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408B1 -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 Google Patents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408B1
KR101775408B1 KR1020160178478A KR20160178478A KR101775408B1 KR 101775408 B1 KR101775408 B1 KR 101775408B1 KR 1020160178478 A KR1020160178478 A KR 1020160178478A KR 20160178478 A KR20160178478 A KR 20160178478A KR 101775408 B1 KR101775408 B1 KR 10177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tube
tube portion
main exhaus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7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따르면,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기관 및 보조배기관의 일부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유롭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주배기관 및 보조배기관의 일부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유롭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동주택의 개별난방 연도는 각 세대마다 보일러실에서 공동배기구(건축 PIT)의 연관에 배기관을 연결하고 차단벽은 시멘트 벽돌 및 몰탈에 의한 마감으로 공동배기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시공수단은 각 세대의 배기관과 공동배기구(건축 PIT)와의 마감을 조적마감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 중에 벽체의 균열로 인한 배기가스 누출 및 결로에 의한 누수의 우려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 공동배기구의 기밀관계가 중요시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건물신축 공사 시 공동배기구 공사는 건축물의 골조 완성 후 한 번에 공사가 되지 않고 전층을 단계별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배기구 조성에 따른 연관공사와 건축마감공사 작업이 중복되어 원활한 공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단계별 시공 시 자재반입 및 작업자 투입의 번거로움으로 필요 이상의 시간이 소요가 많아 시공비의 상승 요인이 되고 있고, 공사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연결한 후에 주배기관에 보조배기관을 연결하여 조립할 때, 보조배기관의 결합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주배기관의 길이를 다시 조절하여 연결하는 등 주배기관과 보조배기관을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997-005859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기관 및 보조배기관의 일부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유롭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둘레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배기공간부에 설치되는 지지링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간부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배기구를 형성하는 주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둘레면에 결합되고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주배기관으로 안내하는 보조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배기관의 상단 및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긴 배기구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차부에 형성되는 결합후크, 상기 결합후크가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도록 상기 주배기관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홈부, 상기 굴곡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후크와 걸림 결합되는 제1후크부재, 상기 제1후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주배기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해제레버 및 상기 제1후크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부재를 상기 굴곡홈부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부; 상기 보조배기관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배기관을 상기 주배기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하면 상기 주배기관과 상기 보조배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배기관의 내벽에 설치되고 일단에 삽입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단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링부재, 상기 삽입홀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절개부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배기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해제레버, 상기 절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경사부, 상기 가압경사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삽입단부에 형성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가이드링부재의 외벽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배기관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후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에 상기 주배기관 또는 상기 보조배기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상기 주배기관 또는 상기 보조배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해제레버 또는 상기 제2해제레버를 감싸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배기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의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주배기관의 홀부와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주배기관의 상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주배기관 홀부의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주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2관부와; 제2관부의 하부로 이격되어 분리되어진 주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1관부와; 상기 제2관부와 제1관부를 내측에 결합시켜 회전함에 따라 제2관부와 제1관부의 간격이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으로써, 제2관부가 결합되는 내주면에는 제2관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제1관부가 결합되는 내주면에는 제1관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나사홈이 형성된 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관의 내측 중앙에는 제1관부의 영역과 제2관부의 영역을 구분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막음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따르면,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기관 및 보조배기관의 일부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유롭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이루는 길이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의 연결부 및 결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의 결합부 및 마감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나타낸 선들의 두께나 구성 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나타내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면에 고정부재(5)에 의해 배기공간부(1)에 설치되는 지지링부(3)가 삽입되는 고정홈부(12)가 형성되고 상단에 단차부(14)가 형성되며 배기공간부(1)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배기구를 형성하는 주배기관(10)과, 주배기관(10)의 둘레면에 결합되고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주배기관(10)으로 안내하는 보조배기관(50)과, 주배기관(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고 주배기관(10)의 상단 및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긴 배기구를 이루도록 하는 연결부(30)와, 보조배기관(50)과 주배기관(10)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보조배기관(50)을 주배기관(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하면 주배기관(10)과 보조배기관(5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70)와, 결합부(70) 또는 연결부(30) 중에 주배기관(10) 또는 보조배기관(50)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주배기관(10) 또는 보조배기관(5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8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주배기관(10)은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홀부의 하부와 하단 사이에 주배기관(10)의 상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관부(10a), 제1관부(10b) 및 조절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관부(10a)는 상기 주배기관(10) 홀부의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주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관부(10b)는 제2관부(10a)의 하부로 이격되어 분리되어진 주배기관(10)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나사산이 형성된다.
조절관(200)은 상기 제2관부(10a)와 제1관부(10b)를 내측에 결합시켜 회전함에 따라 제2관부(10a)와 제1관부(10b)의 간격이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 형태이며, 조절관(200)의 내측 중앙에는 일측으로의 제2관부(10a)의 영역과 타측으로의 제1관부(10b)의 영역을 구분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막음판(210)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조절관(200)의 제2관부(10a)의 영역인 일측의 내주면에는 제2관부(10a)의 제2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제2나사홈이 형성되고, 조절관(200)의 제1관부(10b)의 영역인 타측의 내주면에는 제1관부(10b)의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제1나사홈이 형성된다.
조절관(200)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과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오링(L, R)이 각각 구비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제2관부(10a)의 타측과 제1관부(10b)의 일측에는 각각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띠 형태의 정지표시부(S)가 구비된다.
따라서, 조절관(200)의 제2관부(10a)의 영역으로 제2관부(10a)를 나사 결합시키고, 조절관(200)의 제1관부(10b)의 영역으로 제1관부(10b)를 나사 결합시킨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관(200)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관부(10a)의 영역과 제1관부(10b)의 영역에서의 나사산 및 나사홈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동시에 제2관부(10a)과 제1관부(10b)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주배기관(1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관부(10a)와 제1관부(10b)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될 때, 조절관(2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오링(L, R)에 의해서 주배기관(10)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관부(10a)와 제1관부(10b)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할 때, 제2관부(10a) 또는 제1관부(10b)에 구비된 정지표시부(S)가 노출되면, 더 이상 제2관부(10a)와 제1관부(10b)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제2관부(10a) 또는 제1관부(10b)가 조절관(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배기관(50)은 주배기관(10)과 마찬가지로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중앙부에 보조배기관(5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배기관(50)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관부(55), 제1관부(51) 및 조절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관부(55)는 상기 주배기관(10)의 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배기관(50)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나사산(57)이 형성된다.
제1관부(51)는 제2관부(55)의 타측으로 이격되어 분리되어진 보조배기관(50)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나사산(53)이 형성된다.
조절관(200)은 상기 제2관부(55)와 제1관부(51)를 내측에 결합시켜 회전함에 따라 제2관부(55)와 제1관부(51)의 간격이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 형태이며, 조절관(200)의 내측 중앙에는 일측으로의 제2관부(55)의 영역과 타측으로의 제1관부(51)의 영역을 구분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막음판(210)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조절관(200)의 제2관부(55)의 영역인 일측의 내주면에는 제2관부(55)의 제2나사산(57)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제2나사홈(250)이 형성되고, 조절관(200)의 제1관부(51)의 영역인 타측의 내주면에는 제1관부(51)의 제1나사산(53)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제1나사홈(230)이 형성된다.
조절관(200)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과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오링(L, R)이 구비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제2관부(55)의 타측과 제1관부(51)의 일측에는 각각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띠 형태의 정지표시부(S)가 구비된다.
따라서, 조절관(200)의 제2관부(55)의 영역으로 제2관부(55)를 나사 결합시키고, 조절관(200)의 제1관부(51)의 영역으로 제1관부(51)를 나사 결합시킨 후, 조절관(200)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관부(55)의 영역과 제1관부(51)의 영역에서의 나사산 및 나사홈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동시에 제2관부(55)와 제1관부(51)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보조배기관(50)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관부(55)와 제1관부(51)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될 때, 조절관(200)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오링(L, R)에 의해서 보조배기관(50)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관부(55)와 제1관부(51)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할 때, 제2관부(55) 또는 제1관부(51)에 구비된 정지표시부(S)가 노출되면, 더 이상 제2관부(55)와 제1관부(51)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제2관부(55) 또는 제1관부(51)가 조절관(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공간부(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긴 배기관을 설치할 때에는 다수 개의 주배기관(10)을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여 공동배기관을 형성하는데, 본 실시예는, 주배기관(10)의 상단을 다른 주배기관(10)의 하단에 삽입하면 연결부(30)의 작동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고, 이러한 연결 작업을 반복하여 다수 개의 주배기관(10)이 연속되게 연결되는 공동배기관을 이루게 된다.
이후에, 각각의 주배기관(10)에 보조배기관(50)을 삽입하면 연결부(30)의 작동에 의해 보조배기관(50)이 주배기관(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각층의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보조배기관(50)이 주배기관(10)으로 안내하여 주배기관(10)을 따라 공동주택의 옥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주배기관(10)에 보조배기관(50)을 삽입할 때, 주배기관(10)에 형성된 홀부의 위치와 보조배기관(50)의 일측 단부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조절관(200)을 회전시켜 제2관부(55) 및 제1관부(51)의 일측 및 타측으로의 길이를 변경하여 주배기관(10)에 형성된 홀부의 위치와 보조배기관(50)의 일측 단부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여 쉽게 주배기관(10)에 보조배기관(50)을 삽입시킬 수 있다.
연결부(30)는, 단차부(14)에 형성되는 결합후크(32)와, 결합후크(32)가 슬라이딩되면 결합되도록 주배기관(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부(34)와, 결합홈부(34)의 내측 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홈부(34a)와, 굴곡홈부(34a)에 설치되고 결합후크(32)와 걸림결합되는 제1후크부재(36)와, 제1후크부재(36)의 타단에 형성되고 주배기관(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해제레버(36a)와, 제1후크부재(36)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제1후크부재(36)를 굴곡홈부(34a)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38)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배기관(10)의 상단을 다른 주배기관(10)의 하단에 삽입하면 결합후크(32)가 결합홈부(34)를 따라 삽입되고, 결합후크(32)의 삽입이 완료되면 주배기관(10)을 회전시켜 결합후크(32)가 굴곡홈부(34a)를 따라 이동되게 한다.
결합후크(32)가 굴곡홈부(34a)의 일단부까지 삽입된 후 주배기관(10)을 회전시키면 결합후크(32)의 경사면이 제1후크부재(36)의 경사면을 밀어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제1후크부재(3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후크부재(36)가 회전되면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탄성부재(38)가 압축되고, 결합후크(32)가 제1후크부재(36)를 지나 굴곡홈부(34a)의 타단부까지 이동되면 제1탄성부재(38)의 복원력에 의해 제1후크부재(36)가 원위치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결합후크(32)와 제1후크부재(36)가 걸림결합되어 한 쌍의 주배기관(10)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된다.
주배기관(10)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경우에는 제1해제레버(36a)를 눌러 제1탄성부재(38)를 압축시키면 제1후크부재(36)가 결합후크(32)와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제1후크부재(36)와 결합후크(32)의 결합결합이 해제되어 주배기관(10)을 회전시킨 후에 서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70)는, 보조배기관(50)의 내벽에 설치되고 일단에 삽입홀부(73)가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단부(74)가 구비되는 가이드링부재(72)와, 삽입홀부(73)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보조배기관(5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해제레버(73a)와, 제2해제레버(73a)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삽입홀부(73)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경사부(73b)와, 가압경사부(73b)에 대향되도록 삽입단부(74)에 형성되는 경사홈부(74a)와, 가이드링부재(72)의 외벽에 형성되고 보조배기관(50)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후크부재(76)를 포함한다. 삽입홀부(73) 내측으로 삽입단부(74)를 삽입하여 링 모양을 형성할 때에 작업자가 제2해제레버(73a)를 외측으로 당기면서 삽입단부(74)를 삽입홀부(73) 내측으로 가압하면 가압경사부(73b)와 경사홈부(74a)가 간섭되지 않고 삽입단부(74)가 삽입홀부(73)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가이드링부재(72)의 지름이 작아지는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가이드링부재(72)를 보조배기관(50) 내부에 삽입하면 지름이 작아지게 변형되면서 생성되었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링부재(72)가 팽창되고, 가이드링부재(72)의 지름이 커지면서 가이드링부재(72)에 형성되는 제2해제레버(73a)와 제2후크부재(76)가 보조배기관(50) 외벽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홀부를 통해 보조배기관(50)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양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배기관(50)을 주배기관(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하면 제2후크부재(76)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제2후크부재(76)가 보조배기관(50) 내부로 가압되어 가이드링부재(72)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변형되고, 보조배기관(50)의 삽입이 완료되면 가이드링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해 제2후크부재(76)가 보조배기관(50)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주배기관(10)의 홀부 내부에 걸림결합된다.
이때, 주배기관(10)의 홀부 내측에는 제2후크부재(76)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홈부가 형성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감부(80)는, 제1해제레버(36a) 또는 제2해제레버(73a)를 감싸며 가이드홈부(84)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82)와, 커버부재(8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88)와, 제2탄성부재(88)가 연결되고 가이드홈부(84)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8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버부재(82)를 가이드홈부(84) 외측으로 당기면 제2탄성부재([0031] 88)가 인장되면서 제1해제레버(36a) 또는 제2해제레버(73a)가 노출되어 주배기관(10) 또는 보조배기관(50)의 분리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커버부재(82)를 놓으면 제2탄성부재(88)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부재(82)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1해제레버(36a) 또는 제2해제레버(73a)가 커버부재(82)에 의해 마감된다.
이로써,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따르면,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기관 및 보조배기관의 일부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유롭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공동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주배기관 30: 연결부
51: 제1관부 55: 제2관부
70: 결합부 80: 마감부
130: 상부브라켓 150: 하부브라켓
170: 길이조절부 200: 조절관

Claims (3)

  1. 둘레면에 고정부재에 의해 배기공간부에 설치되는 지지링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간부에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배기구를 형성하는 주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둘레면에 결합되고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주배기관으로 안내하는 보조배기관;
    상기 주배기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주배기관의 상단 및 하단을 서로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긴 배기구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차부에 형성되는 결합후크, 상기 결합후크가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도록 상기 주배기관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굴곡홈부, 상기 굴곡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후크와 걸림 결합되는 제1후크부재, 상기 제1후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주배기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해제레버 및 상기 제1후크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부재를 상기 굴곡홈부 내측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결부;
    상기 보조배기관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배기관을 상기 주배기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하면 상기 주배기관과 상기 보조배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배기관의 내벽에 설치되고 일단에 삽입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단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링부재, 상기 삽입홀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절개부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배기관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해제레버, 상기 절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경사부, 상기 가압경사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삽입단부에 형성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가이드링부재의 외벽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배기관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후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연결부 중에 상기 주배기관 또는 상기 보조배기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커버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상기 주배기관 또는 상기 보조배기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해제레버 또는 상기 제2해제레버를 감싸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배기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홀부의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주배기관의 홀부와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주배기관의 상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배기관에 포함된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주배기관 홀부의 하부로 이격된 위치의 주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2관부와, 제2관부의 하부로 이격되어 분리되어진 주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1관부와, 상기 제2관부와 제1관부를 내측에 결합시켜 회전함에 따라 제2관부와 제1관부의 간격이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으로써, 제2관부가 결합되는 내주면에는 제2관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제1관부가 결합되는 내주면에는 제1관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나사홈이 형성된 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관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과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오링이 각각 구비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제2관부의 타측과 제1관부의 일측에는 각각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띠 형태의 정지표시부가 구비되고,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될 때, 조절관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오링에 의해서 주배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할 때, 제2관부 또는 제1관부에 구비된 정지표시부가 노출되면, 더 이상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제2관부 또는 제1관부가 조절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배기관은 주배기관과 마찬가지로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중앙부에 보조배기관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배기관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은 제2관부, 제1관부 및 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관부는 상기 주배기관의 홀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관부는 제2관부의 타측으로 이격되어 분리되어진 보조배기관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나사산이 형성되고, 조절관은 상기 제2관부와 제1관부를 내측에 결합시켜 회전함에 따라 제2관부와 제1관부의 간격이 축소 또는 연장되도록 하는 중공의 관 형태이며, 조절관의 내측 중앙에는 일측으로의 제2관부의 영역과 타측으로의 제1관부의 영역을 구분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막음판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조절관의 제2관부의 영역인 일측의 내주면에는 제2관부의 제2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제2나사홈이 형성되고, 조절관의 제1관부의 영역인 타측의 내주면에는 제1관부의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제1나사홈이 형성되고, 조절관의 일측 단부의 내주면과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오링이 구비되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제2관부의 타측과 제1관부의 일측에는 각각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띠 형태의 정지표시부가 구비되고, 조절관의 제2관부의 영역으로 제2관부를 나사 결합시키고, 조절관의 제1관부의 영역으로 제1관부를 나사 결합시킨 후, 조절관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관부의 영역과 제1관부의 영역에서의 나사산 및 나사홈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동시에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보조배기관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으며,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또는 좁아지게 될 때, 조절관의 양측 단부에 구비된 오링에 의해서 보조배기관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할 때, 제2관부 또는 제1관부에 구비된 정지표시부가 노출되면, 더 이상 제2관부와 제1관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중단함으로써, 제2관부 또는 제1관부가 조절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의 내측 중앙에는 제1관부의 영역과 제2관부의 영역을 구분시키기 위한 링 형상의 막음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20160178478A 2016-12-23 2016-12-23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177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78A KR101775408B1 (ko) 2016-12-23 2016-12-23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78A KR101775408B1 (ko) 2016-12-23 2016-12-23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408B1 true KR101775408B1 (ko) 2017-09-06

Family

ID=5992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78A KR101775408B1 (ko) 2016-12-23 2016-12-23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4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26B1 (ko) * 2018-02-28 2018-08-2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CN113062560A (zh) * 2021-03-25 2021-07-0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狭窄竖直风道内多节风管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534B1 (ko) * 2015-05-04 2016-01-14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534B1 (ko) * 2015-05-04 2016-01-14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26B1 (ko) * 2018-02-28 2018-08-27 주식회사 한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CN113062560A (zh) * 2021-03-25 2021-07-0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狭窄竖直风道内多节风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08B1 (ko) 건축물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1820914B1 (ko)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1894009B1 (ko) 내화충전재 결합홈이 일체로 성형되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내화충전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슬리브
KR101585534B1 (ko)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JP2004027554A (ja)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KR20180110748A (ko) 내화충전재가 고착된 일체형 관통슬리브
JP2019019847A (ja) 配管接続ユニット、給排気筒および燃焼装置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WO2020215980A1 (zh) 固定装置、防呆固定结构及空调器
JP5370048B2 (ja) 水栓装置
KR102447318B1 (ko) 내장형 화재 차단 장치
KR20100131219A (ko) 건물용 환기 덕트의 연결장치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0963035B1 (ko) 탈착식 디퓨져
JP2007205478A (ja) 充填材支持具及び補助支持金具連結体
KR102519912B1 (ko) 오링에 의해 파이프 삽입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원터치 체결장치
KR102407289B1 (ko)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ITMI20011505A1 (it) Apparecchio idrosanitario con miscelatore meccanico monoforo per piano orizzontale
JP5203839B2 (ja) 埋込水栓
KR100787232B1 (ko) 광학 프로젝터 설치용 벽걸이 장치
CN208487259U (zh) 阀总成的护盖固定构造
KR101813611B1 (ko) 배수관 연결구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KR102587557B1 (ko) 내화채움재 일체형 관통슬리브
US981706A (en) Connection for pneumati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