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867B1 - 멀티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멀티 도로표지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5867B1 KR101775867B1 KR1020170029112A KR20170029112A KR101775867B1 KR 101775867 B1 KR101775867 B1 KR 101775867B1 KR 1020170029112 A KR1020170029112 A KR 1020170029112A KR 20170029112 A KR20170029112 A KR 20170029112A KR 101775867 B1 KR101775867 B1 KR 101775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body
- reflection module
- main body
- body part
- refl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앵커몸체부와,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모듈과,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에 상기 반사모듈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앵커몸체부 상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력이 작용 시에는 상기 앵커몸체부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모듈은 상기 앵커몸체부 상측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측 외부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모듈의 메인몸체부는 측단면상 형태가 양측 대칭으로 양측변이 상향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반사면이 6개 내지 8개 동일 이격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는 멀티 도로표지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멀티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중앙선, 차선 경계선, 길 가장자리 구역선, 전용차선, 노상장애물, 안전지대 등 노면 표시의 기능을 보완할 필요가 있는 곳에는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도로표지병이 설치된다.
대표적인 도로표지병의 실시 형태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412952호(2003.12.31.)의 도로표지병, 10-0416939호(2004.02.05.)의 도로표지병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들 도로표지병들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빛반사부가 구비된 표시부의 아래쪽으로 앵커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수의 도로표지병은 자동차의 계속적인 충격에 의하여 점점 노면속으로 침하하게 되고, 반사판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자동차가 도로면에 돌출된 도로표지병을 밟고 지나감에 따라 자동차의 파손과 2차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는 폐단도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보다 내구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개량된 도로표지병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에 밟히는 도로표지병이 완충 구성을 이루도록 하여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되고 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앵커몸체부와,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모듈과,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에 상기 반사모듈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앵커몸체부 상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력이 작용 시에는 상기 앵커몸체부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모듈은 상기 앵커몸체부 상측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측 외부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모듈의 메인몸체부는 측단면상 형태가 양측 대칭으로 양측변이 상향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반사면이 6개 내지 8개 동일 이격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몸체부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관통부가 구비된 링 형상의 결합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중앙관통부를 따라서 상기 간섭부가 간섭되어 상기 반사모듈이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모듈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게 구비되는 수직로드부와, 상기 수직로드부 하부로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공간부를 따라서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 배치되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수평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몸체부는 상기 수평보드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보조걸림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통부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는 상기 메인몸체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관통부의 직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로표지병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종래 이면 반사체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과 비교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서 육면 이상의 반사부가 적용되어 운전자의 투시각도나 관측방향에 관계없이 주행 중 차선 시야 확보 및 선명한 차선 표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야간이나 우천 시에도 보다 정확한 시인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반사모듈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면상에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 즉 완충 구성을 이루어 반사모듈에 전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기존 고정식 표지병은 지반에 삽입되는 지지부가 일자 형식으로 설계되어 대형차량이나 중형 트럭들의 차의 무게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고정 위치에서 이탈되어 지나가는 차량에 오히려 사고의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도로표지병이 고정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측편 등의 구성을 추가하여 안정적인 고정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메인몸체부가 중앙관통부 상에서 상하는 물론 수평방향으로도 소정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결합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에서 반사면에 반사스티커가 부착된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결합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로표지병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에서 반사면에 반사스티커가 부착된 도로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1)은 반사모듈(110), 앵커몸체부(120), 결합브라켓(130) 및 탄성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모듈(110)은 상기 앵커몸체부(120) 내부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모듈(110)은, 도시된 것처럼, 단면상 양측으로 상측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몸체부(111)와, 상기 메인몸체부(111)의 하부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소정 폭 돌출된 링 형상의 걸림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부(111)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반사면(114) 6개 내지 8개가 동일 이격 간격을 가지며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면(114)은 초정밀 연마 가공을 통하여 반사면의 표면이 금속의 표면과 동일할 정도를 이루도록 하여 자동차 헤드라이트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반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반사면(114)에 별도로 반사스티커(180)가 적용되도록 하거나 소정의 반사안료가 상기 반사면(114)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앵커몸체부(120)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수용부(124)가 구비되는 원형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앵커몸체부(120) 둘레를 따라서는 앵커몸체부(120) 측부 일부가 개구된 부위(126)를 형성하도록 하는 절개측편(128)이 구비되며, 상기 앵커몸체부(120) 하부에는 내부수용부(124)에 침투한 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공(127)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몸체부(120) 상부에 앵커몸체부(120)의 둘레 외주를 따라서 돌출된 형태로 상기 결합브라켓(130)과 결합되는 외부링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브라켓(130)과 외부링부(122)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양 부재(122, 130)에 대응되는 위치로 볼트공을 형성한 후 볼트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모듈(110)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111) 하측으로 상기 앵커몸체부(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 중공부(116)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삽입부(115)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115) 하부 둘레를 따라서는 돌기부(117)가 소정 이격 간격마다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117)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고 상기 걸림부(112)가 상하로 이동이 용이할 정도로 상기 앵커몸체부(120)의 크기가 결정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앵커몸체부(120) 내부에 상기 반사모듈(110)이 외부로부터 하측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앵커몸체부(120) 상부에 반사모듈(110)의 상부 메인몸체부(111)가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하측으로 외력이 작용 시에는 상기 앵커몸체부(120)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앵커몸체부(120)의 내부수용부(124)에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부재(170)는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브라켓(130)은 상기 앵커몸체부(120) 상부 외부링부(122)에 대면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반사모듈(110)의 걸림부(112)가 상기 앵커몸체부(120)의 개구된 상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브라켓(130)은 링형을 이루되 내주면에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걸림부(112)가 걸리어 반사모듈(11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132)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소정 면적을 가지는 반사스티커(180)가 노출된 메인몸체부(111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 적용되어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반사모듈(110)이 탄성부재(170)에 의하여 지면상에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 즉 완충 구성을 이루어 반사모듈(110)에 전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반사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2)의 경우 상기 반사면(114)이 상기 메인몸체부(111) 둘레를 따라서 각각 내측으로 소정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반사면(114)이 삽입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부(111)에 구비되는 반사면(114) 둘레 주변에 여유부(119)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114)에 반사스티커(180)가 부착되고 상기 여유부(119)에 소정 스티커 재질로 이루어진 반사부(185)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185)는 빛의 반사가 용이한 스티커 재질이나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은 차량 빛이 상기 반사스티커(180)에 공급된 후 반사 시, 반사스티커(180)는 물론 상기 반사부(185)에 의하여도 빛이 반사되므로 반사각도가 증가되어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반사모듈(110)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반사면(114)과 상기 여유부(119) 또한 반사스티커가 반사부가 적용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초정밀 연마 가공을 통하여 빛이 직접 효율적으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3)은 상기 앵커몸체부(120)의 대략 중앙부에 내측으로 소정 돌출된 보조걸림턱(15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브라켓(130)의 관통부(135: 도 1 참조)의 직경(L1)이 상기 걸림부(120) 직경(L2)보다 상당히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브라켓(130)의 관통부(135) 직경 내측에서 메인몸체부(111)가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부(111) 하측으로 연장로드(210)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로드(210)에 연결된 형태를 이루되 상기 앵커몸체부(120) 내측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수평보드부(2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보드부(220)는 상기 보조걸림턱(152) 하측에 배치되고 수평보드부(220) 하측으로 앵커몸체부(120) 내측에 탄성부재인 스프링(17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걸림턱(152)에 의하여 수평보드부(220)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3)에 의하면, 상기 반사모듈(110)과 수평보드부(220)가 상기 관통부(135) 직경(L1)과 걸림부 직경(L2) 차이만큼의 여유공간을 따라서 반사모듈(110)이 수평이동은 물론 소정 회동도 가능하게 된다.
즉, 반사모듈(110)의 이동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차량에 의하여 전달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4)은 상기 반사모듈(110)의 메인몸체부(11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식별관통부(129) 및 빛관통부(12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식별관통부(129)와 빛관통부(126)는 외부에서 상기 앵커몸체부(120) 내부 수용부(124)까지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별관통부(129)와 빛관통부(126) 내측에는 각각 소정 위치로 렌즈부(192, 194)가 한 개 이상 적용된다.
이때, 상기 빛관통부(126)에 설치된 렌즈부(192)는 외부에서 상기 빛관통부(126)로 소정의 램프를 이용 빛을 공급 시 앵커몸체부(120) 내부 수용부(124)로 빛의 확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오목 또는 볼록 렌즈가 적절 위치로 설치되며, 상기 식별관통부(129)에 구비되는 렌즈부(194)는 상기 앵커몸체부(120) 내부 식별이 용이하도록 소정 볼록 렌즈가 적용될 수 있다.
공지된 렌즈부 적용 형태 중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적절 렌즈부가 설정된 위치마다 한 개 이상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빛관통부(126) 내경은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이 적용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빛이 앵커몸체부(120) 내부로 손실됨이 없이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각 렌즈부(192, 194) 둘레를 따라서는 완충링(미도시)이 적용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4)에 있어서 상기 반사모듈(110)에 차량의 타이어 등에 의하여 충격이 작용 시 렌즈부(192, 194)에 작용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다른 구성들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4)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서 상기 빛관통부(126)로 빛을 공급하여 앵커몸체부(120) 내부를 상기 식별관통부(129)를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앵커몸체부(120) 내부 스프링의 파손 여부 또는 이물질 존재 여부 등을 보고 도로표지병의 교체 및 수리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5)은 상기 걸림부(112)와 앵커몸체부(120) 사이로 완충스프링(277)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12) 둘레를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완충스프링(277)이 적용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몸체부(111)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로 수평보드부(220)가 구비되되, 상기 메인몸체부(111)와 수평보드부(220) 사이로 두 개 이상의 연결스프링(17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스프링(177)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메인몸체부(111)와 수평보드부(220)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 연결스프링(177) 상부와 하부가 삽입되는 고정봉(232, 23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보드부(220)는 상기 앵커몸체부(120) 하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상부 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수평보드부(220)와 앵커몸체부(120) 하부 사이로 스프링(1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브라켓(130) 관통부(135: 도 1 참조)의 직경(L1)이 상기 걸림부(120) 직경(L2)보다 상당히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브라켓(130)의 관통부(135) 직경 내측에서 메인몸체부(111)가 수평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05)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로 스프링이 이중으로 구비되어 이중 압축이 가능하게 되며 스프링의 자유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반사모듈(110)의 좌우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수평보드부(220)의 좌우 이동도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반사모듈(110)의 자유이동 형태가 증가함에 따라 반사모듈(110)에 가하여지는 충격량 감소가 보다 크게 되어 완충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로표지병 111: 메인몸체부
112: 걸림부 114: 반사면
115: 삽입부 117: 돌기부
119: 여유부 120: 앵커몸체부
122: 외부링부 124: 내부수용부
126: 빛관통부 128: 절개측편
129: 식별관통부 130: 결합브라켓
132: 돌기부 152: 보조걸림턱
170: 탄성부재 177: 연결스트링
180: 반사스티커 210: 연장로드
220: 수평보드부
112: 걸림부 114: 반사면
115: 삽입부 117: 돌기부
119: 여유부 120: 앵커몸체부
122: 외부링부 124: 내부수용부
126: 빛관통부 128: 절개측편
129: 식별관통부 130: 결합브라켓
132: 돌기부 152: 보조걸림턱
170: 탄성부재 177: 연결스트링
180: 반사스티커 210: 연장로드
220: 수평보드부
Claims (4)
-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 수용부가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앵커몸체부와,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반사모듈과,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에 상기 반사모듈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앵커몸체부 상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력이 작용 시에는 상기 앵커몸체부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모듈은 상기 앵커몸체부 상측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몸체부 및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측 외부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모듈의 메인몸체부는 측단면상 형태가 양측 대칭으로 양측변이 상향 경사진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반사면이 6개 내지 8개 동일 이격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며,
상기 앵커몸체부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관통부가 구비된 링 형상의 결합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브라켓은 상기 중앙관통부를 따라서 상기 간섭부가 간섭되어 상기 반사모듈이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반사모듈 하측으로 수직연장되게 구비되는 수직로드부 및 상기 수직로드부 하부로 상기 앵커몸체부 내부공간부를 따라서 상하 및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평배치되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수평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몸체부는 상기 수평보드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보조걸림턱이 더 구비되는,
멀티 도로표지병.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통부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는 상기 메인몸체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앙관통부의 직경이 형성되는,
멀티 도로표지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112A KR101775867B1 (ko) | 2017-03-07 | 2017-03-07 | 멀티 도로표지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112A KR101775867B1 (ko) | 2017-03-07 | 2017-03-07 | 멀티 도로표지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5867B1 true KR101775867B1 (ko) | 2017-09-06 |
Family
ID=5992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9112A KR101775867B1 (ko) | 2017-03-07 | 2017-03-07 | 멀티 도로표지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586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206B1 (ko) * | 2016-06-02 | 2016-11-09 | 구자도 | 도로표지병 |
-
2017
- 2017-03-07 KR KR1020170029112A patent/KR1017758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206B1 (ko) * | 2016-06-02 | 2016-11-09 | 구자도 | 도로표지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0546B1 (ko) | 도로용 차선 규제봉 | |
KR101999672B1 (ko) |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 |
KR20170130924A (ko) |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 |
KR20090059948A (ko) | 탄성 스프링 볼라드 | |
KR101670206B1 (ko) | 도로표지병 | |
KR101775867B1 (ko) | 멀티 도로표지병 | |
JPH11140832A (ja) | 道路標識柱 | |
KR101812163B1 (ko) | 도로표지병 | |
US20180291573A1 (en) |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 |
KR101965562B1 (ko) | 도로표지병 | |
KR20200026597A (ko) | 도로 표지병 | |
WO2009116703A1 (en) | A road stud | |
KR200330045Y1 (ko) | 차선표지장치 | |
KR100969451B1 (ko) | 도로용 차선규제봉 | |
KR100648890B1 (ko) |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101183030B1 (ko) |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 |
KR200343192Y1 (ko) |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102088142B1 (ko) | 출몰식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 |
KR102348880B1 (ko) | 차선규제봉 | |
KR100904891B1 (ko) | 차도용 반사 표지병 | |
KR200396006Y1 (ko) | 도로 표지병 | |
KR20070011016A (ko) | 도로 표시병 | |
KR100524764B1 (ko) | 도로표지병 | |
KR200347859Y1 (ko) |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200398245Y1 (ko) | 도로 표지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