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02B1 -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 Google Patents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02B1
KR101774102B1 KR1020150088894A KR20150088894A KR101774102B1 KR 101774102 B1 KR101774102 B1 KR 101774102B1 KR 1020150088894 A KR1020150088894 A KR 1020150088894A KR 20150088894 A KR20150088894 A KR 20150088894A KR 101774102 B1 KR101774102 B1 KR 101774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ugget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chic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20A (ko
Inventor
최태호
정은탁
남기욱
엄주태
주상집
이승택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소재
Priority to KR102015008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7Farinaceous granules for dressing meat, fi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A23L13/57Coating with a layer or stuff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23V2250/51086Hydroxyalkyl cellulose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에 소맥분 및 산화전분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사전에 성형한 분쇄계육물에 정해진 비율로 도포한 후, 튀김옷을 입혀 유탕 조리시 튀김옷과 계육에 흡수된 유량(油糧)의 감소와 계육에 포함된 수분의 외부유출이 최소화됨으로써, 조리 후 조직감과 관능을 개선하고, 이후 계육가공품 생산에서는 생산수율과 지방에 의한 품질 열화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너겟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박력분 및 산화전분을 혼합한 프리더스트믹스의 조성물을 염지액 등으로 수화된 계육의 표면에 일정비율로 적용함으로써 너겟 튀김 시 흡유량 감소와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튀김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겟의 지방 함량을 줄이면서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어 소비자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Manufacturing method of Predust-Mix containing hydroxylpropyl methyl cellulose and formulating Chicken Nugget with the mix}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에 소맥분 및 산화전분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사전에 성형한 분쇄계육물에 정해진 비율로 도포한 후, 튀김옷을 입혀 유탕 조리시 튀김옷과 계육에 흡수된 유량(油糧)의 감소와 계육에 포함된 수분의 외부유출이 최소화됨으로써, 조리 후 조직감과 관능을 개선하고, 이후 계육가공품 생산에서는 생산수율과 지방에 의한 품질 열화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에 관한 것이다.
현대 소비자들은 맛과 조리편이성, 식생활의 변화로 가공식품의 소비를 점점 늘리고 있으나, 가공식품을 통한 과다한 지방 섭취가 비만, 동맥경화,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가공식품 중 특히 튀김류는 기호성이 뛰어난 반면, 유탕 제조의 특성상 가공 중에 제품에 전이된 기름으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다른 가공식품보다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공 중 기름의 흡수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프리더스트 또는 프리더스팅은 식품가공 중 원료의 표면에 건조된 식품용 코팅물질(이하 프리더스트)을 입히는 물질 또는 공정으로 정의되며, 대부분 유탕 가공하는 제품의 제조 시에 사용되고 있다. 유탕가공식품의 제조시, 제품의 외관개선과 풍미를 높이기 위해 소위 튀김옷을 원료의 표면에 입혀 가공한다. 이때 적용하는 튀김옷은 프리더스트와 액상 성상의 배터믹스(또는 배터액), 그리고 배터액 위에 적용하는 건조된 분말성상의 브래더믹스로 통상 구분된다.
유탕가공식품 중 계육가공품들은 제조 과정 중에 원료육(이하 계육)의 풍미와 이후 작업성의 개선을 위해 수용액 상태의 염장액으로 처리되며, 이 과정으로 계육의 표면은 염장액과 계육 자체에서 용출된 수용액 상 물질로 젖어있게 된다. 배터액은 수용액 상태로써 계육의 표면이 젖어있게 되면, 배터액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없으며, 수분의 영향으로 배터액이 묽어지고 계육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품질의 악화를 초래한다. 프리더스트는 젖어있는 계육 표면의 수분을 흡수하고 계육과 배터액 간의 접촉면적을 높여 상호 결착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계육가공 시 젖어있는 표면의 위에 얇게 도포됨으로써, 배터액 적용단계의 가공적성을 높이기 위한 예비단계에서 적용되고 있다. 또한 프리더스트는 가공 중 배터액과 계육 간의 공기 층 형성을 억제하여, 배터의 도포율을 높임으로써 불량품 감소 및 생산 수율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유탕가공방식의 계육제품에 있어서, 프리더스트는 계육과 배터액 사이에 위치하며, 계육이 보유한 수분과 가공시 흡수된 기름들이 제품의 내외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방어막'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방어막을 구성하는 성분 중, 가열 시 겔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는 셀룰로오스와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MC),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HPMC))에 주목하고 있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이다. 치환기로 메톡시기, 하이드록시프로폭시기 또는 수소를 갖는다. 분자간 수소 결합으로 인해 30 ~ 65%의 결정성을 갖는 불용성의 천연 고분자이다. 또한 알코올이나 에탄올에 녹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흡습성이 있고 pH는 5.0 ~ 8.0이다. 가열과 냉각에 의해 졸에서 겔로 변화하며, 유화제, 증점안정제, 서스펜션화제, 보습제 등으로 사용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70790호(흡유 저감화 배터믹스 조성물)는 전분, 검류 및 베이킹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배합하여 제조하는 배터믹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160호(튀긴식품의 오일 흡수를 감소시키는 방법)는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튀김옷 반죽 믹스에 물을 가하여 튀김옷 반죽을 형성한 후, 식품에 튀김옷을 입혀 튀긴 식품의 오일 흡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명은 검류를 사용하여 유탕제품 생산시 흡유를 억제하는 배터믹스에 관한 것으로, 제품 적용시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배터액을 제조하여 적용한다. 상기 배터액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식육제품 가공 시 원료로부터 전이된 수분으로 배터액 적용 시 점도가 낮아지거나 도포율이 일정하지 않는 등의 여러 가공적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품산업에서 사용하는 프리더스트는 일반적으로 밀가루, 전분 또는 식물성추출 단백질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작업 중 원료표면에서 탈락하여 배터액에 전이되어 점도를 높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원료들이 호화온도와 겔 형성 온도가 상이하여 제품에 적용되더라도 기름의 흡유를 저감시키거나 보수력 증진 또는 튀김옷의 Crispness의 증진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070790 B1 (2011.09.29) KR 10-2012-0020160 A (2012.03.07)
김덕년. 액상반죽 및 표면코팅을 통한 유탕 처리식품의 흡유 저감화 연구. 세종대학교. 2010. Suhaila Mohamed, Northasimah Abd hamid and Mansoor Abdul Hamid. Food components affecting the oil absorption and crispness of fried batter.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78(1). 1998. 39 ~ 45 Kuntz LA. The great cover-up: batters, breadings, and coatings. Food Prod Des. 1997. 7:39 ~ 57.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를 제조한 후, 이를 치킨 너겟(이하 너겟)에 적용하여 저흡유와 보수력 등을 향상시켜 너겟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프리더스트믹스를 적용하여 너겟을 가공함으로써, 기름의 흡유가 감소하여 지방섭취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박력분 및 산화전분을 유효량으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40 ~ 80 중량부, 박력분 20 ~ 40 중량부 및 산화전분 20 ~ 5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전분은 옥수수전분, 소맥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또는 쌀가루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원료로 하여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는 메톡실 치환도 15 ~ 25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5 ~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메톡실 치환도 25 ~ 30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3 ~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너겟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너겟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박력분 및 산화전분을 혼합한 프리더스트믹스의 조성물을 염지액 등으로 수화된 계육의 표면에 일정비율로 적용함으로써 너겟 튀김 시 흡유량 감소와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튀김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겟의 지방 함량을 줄이면서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어 소비자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흡유율 측정 그래프이다.
도 2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수분 보유력 측정 그래프이다.
도 3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crispness 측정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이하 너겟)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박력분 및 산화전분을 유효량으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40 ~ 80 중량부, 박력분 20 ~ 40 중량부 및 산화전분 20 ~ 5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전분은 옥수수전분, 소맥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또는 쌀가루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원료로 하여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는 메톡실 치환도 15 ~ 25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5 ~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메톡실 치환도 25 ~ 30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3 ~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로 너겟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조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너겟은 분쇄한 원료육 80 ~ 90 중량부에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2 ~ 4 중량부와 소맥분 및 정제수를 0.9 ~ 1.2 : 1.2 ~ 2.5의 비율(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배터액을 8 ~ 16 중량부를 묻혀 식용유지에 튀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한 원료육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으나 소, 닭 및 돼지를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닭의 닭가슴살 부위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분쇄된 닭고기의 가슴살은 0.2 ~ 0.5㎜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겟 제조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2 중량부 미만 및 원료육 90 중량%초과하여 제조할 경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4 중량부 초과 및 원료육 80 중량부 미만으로 제조할 경우, 배터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육고기의 씹는 맛이 저하되어 소비자의 기호도가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쇄한 원료육의 표면에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묻히고 배터액을 도포하면 원료육 표면의 수분과 결합하여 결착하게 되며, 유탕 가열 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겔이 형성되어 가열시간에 따른 육고기와 배터액 간의 수분 및 기름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은 냉/해동 안정성, 형태 유지성, 겔화성과 같은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 시 pore에서 겔을 형성함으로써 수분 이탈 및 기름 흡수를 막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도 1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흡유율 측정 그래프이며, 도 2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수분 보유력 측정 그래프이며, 도 3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crispness 측정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 및 비교예 1 :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중량부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1000g을 제조하였다.
하기 산화전분은 옥수수전분을 원료로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는 메톡실 치환도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가 다른 두 종류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본 실험에 사용한 메토셀 K4M(Methocel K4M)은 메톡실 치환도 15 ~ 25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5 ~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이며, 메토셀 F4M(Methocel F4M)은 메톡실 치환도 25 ~ 30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3 ~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이다.
비교예 1은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박력분, 산화전분 및 젤란검을 혼합하여 제조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이다.
구분 박력분 산화전분 메토셀 K4M 메토셀 F4M 젤란검
실시예 1 100 0 0 0 0
실시예 2 90 10 0 0 0
실시예 3 70 30 0 0 0
실시예 4 50 50 0 0 0
실시예 5 60 0 40 0 0
실시예 6 60 0 0 40 0
실시예 7 60 0 20 20 0
실시예 8 40 20 20 20 0
실시예 9 35 25 20 20 0
실시예 10 30 30 20 20 0
실시예 11 25 35 20 20 0
비교예 1 83 16.8 0 0 0.2
실험예 1 :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흡유율 측정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1000g을 제조한 후, 일정한 형태로 제조된 치킨 너겟에 처리하고, 여기에 소맥분 및 정제수를 0.9 ~ 1.2 : 1.2 ~ 2.5의 비율(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배터액을 8 ~ 16 중량부를 묻혀 184 ~ 186℃ 온도의 식용 유지에 3 ~ 5 분 동안 튀긴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식혔다. 이때, 치킨 너겟은 가로 45㎜×세로 40㎜×높이 10㎜, 52g 내외로 성형한 치킨 너겟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1시간 동안 식힌 치킨 너겟을 1 분간 기름제거를 하고 믹서기로 분쇄한 후, 헥산을 용매로 한 속슬렛 장치를 이용하여 7시간 동안 지방을 추출한 후, 드라이 오븐에서 70℃로 가열하여 기름을 추출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따라 흡유율을 계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지방함량(%) = 추출한 기름 무게(g)/시료 무게(g)×100
치킨 너겟의 흡유율 측정 결과, 하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11에서 박력분의 흡유량과 비교하였을 때, 흡유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화전분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의 첨가함으로써 흡유율 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수분 보유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치킨 너겟에 묻혀 튀긴 후, 치킨 너겟 수분 보유력을 분석하였다.
상기 튀김 처리한 치킨 너겟을 1시간 동안 상온 방치한 후, 할로겐 수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따라 수분 보유력을 계산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 = 측정된 수분량(g)/시료무게(g)×100
치킨 너겟의 수분 보유력 측정 결과, 하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화 전분을 첨가한 실시예 2 내지 4에서 박력분의 수분 보유력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실시예 5 내지 11에서 실시예 1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수분 보유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분 보유력 측정결과에 따라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였을 때 수분 보유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일정비율로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에 따른 치킨 너겟 crispness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치킨 너겟에 묻혀 튀긴 후 치킨 너겟의 crispness을 분석하였다.
상기 튀김 처리한 치킨 너겟의 crispness은 texture analyzer(TA-XT, Stable Micro Systems)에 70㎜×3㎜ 판 형태 probe를 장착한 후, 45×40×10㎜의 치킨 너겟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치킨 너겟 crispness을 분석하였다. 이때, 상기 분석 조건은 pre-test speed 1㎜/sec, test speed 1㎜/sec, post-test speed 10㎜/sec, strain 70%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3 결과는 하기 도 3과 같이 나타났다.
하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킨 너겟의 crispness 측정결과 실시예 2 내지 11에서 박력분의 crispness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crispness이 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실시예 8 내지 11에서 산화전분의 첨가에 대해서는 바삭함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으며, 산화전분의 최적 첨가량은 3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실시예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은 흡유감소에 가장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는 Excel 2007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독립표본 T 검정(t-test analysis)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Claims (5)

  1.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우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너겟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너겟의 제조방법은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이용하되,
    상기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은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우스 40~ 80중량부, 박력분 20~ 40중량부 및 옥수수전분, 소맥전분, 고구마전분, 타피오카전분 또는 쌀가루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산화전분 20~ 50중량부를 함유시켜 제조하며,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 2~ 4 중량부와 소, 닭 및 돼지를 분쇄한 원료육 80~ 90 중량부 및 소맥분 및 정제수를 0.9 ~ 1.2 : 1.2 ~ 2.5의 비율(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배터액을 8~ 16중량부로 묻혀 식용유지에 튀겨 너겟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너겟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100중량부는 메톡실 치환도 15~ 25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5~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메톡실 치환도 25~ 30 중량부와 히드록시프로필 치환도 3~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너겟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50088894A 2015-06-23 2015-06-23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KR10177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894A KR101774102B1 (ko) 2015-06-23 2015-06-23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894A KR101774102B1 (ko) 2015-06-23 2015-06-23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20A KR20170000120A (ko) 2017-01-02
KR101774102B1 true KR101774102B1 (ko) 2017-09-04

Family

ID=5781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894A KR101774102B1 (ko) 2015-06-23 2015-06-23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1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76B1 (ko) * 2013-08-30 2014-06-13 대상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배터믹스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160A (ko) 2009-05-18 2012-03-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튀긴 식품의 오일 흡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1070790B1 (ko) 2009-08-05 2011-10-07 씨제이제일제당 (주) 흡유 저감화 배터믹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976B1 (ko) * 2013-08-30 2014-06-13 대상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배터믹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20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885B2 (ja) パン粉付けフライ食品用小麦粉として使用する湿熱処理小麦粉の使用方法
KR101818767B1 (ko) 튀김용 도우 조성물 및 튀겨진 도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363901B1 (ko) 즉석면류 및 그 제조방법
JP5069886B2 (ja) 揚げ物用小麦粉として使用する湿熱処理小麦粉の使用方法
US6224931B1 (en) Method of producing dry noodles
EP3888473A1 (en) Batter for fried food
EP3888474A1 (en) Batter for fried food
EP3170405A1 (en) Tempura batter mix
TW201806493A (zh) 含有澱粉食品用的鬆動改良劑、含有澱粉食品以及含有澱粉食品的製造方法
JP6703864B2 (ja) 難消化性澱粉含有そ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4102B1 (ko)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프리더스트믹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킨 너겟
JP6215058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生中華麺の製造方法
JP6796599B2 (ja) ビーフン様米粉麺類の製造方法
KR101834799B1 (ko) 현미를 이용한 결착력이 증대된 돈가스용 베터믹스 제조
JP6591979B2 (ja) 天ぷら衣用ミックス
JP2019118318A (ja) 麺類の製造方法
JP6757741B2 (ja) 米粉麺類の製造方法及び麺類用ミックス粉
JP2018093787A (ja) 豆乳ゲル化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6153033A1 (ja) 調理済み米粉麺類
WO2016136581A1 (ja) 穀類加工食品用ほぐれ改良剤
JP6767386B2 (ja) 熱処理米粉の製造方法及び麺類の製造方法
EP3831215A1 (en) Breadcrumb mix
JP3646944B2 (ja) 米加工食品原料の製造方法
JP6995610B2 (ja) フライ麺類の製造方法およびフライ麺類の吸油を低減させる方法
KR101840845B1 (ko)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