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567B1 -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 Google Patents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567B1
KR101774567B1 KR1020160155093A KR20160155093A KR101774567B1 KR 101774567 B1 KR101774567 B1 KR 101774567B1 KR 1020160155093 A KR1020160155093 A KR 1020160155093A KR 20160155093 A KR20160155093 A KR 20160155093A KR 101774567 B1 KR101774567 B1 KR 10177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oll
friction
rotation
scree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6015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567B1/ko
Priority to CN201780071695.4A priority patent/CN109983197B/zh
Priority to PCT/KR2017/009577 priority patent/WO2018093023A1/en
Priority to JP2019527289A priority patent/JP6815584B2/ja
Priority to US16/462,670 priority patent/US1118095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9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immobilising the closure member in various chosen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2009/425Pull chain or cord attached to bottom edge of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코드 없이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가 제공된다.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는, 회전축에 결합된 권취롤, 권취롤에 권취(winding)되거나 권출(unwinding)되는 스크린부재, 스크린부재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권취롤에 스크린부재가 권출되는 제1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웨이트부재, 권취롤에 탄성력을 가하여, 스크린부재가 권취되는 제2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 및 권취롤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Cordless blind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드 없이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을 통해 입사하는 직사광이나 외부 시선 등을 차단하기 위해 블라인드장치를 설치한다. 블라인드장치를 이용하여 광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은은한 채광효과로 보다 안락한 실내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다. 블라인드장치는 창가에 설치되며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블라인드장치는 롤 형태로 감기거나 풀려 펼쳐지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의 크기를 조절하여 창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하고 광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롤 형태의 블라인드장치는 롤을 회전시키는 코드(cord: 당김줄)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종래 블라인드장치는 코드를 당겨 장력을 가함으로써 창 상단에 설치된 롤도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코드가 연결된 측으로만 힘이 편중되는 구조여서 반복적인 사용으로 블라인드장치에 불균형을 초래하거나 롤과 코드의 연결부위 등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코드가 길게 연장된 경우 사람 특히,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기 쉬운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도 많았다. 또한 롤의 일 측에 연결된 코드로 롤 전체를 균형 있게 회전시켜야 하므로 회전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해지는 등 개선의 여지가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955호, (2016.07.2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드 없이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는, 회전축에 결합된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권취(winding)되거나 권출(unwinding)되는 스크린부재; 상기 스크린부재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권취롤에 상기 스크린부재가 권출되는 제1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웨이트부재; 상기 권취롤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스크린부재가 권취되는 제2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권취롤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력은 상기 권취롤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상기 제2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합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는 비틀림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틀림탄성체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부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권취롤의 내부로 연장된 제1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고정부는, 상기 권취롤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롤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마찰을 일으키는 제1회전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를 이루며, 상기 제1회전블록은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와 치합되는 암나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 및 상기 제1회전블록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찰저항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블록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께 또는 면적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블록과 접하는 면 또는 상기 제1회전축과 접하는 면에 톱니(serration)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톱니의 높이, 간격,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권취롤의 내부로 연장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롤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롤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2회전블록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롤은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 상기 웨이트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는 각각 복수 개가 복수 개의 상기 권취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부재의 사이, 및 복수 개의 상기 웨이트부재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고정부는 복수 개의 상기 권취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부는 복수 개의 상기 웨이트부재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롤 등의 일 측에 연결되던 코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매우 편리하게 블라인드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장치를 이용하여 코드 없이도 매우 용이하게 스크린을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정된 길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드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블라인드장치가 균형을 잃거나 코드 연결부위 등이 파손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장치의 외관이 매우 간결해져 미관상 유려하며 길게 연장된 코드로 인해 사람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도 용이하게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권취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권취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제1회전축과 마찰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회전축과 마찰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1회전축과 마찰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마찰고정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마찰고정부의 적용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블라인드장치의 웨이트부재와 연결고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권취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권취롤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는 회전축에 결합된 권취롤(100), 권취롤(100)에 권취(winding)되거나 권출(unwinding)되는 스크린부재(200), 스크린부재(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권취롤(100)에 스크린부재(200)가 권출되는 제1방향(도 1의 a참조)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웨이트부재(300), 권취롤(100)에 탄성력을 가하여 스크린부재(200)가 권취되는 제2방향(도 1의 b참조)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도 2 및 도 3의 400참조), 및 권취롤(100)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고정부(도 2 및 도 3의 500참조)를 포함한다.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당김줄)가 완전히 제거된 구조로 매우 간결한 외형을 갖는다.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는 권취롤(100)에 인가된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력(토크)에 의해 코드 없이도 용이하게 작동된다. 회전력은 스크린부재(200)의 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균형을 이루며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회전력은 서로 균형을 이루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최소한의 외력(스크린부재나 웨이트부재 등을 터치하여 손쉽게 전달할 수 있다)을 가하여 균형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하여 원래의 균형상태로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권취롤(100)을 회전시키거나 외력을 제거하여 회전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이유, 설계상의 이유, 제조상의 이유나 제작공차 등에 의해 회전력의 크기에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마찰고정부(500)로 마찰력을 생성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마찰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의 합력을 상쇄시켜 보다 용이하게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고정부(500)의 마찰력에 의해 적절한 저항이 부여되므로, 권취롤(100)의 원치 않는 회전을 방지하고 적절한 외력이 전달될 때까지 용이하게 정지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의 쌍과 마찰을 이용하는 구조로 코드 없이도 매우 편리하게 블라인드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도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권취롤(1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권취롤(100)을 형성할 수 있다. 권취롤(100)은 회전축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610, 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610, 620)은 권취롤(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도 1의 점선 도시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권취롤(100)은 중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권취롤(100)의 내부에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탄성부재(400), 마찰고정부(500) 등의 구조도 권취롤(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권취롤(100)의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스크린부재(200)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용이한 적절한 형태로 권취롤(100)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할 수 있다. 권취롤(100)은 회전축(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권취롤(100)에 결합되는 회전축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1회전축(110) 및 제2회전축(120)을 형성하여 권취롤(100)의 양단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단부에 결합하는 구조로 권취롤(100)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이 한정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단일 회전축이 권취롤(100)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축(110)과 제2회전축(120)이 형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스크린부재(200)는 권취롤(100)에 권취(winding)되거나 권출(unwinding)된다. 스크린부재(200)는 권취롤(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권취롤(100)에 감겨 권취되거나 권취롤(100)에서 풀려 권출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200)의 일단부는 권취롤(100)에 연결되어 권취롤(100)과 함께 회전하며 타단부는 웨이트부재(3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권취롤(10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린부재(200)가 권출되는 경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린부재(200)가 권취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200)는 직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스크린부재(200)는 굴절 가능한 다양한 소재를 원단으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
웨이트부재(300)는 스크린부재(200)의 하단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200)의 하단에 웨이트부재(300)를 결합하여 스크린부재(200)를 펼칠 수 있다. 웨이트부재(300)는 적절한 무게를 가져 중력에 의해 스크린부재(200)에 장력을 전달하며 스크린부재(200)에 전달된 장력이 권취롤(1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토크)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웨이트부재(300)는 스크린부재(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권취롤(100)에 스크린부재(200)가 권출되는 제1방향으로 토크(회전력)를 인가한다. 웨이트부재(300)는 스크린부재(200)의 너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의 웨이트부재(300)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권취롤(100)에 탄성력을 가하여 스크린부재(200)가 권취되는 제2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한다. 탄성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1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400)를 설치하여 전술한 웨이트부재(300)가 인가하는 제1방향과 반대방향의 토크를 권취롤(100)에 인가하여 권취롤(100)의 균형을 유도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권취롤(100)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는 비틀림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틀림탄성체는 회전축의 외주부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120)의 외주부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 비틀림탄성체인 탄성부재(400)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권취롤(100)의 회전에 대응하여 변형량이 증가되며 그에 따라 복원력도 증가된다. 이러한 복원력은 변형을 유발한 회전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부재(200)가 권출되는 경우 권취롤(100)이 권출방향으로 회전할수록 반대방향인 권취방향(전술한 제2방향)의 회전력이 탄성력에 의해 증가된다. 동시에, 스크린부재(200)가 권출되어 길이가 신장되므로, 웨이트부재(300)와 스크린부재(200)의 무게가 합산되어 중력작용에 의한 권출방향(전술한 제1방향) 회전력도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제1방향 회전력(토크)과 제2방향 회전력(토크)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증가된다. 이러한 회전력의 균형에 의해 코드 없이 권취롤(100)을 간편하게 회전시키고 회전위치에서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작동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탄성부재(400)는 제2회전축(120)과 권취롤(100)의 사이에 연결되어 토크를 유발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예를 들어, 권취롤(10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블록을 경유하여 권취롤(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회전축(120)은 권취롤(100)의 내부로 연장되고, 권취롤(100) 내부에 권취롤(100)에 결합되어 권취롤(100)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블록(410)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각각 제2회전블록(410) 및 제2회전축(12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회전블록(410)의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제2회전축(120)이 결합될 수 있고 제2회전블록(410)의 외주부에 형성된 홀더(412)가 권취롤(100) 내측의 주행가이드(도 1 내지 도 3의 101참조)에 결합되어 권취롤(100)과 제2회전블록(410)이 동기화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권취롤(100)이 회전하면 제2회전블록(410)이 함께 회전하고 제2회전블록(410)에 연결된 탄성부재(400)의 일단부가 비틀려 변형될 수 있다. 제2회전축(120)은 권취롤(1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나 스스로 회전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제2회전축(120)에 고정된 탄성부재(400)의 타단부는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탄성부재(4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비틀림이 생겨 탄성에너지가 저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부재(40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400)의 형성방식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권취롤(100)에 탄성력을 가하여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탄성부재(400)의 설치구조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회전축(120)과 제1회전축(110)은 각각 고정브라켓(610, 6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회전축(110) 및 제2회전축(120)의 고정브라켓(610, 620)을 향하는 단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110b, 120b)를 형성하여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와 홈 등이 치합하는 구조, 나사 결합하는 구조 등 여러 가지 고정구조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고정부(110b, 120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축(110) 및 제2회전축(12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110a, 120a)을 형성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10a, 120a)을 권취롤(100)의 양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권취롤(100)이 회전링(110a, 120a)에 지지되어 회전축 상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찰고정부(500)는 권취롤(100)에 결합되어 권취롤(100)과 함께 회전하며 제1회전축(110)과 마찰을 일으키는 제1회전블록(510)을 포함한다. 제1회전축(110) 역시 권취롤(100)의 내부로 연장되며 권취롤(100) 내측에 권취롤(100)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블록(5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블록(5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에 제1회전축(110)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고 외주부에 홀더(512)가 형성되어 있어 권취롤(100) 내측의 주행가이드(10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권취롤(100)과 제1회전블록(510)의 회전이 동기화된다. 또한 전술한 제2회전블록(410) 역시 동일한 구조로 권취롤(100)과 회전이 동기화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회전블록(510)과 제2회전블록(410)의 홀더(412, 512)는 권취롤(100) 내측의 주행가이드(101)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회전블록(510) 및 제2회전블록(410)은 권취롤(100)과 함께 회전하며 동시에 평행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가이드(101)는 제1회전축(110) 및 제2회전축(120)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회전축 방향과 평행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블록(510)은 회전하는 동안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 할 수 있고, 제2회전블록(410) 역시 회전하는 동안 제2회전축(12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이동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회전블록이 회전과 함께 평행이동하며 보다 용이하게 마찰을 유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보다 유연하게 탄성 변형에 대응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찰고정부(500)는 나사산의 결합에 의하거나 마찰부재(520)의 접촉 등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권취롤(100)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나사산 결합구조와 마찰부재(520)가 결합된 구조가 함께 적용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산의 결합구조만을 적용하거나 또는 마찰부재(520)만을 적용한 마찰고정부(5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마찰고정부(5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제1회전축과 마찰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회전축과 마찰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제1회전축과 마찰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마찰고정부(5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마찰고정부(500)는 제1회전축(11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롤(도 1 내지 도 3의 100참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블록(510)을 통해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제1회전블록(510)의 외주부에는 홀더(512)가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롤(100)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512)는 홈이나 돌기 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홈 부분이 전술한 권취롤(100)의 주행가이드(도 1 내지 도 3의 101참조)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회전블록(510)은 회전하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다.
제1회전축(11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다. 제1회전축(110)은 분해가 가능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고정부(110b, 120b)와 타단부의 스톱퍼(114)를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회전링(110a)을 분리 결합하고 제1회전블록(510) 역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스톱퍼(114)는 제1회전블록(510)의 이동경로를 제한하여 제1회전블록(510)이 일정 수준이상 평행 이동하지 못하도록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스톱퍼(114)는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톱퍼(114)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회전블록(510)은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내주면에 나사산(511)이 형성된다. 나사산(511)은 제1회전블록(510) 중앙의 관통공(501)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1)은 수나사를 이루며 제1회전블록(5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1)은 수나사와 치합되는 암나사를 이룰 수 있다. 즉, 제1회전블록(510)과 제1회전축(110)이 각각 나사산(111, 511)을 통해 치합되어 회전하며 마찰을 유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회전블록(510)은 단순 회전하는 것이 아니며 나사산(111, 511)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인다(도 4 및 도 6참조). 따라서 나사산(111, 511)을 따라 유동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마찰부재(520)는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 및 제1회전블록(510)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에 마찰부재(520)가 설치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회전블록(510)의 내주면에 마찰부재를 설치하거나,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 및 제1회전블록(510)의 내주면 모두에 마찰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회전축(110)에 마찰부재(52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회전축(110)의 공간을 이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마찰부재(520)를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마찰부재(52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마찰부재(5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에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블록(510)이 회전하며 이동하는 동안 제1회전블록(510)의 나사산(511)과 접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마찰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마찰부재(520)를 형성하고 이를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회전블록(510)과 접촉시켜 제1회전블록(510)의 위치에 변화에 따라 마찰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찰부재(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장홈(112)는 나사산(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홈(112)과 마찰부재(520)가 접하는 면에는 각각 서로 치합되는 고정돌기(113, 522)를 형성하여 마찰부재(520)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마찰부재(520)는 장홈(112)에 삽입되기 용이한 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 등을 적절히 조정하여 적절한 마찰을 유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520)의 제1회전블록(510)을 향하는 접촉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520)의 제1회전블록(510)을 향하는 접촉면은 제1회전축(110)에 형성된 나사산(111)의 마루와 골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도 6의 확대도 참조). 이로 인해 제1회전블록(510)에 형성된 나사산(511)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부재(520)의 표면을 압박하며 적절한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제1회전블록(510)과 접촉하는 마찰부재(520)의 접촉부위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6의 확대도 참조). 따라서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마찰력을 생성하여 권취롤(도 1 내지 도 3의 100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마찰부재(520)는 적어도 일부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마찰부재(520)를 적절히 변형하여 마찰부재(520)의 특정 지점에서 마찰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마찰부재(520)는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찰저항이 변동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회전블록(510)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마찰을 생성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마찰부재(520)의 변형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마찰고정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마찰고정부의 적용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마찰부재(52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마찰부재(520)는 제1회전축(도 4 내지 도 6의 110참조)과 제1회전블록(도 4 내지 도 6의 510참조)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께 또는 면적이 변동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520)의 두께를 변화시켜 특정 지점에서 마찰이 증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제1방향 토크와 제2방향 토크가 예상치 못하게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지점에서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권취롤(도 1 내지 도 3의 100참조)이 회전하여 스크린부재(도 1 내지도 3의 200참조)가 완전히 권취되거나, 반대로 회전하여 스크린부재(200)가 완전히 권출된 등의 경우, 탄성부재(400)의 복원력이 부족하거나 과도하여 전술한 제1방향 토크와 제2방향 토크 사이에 예상치 못한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권취롤(100)이 회전위치를 쉽게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점에서 증가된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1방향 토크와 제2방향 토크의 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상쇄시켜 권취롤(10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520)의 양 단부 측에서 두께를 증가시키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부분에서 제1회전블록(도 4 내지 도 6의 510참조)을 향하는 마찰부재(520)의 접촉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접촉면과 제1회전블록(510) 사이의 마찰이 증가된다. 마찰부재(520)의 양 단부 측은 제1회전블록(510)의 이동이 저지되는 부분으로 권취롤(100) 역시 회전이 중단되는 부분이므로 권취롤(100)이 스크린부재(200)를 완전히 권취하거나 권출한 회전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지점에서 마찰을 증가시켜 권취롤(100)의 정지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52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블록(도 4 내지 도 6의 510참조)과 접하는 면에 톱니(serration)(52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부재가 제1회전블록(510) 측에 형성되는 경우, 마찰부재의 제1회전축(도 4 내지 도 6의 110참조)과 접하는 면에 톱니(521)가 형성될 수 있다. 톱니(521)는 예를 들어, 제1회전축(110)에 형성된 나사산(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111)보다는 폭이 넓게 형성되어 마찰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부재(520)에 톱니(521)가 형성된 구조를 통해 역시 적절한 크기의 마찰력을 생성하여 권취롤(도 1 내지 도 3의 100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톱니(521)구조 역시 적절히 변형하여 특정 지점에서 증가된 마찰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회전축(110)의 길이방향 즉, 도 7 및 도 8의 마찰부재(520)의 연장방향을 따라 톱니(521)의 높이, 간격,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동시켜 마찰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부재(520) 양 단부 측에 위치한 톱니(521)의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간격을 줄이거나, 보다 폭이 증가된 형태로 형상을 변형시켜 해당 지점에서 증가된 마찰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부재(520)는 하나가 아닌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된 마찰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점에만 마찰부재(520)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홈(도 5의 112참조)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마찰부재(520)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마찰부재(520)의 고정돌기(522)로 마찰부재(5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마찰부재(520)를 적절히 변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권취롤(100)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는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코드 없이도 매우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웨이트부재(300)는 권취롤(100)에 스크린부재(200)가 권출되는 제1방향 토크(도 9 및 도 10의 T1참조)를 인가하고, 탄성부재(400)는 이에 대응하여 스크린부재(200)가 권취되는 제2방향 토크(도 9 및 도 10의 T2참조)를 인가한다. 따라서 다양한 회전위치에서 권취롤(10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마찰고정부(500)가 생성하는 마찰력으로 권취롤(100)의 정지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스크린부재(200)의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T1, T2)를 이용하여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에 최소한의 외력(스크린부재나 웨이트부재 등을 간단히 터치하는 방식 등)을 가하여 균형상태를 손쉽게 해제하고 스크린부재(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을 제거하여 균형상태로 손쉽게 전환시킴으로써 스크린부재(200)의 변화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인가된 토크(T1, T2) 사이에 미묘한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마찰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가된 토크(T1, T2)의 합력을 상쇄시켜 보다 용이하게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200)를 권출할 수 있다. 이때 권취롤(10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권취롤(100)과 결합된 제2회전블록(410)이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2회전블록(410)에 연결된 탄성부재(400)가 변형되며 탄성에너지가 저장된다. 스크린부재(200)의 권출된 길이에 대응하여 탄성부재(400)에 변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복원력이 증가된다. 복원력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방향 토크(T1)로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제2방향 토크(T2)도 함께 증가된다. 웨이트부재(300)의 하중에 더하여 스크린부재(200)의 권출된 길이만큼의 하중이 증가하여 중력작용이 강화된다. 따라서 중력에 의해 스크린부재(200)에 걸린 장력이 증가되고 증가된 장력이 제2방향 토크(T2)로 작용한다. 이러한 제2방향 토크(T2)는 제1방향 토크(T1)와 완전히 반대방향으로 생성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의 탄성계수를 조정하거나 웨이트부재(300)의 하중을 조정하여 제1방향 토크(T1)와 제2방향 토크(T2)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 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블록(510)이 제1회전축(110)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마찰력을 생성한다. 마찰력은 권취롤(100)에 작용하여 권취롤(100)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킨다. 전술한 마찰부재(520)를 포함하는 구조, 제1회전블록(510)과 제1회전축(110) 사이의 나사결합 구조 등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권취롤(100)에 발생한 마찰력은 제1방향 토크(T1) 및 제2방향 토크(T2) 사이에 미묘한 크기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해소시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가된 제1방향 토크(T1)와 제2방향 토크(T2)의 합력이 남아있더라도 마찰력으로 상쇄시켜 효과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200)를 권취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따라 진행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린부재(200)를 권취하는 경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10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탄성부재(400)는 변형이 줄어들어 원래 형상을 회복하며,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감소하고 복원력도 감소된다. 따라서 제1방향 토크(T1)가 대응하여 줄어든다. 또한, 스크린부재(200)의 권출된 길이가 감소하여 웨이트부재(300)의 하중만으로 중력작용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권취롤(100)에 인가되는 제2방향 토크(T2) 역시 대응하여 줄어든다. 또한, 제1회전블록(510) 역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하여 마찰력을 생성하므로, 제1방향 토크(T1)와 제2방향 토크(T2) 역시 균형을 이루게 되고 마찰력이 작용하여 권취롤(100)의 정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스크린부재(200)가 권출 또는 권취되는 어느 경우에도 제1방향 토크(T1) 및 제2방향 토크(T2)는 서로 균형을 이루어 증가하거나 감소되며, 마찰고정부(500)는 마찰력을 생성하여 권취롤(100)을 정지시킨다. 사용자는 이러한 균형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만큼의 최소한의 외력만을 제공하여 스크린부재(200)를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지점에서 제거하여 일정한 길이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스크린부재(200)나, 스크린부재(200)에 연결된 웨이트부재(300) 등을 간단히 터치하여 올리거나 내리는 정도 만으로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를 이용하여 월등히 향상된 편리한 사용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명확하고 간결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블라인드장치의 웨이트부재와 연결고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1-1)는 권취롤(100-1, 100-2)이 복수 개로 형성되고, 스크린부재(200-1, 200-2), 웨이트부재(300-1, 300-2), 탄성부재(도 13 및 도 14의 400-1, 400-2참조) 역시 권취롤(100-1, 100-2)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된다. 마찰고정부(도 13 및 도 14의 500-1, 500-2참조)는 권취롤(100-1, 100-2)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권취롤(100-1, 100-2) 중 적어도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을 코드(당김줄) 없이 용이하게 작동시키고 서로 중첩된 스크린부재(200-1, 200-2)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권취롤(100-1, 100-2)은 도 11,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권취롤(100-1, 100-2)은 모두 고정브라켓(610, 6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권취롤(100-1, 100-2) 각각은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은 고정브라켓(610, 62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권취롤(100-1, 100-2) 양 단부에 삽입되는 제1회전축(도 13 및 도 14의 110-1, 110-2참조) 및 제2회전축(도 13 및 도 14의 120-1, 120-2참조)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권취롤(100-1, 100-2)에 각각 삽입되는 서로 다른 제1회전축(110-1, 110-2)이 하나의 고정브라켓(610)에 결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권취롤(100-1, 100-2)에 각각 삽입되는 서로 다른 제2회전축(120-1, 120-2)이 다른 하나의 고정브라켓(62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200-1, 200-2), 웨이트부재(300-1, 300-2), 탄성부재(400-1, 400-2)는 각각 복수 개가 전술한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복수 개로 형성된 권취롤(100-1, 100-2)에 대응하여 스크린부재(200-1, 200-2), 웨이트부재(300-1, 300-2), 탄성부재(400-1, 400-2) 각각을 역시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 각각의 내부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작동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며 해당 스크린부재(200-1, 200-2)를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권취롤(100-1, 100-2)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1-1)는 복수 개의 스크린부재(200-1, 200-2) 사이, 및 복수 개의 웨이트부재(300-1, 300-2)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부(700)를 포함한다. 연결고리부(70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웨이트부재(300-1, 300-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을 동기화시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스크린부재(200-1, 200-2)를 보다 편리하게 감거나 펼칠 수 있다. 연결고리부(700)는 복수 개의 웨이트부재(300-1, 300-2)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홈(300-1a, 300-2a)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홈(300-1a, 300-2a)은 도 11의 (b)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웨이트부재(300-1, 300-2) 내측으로 만입된 형태의 가이드홈(300-1a, 300-2a)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웨이트부재(300-1, 30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연결고리부(700)는 양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더(710, 720)가 각각의 가이드홈(300-1a, 300-2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고리부(700)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고 웨이트부재(300-1, 300-2)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스크린부재(200-1, 200-2)의 평형을 보다 손쉽게 맞출 수 있다.
즉, 연결고리부(700)를 가이드홈(300-1a, 300-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서로 다른 웨이트부재(300-1, 300-2) 간 연결점을 변경하고 연결고리부(700)를 통해 장력이 작용하는 지점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웨이트부재(300-1, 300-2)에 각각 연결된 서로 다른 스크린부재(200-1, 200-2) 사이에 걸리는 장력을 균형 있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쌍으로 형성된 연결고리부(700)를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부재(300-1, 300-2)의 양 단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스크린부재(200-1, 200-2) 사이에 장력이 균형있게 작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로 이루어진 스크린부재(200-1, 200-2)의 길이를 매우 편리하고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웨이트부재(300-1, 300-2) 사이에 연결된 연결고리부(700)가 장력을 균형있게 배분하고 전달하여 도 12의 (a), (b)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린부재(200-1, 200-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복수 개의 웨이트부재(300-1, 300-2) 중 어느 하나만을 터치하더라도 다른 웨이트부재(300-1, 300-2)까지 균형있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연결고리부(700)의 두께, 길이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고리부(700)의 길이를 바꾸어 서로 다른 웨이트부재(300-1, 300-2)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스크린부재(200-1, 200-2)가 서로 중첩된 정도 등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고리부(700)가 형성된 경우 마찰고정부(500-1, 500-2)는 권취롤(100-1, 100-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도 13 및 도 14참조) 상에는 복수 개의 마찰고정부(500-1, 500-2)가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 각각에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권취롤(100-1, 100-2) 중 어느 하나에만 마찰고정부를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즉, 연결고리부(700)에 의해 웨이트부재(300-1, 300-2)와 스크린부재(200-1, 200-2)가 서로 연결되어 장력을 교환하므로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 중 어느 하나에 작용하는 마찰작용 역시 장력의 변화를 통해 다른 권취롤(100-1, 100-2)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고정부를 복수 개의 권취롤(100-1, 100-2) 모두에 각각 형성하지 않고도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1-1)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마찰고정부(500-1, 500-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고, 마찰고정부(500-1, 500-2)가 형성하는 마찰력의 크기도 권취롤(100-1, 100-2)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1-1) 역시 전술한 것처럼 코드 없이도 매우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200-1, 200-2)의 권출된 길이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T1, T2)를 이용하여,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1-1)에 최소한의 외력(스크린부재나 웨이트부재 등을 간단히 터치하는 방식 등)을 가하여 균형상태를 손쉽게 해제하고 스크린부재(200-1, 20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을 제거하여 균형상태로 손쉽게 전환시킴으로써 스크린부재(200-1, 200-2)의 변화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인가된 토크(T1, T2) 사이에 미묘한 불균형이 발생하더라도 마찰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가된 토크(T1, T2)의 합력을 상쇄시켜 보다 용이하게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1-1)를 이용하여 월등히 향상된 편리한 사용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00, 100-1, 100-2: 권취롤
101: 주행가이드 110, 110-1, 110-2: 제1회전축
110a, 120a: 회전링 110b, 120b: 고정부
111, 511: 나사산 112: 장홈
113, 522: 고정돌기 114: 스톱퍼
120, 120-1, 120-2: 제2회전축 200, 200-1, 200-2: 스크린부재
300, 300-1, 300-2: 웨이트부재 300-1a, 300-2a: 가이드홈
400, 400-1, 400-2: 탄성부재 410, 410-1, 410-2: 제2회전블록
411, 512: 홀더 500: 마찰고정부
510, 510-1, 510-2: 제1회전블록 501: 관통공
520, 520-1, 520-2: 마찰부재 521: 톱니
610, 620: 고정브라켓 700: 연결고리부
710, 720: 슬라이더
T1: 제1방향 토크 T2: 제2방향 토크

Claims (16)

  1. 회전축에 결합된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권취(winding)되거나 권출(unwinding)되는 스크린부재;
    상기 스크린부재의 하단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권취롤에 상기 스크린부재가 권출되는 제1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웨이트부재;
    상기 권취롤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스크린부재가 권취되는 제2방향으로 토크를 인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권취롤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축은 상기 권취롤의 내부로 연장된 제1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고정부는, 상기 권취롤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롤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마찰을 일으키는 제1회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 및 상기 제1회전블록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은 상기 권취롤에 상기 제1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와 상기 제2방향으로 인가되는 토크의 합력을 상쇄시키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는 비틀림탄성체로 형성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탄성체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부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인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를 이루며,
    상기 제1회전블록은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와 치합되는 암나사를 이루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찰저항이 변동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블록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께 또는 면적이 변동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블록과 접하는 면 또는 상기 제1회전축과 접하는 면에 톱니(serration)가 형성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톱니의 높이, 간격,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권취롤의 내부로 연장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롤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롤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2회전블록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고정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은 복수 개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재, 상기 웨이트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는 각각 복수 개가 복수 개의 상기 권취롤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부재의 사이, 및 복수 개의 상기 웨이트부재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찰고정부는 복수 개의 상기 권취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복수 개의 상기 웨이트부재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KR1020160155093A 2016-11-21 2016-11-21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KR10177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93A KR101774567B1 (ko) 2016-11-21 2016-11-21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CN201780071695.4A CN109983197B (zh) 2016-11-21 2017-08-31 无绳百叶窗装置
PCT/KR2017/009577 WO2018093023A1 (en) 2016-11-21 2017-08-31 Cordless blind apparatus
JP2019527289A JP6815584B2 (ja) 2016-11-21 2017-08-31 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
US16/462,670 US11180954B2 (en) 2016-11-21 2017-08-31 Cordless bli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93A KR101774567B1 (ko) 2016-11-21 2016-11-21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55A Division KR101899133B1 (ko) 2017-08-10 2017-08-10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567B1 true KR101774567B1 (ko) 2017-09-05

Family

ID=5992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93A KR101774567B1 (ko) 2016-11-21 2016-11-21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0954B2 (ko)
JP (1) JP6815584B2 (ko)
KR (1) KR101774567B1 (ko)
CN (1) CN109983197B (ko)
WO (1) WO201809302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638A1 (ko) * 2018-01-08 2019-07-11 (주)한국윈텍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20190083572A (ko) 2018-01-04 2019-07-12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WO2019139306A1 (ko) * 2018-01-09 2019-07-18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WO2019182190A1 (en) * 2018-03-19 2019-09-26 Wintec Korea Inc. Extensible blind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567B1 (ko) 2016-11-21 2017-09-05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KR20180137832A (ko) * 2017-06-19 2018-12-28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및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의 조정방법
CN110984826A (zh) * 2019-12-03 2020-04-10 广州市珏饰窗饰科技有限公司 一种卷帘平衡调节器及其组成的卷帘
KR102125678B1 (ko) * 2020-01-15 2020-07-08 이형칠 스프링을 사용한 반자동 어닝
CN113266262A (zh) * 2021-06-28 2021-08-17 无锡万斯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无拉绳罗马帘卷帘
NL2029357B1 (en) * 2021-10-08 2023-04-20 Shenzhen Ruiqing Xingye Plastic Co Ltd Roller blind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30Y1 (ko) * 1990-10-31 1993-05-19 김경길 방충망이 부설된 차광장치
KR930005916Y1 (ko) 1991-07-09 1993-09-04 임건호 자수용 양말의 장착틀 분리 장치
DK1009904T3 (da) * 1997-07-16 2004-04-05 Fabers Fab As C Optræksmekanisme til rullegardiner
WO2004051047A1 (en) * 2002-12-04 2004-06-17 Jae-Suk Kwak The roll screen for reduction device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N2587292Y (zh) * 2002-12-31 2003-11-26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卷轴即时定位器
EP1746245A2 (en) * 2005-07-18 2007-01-24 Emmanouel Varitis Mechanical one-direction friction brake for smooth roll-up of roll fly-screen
CN201175246Y (zh) * 2008-03-05 2009-01-07 庆丰富实业股份有限公司 无拉绳的罗马帘把手
JP5288599B2 (ja) * 2008-08-01 2013-09-11 株式会社Lixil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巻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JP5711450B2 (ja) * 2009-08-12 2015-04-3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CN202850833U (zh) * 2011-06-16 2013-04-03 黄贤德 水平收放式窗帘组自动卷收装置
JP6145093B2 (ja) * 2011-08-26 2017-06-07 ハンター・ダグラ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窓覆い用のコードなし格納式ローラシェード
CN202636554U (zh) * 2011-09-27 2013-01-02 黄贤德 反馈能量可调整之窗帘组
NL1039408C2 (en) * 2012-02-27 2013-08-28 Hunter Douglas Ind Bv Roller shade.
TWI468580B (zh) * 2012-03-07 2015-01-11 Bao Song Prec Industry Co Ltd 無拉繩式窗簾隨意止動控制裝置
KR200469335Y1 (ko) * 2012-05-11 2013-10-04 주식회사 코인 이중 권취 구조를 갖는 콤비 블라인드
US8820386B2 (en) * 2012-05-18 2014-09-02 Qmotion Incorporated Multiple shade apparatus and method
TWM443063U (en) * 2012-08-20 2012-12-1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Transmission rope security structure of Rope-free venetian blinds
US8905115B2 (en) * 2012-08-30 2014-12-09 Wen-Yu Wu Blind cord winder integrating with stopping control
CA2905693A1 (en) * 2013-03-15 2014-09-18 Hunter Douglas Inc.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N109113555B (zh) * 2013-03-15 2020-06-09 亨特道格拉斯公司 用于辊支撑的建筑覆盖件的位置锁定
TW201500634A (zh) * 2013-06-25 2015-01-01 Shi-Yuan Chen 捲簾
KR101492020B1 (ko) * 2013-07-30 2015-02-10 김대영 롤 블라인드
NL1040593C2 (en) * 2014-01-08 2015-07-13 Hunter Douglas Ind Bv Shading device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and method for adjusting an end stop position of the shading device.
KR200480955Y1 (ko) 2015-03-09 2016-07-29 문제선 롤 블라인드
CA2981892A1 (en) * 2016-10-14 2018-04-14 Hunter Douglas, Inc. Adjustable internal double limit stop for roller shades
KR101774567B1 (ko) 2016-11-21 2017-09-05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572A (ko) 2018-01-04 2019-07-12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2050902B1 (ko) 2018-01-04 2019-12-03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WO2019135638A1 (ko) * 2018-01-08 2019-07-11 (주)한국윈텍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2058096B1 (ko) 2018-01-08 2019-12-20 (주)한국윈텍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US11377906B2 (en) 2018-01-08 2022-07-05 Wintec Korea Inc. Cordless blind device for external power drive
WO2019139306A1 (ko) * 2018-01-09 2019-07-18 (주)한국윈텍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CN111566306A (zh) * 2018-01-09 2020-08-21 云太可韩国有限公司 无绳百叶窗装置
US11261659B2 (en) 2018-01-09 2022-03-01 Wintec Korea Inc. Cordless blind device
CN111566306B (zh) * 2018-01-09 2022-04-01 云太可韩国有限公司 无绳百叶窗装置
WO2019182190A1 (en) * 2018-03-19 2019-09-26 Wintec Korea Inc. Extensible bli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0954B2 (en) 2021-11-23
WO2018093023A1 (en) 2018-05-24
US20200109600A1 (en) 2020-04-09
JP2020502395A (ja) 2020-01-23
CN109983197A (zh) 2019-07-05
CN109983197B (zh) 2021-05-11
JP6815584B2 (ja)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278B1 (ko) 블라인드장치
KR101774567B1 (ko)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CA2819085C (en)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EP3039217B1 (en) Device for adjusting fabric angle of double fabric blinds
TWI577874B (zh) No curtains curtains curtain body brake mechanism
KR101899133B1 (ko) 코드리스 블라인드장치
US20170107075A1 (en) String coiling unit for a window shade without a pull cord
KR102051896B1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CN105147039A (zh) 窗帘及其致动系统
JP6976510B2 (ja) 摩擦構造を付加しない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及び摩擦構造を付加しないコードレスブラインド装置の調整方法
TW201725310A (zh) 無拉繩窗簾之簾體制動機構
CN105286467A (zh) 窗帘、其致动系统及操作方法
CA3088910C (en) Cordless blind device for external power drive
TW201621147A (zh) 無拉繩窗簾之簾體定位機構
JP6510194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180137822A (ko) 블라인드 장치
KR102039012B1 (ko) 듀얼 블라인드
KR20180055330A (ko) 양방향 클러치형 조작 구동장치
CN211647935U (zh) 弹力调整构造及使用该弹力调整构造的卷帘的卷动器
KR20190083572A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2449141B1 (ko) 엉킴 복원 기능을 갖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JP686064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21085235A (ja) 調光型ロールスクリーン及びその操作装置
JP2019044357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TWM646626U (zh) 窗簾無阻力的平衡控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