 디딤판(200)의 경사도는 가장 가파르게 구성된다.
필요와 선호도에 따라서 제1내지 제3끼움공에 삽입하여 발경사도를 조절한다.
가장 낮는 경사도는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표준으로 제시한다.
또한, 상기 발디딤판(200)은 가로형태로 제1내지 제3통기공(210,220,230)을 구성하도록 세조각 이상의 조각판넬을 이격하여 결합구성하되 못이나 나사못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네조각의 판넬을 이격하여 결합구성하여 세군데의 통기공을 구성하였다.
도면제3도 내지 6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여기서 상기 제1내지 제3 통기공(210,220,230)에 제1내지 제3지지횡바(410,420,430)를 삽입하되 지지횡바는 발이 닿는 부분인 상부는 각도를 가지고 구성되어 사용자가 발을 디딤판을 사용할 경우에 지압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을 디딜경우에 지지횡바들(4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유통이 더욱 잘이뤄지도록 구성한다.
지지횡바들(400)을 디딤판의 이격된 부분에 각 각 삽입을 하는 것이다.
선호도에 따라서 어느 한부분을 삽입하든지 두군데 혹은 세군데를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지지횡바인 410을 디딤판의 조각판넬을 이격하여 구성한 제1통기공사이에 삽입을 한다. 구성시에 지지횡바의 두께를 제1통기공에 적절하게 맞추어 가공한다.
삽입할 시에는 411,412부분은 각 각 디딤판 제1지지대(240)와 디딤판 제2지지대(250)에 놓여지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여야 발의 움직임에 의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머지 제2지지횡바인 420의 가장자리 부분인 421,422부분도 디딤판 제1 및 제2지지대에 놓여지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제3지지횡바도 동일하게 디딤판에 삽입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보조횡바는 도면6에 의하면 제1끼움공(110)에 삽입하여 발받침대의 경사각도가 가장 가파르게 구성한 것이다.
제7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평상시에 받침대 본체(100)과 디딤판을 결합하는 것을 보이는 도로써 보통수준의 경사도를 가질 때에 이와 같이 결합구성한다.
발받침대의 본체에는 사각형의 공간이 구성된 것으로 받침대와 동시에 보관함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디딤판 제1지지대(240)와 디딤판 제2지지대(250)의 외곽부는 받침대 본체의 내부공간의 최외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즉 디딤판 제1지지대(240)와 디딤판 제2지지대(250)는 받침대 본체의 내부공간부에 잘들어 맞도록 구성하여 디딤판을 받침대 본체에 삽입할 때에 맞도록 하여 받침대를 사용시에 발의 힘으로 인하여 좌우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진 경사면위에 놓였을지라도 손으로 들어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제4지지횡바인 260에 해당하는 것은 발이 경사진 면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의자에 앉은 착석자의 신체조건, 의자에 앉는 습관, 의자의 높이 및 형태 등에 따라 착석자가 발을 올려놓을 때 가장 편안한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디딤판 11,50:복수개의 끼움돌기 13:통기공 20:측판 21,22:끼움공
23,24:보조끼움공 30:지지횡바 32,42:보조끼움돌기 41:삽입공
100:받침대 본체 110:제1끼움공 120:제2끼움공 130:제3끼움공
140,150:한쌍의 측판 160,170:한쌍의 가로판
200:디딤판 210:제1통기공 220:제2통기공 230:제3통기공
240:디딤판 제1지지대 250:디딤판제2지지대 260:제4지지횡바
300: 보조횡바 310:제4끼움공
400:지지횡바 410:제1지지횡바 420:제2지지횡바 430:제3지지횡바
411,421,431:디딤판제1지지대에 접촉하는 면
412,422,432:디딤판제2지지대에 접촉하는 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한 한쌍의 측판;
    상기 한쌍의 측판에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끼움공;
    상기 끼움공에 디딤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보조횡바;
    상기 한쌍의 측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한 한쌍의 가로판;
    상기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가로판으로 결합구성하는 받침대 본체;
    상기 받침대 본체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기 디딤판으로 구성되어진 발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은 가로형태로 세조각 이상의 판넬을 이격하여 구성하되 상기 디딤판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디딤판 지지대를 직각으로 교차구성하여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과 판넬사이를 이격 구성한 곳에 지지횡바를 삽입하여 지압의 효과와 상기 지지횡바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유통이 이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판에는 3단계로 발 디딤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끼움공은 3개의 끼움공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가로판은 결합수단으로서 나사못이나 못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디딤판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내부공간의 최외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딤판 지지대는 디딤판 제1지지대와 디딤판 제2지지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받침대.
KR1020170034870A 2017-03-20 2017-03-20 발 받침대 KR101775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70A KR101775962B1 (ko) 2017-03-20 2017-03-20 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70A KR101775962B1 (ko) 2017-03-20 2017-03-20 발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962B1 true KR101775962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70A KR101775962B1 (ko) 2017-03-20 2017-03-20 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265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지아이엘 발받침대
KR20200114940A (ko) 2019-03-27 2020-10-07 이재현 발받침대
KR20230089988A (ko) * 2021-12-14 2023-06-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신발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37Y1 (ko) * 2006-03-28 2006-06-08 김병수 전신 마사지 및 지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37Y1 (ko) * 2006-03-28 2006-06-08 김병수 전신 마사지 및 지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265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지아이엘 발받침대
KR102241331B1 (ko) * 2018-10-22 2021-04-16 주식회사 지아이엘 발받침대
KR20200114940A (ko) 2019-03-27 2020-10-07 이재현 발받침대
KR20230089988A (ko) * 2021-12-14 2023-06-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신발장
KR102600436B1 (ko) 2021-12-14 2023-11-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받침대가 구비되는 신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962B1 (ko) 발 받침대
US20090144905A1 (en) Recumbent therapeutic mattress support
US20060170273A1 (en) Chair for healthy sitting
US6554782B2 (en) Chairmat with foot massage area
KR20170009174A (ko) 조립식 발받침대
US6715840B2 (en) Furniture support system
US20210015262A1 (en) Modular standing board
CA2397220A1 (en) Portable foot rest
US20230020270A1 (en) Balance training device
KR102630733B1 (ko) 다기능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
JP3109775U (ja) 小便器用踏み台
JP6779592B1 (ja) クライミング遊具およびクライミング遊具用パネル
JPH084637B2 (ja) エアロビック体操用の高さ調節可能な壇構造体
JP2018079306A (ja) 天板付什器
WO2018084171A1 (ja) 天板付什器
JP6710146B2 (ja) 天板付什器
KR200489676Y1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101697507B1 (ko) 교의
JPS631899Y2 (ko)
KR200252906Y1 (ko) 견고하면서도 안정성이 있고 편리한 침대 가구
KR100755502B1 (ko) 계단식 좌식방석
KR200373451Y1 (ko) 독서실용 책상의 발판
JP2024073692A (ja) 高低差解消用足場
TWM647625U (zh) 桌體結構
JP3113544U (ja) 幼児用椅子の転倒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