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575B1 -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575B1
KR101775575B1 KR1020150100366A KR20150100366A KR101775575B1 KR 101775575 B1 KR101775575 B1 KR 101775575B1 KR 1020150100366 A KR1020150100366 A KR 1020150100366A KR 20150100366 A KR20150100366 A KR 20150100366A KR 101775575 B1 KR101775575 B1 KR 10177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laminated sheet
sheet
incis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151A (ko
Inventor
조현민
강중한
노기나오야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575B1/ko
Priority to TW105118176A priority patent/TW201702036A/zh
Priority to JP2016117635A priority patent/JP2017024163A/ja
Priority to CN201610457388.7A priority patent/CN106346943A/zh
Publication of KR2017001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2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stack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5Sli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절단하는 시트 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의 외곽을 절단하는 외곽날 부재; 및 상기 외곽날 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 시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리날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커팅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SHEET CUTTING APPARATUS, SHEET AND SHEET CUTT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 필름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는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발광(EL)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OLED 등과 같은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콜계(polyvinyl alcohol, PVA)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포함하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편광자 보호필름, 액정셀과 접합되는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방지필름, 대전방지필름, 방오필름, 하드코팅 필름 등의 기능층과 결합될 수 있다. 각 기능층은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구비되어서 각각의 층을 접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데, 접합 공정에서는 점착체층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이형필름을 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편광판에 여러 광학 기능층이 접합된 제품의 경우에도 화상표시장치 내에 사용되기 전에 보호를 위하여 보호필름이 부착되는데, 화상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이러한 보호필름을 박리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이형필름 및 보호필름이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있어서 이형필름 및 보호필름과 나머지 필름들 간에 틈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이형필름 및 보호필름을 나머지 필름들로부터 박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13823호(1994.07.1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형필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분리가 용이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적층 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절단하는 시트 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의 외곽을 절단하는 외곽날 부재; 및 상기 외곽날 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 시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리날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커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외곽날 부재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박리날 부재는 상기 외곽날 부재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리날 부재는 상기 외곽날 부재의 일 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리날 부재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박리날 부재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박리날 부재는 높이에 따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박리날 부재는 하방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가지는 적층 시트에 있어서, 실사용 영역 및 상기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영역 내에는 절개 부위를 포함하는 박리 부위가 형성되는, 적층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적층 시트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적층 시트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적층 시트의 일 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절단하는 시트 커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를 기 결정된 형태로 절단하면서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의 일측에 절개 부위를 포함하는 박리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박리 부위는 상기 적층 시트의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 내에 형성되는, 시트 커팅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의 일 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절개 부위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곽날 부재의 일측에 박리날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이형필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곽날 부재에 박리날 부재를 결합하여 적층 시트의 절단과 함께 절개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분리가 용이한 이형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외곽날 부재 및 박리날 부재를 결합한 간단한 구성의 시트 커팅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적층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리날 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박리날 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박리날 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에서, '적층 시트'는 보호필름 또는 이형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및 이에 부착되는 광학 기능층,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방지필름, 대전방지필름, 방오필름, 하드코팅필름 등을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이 부착된 적층체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이형필름'은 각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에 형성되는 점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필름 뿐만 아니라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이 적층된 적층체 상에 형성되는 보호필름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 커팅 장치(10)는 적층 시트(도 7의 50)의 외곽을 절단하는 외곽날 부재(20) 및 외곽날 부재(2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되며, 적층 시트(5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리날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 시트(50)는 기능에 관련된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어 기재 및/또는 점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날 부재(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마름모꼴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곽날 부재(20)에 의해 절단되는 적층 시트(50)의 형상도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박리날 부재(30)는 적층 시트(50) 상에 절개 부위(도 7의 52)를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적층 시트(50)에 절개 부위(52)가 형성됨에 따라서, 적층 시트(50)에 포함되는 이형시트를 기재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절개 부위(52)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적층 시트(50)의 한 측에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는 부위(도 7의 53; 박리 부위)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형시트와 기재 간의 결합 상태가 약해지도록 할 수 있어서, 기재로부터 이형시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박리날 부재(30)는 적층 시트(50)의 내측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박리날 부재(30)와 외곽날 부재(20) 간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절개 부위(52)와 박리 부위(53)는 절단된 적층 시트(50) 중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영역인 실사용 영역(51) 이외의 영역인 더미 부위(52)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개 부위(52)를 형성하더라도 적층 시트(50)의 기능 상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시트 커팅 장치(10)를 구성하는 외곽날 부재(20) 및 박리날 부재(30)는 스테인레스 스틸(SUS)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장치(1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리날 부재(10a)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커팅 장치(10)는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3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박리날 부재(30)에 의해 적층 시트(50) 상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52)의 길이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박리날 부재(30)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박리날 부재(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그에 반해, 도 3을 참조하면, 시트 커팅 장치(10a)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30a)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30a)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박리날 부재(30a)의 길이가 외곽날 부재(20)의 모서리 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모서리로부터 멀어질수록 박리날 부재(30a)의 길이가 증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30a) 중 중앙에 위치하는 박리날 부재(30a)의 길이가 가장 길거나 짧은 것도 가능하고,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30a) 간에 불규칙한 길이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도 박리날 부재(30a)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박리날 부재(30a)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박리날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박리날 부재(30b)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박리날 부재(30)는 높이에 따라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도 4(a)). 즉, 박리날 부재(30)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날일 수 있다. 도 4(a)의 a방향에서 바라본 박리날 부재(30)의 형상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반면에,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리날 부재(30c)는 하방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도 5(a)). 즉, 박리날 부재(30c)는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날일 수 있다. 도 5(a)의 b방향에서 바라본 박리날 부재(30c)의 형상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서, 박리날 부재(30c)가 적층 시트(50) 내로 침투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절개 부위(52)를 형성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장치(10d)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트 커팅 장치(10)의 경우에는 박리날 부재(30)가 외곽날 부재(20)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날 부재(30d)가 외곽날 부재(20)의 일 변 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박리날 부재(30, 30d)의 형성 위치는 적층 시트(50)의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 내에 형성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5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50a)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층 시트(50)는 실사용 영역(51) 및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시트(50)는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가질 수 있고, 적층 시트(5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더미 영역 내에는 절개 부위(52)를 포함하는 박리 부위(53)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 부위(52)는 시트 커팅 장치(10)의 박리날 부재(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절개 부위(52)가 적층 시트(50)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부위(52a)가 적층 시트(50a)의 일 변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 부위(52, 52a) 및 박리 부위(53, 53a)가 적층 시트(50)의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 내에 형성된다면 절개 부위(52, 52a) 및 박리 부위(53, 53a)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절개 부위(52, 52a)를 형성하는 박리날 부재(30)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절개 부위(52, 52a)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박리날 부재(30)의 길이에 따라서, 복수 개의 절개 부위(52, 52a)의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 개의 절개 부위(52, 52a)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복수 개의 절개 부위(52, 52a)의 길이가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커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트 커팅 방법은 다음의 단계에 따를 수 있다.
기재 및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50)를 준비할 수 있다(S1). 그리고, 시트 커팅 장치(10)를 이용하여, 적층 시트(50)를 기 결정된 형태로 절단하면서 적층 시트(50)의 일측에 절개 부위(52)를 포함하는 박리 부위(53)를 형성할 수 있다(S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 시트(50)의 형태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박리날 부재(30)의 위치에 따라서, 절개 부위(52)는 절단된 적층 시트(50)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적층 시트(50)의 일 변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박리날 부재(30)의 개수에 따라서, 절개 부위(5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박리날 부재(30)의 길이에 따라서 복수 개의 절개 부위(5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절개 부위(52)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복수 개의 절개 부위(52)의 길이가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절개 부위(52)가 형성되면, 절개 부위(52)에 의해 형성된 박리 부위(53)는 이형필름의 박리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박리 부위(53)를 통해 이형필름을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S3).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a, 10d : 시트 커팅 장치
20 : 외곽날 부재
30, 30a, 30c, 30d : 박리날 부재
50, 50a : 적층 시트
51 : 실사용 영역
52, 52a : 절개 부위
53, 53a : 박리 부위

Claims (23)

  1.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절단하는 시트 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의 외곽을 절단하는 외곽날 부재; 및
    상기 외곽날 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적층 시트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를 함하고,
    상기 박리날 부재는,
    상기 적층 시트를 절단하여 실사용 영역 이외인 더미 영역에 절개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더미 영역 및 상기 실사용 영역의 결합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절개 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박리날 부재의 형태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시트 커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날 부재는 사각형 형상인, 시트 커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리날 부재는 상기 외곽날 부재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시트 커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박리날 부재는 상기 외곽날 부재의 일 변 내에 형성되는, 시트 커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시트 커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의 길이는 서로 다른, 시트 커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박리날 부재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하는, 시트 커팅 장치.
  8. 삭제
  9. 삭제
  10.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가지는 적층 시트에 있어서,
    실사용 영역 및 상기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영역 내에 복수 개의 절개 부위를 포함하여 박리 부위가 형성되되, 상기 더미 영역 및 상기 실사용 영역의 결합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박리부위가 형성되는, 적층 시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는 사각형 형상인, 적층 시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적층 시트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적층 시트.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적층 시트의 일 변 내에 형성되는, 적층 시트.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적층 시트.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다른, 적층 시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하는, 적층 시트.
  17.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절단하는 시트 커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를 기 결정된 형태로 절단하면서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의 일측에 복수 개의 절개 부위를 포함하는 박리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박리 부위는 상기 적층 시트의 실사용 영역 이외의 더미 영역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 부위를 형성하는 박리날 부재는,
    상기 더미 영역 및 상기 실사용 영역의 결합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절개 부위를 형성하는, 시트 커팅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는 사각형 형상인, 시트 커팅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시트 커팅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절개 부위는 상기 절단된 적층 시트의 일 변 내에 형성되는, 시트 커팅 방법.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시트 커팅 방법.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서로 다른, 시트 커팅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절개 부위의 길이는 일 방향에 따라서 점점 증가하는, 시트 커팅 방법.
KR1020150100366A 2015-07-15 2015-07-15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KR101775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66A KR101775575B1 (ko) 2015-07-15 2015-07-15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TW105118176A TW201702036A (zh) 2015-07-15 2016-06-08 薄板切割裝置,薄板及薄板切割方法
JP2016117635A JP2017024163A (ja) 2015-07-15 2016-06-14 シートカット装置、シート及びシートカット方法
CN201610457388.7A CN106346943A (zh) 2015-07-15 2016-06-22 片材切割装置、片材和片材切割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66A KR101775575B1 (ko) 2015-07-15 2015-07-15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151A KR20170010151A (ko) 2017-01-26
KR101775575B1 true KR101775575B1 (ko) 2017-09-07

Family

ID=5784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366A KR101775575B1 (ko) 2015-07-15 2015-07-15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024163A (ko)
KR (1) KR101775575B1 (ko)
CN (1) CN106346943A (ko)
TW (1) TW2017020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5027B1 (ja) * 2016-07-14 2017-09-27 エフピコチュ−パ株式会社 合成樹脂成型品等の縁部切断方法、その縁部切断装置、及び抜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0054A (ja) * 2013-08-01 2015-02-16 株式会社フナミズ刃型製版 刃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074A (en) 1992-12-29 1995-10-03 Kimberly-Clark Corporation Laminating method and products made thereb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0054A (ja) * 2013-08-01 2015-02-16 株式会社フナミズ刃型製版 刃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24163A (ja) 2017-02-02
KR20170010151A (ko) 2017-01-26
TW201702036A (zh) 2017-01-16
CN106346943A (zh)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1902B2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268551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panel
JP3200847U (ja) 引裂/位置決めが容易な保護膜
TW20111843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TW201901203A (zh) 雙面附黏著劑之光學膜、及圖像顯示裝置
SG11201808466TA (en) Optical film, peel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panel
CN108550556A (zh) 用于柔性衬底的保护膜及其显示面板
KR101775575B1 (ko) 시트 커팅 장치, 시트 및 시트 커팅 방법
JP6420511B1 (ja) 枚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335604B2 (ja) 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
KR101980231B1 (ko) 박막봉지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801921A (zh) 光學積層體、及使用該光學積層體之光學膜片之製造方法
JP2000214324A (ja) 接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2014035493A (ja) カバーフィルム、カバ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2011243718A (ja) 帯状の電磁波遮蔽シートの接地用露出部形成方法、及び帯状のハーフカット入り電磁波遮蔽シート
WO2018216586A1 (ja) ライナー付き両面粘着シート
JP6550311B2 (ja) 剥離方法
JP2012008422A (ja) 偏光板、表示パネル、電子機器及び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WO2018190181A1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391882B1 (ko) 박리 방법
KR2012000486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14065852A (ja) 保護材付保護フィルム
KR102055647B1 (ko) 갈림방지 편광판 제조를 위한 uv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JP6845033B2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22044597A (ja)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