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986B1 - 의료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986B1
KR101773986B1 KR1020127022941A KR20127022941A KR101773986B1 KR 101773986 B1 KR101773986 B1 KR 101773986B1 KR 1020127022941 A KR1020127022941 A KR 1020127022941A KR 20127022941 A KR20127022941 A KR 20127022941A KR 101773986 B1 KR101773986 B1 KR 10177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control valve
valve
housing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297A (ko
Inventor
사이에드 사베티
Original Assignee
사이에드 사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0900379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0900379A0/en
Application filed by 사이에드 사베티 filed Critical 사이에드 사베티
Publication of KR2013003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55Implan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9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with floating-belt attaching 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장루 장치(1)는 사용시 누공(S) 부위 근처에서 사람 몸의 내부에 위치되는 임플란트(10)를 갖는다. 배출 장치(20)가 사용시 장 배설물이 사람 몸 밖으로 나가게 해주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사용시 임플란트(10)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장치(20)를 누공(S)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수단이 있다. 배출 장치(20)는 임플란트(10)와 배출 장치(20) 사이의 자기적 끌림에 의해 누공(S) 부위에 유지된다.

Description

의료 장치{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루(ostomy)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루 장치는 결장루 또는 회장루와 같은 장루 시술을 받은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결쳐, 다른 말이 없으면,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포함한" 은 언급한 개체 또는 개체의 그룹을 의미하지만, 다른 개체 또는 그 개체의 그룹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서두는 읽은 이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또는 도면에 개시된 범위를 좁게 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예컨대 환자의 장(대장 또는 소장)이 질병(예컨대, 결장암 ), 외상(예컨대, 심한 복부 부상) 또는 장수술의 영향을 받아 그 환자가 배설물(즉, 대변)이 항문을 통해 배출시키는 정상적인 기능을 상실했을 때, 장루 시술이 행해질 수 있다. 장루 시술은 정상적인 배설물 제거 기능의 상실에 대신하는 것이다.
장루 시술시에 환자의 장을 절단한다. 장루 시술의 이유에 따라, 절단 대상은 대장, 즉 결장이거나 또는 소장(이 경우에는 보통 회장의 끝 부분)이 될 수 있다. 여전히 위장과 연통하는 장의 절단 단부를 환자의 복부에 만들어진 절개부를 통해 끌어내게 된다. 그런 다음에 장의 상기 단부를 절개부의 외부에서 피부에 봉합하여 누공(stoma)을 형성한다. 그러면, 장 배설물(즉, 대변)은 그 누공을 통해 사람의 몸에서 나가게 되며 대변을 배출하는 항문의 정상적인 기능은 중단된다.
대장, 즉 결장을 사용하여 누공을 만들기 위해 장루 시술을 행할 때, 그 시술을 결장루술이라고 한다. 소장을 사용하여 누공을 만들기 위해 장루 시술을 행할 때, 그 시술을 회장루술이라고 한다.
장루 시술은 임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다. 행해지는 장루 시술이 임시적인 것인지 또는 영구적인 것인 가는 장루 시술이 행해지는 이유에 달려 있다.
임시적인 장루술은, 예컨대 결장을 수술하고 그 결장이 쉬고 치유되는데 시간이 필요할 때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장 중에서 쉬고 있는 폐쇄되고 배설물은 누공을 통해 배출된다. 일단 결장이 치료되었으면, 결장에 있어서 누공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부분을 결장에 있어서 쉬고 있었던 부분과 다시 연결하고 누공은 폐쇄한다. 그러면, 환자는 항문을 통해 정상적인 배설물 제거 기능을 재개할 수 있게 된다. 임시적인 장루술은 예컨대 몇 주 내지 몇 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영구적인 장루술은 예컨대 결장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이 결장에 영향을 주었을 때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장에서 질병에 걸린 부분을 제거하고 배설물 배출을 위해 누공을 형성한다. 항문에 연결되어 있는 결장의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고 항문을 통한 정상적인 배설물 제거 기능은 환자의 일생동안 중단된다.
누공이 배설물이 몸 밖으로 나가게 해주는 개구를 제공하지만, 이 누공은 배설물의 배출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항문과 괄약근의 기능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사람에게 장루술이 행해진 후에 배설물은 누공을 통해 장에서 나가게 된다. 이 과정은 비자발적인 것으로, 사람은 이 과정을 제어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일단 장루술이 사람에게 행해지면, 정상적인 배설물 제거 기능의 상실에 대응할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공지된 배경 기술에 대한 논의, 문헌 및 정보에 대한 참조는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일 뿐, 그 자료들 중 어떤 것이라도 본 명세서의 출원과 관련된 출원의 우선일의 시점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형성한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확인하는 것은 아니다.
장루 시술 다음에는 일반적으로 장루 백을 사용하여, 누공에서 나가는 장 배설물을 모으게 된다. 이 장루 백의 개구는 누공 주변에서 사람의 피부에 직접 부착된다. 장루 백은 접착제로 피부에 부착된다. 필요하다면 사람이 장루 백을 비우고 교체해야 한다. 장루 백의 교체 빈도는 다르지만, 종종 하루에 일회 내지 수회이다.
장루 백을 교체할 때는, 먼저 피부에 대한 접착제 부착을 끊고 기존의 장루 백을 제거해야 한다. 기존의 장루 백과 그의 내용물은 적절히 처리해야 한다. 누공과 그 누공 주변의 피부를 청결히 해야 한다. 이는 누공의 감염과 괴저를 포함한 심각한 문제 발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누공 부위를 청결히 유지하기 위해 항상 사용해야 하는 다양한 대책이 있다. 장 배설물은 누공을 통해 밖으로 나갈 때 누공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장루 백을 제거하여 새 것으로 교체할 때 마다(이런 일은 하루에 수회 필요할 수 있다) 청결 규정을 따라야 한다. 일단 누공 부위가 청결해졌으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누공 주변의 피부에 새로운 장루 백을 부착한다.
누공이 청결히 유지되지 않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문제 외에도, 장루 백을 부착하기 위해 누공 주변의 피부에 항상 접착제를 바르면 피부 가려움, 피부 발진 및 삭피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장 배설물 배출을 위한 누공에 동반되는 불쾌한 냄새를 항상 맡게 된다.
누공을 갖고 장루 백을 사용하며 살아야 하는 사람은 큰 고초를 겪을 수 있다. 그들의 상태를 처리하는 몇몇 문제와 불편을 전술하였다. 또한, 그러한 사람은 개인 관계, 가족 관계, 사회적 관계 및 채용 관계가 종종 나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자신감의 상실, 고립감, 우울증 및 자살을 포함한 다른 문제 및 상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시 누공 부위 근처에서 사람 몸의 내부에 위치되는 임플란트,
사용시 장 배설물이 사람 몸 밖으로 나가게 해주는 수단을 제공하는 배출 수단, 및
사용시 임플란트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수단을 누공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루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배출 수단은 자기력에 의해 누공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된다.
사용시 임플란트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수단을 누공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상기 수단은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와 유지 수단은 자기적으로 서로 끌린다.
유지 수단은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링 또는 환형 디스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지 수단은 적어도 배출 수단의 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수단의 상기 일 부분은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는 가요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는 실질적으로 환형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은 관형 부재를 포함하고, 이 관형 부재의 일 부분은 사용시 누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장 안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은 실질적으로 관형 부재의 일 단부에 있는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사용시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 안에 위치되면 누공 부위근처에서 사람 몸에 지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에는 사람 몸 밖으로의 장 배설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은 분리가능하게 함께 연결되는 제 1 및 2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은 관형 부재를 갖고 제 2 부분은 밸브 수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배출 수단을 누공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루 장치는, 사용시 유지 수단과 누공 부위 사이에 제공되어 실질적으로 배출 수단의 제 2 부분을 덮는 케이스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수단은 케이스 수단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시 관형 부재를 사람 몸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제 1 단부를 갖는 관형 부재, 및
관형 부재의 제 1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관형 부재의 제 2 단부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플랜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수단에는, 관형 부재의 제 2 단부에 인접하여 있는 홈부 및 이 홈부에 인접해 있는 환형판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사용시 상기 홈부는 실질적으로 사람의 누공 위에 정렬되어 위치되며, 환형판부는 누공 부위의 주변에서 사람 몸에 지탱되는 장루 삽입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루 삽입 장치는 홈부에 제공되는 블래더를 더 포함하고, 사용시 이 블래더는 누공 부위의 주변을 밀봉하기 위해 부풀려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블래더를 적절히 부풀리기 위해 그 블래더 공기를 안으로 주입하기 위한 입구가 플랜지 수단에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형 부재에는 이 관형 부재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부여해 주는 강직화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지 예시적으로만 설명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장루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a 는 사용시 환자의 몸 내부에 위치되는, 도 1 에 나타난 장루 장치의 임플란트의 입면도이다.
도 2b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임플란트의 상면도이다.
도 2c 는 도 2a 에 나타나 있는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나 있는 장루 장치의 배출 장치의 삽입부의 제 1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나 있는 삽입부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5a 는 도 3 및 4 에 나타나 있는 삽입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5b 는 도 4 에서 화살표 B 로 나타나 있는 방향에서 본 것으로, 도 3 및 4 에 나타나 있는 삽입부의 정면도이다.
도 6a 는 배출 제어 밸브와 하우징의 제 1 절개 사시도로, 밸브는 폐쇄 상태에 있다.
도 6b 는 배출 제어 밸브와 하우징의 제 2 절개 사시도로, 밸브는 개방 상태에 있다.
도 7a 는 배출 제어 밸브 하우징을 위한 폐쇄 캡의 사시도이다.
도 7b 는 배출 제어 밸브 하우징을 위한 폐쇄 캡의 제 2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1 에 나타나 있는 장루 장치의 고정 벨트의 측면도로, 스트랩은 생략되어 있다.
도 9a 는 도 8 에 나타나 있는 고정 벨트가 도 1 에 나타나 있는 장루 장치의 배출부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 는 도 9 에 나타나 있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고정 벨트가 도 1 에 나타나 있는 장루 장치의 배출부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는 도 1 에 나타나 있는 장루 장치의 유지 링의 입면도이다.
도 10b 는 도 10a 에 나타나 있는 유지 링의 측단면도이다.
도 11a는 고정 벨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거즈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1b 는 도 10a 에 나타나 있는 거즈 패드의 측면도이다.
도 12 는 누공 부위 근처에서 사람 몸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임플란트 및 누공에서 제 위치에 있는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12 는 장루 장치(1)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도 1 및 12 에서 장루 장치(1)의 모든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붙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루 장치(1)의 실시 형태의 구성품과 요소는 다른 첨부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고 참조 번호로 확인된다.
본 발명의 장루 장치(1)는 사용시 누공(stoma)(S) 부위 근처에서 사람의 몸 안에 배치되는 임플란트(10), 사용시 장 배설물이 사람 몸 밖으로 나가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배출 장치(20) 및 사용시 임플란트(10)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장치(20)를 누공(S)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위치시키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즉 배출 장치가 누공(S) 부위에 위치되고 유지되도록 해주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사용시, 배출 장치(20)는 자기력, 즉 자기적 인력에 의해 누공(S) 부위에 제 위치에 유지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설명할 것이다.
사용시 임플란트(10)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수단(20)을 누공(S)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는 상기 유지 수단은 유지 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10)와 유지 링(70)은 자기적으로 서로 끌린다.
사용시 임플란트(10)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수단(20)을 누공(S)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는 상기 유지 수단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배출 장치(20)의 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장치(20)의 이 일 부분은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22)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장루 장치(1)의 실시 형태의 구성품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어서 이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임플란트
도 2a, 2b 및 2c 는 임플란트(10)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임플란트는 사용시 여기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누공(S) 부위에 인접하여 사람의 몸 안에 위치된다. 사람은 장루 시술을 받은 환자이다.
임플란트(10)는 자화되어 있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는 예컨대 임플란트(10)에 자화 재료(11)(도 2a, 2b 및 2c 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를 매립하거 주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0)는 전체적으로 자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10)는 가요적이다. 이 임플란트는 휘어질 수 있고 복부 벽에 봉합되는 부위에서의 사람 복부 벽의 윤곽에 맞게 될 수 있다. 임플란트(10)가 사람 몸 안의 복부벽에 봉합될 수 있도록 그 임플란트에는 구멍(12)이 제공되어 있다.
임플란트(10)는 도 2a, 2b 및 2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쪽에 있는 평평한 면을 갖는 환형의 디스크 또는 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임플란트(10)는 연속적이지 않다. 대신에, 임플란트(10)가 사람 몸 안으로 삽입된 후에 그 임플란트(10)는 각 단부 영역(13, 14)에서 핀(15)으로 연결된다. 각 단부 영역(13, 14)에는 컷아웃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컷아웃부는 서로 접하고 또한 겹쳐져 완전한 링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로 접해 겹쳐져 있는 상기 컷아웃부에 제공되어 있는 정렬된 구멍에 핀(15)을 삽입하여 위치시켜, 임플란트(10)의 각 단부 영역(13, 14)을 함께 연결한다.
각 단부 영역(13, 14)을 함께 연결하기 위해 핀(15)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각 단부 영역(13, 14)에 있는 각 컷아웃부에 위치되는 상보적인 누름 스터드를 두는 것이다. 이 누름 스터드는 임플란트(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보적인 스터드를 눌러 결합시켜 단부 영역(13, 14)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
임플란트(10)는 중앙 개구(16)를 갖는다.
임플란트의 두께는 그의 전체 직경 보다 상당히 작다. 임플란트(10)의 치수는 그가 사용될 장루의 종류에 맞게 정해진다. 예컨대, 회장루의 경우, 임플란트(10)는 약 3.5 cm ∼ 4.0 cm 의 내경(즉, 개구(16)의 직경), 약 7.0 cm ∼ 8.0 cm 의 외경 및 약 3 mm의 두께를 갖는다.
배출 장치
상기 배출 장치(20)와 그의 구성부는 도 3 ∼ 7b에 나타나 있다. 배출 장치(20)는 사용시 장 배설물이 누공(S)을 통해 사람의 장에서 나가 사람 몸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해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장 배설물의 배출은 제어된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장루 삽입 장치
배출 장치(20)는 관형 부재(21) 및 플랜지(또는 환형 디스크) 부재(22)를 포함한다. 플랜지 부재(22)는 관형 부재(21)의 단부(23)에서 그 관형 부재(21)의 단부(23) 주위에 제공된다. 관형 부재(21)는 개구(24)와 단부(23)를 갖는다. 관형 부재(21)는 그의 다른 단부(26)에서 다른 개구(25)를 갖는다. 관형 부재(21)에는 리브(27)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리브(27)는 관형 부재(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관형 부재(21)의 둘레 주위에 서로 떨어져 있다. 리브(27)는 관형 부재(21)에 매립될 수 있다. 리브(27)는 관형 부재(21)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부여한다.
플랜지 부재(22)는 홈부 또는 홈통부(28) 및 외측부(29)를 갖는다. 홈부(28)는 오목한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관형 부재(21)의 단부(23)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외측부(29)는 홈부(28)를 둘러싼다. 외측부(29)는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또한 실질적으로 환형판의 형태로 되어 있다. 홈부(28)는 플랜지 부재(22)의 제 1 측부(30)에 제공된다. 제 1 측부(30)는 사용시 누공(S) 부위에서 사람 피부와 대면하게 된다. 플랜지 부재(22)의 곡부(31)는 홈부(28)의 최외측 부분과 외측부(29)를 서로 연결시켜 준다.
플랜지 부재(22)와 관형 부재(21)가 접합되어 있는 플랜지 부재의 영역은 허브(32)를 형성한다. 홈부(28)는 플랜지 부재(22)의 제 1 측부(30)에서 외측부(29)와 허브(32) 사이에 제공된다.
블래더(bladder: 33)가 홈부(28)에 위치되어 있다. 이 블래더(33)는 환형 또는 도넛형이다. 블래더(33)는 부풀려질 수 있다.
플랜지 부재(22)의 제 1 측부(30)에서 플랜지 부재(22)의 외측부(29)에는 쿠션 재료(34)가 제공되어 있다. 이 쿠션 재료(34)는 플랜지 부재(22)의 제 1 측부(30)에서 외측부(29)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에 걸쳐 제공될 수 있다. 누공(S) 부위에서 사람 피부와 대면하는 플랜지 부재(22)의 제 1 측부(30)에 있는 쿠션 재료(34)는 사람에게 쿠션 안락감을 준다.
플랜지 부재(22)는 플랜지 부재(22)의 제 2 측부(36)에서 후방 또는 받침 표면(35)을 갖는다. 이 받침 표면(35)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플랜지 부재(22)의 제 2 측부(36)는 제 1 측부(30)의 반대쪽에 있다. 받침 표면(35)은 홈부(28)의 반대쪽에 있다. 받침 표면(35)은 곡부(31) 및 제 2 측부(36)에 형성된 플랜지 부재(22)의 돌출부(37)의 외측부에 의해, 플랜지 부재(22)의 제 1 측부에 있는 외측부(29)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돌출부(37)의 내부(38)는 개구(39)를 규정한다. 이 개구는 관형 부재(21)의 개구(24)와 정렬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개구(25)에서 시작하여 관형 부재(21)를 통과하여 개구(39)까지 이르는 연속적인 통로가 형성된다. 돌출부(37)의 내측부(38)에는 스크류 나사(40)가 제공되어 있다.
받침 표면(35)으로부터 돌출부(37)를 통과하여 홈부(28)까지 입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블래더(33)는 그 안에 개구(42)(도 12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를 갖고 있는데, 이 개구는 홈부(28)에 있는 입구(41)에 부착되며, 그리 하여 블래더(33)는 입구(41)와 연통하여 그 블래더(33)가 부풀려질 수 있다.
관형 부재(21)는 사용시 사람의 장(I) 내에 위치되도록 사람의 누공(S) 안으로 삽입된다. 플랜지 부재(22)는 사용시 사람 몸의 외부에 위치되며, 그래서 플랜지 부재(22)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누공(S) 부위의 주변에서 사람 몸에 지탱된다.
여기서 지금까지 설명한 배출 장치(20)의 요소는 장루 삽입 장치(50)를 형성한다.
배출 제어 장치
배출 장치(20)는 밸브(60)를 더 포함한다. 이 밸브(60)는 도 6a 및 6b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61)에 제공된다. 이 하우징(61)은 실질적으로 짧은 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밸브(60)는 밀봉 부재 또는 밸브 부재(62) 및 밸브 시트(seat; 63)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63)는 하우징(61)의 내부 표면으로 형성된다. 밀봉 부재(62)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64) 및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65)을 갖는다. 볼록한 표면(64)과 오목한 표면(65)은 밀봉 부재(62)의 양 반대 면에 제공되어 있다. 밀봉 부재(62)는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구형이며, 구의 세그먼트의 일 부분이다. 이 세그먼트는 제 1 축선방향 측부(66)로부터 제 2 축선방향 측부(67)까지 제 1 축선주위로 실질적으로 18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세그먼트는 제 1 축선과 직교하는 제 2 축선 주위로는 실질적으로 90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62)는 하우징(61)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축(68)이 제 1 축선방향 측부(66)에 인접하여 밀봉 부재(61)의 볼록한 표면(64)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축(68)은 축선(6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축(68)은 하우징(6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소켓(70)안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핸들(71)이 스크류(72)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축(68)과 작동 연결되어 있다. 스크류(72)는 핸들(71)과 중간 커넥터(73)를 통과하여 축(68)의 단부상으로 가게 된다.
하우징(61)의 일 단부에는 목부(74)가 제공되어 있다. 이 목부(74)의 직경은 하우징(61)에 있어서 밀봉 부재(62)를 수용하는 부분의 직경 보다 작다. 목부(74)의 외부 표면에는 스크류 나사(75)가 제공되어 있다. 목부(74)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우징(61)의 단부에서 그 하우징(61)의 외부 표면에는 스크류 나사(76)가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61)에는 목부(74)의 단부에 있는 개구(77) 및 목부(74)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우징(61)의 단부(이 근처에 스크류 나사(76)가 제공됨)에 있는 다른 개구(78)가 제공되어 있다. 밀봉 부재(62)는 목부(74)와 개구(78) 사이에 제공된다.
목부(74) 및 이 목부(74)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우징(61)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는 환형 표면(79)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62)의 정점 영역(81)에는 좁은 구멍(80)이 제공되어 있다. 밀봉 부재(62)의 정점 영역(81)은 압축성 재료로 형성된다. 구멍(80)은 그 압축성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으로 인해 보통은 닫혀 있게 된다.
캡(90)이 제공되어 있어 하우징(61)의 개구(78)을 폐쇄한다. 이 캡(90)은 도 7a 및 7b 에 나타나 있다. 캡(90)에는 스크류 나사(91)가 제공되어 있다. 스크류 나사(91)는 하우징(61)에 있는 스크류 나사(76)와 결합할 수 있으며, 그리 하여 하우징(61)에 캡(90)을 안전하게 하지만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캡(90)에는 돌출부 또는 연장부(92)가 제공되어 있는데, 캡(90)이 하우징(61)상으로 나사결합될 때 그 돌출부 또는 연장부는 하우징(61)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돌출부(92)는 실질적으로 돔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볼록한 표면(93)을 갖는다. 이 볼록한 표면(93)은 밀봉 부재(62)의 볼록한 표면(65)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맞게 형성되어 있다.
캡(90)은 압력 방출 밸브(94)를 수용하는데, 이 밸브의 일 부분은 돌출부(92)에 수용된다. 돌출부(92)에는 이를 관통하는 구멍(95)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멍(95)은 정점 영역(96)에서 부터 돌출부(92)의 외측부(97)까지 돌출부(92)를 통과해 연장되어 있다. 캡(90)이 하우징(61)상으로 나사 결합될 때, 정점 영역(96)은 하우징(61)의 내부에 위치되고 외측부(97)는 하우징(61)의 외부에 위치된다. 관(99)의 좁은 부분(98)이 구멍(95) 안에 위치된다. 이 좁은 부분(98) 주위에는 스프링(100)이 제공된다. 관(99)은 돌출부(92)의 외측부(97)에서 구멍(95)의 외부에 위치되는 넓은 부분(101)을 갖는다. 이 넓은 부분(101)에는 구멍(102)이 제공되어 있다. 버튼(103)이 관(99)의 넓은 부분(101)의 단부를 폐쇄한다. 스포크(104)가 버튼(103)으로부터 캡(90)의 림(105)까지 연장되어 있다. 스포크(104)는 관(99)과 구멍(95)의 실질적인 축선 방향 정렬을 유지시켜 준다. 스포크(104)는 실질적으로 강성적이지만 휘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100)의 편향 작용에 대항하여 버튼(103)을 누를 수 있다. 스프링(100)의 일 단부는 관(99)의 좁은 부분(98)과 연결된 넓은 부분(101)의 단부에 접한다. 스프링(100)의 타 단부는 돌출부(92)의 정점 영역 근처에서 구멍(95)에 형성되어 있는 레지(ledge; 106)에 접한다. 좁은 부분(98)의 단부에 있는 선단(107)은 스프링(100)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있다. 이 선단(107)에는 개구(108)가 제공되어 있다(도 12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음). 선단(107)은 돌출부(92)의 정점 영역(96)에 있는 개구(109)에 위치된다.
이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출 장치(20)의 요소는 배출 제어 장치(110)를 형성한다.
장루 삽입 장치(50) 및 하우징(61)은 하우징(61)의 목부(74) 주위에 있는 스크류 나사(75)와 장루 삽입 장치(50)의 스크류 나사(40)를 결합시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장루 삽입 장치(50) 및 하우징(61)이 함께 연결되면, 장루 삽입 장치(50)의 받침 표면(35)과 하우징(61)의 환형 표면(79)이 접하게 된다.
핸들(71)을 돌리면 밀봉 부재(62)가 하우징(61) 안에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밀봉 부재(62)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제 1 위치에서, 상기 볼곡한 표면(64)은 밸브 시트(63)와 접촉한다. 이는 밸브(60)의 폐쇄 상태인데, 도 6a, 도 1 및 12 에 나타나 있다. 밸브(60)의 폐쇄 상태에서, 유체는 관형 부재(21)로부터 목부(74)를 넘어 하우징(61) 안으로 가지 못한다. 핸들(71)이 실질적으로 90도 회전하면 밀봉 부재(62)는 그의 제 2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밀봉 부재(62)의 제 2 위치에서, 볼록한 표면(64)은 하우징(61)의 내부 표면에 인접해 위치되며 또한 밸브 시트(63)와는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오목한 표면(65)도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밀봉 부재(62)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관형 부재(21)와 하우징(61) 사이에 유체 연통이 이루어진다. 이는 밸브(30)의 개방 상태로, 도 6b 에 나타나 있다. 유체는 또한 관형 부재(21)로부터 하우징(61)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밸브(60)의 폐쇄 상태에서, 개구(25)를 통해 관형 부재(21)에 들어간 유체는 밸브(60)를 통과하지 못한다. 밸브(360)의 개방 상태에서, 캡(90)이 하우징(61)에서 제거되면, 개구(25)를 통과한 유체는 관형 부재(21)로부터 개방된 밸브(60)를 통과해 하우징(61) 안으로 들어가 개구(78)을 통해 나가게 된다.
사용시, 밸브(60)가 폐쇄 상태에 있으면, 압력 방출 밸브(94)가 작동하여 관형 부재(21)의 내부에서 압력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는 버튼(103)을 눌러 관(99)을 이동시켜 상기 넓은 부분(101)이 구멍(95)에 들어가 넓은 부분(101)의 단부와 레지(106) 사이의 스프링을 압축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선단(107)은 개구(109) 밖으로 나가 밀봉 부재(62)의 정점 영역(81)의 좁은 구멍(80)을 통과하여, 관형 부재(21)와 연통하는 목부(74)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가스가 관형 부재(21)에서 나가, 선단 (107)에 있는 개구(108)를 통과하여 관(99)에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그 가스는 관(99)으로부터 구멍(102)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해서, 관형 부재(21)의 내부로부터 압력이 방출된다. 버튼(103)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100)이 관(99)과 버튼(103)을 그들 원래의 위치로 다시 편향시킨다. 선단(107)은 개구(109) 안으로 다시 물러나고 밀봉 부재(62)의 정점 영역(81)에 있는 좁은 구멍(80)은 폐쇄된다. 이리 하여 압력 방출 밸브(94)는 그의 폐쇄 상태로 복귀한다.
플랜지 부재(22)는 임플란트(20)에 끌리도록 자성 또는 자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이에 의해 임플란트(10) 및 배출 장치(20)는 작동 관련될 것이고 또한 배출 장치(20)는 누공(S)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유지되는데, 즉 배출 장치는 누공(S) 부위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고정/체결 벨트
고정 벨트(120)는 도 8, 9a 및 9b 에 나타나 있는데, 도 1 및 12 에서도 볼 수 있다. 고정 벨트(120)는 덮개 또는 케이스(121) 및 스트랩(122)을 갖는다. 스트랩(122)은 케이스(121)에 부착된다. 케이스(121)에 있는 슬릿(125)을 통과하는 스트랩(122)의 단부 영역(123, 124)을 스트랩(122)의 겹칩부에 꿰매어 스트랩을 케이스(121)의 각 반대 지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1)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127)으로 둘러싸여 있는 쉬라우드(shroud; 126)를 갖고 있다. 케이스(121)는 이를 통과하는 개구(128)를 갖고 있다. 이 개구(128)는 사용시 하우징(61)과 플랜지 부재(22)의 돌출부(37)가 실질적으로 쉬라우드(126)에 의해 덮히도록 그 하우징과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다. 쉬라우드(126)에는 외부 스크류 나사(129)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나사는 상기 실질적으로 평형한 부분(127) 근처에 위치된다. 쉬라우드(126)에는 또한 개구(130)가 제공되어 있다. 쉬라우드(126)가 하우징(61)을 덮으면 핸들(71)이 상기 개구(130)를 통과하게 된다.
사용시, 고정 벨트(120)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착용될 수 있다. 스트랩(122)에는 버클(131)이 제공되어 있어, 고정 벨트(120)가 사용자에게 맞는 요구되는 조임의 정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스트랩(12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유지 링
유지 링(140)이 도 10a 및 10b 에 나타나 있다. 이 유지 링(140)은 자화되어 있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는 예컨대 임플란트(1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유지 링(140)에 자화 재료를 매립하거나 주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지 링(140)은 실질적으로 환형이고, 환형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다.
유지 링(140)에는 그의 내주면에 스크류 나사(141)가 제공되어 있다. 유지 링(100)에는 그의 외주면에 톱니형 부분(142)이 제공되어 있다. 유지 링은 중앙 개구(143)을 갖고 있다.
사용시,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은 뒤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자기적으로 서로에 끌려 작동 관련된다.
사용 방법
이제, 본 발명의 장루 장치(1)의 작동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어떤 사람이 본 발명의 장루 장치(1)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사람은 보통의 방식으로 장루를 만드는 수술을 받게 된다. 이하의 설명은 특히 도 12 를 참조한다. 수술시에 사람의 복부 벽(W)에 절개부를 만든다. 전체 임플란트(10)가 환자의 복부(A) 안에 들어갈 때까지, 임플란트(10)의 일 단부(13 또는 14)를 복부 벽(W)에 만들어진 절개부를 통해 삽입한다. 그 다음, 단부 영역(13, 14)에 있는 접합 및 겹침 컷아웃부에 제공되어 있는 정렬된 구멍들 안으로 핀(15)들을 삽입하여 단부 영역(13, 14)을 함께 연결한다. 그리고 임플란트(10)를 절개부 주위에 위치시키고 그 임플란트(10)에 있는 구멍(12)을 사용하여 복부 벽(W)에 봉합한다. 대장이든 소장이든 환자의 장(I)을 자르고 절개부를 통해 끝을 잡아 당겨 절개부 외측의 피부에 봉합하여 누공(S)을 형성한다. 이렇게 해서, 누공(S)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장(I)의 일 부분이 임플란트(10)의 개구(16)를 통과하게 된다.
이리 하여, 장루 장치(1)의 설치에 있어서 수술이 필요한 부분이 완료된다.
이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배출 장치(20)와 고정 벨트(120)의 사용 및 작동은 필요할 때마다 사람에 의해 수행된다.
괸형 부재(21)를 누공(S)을 통해 장(I) 안으로 삽입해야 한다. 이는 사람이 입구(41)를 통해 블래더(33) 안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해주는 장루 삽입 장치(50)와 연결되는 하우징(61) 없이 행해질 수 있다. 공기는 주사기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블래더(33)는 이 블래더(33)의 표면이 누공(S)과 밀착하도록 부풀려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누공(S)이 차폐되고, 누공(S)에서의 괴저의 위험이 줄어들며 또한 누공(S) 부위의 주위가 밀봉된다.
대안적으로, 관형 부재(21)가 장(I) 안으로 삽입된 후에 하우징(61)이 장루 삽입 장치(50)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이 장루 삽입 장치(50)에 연결될 때 캡(90)이 이미 하우징(6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61)이 장루 삽입 장치에 연결된 후에 캡이 그 하우징(61)에 연결될 수 있다.
관형 부재(21)를 장(I) 안으로 삽입하기 전에, 누공(S) 부위 주위에 거즈 패드(135)를 사람 피부에 둘 수 있다. 거즈 패드(135)는 도 11a 및 11b 에 나타나 있다. 거즈 패드(135)는 구멍(136)을 가지며, 케이스(121)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12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면 윤곽 형상을 갖는다. 거즈 패드(135)에 있는 구멍(136)은 케이스(121)의 개구(128)와 정렬된다. 구멍(136)은 누공(S)을 수용한다. 그런 다음, 관형 부재(21)의 단부(26)를 누공(S)을 지나 장(I) 안으로 안내하여 그 관형 부재(21)를 장(I) 안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단부(25)는 관형 부재(21)의 선두 단부가 된다. 그리고, 전체 관형 부재(21)가 장(I) 안에 위치되고 플랜지 부재(22)가 누공(S)에 인접하여 사람 피부에 접할 때까지, 관형 부재(21)를 누공(S)을 통해 장(I) 안으로 삽입한다. 관형 부재(21)의 리브(27)는 그 관형 부재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부여하며, 따라서 관형 부재(21)는 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누공(S)을 통해 장(I) 안으로 삽입될 때 붕괴되지 않는다. 관형 부재(21)의 외부 표면은 장(I) 벽의 내부 표면에 인접해 있게 된다. 장(I)의 내강(lumen)과 관형 부재(21)에 의해 연속적인 내강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부재(22)가 자성 또는 자화 재료를 포함하면, 그 플랜지 부재는 임플란트(10)에 끌릴 것이고, 임플란트 자체는 자화되어 있다. 임플란트(10)와 플랜지 부재(22)가 서로에 끌리는 힘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 부재(22)가 자성 재료를 포함한다면, 필요한 양의 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임플란트(10)와 플랜지 부재(22) 사이에 요구되는 자기적 인력을 얻을 수 있다. 플랜지 부재(22)가 자화되면, 이 플랜지 부재(22)는 필요한 자기장 강도를 받아 임플란트(10)와 플랜지 부재(22) 사이에 요구되는 자기적 인력을 얻을 수 있다.
누공(S)의 융기부는 리세스(28)에 수용되며 블래더(33)와 접촉하게 된다.
배출 장치(20)가 누공(S) 부위에서 위치되면, 사람의 복부가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예컨대 사람이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축(68)의 회전 축선(69)이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있도록 밸브(60)가 배향된다.
케이스(121)가 제 위치에 배치되며, 따라서 하우징(61)은 개구(128)를 통과하고 이 케이스(121)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127)은 사람 몸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거즈 패드(135)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127)과 사람 피부 사이에 배치된다. 쉬라우드(126)는 실질적으로 하우징(61) 및 플랜지 부재(22)의 돌출부(37)를 덮으며 또한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부분(29)은 플랜지 부재(22)의 외측 부분(29)을 덮는다. 스트랩(122)과 버클(131)을 사용하여 사람 허리 둘레의 벨트(120)를 조절할 수 있다.
유지 링(140)의 중앙 개구(143)를 쉬라우드(126) 위로 통과시켜 그 유지 링(140)상의 스크류 나사(141)와 케이스(121)의 쉬라우드(126)상의 스크류 나사(129)를 결합시켜 유지 링(140)을 벨트(120)에 부착한다. 유지 링(140)에 있는 톱니형 부분(142)은 사용자가 유지 링(140)을 잡아 그 유지 링(140)을 케이스(121) 상으로 조이고 그로부터 풀 수 있게 해주는 마찰 파지부를 제공한다.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자기적 끌림에 의해 플랜지 부재(22)와 케이스(121)는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배출 장치(20)가 누공(S) 부위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케이스(121)는 또한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작용한다. 스크류 나사(129, 141)가 제공됨으로써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리 하여,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자기적 인력을 사람이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대안적인 사용 방식에서, 고정 벨트(120)는 생략될 수 있고, 유지 링(140)은 플랜지 부재(22)와 접할 때까지 하우징(61) 위를 통과한다.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자기적 끌림에 의해 플랜지 부재(22)가 그들 사이에 끼이게 된다. 그리 하여, 관형 부재(21)가 장(I)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배출 장치(20)가 제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나, 긴 시간이 지나면, 이 대안적인 사용 방식은 나중에 피부 괴저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이는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자기적 끌림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다.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 사이의 강한 자기적 인력의 결과, 누공(S) 주위의 부위에서 혈액 순환이 줄어들거나 느려질 수 있다. 이러면 결국에는 주변 세포가 파괴되어 피부 괴저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나중에 피부 괴저가 일어날 위험은, 이 대안적인 방식이 사용되는 기간을 줄이고 또한 플랜지 부재(22)와 유지 링(140) 사이에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완화될 수 있다.
정상적인 사용시, 장루 장치(1)는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누공(S) 부위에 배치되며, 밸브(60)는 폐쇄 상태에 있다. 밸브(60)가 폐쇄 상태에 있으므로, 장 배설물은 장(I) 및 관형 부재(21) 안에 유지된다. 장(I)을 비우고자 할 때는, 변기와 같은 적절한 용기 위에서 하우징(61)으로부터 캡(90)을 제거한 다음에 핸들(71)을 돌려 밸브(60)를 개방 상태로 두면 된다. 그런 다음에, 장(I) 및 관형 부재(21)로부터 장 배설물을 개방된 밸브(60)와 하우징(61)의 개구(78)를 통해 배출시킨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배출 장치(20)를 정화할 수 있다. 이는 유지 링(140)과 벨트(120)를 제거한 다음에 누공(S)에서 관형 부재(21)를 제거하여 행해진다. 그런 다음, 배출 장치(20)를 적절한 정화제로 정화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누공(S)을 검사하고 정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장 배설물은 배출될 때 누공(S)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의 장루 백을 사용할 때 보다 누공(S)을 정화해야 할 빈도가 적어지게 된다. 핸들(71)을 사용하여 밸브(60)를 그의 폐쇄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나서 배출 장치(20)를 전술한 바와 같이 누공(S) 부위의 제 위치에 다시 배치한다.
장 가스는 필요하다면 전술한 바와 같은 압력 방출 밸브(94)를 사용하여 방출될 수 있다.
장루 삽입 장치(50)는 정기적으로, 예컨대 매달 교체할 수 있다. 이러면 누공(S)의 위생과 청결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변형예 - 다른 실시 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루 장치(1)의 배출 장치(20)는 자기적 끌림에 의해 누공(S) 부위에 위치 유지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자기적 끌림은 임플란트(10)와 유지 링(140)이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러나, 배출 장치(20)가 누공(S) 부위에 유지되도록 하는 자기적 끌림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자화되어 임플란트(10)에 끌릴 수 있는 본 발명의 장루 장치(1)의 구성 요소의 다양한 변형예가 있다.
제 1 변형예로서, 단지 임플란트(10)만 자화된다. 유지 링(40)은 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자화된 임플란트(10)에 끌리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배출 장치(20)의 플랜지 부재(22)는 자화되거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 2 변형예로서, 임플란트(10)는 자성을 갖지만 자화되지 않는다. 유지 링(140)은 자화되어 유지 링(140)과 임플란트(10) 사이에 자기적 끌림을 발생시킨다. 이 변형예에서, 배출 장치(20)의 플랜지 부재(22)는 자화되거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 3 변형예로서, 임플란트(10)가 자화되고 배출 장치(20)의 플랜지 부재(22) 또한 자화된다. 이 변형예에서, 유지 링(140) 및 고정 벨트(120)는 생략될수 있거나 또는 유지 링(140)은 자성을 갖거나 자화될 수 있다.
제 4 변형예로서, 임플란트(10)는 자성을 갖지만 자화되지 않는다. 배출 장치(20)의 플랜지 부재(22)는 자화되어 임플란트(10)와 플랜지 부재(22) 사이에 자기적 끌림을 발생시키고 그리 하여 배출 장치(20)를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 변형예에서, 유지 링(140)과 고정 벨트(120)는 생략될 수 있고, 그러면 플랜지 부재(22)가, 임플란트(10)와 작동 관련되고 배출 장치(20)를 누공(S) 부위에 제거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유지 수단이 된다. 대안적으로, 유지 링(140)은 자성을 갖거나 자화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고정 벨트(120)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이러한 수정과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9)

  1. 임플란트, 배출 장치, 유지 부재, 및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장루 장치(ostomy device)로서,
    상기 임플란트는 사용시 누공(stoma) 위치 근처에서 사람의 몸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 장치는 관형 부재 및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단부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누공을 통해 사람의 장 내로 삽입 가능하여,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에 위치할 수 있어서, 장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물질을 상기 관형 부재의 제1 단부에 있는 개구로부터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있는 개구로 배출하여, 사람의 몸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장은 상기 누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관형 부재가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의 제1 측부 상에서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누공의 위치 근처에서 사람의 몸 외부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사용시 상기 임플란트와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유지 부재는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 상기 배출 장치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누공의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는 개폐됨으로써, 사람의 몸 외부로의 유체와 물질의 배출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유체와 물질이 상기 관형 부재로부터 사람의 몸 외부로 배출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유체와 물질이 상기 관형 부재로부터 사람의 몸 외부로 배출 불가능하고,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의 제1 측부에서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홈부는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누공 위로 정렬되고,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가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홈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누공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상기 누공을 차폐하고 사람의 몸 외부에서 상기 누공의 위치 주위를 밀봉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는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있는 개구로부터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통해 유체와 물질을 배출하고,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에 위치하였을 때 사람의 몸 외부로 상기 장루 장치를 빠져나오게 하는, 장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가요성인, 장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판부를 가지고, 상기 판부는 상기 홈부를 둘러싸고,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장에 위치하였을 때 사용시 상기 누공의 위치 주위에서 사람의 몸 외부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장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부분과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관형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가지는, 장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는 하우징, 밀봉 부재, 밸브 시트, 및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제1 폐쇄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유체와 물질이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2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가 개방 상태에 있어서 유체와 물질이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표면이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는 더 이상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핸들은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조작 가능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를 개폐하도록 조작 가능하여, 사용시 사람의 몸 외부로의 유체와 물질의 배출을 제어하는, 장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이고, 상기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과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이 상기 밀봉 부재의 각각의 반대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은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장루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목부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수용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목부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수용하는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장루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필요에 따라 상기 관형 부재의 내부로부터 가스 압력을 방출시키는 압력 방출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를 통해 가스를 배출하는, 장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관을 포함하고, 폐쇄 가능한 구멍이 상기 밀봉 부재에 제공되어, 상기 관의 선단이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폐쇄 가능한 구멍을 통해 이동 가능하여, 가스가 상기 관형 부재 내부로부터 상기 관을 통해 빠져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관은 상기 압력 방출 밸브를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선단을 후퇴시키고 상기 폐쇄 가능한 구멍을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한, 장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상기 관을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선단이 상기 압력 방출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후퇴되는, 장루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를 수용하는 제거 가능한 캡을 더 포함하는, 장루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누공 위치에서 상기 배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사용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누공 위치 사이에 제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실질적으로 상기 배출 장치의 제 2 부분을 덮는, 장루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배치되는, 장루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링 또는 환형 디스크의 형태인, 장루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유지 부재 사이의 자기력은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유지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장루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유지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장루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사용시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 내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입구가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에 제공되는, 장루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배출 장치의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장루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는 상기 관형 부재와 맞물리지 않고서도 조작 가능한, 장루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한 배출 제어 밸브는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임플란트의 작동식 결합에 대해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장루 장치.
  21. 의료 장치용 유체 유동 제어 밸브로서,
    하우징, 밀봉 부재, 핸들, 및 압력 방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제1 폐쇄 위치로부터 제2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고, 상기 제2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가 개방 상태에 있어서 유체와 물질이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를 통해 유동하게 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조작 가능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가스 압력을 방출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로부터 가스가 배출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관 및 상기 밀봉 부재에 제공된 폐쇄 가능한 구멍을 포함하여, 상기 관의 선단이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폐쇄 가능한 구멍을 통해 이동 가능하여, 가스가 상기 관을 통해 빠져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관은 상기 압력 방출 밸브를 폐쇄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선단을 후퇴시키고 상기 폐쇄 가능한 구멍을 폐쇄하도록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는 의료 장치에 제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조작 가능하여, 상기 의료 장치가 사람의 몸에 사용될 때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와 물질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체 유동 제어 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는 밸브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표면 및 그 반대면에 있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볼록한 표면은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볼록한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는 더 이상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지 않는, 유체 유동 제어 밸브.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표면은 상기 유체 유동 제어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방향의 상류측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제어 밸브.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목부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수용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목부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수용하는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유체 유동 제어 밸브.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밸브는 상기 관을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선단이 상기 압력 방출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후퇴되는, 유체 유동 제어 밸브.
  26.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제거 가능한 캡이 제공되며, 상기 제거 가능한 캡은 상기 압력 방출 밸브를 수용하는, 유체 유동 제어 밸브.
  27. 관형 부재 및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를 포함하는 장루 삽입 장치로서,
    상기 관형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단부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사용시 사람의 몸 내로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관형 부재를 사람의 몸에 위치시켜, 사람의 몸 내부로부터의 유체와 물질을 상기 관형 부재의 제1 단부에 있는 개구로부터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있는 개구로 배출하여 사람의 몸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관형 부재가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의 제1 측부 상에서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몸에 위치되었을 때, 사람의 몸 외부에서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에 홈부가 제공되고, 상기 홈부 주위에 실질적으로 환형인 판부가 제공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의 제1 측부에서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홈부가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관형 부재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홈부 내에 제공되는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를 가지고,
    상기 홈부는 사용시,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몸에 위치되었을 때 사람의 누공 위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환형인 판부는 상기 누공의 위치 주위에서 사람의 몸에 대해 지지하고,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는 팽창 가능하여,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몸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를 상기 누공과 밀접하게 접촉시켜, 상기 누공을 차폐하고, 사람의 몸 외부에서 상기 누공의 위치 주위에 밀봉을 형성하는, 장루 삽입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사용시 상기 환형의 팽창 가능한 블래더 내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입구가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에 제공되는, 장루 삽입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디스크 또는 플랜지 부재는 환형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는 상기 홈부를 둘러싸고, 상기 관형 부재가 사람의 몸에 위치되었을 때 사람의 몸 외부에서 지지하도록 사용시 배치되는, 장루 삽입 장치.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KR1020127022941A 2010-02-01 2011-02-01 의료 장치 KR101773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0900379A AU2010900379A0 (en) 2010-02-01 Medical Device
AU2010900379 2010-02-01
PCT/AU2011/000094 WO2011091481A1 (en) 2010-02-01 2011-02-01 Medic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297A KR20130032297A (ko) 2013-04-01
KR101773986B1 true KR101773986B1 (ko) 2017-09-12

Family

ID=4431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941A KR101773986B1 (ko) 2010-02-01 2011-02-01 의료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98867B2 (ko)
EP (1) EP2531153B1 (ko)
JP (1) JP5844281B2 (ko)
KR (1) KR101773986B1 (ko)
CN (1) CN102834074B (ko)
AU (1) AU2011208954B2 (ko)
MY (1) MY166304A (ko)
SG (1) SG182804A1 (ko)
WO (1) WO2011091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707961A2 (pt) * 2006-02-28 2011-05-10 Coloplast As mÉtodo para detectar o desprendimento de um curativo, curativo apropriado para aplicar o mÉtodo, conjunto sensor e blindagem para reduzir o acoplamento capacitivo a partir das vizinhanÇas ambientais para os eletrodos do curativo
KR200473812Y1 (ko) * 2014-04-07 2014-08-01 김범수 홍보용 usb 플래시메모리
US10531977B2 (en) 2014-04-17 2020-01-14 Coloplast A/S Thermoresponsive skin barrier appliances
WO2016095929A1 (en) * 2014-12-19 2016-06-23 Coloplast A/S A system for anal and/or stomal irrig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ystem
WO2016160515A1 (en) * 2015-04-02 2016-10-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ntinent ostomy valve and method of use
AU2017211534A1 (en) 2016-01-29 2018-06-28 ÁLVAREZ PONCE, Carlos Eduardo Sphincter-type intestinal valve
MX2017001193A (es) * 2016-01-29 2019-04-29 Eduardo Alvarez Ponce Carlos Valvula intestinal tipo esfinter.
CN105877903B (zh) * 2016-06-29 2019-06-07 殷秀 防造口脱垂固定器及具有该固定器的造口袋
US10758398B2 (en) * 2016-11-01 2020-09-01 Covidien Lp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ies for creating a stoma
DK179423B1 (da) * 2017-05-31 2018-06-18 Multi Lock Aps Stomianordning
US11707376B2 (en) 2017-12-22 2023-07-25 Coloplast A/S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sensor assembly part for a base pl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se plate and sensor assembly part
WO2019120443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se plate or a sensor assembly part
US11865029B2 (en) 2017-12-22 2024-01-09 Coloplast A/S Monitor device of a medical system having a connector for coupling to both a base plate and an accessory device
US11622719B2 (en) 2017-12-22 2023-04-11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base plate and monitor device of a medica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EP3727222B1 (en) 2017-12-22 2024-05-0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assembly part
WO2019120425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system, monitor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n ostomy appliance
US11986418B2 (en) 2017-12-22 2024-05-21 Coloplast A/S Medical system and monitor device with angular leakage detection
US10849781B2 (en) 2017-12-22 2020-12-01 Coloplast A/S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US11627891B2 (en) 2017-12-22 2023-04-18 Coloplast A/S Calibration methods for medical appliance tools
US10799385B2 (en) 2017-12-22 2020-10-13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with layered base plate
US11628084B2 (en) 2017-12-22 2023-04-1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device for connecting to a base plate or a sensor assembly part
US10500084B2 (en) 2017-12-22 2019-12-10 Coloplast A/S Accessory devices of an ostomy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communicating leakage state
WO2019120429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Data collection schemes for an ostomy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AU2018391395B2 (en) 2017-12-22 2024-05-23 Coloplast A/S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 monitor device and a system for an ostomy appliance
LT3727219T (lt) 2017-12-22 2023-09-11 Coloplast A/S Drėgmės aptikimo pagrindo plokštė ostomijos prietaisui ir drėgmės sklidimo pagrindo plokštėje ir (arba) jutiklių montavimo dalyje nustatymo sistema
US11534323B2 (en) 2017-12-22 2022-12-27 Coloplast A/S Tools and methods for placing a medical appliance on a user
EP3727229A1 (en) 2017-12-22 2020-10-28 Coloplast A/S Coupling part with a hinge for an ostomy base plate and sensor assembly part
AU2018391323B2 (en) 2017-12-22 2024-03-21 Coloplast A/S Base plate and sensor assembly of an ostomy system having a leakage sensor
AU2018391316B2 (en) 2017-12-22 2024-05-02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with selective sensor points and related methods
CN111447897B (zh) 2017-12-22 2022-07-29 科洛普拉斯特公司 具有角形泄漏检测的造口术器具
US11590015B2 (en) 2017-12-22 2023-02-2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US20190224037A1 (en) * 2018-01-19 2019-07-25 Robert Bell Regulating flow from a stoma on a patient
US11771585B2 (en) * 2018-01-19 2023-10-03 Ostovalve,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flow from a stoma on a patient
US11931285B2 (en) 2018-02-20 2024-03-19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device for connecting to a base plate and/or a sensor assembly part
CN216021614U (zh) 2018-04-10 2022-03-15 用于组织工程和细胞为基础的技术和疗法促进协会 控制从受试者外造口释放废物内容物的医疗设备及造口术袋
GB201806045D0 (en) * 2018-04-12 2018-05-30 Ostomycure As Lid
US20200038228A1 (en) * 2018-08-06 2020-02-06 Covidien Lp Connection devices for ostomy procedures
US20200155338A1 (en) * 2018-11-19 2020-05-21 Karla K. Meteer Prosthetic stoma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US11517469B2 (en) 2019-01-31 2022-12-06 Coloplast A/S Base plate and sensor assembly part of an ostomy system having a moisture sensor
US11612512B2 (en) 2019-01-31 2023-03-28 Coloplast A/S Moisture detecting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moisture propagation in a base plate and/or a sensor assembly part
EP3692956A1 (en) * 2019-02-07 2020-08-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djustable convex ostomy device
LT3968910T (lt) * 2020-07-15 2023-04-11 Hollister Incorporated Pasipriešinimo jutiklis, skirtas identifikuoti nutekėjimo vietas ostomijos sistemoje
USD970017S1 (en) 2020-08-25 2022-11-15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monitor
CN116456941A (zh) * 2020-09-24 2023-07-18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用于增加身体开口的通畅性的支架装置和方法
CN112057730B (zh) * 2020-10-10 2022-09-23 杜军 阻断式置管造瘘术用套件
WO2022258832A1 (de) * 2021-06-11 2022-12-15 Mueller Jan Erik Enterostomasystem zur kontrollierten ausleitung von stuhl
CN113509135B (zh) * 2021-07-13 2023-02-24 大连大学附属中山医院 用于人工肛门肠镜检查的保护盘
CN114533371B (zh) * 2022-02-16 2022-11-25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七医学中心 一种高流量腹泻可调节负压吸引的婴幼儿肠造口佩戴装置
CN114392033B (zh) * 2022-03-08 2022-09-16 成都市龙泉驿区第一人民医院 一种无袋式可控型腹部造口装置
US11833073B1 (en) 2022-06-22 2023-12-05 Hollister Incorporated Dynamic convex ostomy barrier
AU2023219842B1 (en) * 2022-09-01 2023-10-05 Hollister Incorporated Ostomy appliance for providing customized and localized convex support
CN116115418B (zh) * 2023-03-29 2024-05-10 首都儿科研究所 一种封闭式防肠管脱出造口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4421A (en) 1985-07-26 1987-01-06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Valve for incontinent patients
US20070123832A1 (en) 2005-11-30 2007-05-3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ntrolled evacuation ostomy appliance
WO2008067603A1 (en) 2006-12-07 2008-06-12 Saied Sabeti Rotating valve
WO2009131992A1 (en) 2008-04-22 2009-10-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emporary ostomy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2233A (en) * 1949-03-03 1951-02-20 Harry F Carroll Colostomy closure or guard
US3565073A (en) 1968-04-15 1971-02-23 Jerry D Giesy Method and means for attaching a body appendage
US3893469A (en) * 1972-08-07 1975-07-08 Brunswick Corp Rotary plug valve
SE395362B (sv) * 1974-08-19 1977-08-15 Hennig Gerhard Anordning for forslutning av eller anslutning till en kroppsoppning pa en patient
US4147184A (en) * 1975-04-30 1979-04-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Adjustable valve
US4205678A (en) * 1976-05-11 1980-06-03 Adair Edwin Lloyd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n ostomy bag
US4241735A (en) * 1980-01-24 1980-12-30 Chernov Merrill S Ileostomy and colostomy plug
US4351322A (en) * 1980-10-10 1982-09-28 Prager Elliot D Stoma control device and method
US4338937A (en) * 1980-12-05 1982-07-13 Lerman Sheldon H Mechanical continent ileostomy or colostomy
US4381765A (en) * 1981-04-02 1983-05-03 Waters Instruments, Inc. Ileostomy valve
US4344434A (en) * 1981-06-01 1982-08-17 Santa Barbara Medical Foundation Clinic Ileostomy appliance and method for implanting the same
GB2147810B (en) 1983-10-13 1987-02-11 Craig Med Prod Ltd Ostomy bag coupling
US4642107A (en) * 1983-10-14 1987-02-10 E. R. Squibb & Sons, Inc. Adapter for use with two piece ostomy system
US4721508A (en) * 1984-10-09 1988-01-26 Waters Instruments, Inc. Ostomy prosthesis
US5170992A (en) * 1988-04-21 1992-12-15 Tour & Andersson Ab Stop valve
US4846818A (en) 1988-05-17 1989-07-11 Conceptus, Inc. Incontinence appliance
EP0369923B1 (fr) * 1988-11-15 1993-09-15 José Vidal Sans Dipositif obturateur pour le contrôle d'iléo-colostomies
JP2869182B2 (ja) * 1990-11-22 1999-03-10 株式会社ニッショー 人工肛門閉鎖具
JPH05122296A (ja) 1991-10-25 1993-05-18 Nec Corp データ伝送装置
US5269774A (en) * 1992-09-25 1993-12-14 Gray Michael W Implantive ostomy ring
US5287852A (en) * 1993-01-13 1994-02-22 Direct Trends International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tracheal stoma
DK75993D0 (da) * 1993-06-25 1993-06-25 Ole Jensen A ostomy appliance comprising a flexible pouch and a faceplate, a flexible pouch of an ostomy appliance, and a faceplate of an ostomy appliance
US5372594A (en) * 1993-08-02 1994-12-13 Colacello; Albert A. Colostomy pouche with vent valve
US5569216A (en) * 1993-12-02 1996-10-29 Kim; Jae H. Multipurpose colostomy device having balloons on an end thereof
CN2293305Y (zh) * 1997-03-26 1998-10-07 王和信 人工造口锁通器
US5865820A (en) * 1997-04-07 1999-02-02 Myello Peter J. Water resistant protection sealing apparatus for ileostomy or urostomy appliance
US7087041B2 (en) 1998-02-25 2006-08-08 Zassi Medical Evolutions, Inc. Pad for use with continent ostomy port
GB9907832D0 (en) * 1999-04-06 1999-06-02 Seton Scholl Healthcare Plc A tap
JP2001231803A (ja) * 2000-02-24 2001-08-28 Medicos Hirata:Kk ストーマ用治具
US6497250B1 (en) * 2001-07-05 2002-12-24 Praher Canada Products Ltd. Multi passage valve
US6723079B2 (en) * 2002-03-27 2004-04-2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ntrolled evacuation ostomy device with external seal
US7001367B2 (en) * 2002-04-16 2006-02-21 Arkinstall William W Valved ostomy drainage device
EP1634004A4 (en) * 2003-05-29 2007-10-17 Axial Technologies Ltd ROTARY VALVE ARRANGEMENT
US7258661B2 (en) * 2004-09-13 2007-08-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toma plug
DE602004011947T3 (de) * 2004-10-27 2018-06-28 Ostomycure As Adapter, Deckel und Verbinder für Ostomiebeutel
KR100790068B1 (ko) 2004-11-19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파워 제어 장치 및 방법
DK1714626T3 (en) 2005-04-19 2016-12-19 Unomedical As TAPE FOR EMPTYING A BAG SUCH AS A URINARY COLLECTION BAG OR SIMILAR AND PROCEDURE FOR PREPARING SUCH A TAN
DK2112914T3 (en) * 2007-02-22 2018-08-06 Convatec Technologies Inc SEAL FOR A RECTAL OR STOMIAN DEVICE
EP2002811A1 (en) 2007-06-12 2008-12-17 BioTap A/S Coupling device and drainage assembly for collecting bodily waste excreted from a body drainage exit, and method of using the coupling and drainage assembly
EP2185110B1 (en) * 2007-08-27 2016-07-06 ConvaTec Technologies Inc. Fluid filled seal for contacting the human body
EP3284448B1 (en) 2008-06-19 2023-09-27 ConvaTec Technologies Inc. Ostomy appliances for directing effluent outp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4421A (en) 1985-07-26 1987-01-06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Valve for incontinent patients
US20070123832A1 (en) 2005-11-30 2007-05-3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ntrolled evacuation ostomy appliance
WO2008067603A1 (en) 2006-12-07 2008-06-12 Saied Sabeti Rotating valve
WO2009131992A1 (en) 2008-04-22 2009-10-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emporary ostomy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08954A1 (en) 2012-09-13
JP5844281B2 (ja) 2016-01-13
SG182804A1 (en) 2012-09-27
EP2531153A4 (en) 2014-07-09
AU2011208954B2 (en) 2015-12-10
KR20130032297A (ko) 2013-04-01
EP2531153B1 (en) 2019-05-01
CN102834074A (zh) 2012-12-19
US8998867B2 (en) 2015-04-07
CN102834074B (zh) 2016-06-15
JP2013517848A (ja) 2013-05-20
EP2531153A1 (en) 2012-12-12
US20130030397A1 (en) 2013-01-31
MY166304A (en) 2018-06-25
WO2011091481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986B1 (ko) 의료 장치
US11786393B2 (en) Ostomy pouching device
US7828714B2 (en) Implantable device for controlling defecation and related method
US8998862B2 (en) Ostomy containment device
US6595971B1 (en) Ostomy irrigation system
US10813787B2 (en) Ostomy management device
CN111818885B (zh) 用于与以手术方式形成的腔道一起使用的装置
JP2006501875A (ja) 自制式オストミーポートとともに使用するパッド
JP2010518981A (ja) 直腸またはストーマ用装具のためのシール
JP2003531645A (ja) 自制式オストミー形成口
KR20150027750A (ko) 장루 장치
JP2002504394A (ja) 自制式人工肛門形成口
JPH04108445A (ja) 女性用失禁コントロール装置
JP2010526595A (ja) オストミー装置
US20130079588A1 (en) Synthetic urethra and closure device attachable around the synthetic urethra
KR101712551B1 (ko) 다양한 크기의 장루에 적용될 수 있는 캡이 구비된 장루 보조기구
KR20210022889A (ko) 남성 환자용 프리 소변기
TWI688380B (zh) 一體式人工造口裝置
EP4295823A1 (en) Anti-reflux ostomy device
WO2016019963A2 (en) An ostomy bag
WO2015142667A1 (en) Ostomy and stoma support device
MXPA00006931A (en) Continent ostomy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