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805B1 -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805B1
KR101773805B1 KR1020167029348A KR20167029348A KR101773805B1 KR 101773805 B1 KR101773805 B1 KR 101773805B1 KR 1020167029348 A KR1020167029348 A KR 1020167029348A KR 20167029348 A KR20167029348 A KR 20167029348A KR 101773805 B1 KR101773805 B1 KR 10177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s
outer cylinder
adjusting devic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841A (ko
Inventor
토시유키 카토
Original Assignee
시쿠미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쿠미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시쿠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12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6Self-levelling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3Underframes with a centr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3Underframes with a central column
    • A47B2013/025Underframes with a central column having radial feet assembled to the base of the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21Tables or desks of the single colum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 A47B2220/0033Feet feet or slides for horizontal arms of a table or desk foot assembly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4개 이상의 다리(2)와, 이들 다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하중 받침대(6)를 갖는 다리형 집기(1)에 있어서, 이 다리형 집기(1)는 복수의 다리 중, 삼각형(18)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8)로서, 이들 메인 다리만의 사용으로 집기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하중 받침대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는 3개의 메인 다리와, 메인 다리 이외의 서브 다리(10)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 조절장치(12, 84, 100)로서, 서브 다리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26)를 제공하는 한편, 하중 받침대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하는 다리 조절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LEGGED FIXTURE, AND LEG ADJUSTER AND LEG ADJUSTER SET FOR USE IN SAME}
본 발명은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 다리 이상을 갖는 테이블 등의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다리 조절장치를 구비한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이 다리 조절장치는, 다리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된 나사부를 갖고, 나사부를 회동(回動)함으로써 다리의 길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기구로서 기능한다.
일본 특개 2003-153756호 공보
음식점 등 점포의 바닥 면에는, 예를 들어 신축 건물이라도 약간의 경사나 요철 부분이 존재한다. 특히 건축 연수가 오래된 테넌트 빌딩 등의 점포의 바닥 면은 오랜 세월의 사용에 의해 경사나 요철 부분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테이블은, 다리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다리 길이를 바닥 면의 경사나 요철에 맞추어 조정함으로써 테이블 면을 수평으로 하고, 또한 덜컹거림이 없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점포의 폐점 후에 테이블을 한곳으로 이동해서 바닥의 비질을 하거나, 혹은 테이블의 배치를 변경해서 점포를 단장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특정한 테이블을 바닥의 원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네 다리 이상을 갖는 테이블의 경우, 각 다리의 바닥 면에 대한 접지 위치를 이전과 바꾸지 않고 배치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종래, 점원은 바닥 청소나 단장할 때마다, 다수개 테이블의 각 다리의 다리 조절장치를 조작하고, 테이블 면을 수평으로 해서 테이블의 덜컹거림이 없도록 다리의 길이를 재조정 할 필요가 있고, 점원은 무거운 작업 부담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또한, 바닥청소나 단장한 후에 점원이 다리 조절장치의 조정 작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테이블에 덜컹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덜컹거림이 있는 테이블을 사용한 고객은, 덜컹거림에 의해 테이블 면 위에 둔 컵이나 유리잔 등의 용기로부터 음료가 흘러내리거나, 테이블 위에서의 작업에 지장이 초래되거나 하여, 테이블 사용의 불편으로 인해 점포 환경에 불만을 품을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리의 길이 조정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고 또한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착탈 가능한 소형의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리형 집기는, 4개 이상의 다리와 이들 다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하중 받침대를 갖는 다리형 집기에 있어서, 복수의 다리 중, 삼각형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로서, 이들 메인 다리만의 사용으로 집기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하중 받침대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는 3개의 메인 다리와, 메인 다리 이외의 서브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 조절장치로서, 서브 다리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를 제공하는 한편, 하중 받침대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하는 다리 조절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리형 집기는, 4개 이상의 다리와, 이들 다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하중 받침대를 갖는 다리형 집기에 있어서, 복수의 다리 중, 삼각형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로서, 이들 메인 다리만의 사용으로 집기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하중 받침대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는 3개의 메인 다리와, 메인 다리보다 짧은 서브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 조절장치로서, 서브 다리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를 제공하는 한편, 하중 받침대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의 신장 또는 수축이 조정 가능한 다리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리 조절장치는 서브 다리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조절장치 본체와, 조절장치 본체를 신장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과,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받은 조절장치 본체의 신장 속도 및 바이어싱력에 저항한 조절장치 본체의 수축 속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장치 본체는 액압 실린더의 형태를 이루고, 신축 다리의 다리 끝으로서, 개공(開孔) 및 바닥부를 갖는 외통과, 외통 내에 수용된 피스톤과, 개공을 통해 외통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서브 다리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된 나사부를 갖고, 바이어싱 수단은, 외통 내에 수용되어 피스톤의 하부와 외통의 바닥부 사이에 걸쳐져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갖고, 규제수단은 외통 내에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액체실과, 이들 액체실 간의 액체의 유통을 규제하기 위해 외통의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확보된 제 1 미소간극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조절장치 본체는 피스톤 또는 피스톤 로드에 대한 외통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저지수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회동 저지수단은, 피스톤 또는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외통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횡단면에서 볼 때 비진원(非眞圓)의 형상을 함으로써 피스톤 또는 피스톤 로드에 대한 외통의 회동을 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리 조절장치는 개공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을 저지하는 누설 저지수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로드와 개공 사이에는 제 2 미소간극이 확보되며, 누설 저지수단은 외통 내를 피스톤 로드 측의 액체실과 구획해서 외통내의 제 2 미소간극 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재는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계지(係止)되는 내측 끝단(內端)과, 외통에 계지되는 외측 끝단(外端)이 고리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끝단과 외측 끝단 사이의 신축이 허용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통은 각 액체실이 형성되는 소경부(小徑部)와, 공간이 형성되는 대경부(大徑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다리 조절장치 본체와 같은 외관을 보이는 더미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더미 조절장치의 외통의 하면으로부터 메인 다리의 하단부까지의 메인 다리 높이(嵩上げ)는,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수축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 다리의 최소 높이와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신장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 다리의 최대 높이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리형 집기의 중심선은 삼각형 내 또는 상기 삼각형 근방을 통과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리 조절장치는, 4개 이상의 다리와, 이들 다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하중 받침대를 갖는 다리형 집기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로서, 다리형 집기는 복수의 다리 중, 삼각형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로서, 이들 메인 다리만의 사용으로 집기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하중 받침대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는 3개의 메인 다리와, 메인 다리 이외의 서브 다리를 갖고, 다리 조절장치는, 서브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서브 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서브 다리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를 제공하는 한편, 하중 받침대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하고, 액압 실린더의 형태를 이루며, 개공 및 바닥부를 갖는 외통, 외통 내에 수용된 피스톤, 개공을 통해 외통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서브 다리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된 나사부를 갖는 조절장치 본체와, 외통 내에 수용되어 피스톤의 하부와 외통의 바닥부 사이에 걸쳐져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갖는 바이어싱 수단과, 외통 내에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액체실과, 이들 액체실 간의 액체의 유통을 규제하기 위해 외통의 내주면과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확보된 제 1 미소간극을 갖는 규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리 조절장치 세트는, 상술한 적어도 1개의 다리 조절장치와, 메인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메인 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다리 조절장치 본체와 같은 외관을 보이는 더미 조절장치로서, 더미 조절장치의 외통의 하면으로부터 메인 다리의 하단부까지의 메인 다리 높이는,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수축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 다리의 최소 높이와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신장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 다리의 최대 높이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3개의 더미 조절장치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에 의하면, 다리형 집기의 다리의 길이 조정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고 또한 다리형 집기의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리 조절장치 및 더미 조절장치의 접지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리 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리 조절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더미 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5의 더미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6(b)는 도 3의 다리 조절장치의 중간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6(c)는 도 3의 다리 조절장치의 최고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6(d)는 도 3의 다리 조절장치의 최고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조절장치의 최고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다리 조절장치의 최고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a의 피스톤의 상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피스톤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피스톤의 하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피스톤의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7a의 외통의 바닥이 있는 통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바닥이 있는 통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바닥이 있는 통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9d는 도 9a의 바닥이 있는 통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b의 A-A방향에서 본 다리 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7a의 외통의 덮개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덮개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의 덮개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의 덮개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7a의 밀봉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밀봉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밀봉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더미 조절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더미 조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의 더미 조절장치의 하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의 더미 조절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다리 조절장치 및 더미 조절장치의 접지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다리 조절장치 및 더미 조절장치의 접지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해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다리형 집기)(1)의 사시도이다. 이 테이블(1)은 음식점 등의 점포, 예를 들면 카페에 다수 배치되는 커피 테이블로서 사용된다. 테이블(1)은 4개의 다리(2)와 이들 다리(2)에 지주(4)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된 천판(하중 받침대)(6)을 가지고 있다. 4개의 다리(2)는, 3개의 메인 다리(8)와 1개의 서브 다리(10)로 분류된다.
서브 다리(10)는 그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 조절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 조절장치(12)의 조절장치 본체(14)는 서브 다리(10)의 하단부에 착탈 용이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각 메인 다리(8)는 그 연장부를 형성하고, 서브 다리(10)의 조절장치 본체(14)와 같은 외관을 보이는 더미 조절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각 더미 조절장치(16)는 각각 메인 다리의 하단부에 착탈 용이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점포의 바닥에 접지하는 다리 조절장치(12) 및 더미 조절장치(16)의 접지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3개의 메인 다리(8)는 각각의 더미 조절장치(16)에 의해 삼각형(18)을 규정하고, 이들 메인 다리(8)만의 사용으로 테이블(1)이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테이블(1)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더미 조절장치(16)의 접지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 면(20)에 의해, 천판(6)이 바닥의 경사나 요철에 따라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진 상태라도, 테이블(1)은 안정된 정지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테이블(1)이 천판(6) 상면의 면적이 비교적 작은 1인용 커피 테이블 등이라면, 천판(6)이 약간 경사져 있어도 테이블(1)의 사용에 지장은 없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1)의 중심선(22)은 삼각형(18) 내, 상세하게는 삼각형(18) 위를 통과한다. 또한, 중심선(22)이 삼각형(18)의 근방을 통과해도 좋다. 한편, 3개의 메인 다리(8) 및 1개의 서브 다리(10)는 다리 조절장치(12) 및 더미 조절장치(16)에 의해 사각형(24)을 규정하고 있다.
도 3은 다리 조절장치(12)의 종단면도이다. 다리 조절장치(12)는, 서브 다리(10)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26)를 제공하는 한편, 테이블(1)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8)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26)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한다.
상세하게는, 다리 조절장치(12)는, 상술한 조절장치 본체(14)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갖는 압축 코일 스프링(바이어싱 수단)(28)을 구비하고 있다. 조절장치 본체(14)는 신축 다리(26)의 다리 끝으로서의 외통(30)과, 외통(30) 내에 수용됨과 아울러 횡단면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는 외주면(32b)을 갖는 피스톤(32)과, 피스톤(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통(30)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돌출된 피스톤 로드(34)를 구비한 액압 실린더(36)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외통(30)은, 상단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 부재(38)와, 바닥이 있는 통 부재(38)의 외주벽(38a)에 액체로 가득 차 나사 결합되는 덮개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재(40)는 피스톤 로드(34)가 삽입 통과되는 개공(42)을 가지며, 개공(42)의 내주면(42a)과 피스톤 로드(34)의 외주면(34a) 사이에는 미소간극(제 2 미소간극)(G1)이 확보되어 있다. 미소간극(G1)의 확보에 의해 피스톤 로드(34)의 왕복운동, 나아가서는 피스톤 로드(34)의 왕복운동에 따르는 외통(30) 안과 외통(30) 밖 사이의 통기가 허용된다.
또한, 덮개부재(40)의 내측 코너부에는 환상(環狀)의 외주 홈(40a)이 형성되고, 이 외주 홈(40a)에는 ○링(44)이 장착되어 있다. ○링(44)은 바닥이 있는 통 부재(38)의 외주벽(38a)의 상단면(38b)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바닥이 있는 통 부재(38)와 덮개부재(40) 사이의 간극, 즉 외통(30) 안이 액체로 가득 차서 밀봉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34)의 외주면(34a)에는, 피스톤(32)의 바로 위에 둘레 홈(34a1)이 형성되고, 이 둘레 홈(34a1)에는 ○링(46)이 장착되어 있다. ○링(46)은 피스톤(32)이 상승했을 때에 미소간극(G1)을 막아, 외통(30) 내를 액체로 가득 채워 밀봉한다(누설 저지수단).
피스톤 로드(34)의 외주부는 합성수지 등의 경량재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보강재로서 철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봉(48)이 압입되어 있다. 외통(30)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34)의 선단부에는 수나사의 나사부(50)가 형성되고, 나사부(50)는 서브 다리(10)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28)은 외통(30) 내에 수용되어, 피스톤(32)의 하측 외주부(하부)(32a)와 외통(30)의 바닥에 형성된 외주 홈(바닥부)(30a) 사이에 걸쳐져, 조절장치 본체(14)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피스톤(32)을 바이어싱하고 있다.
또한, 외통(30) 내에는 피스톤(32)에 의해 2개의 상측 오일실(액체실)(52)과 하측 오일실(액체실)(54)로 구획되고, 이들 상측 오일실(52) 및 하측 오일실(54)은 소정의 동점도(動粘度)를 갖는 오일(액체)로 채워져 있다.
피스톤(32)의 외주면(32b)과 외통(30)의 내주면(30b) 사이에는 미소간극(제1 미소간극)(G2)이 확보되어 있다. 이 미소간극(G2)에 의해 상측 오일실(52)과 하측 오일실(54) 사이에서의 오일의 유통이 허용되지만, 그 오일의 유통 속도는 극히 저속이다.
이로 인해,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을 받은 조절장치 본체(14)의 신장 속도, 및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한 조절장치 본체(14)의 수축 속도가 저속으로 규제되어(규제수단), 피스톤(32)은 외통(30)의 내주면(30b)에 의해 안내되면서 외통(30) 내에서 천천히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고, 나아가서는 신축 다리(26)의 신축에 따른 충격이 흡수된다.
도 4는 다리 조절장치(12)의 상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4)는 나사부(50) 이외가 육각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개공(42)도 육각 구멍이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34)에 대한 외통(30)의 회동이 저지된다(회동 저지수단).
도 5는 더미 조절장치(16)의 종단면도이다. 더미 조절장치(16)의 외주부는 합성수지 등의 경량재로 형성된 단차가 있는 외통(62)의 형태를 이룬다. 이 외통(62)은 메인 다리(8)의 다리 끝으로서 기능하고, 그 내부에 바닥이 없는 공동(64)을 갖는다. 또한 외통(62)의 상면으로부터는 나사부(66)가 일체로 돌출되고, 이 나사부(66)는 메인 다리(8)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부(66)의 내부에는 보강재로서 철재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봉(68)이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더미 조절장치(16)는 메인 다리(8)와 협동해서 신축 및 수축하지 않는 기준 다리(70)를 제공한다.
도 6 중에서, (a)는 더미 조절장치(16)의 측면도, (b)는 다리 조절장치(12)의 중간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c)는 다리 조절장치(12)의 최고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d)는 다리 조절장치(12)의 최고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d)에는 다리 조절장치(12) 및 더미 조절장치(16)가 접지하는 바닥면(72a~72d)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6(a)~(d)에서는 바닥면(72a~72d)이 전부 수평처럼 기재되어 있지만, 삼각형 면(20)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우도 상정될 수 있다.
우선, 도 6의 (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다리 조절장치(12)가 접지하는 바닥면(72b)과 3개의 더미 조절장치(16)가 접지하는 바닥면(72a)이 평평할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3개의 메인 다리(8)로 바닥면(72a)에 삼각형 면(20)이 규정됨으로써 테이블(1)의 정지 자세가 확보된다. 그리고 이 테이블(1)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8)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26)의 신장 또는 수축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삼각형 면(20)과 평평한 바닥면(72b)에 다리 조절장치(12)가 접지된다. 이때, 압축 코일 스프링(28)은 그 원래 길이에서 볼 때 중간 수축 상태로 자리잡고, 신축 다리(26)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이어싱력(F) 및 하중(W)이 작용하고 있다.
바이어싱력(F)은, 외통(30) 내의 하측 오일실(54)에 머무는 오일 및 압축 코일 스프링(28)이 피스톤(32)을 상측으로 바이어싱하는 힘이다. 또한 하중(W)은, 천판(6)측으로부터 다리 조절장치(12)에 부여되는 상정 하중(천판(6)자체, 천판(6)에 놓은 물건, 서브 다리(10) 등의 중량에 근거한 하중)이다.
다음으로, 도 6의 (a),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다리 조절장치(12)가 접지하는 바닥면(72c)이 3개의 더미 조절장치(16)가 접지하는 바닥면(72a)으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가 될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도 3개의 메인 다리(8)로 바닥면(72a)에 삼각형 면(20)이 규정됨으로써 테이블(1)의 정지 자세가 확보된다. 그리고 이 테이블(1)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8)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26)의 수축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삼각형 면(20)으로부터 가장 높은 바닥면(72c)에 다리 조절장치(12)가 접지된다. 이때, 압축 코일 스프링(28)은, 그 원래 길이에서 볼 때 최고 수축 상태로 자리잡고, 신축 다리(26)에는 바이어싱력(F) 및 하중(W)이 작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a),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다리 조절장치(12)가 접지하는 바닥면(72d)이 3개의 더미 조절장치(16)가 접지하는 바닥면(72a)으로부터 가장 낮은 위치가 될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도 3개의 메인 다리(8)로 바닥면(72a)에 삼각형 면(20)이 규정됨으로써 테이블(1)의 정지 자세가 확보된다. 그리고 이 테이블(1)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8)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26)의 신장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삼각형 면(20)으로부터 가장 낮은 바닥면(72d)에 다리 조절장치(12)가 접지된다. 이때, 압축 코일 스프링(28)은 그 원래 길이에서 볼 때 최고 신장 상태로 자리잡고, 신축 다리(26)에는 바이어싱력(F) 및 하중(W)이 작용하고 있다.
한편, 더미 조절장치(16)의 외통(62)의 하면으로부터 메인 다리(8)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메인 다리 높이(Hm)(도 6(a) 참조)로 규정한다. 또한, 다리 조절장치(12)가 중간 수축 상태에 있을 때의 조절장치 본체(14)의 외통(30)의 하면으로부터 서브 다리(10)의 하단부까지의 거리를 서브 다리 높이(Hs)(도 6(b) 참조)로 규정한다.
이때, 메인 다리 높이(Hm)는, 다리 조절장치(12)가 최고 수축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 다리(10)의 최소 높이(Hsmin)(도 6(c) 참조)와, 다리 조절장치(12)가 최고 신장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 다리(10)의 최대 높이(Hsmax)(도 6(d) 참조)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다리 높이(Hm)는 최소 높이(Hsmin)와 최대 높이(Hsmax) 사이의 중간위치에 설정된다.
메인 다리 높이(Hm), 서브 다리 높이(Hs), 서브 다리(10)의 최소 높이(Hsmin), 및 서브 다리(10)의 최대 높이(Hsmax)와,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탄성계수 및 오일의 동점도, 및 미소간극(G1, G2)의 크기 등은 테이블(1)에 요구되는 다리 조절장치(12)의 조정 성능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삼각형(18)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8)에 의해 테이블(1)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면서, 서브 다리(10)의 다리 조절장치(12)에 의해 서브 다리(10)와 협동하는 신축 다리(26)를 제공하는 한편, 테이블(1)의 정지 자세에 따라 메인 다리(8)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26)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의 다리(2) 길이 조정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는 동시에 테이블(1)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닥 청소나 단장하기 전의 각 테이블의 배치 장소나 테이블의 각 다리의 접지위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재배치 후의 테이블(1)의 덜컹거림을 항상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의 다리(2) 길이의 재조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테이블(1)의 덜컹거림에 의해 테이블 면 위에 둔 컵이나 유리잔 등의 용기로부터 음료가 흘러 넘치거나, 또는 테이블(1) 위에서의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억제되어, 사용하기 편한 테이블(1), 나아가서는 쾌적한 점포 환경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이블(1)이 3개의 메인 다리(8)밖에 없는 세 다리 테이블(1)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라도, 천판(6)은 3개의 메인 다리에 의해 세 점 지지되어 삼각형(18)이 규정되기 때문에, 바닥에 경사나 덜컹거림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테이블(1)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유지할 수는 있다. 그런데 세 점 지지 테이블(1)은 테이블(1)을 사용하는 고객이 천판(6)에 적재한 물건의 하중이나 고객의 팔꿈치 등으로부터 천판에 부여되는 하중에 의해, 테이블(1)의 중심선(22)의 위치가 변화되고, 이 중심선(22)이 삼각형(18), 나아가서는 천판(6)으로부터 현저하게 이간(離間)된 곳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리(2)를 네 다리로 하고, 나아가서는 다리(2) 중 하나를 신축 다리(26)로 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메인 다리(8) 및 1개의 서브 다리(10)는 사각형(24)을 규정하고 테이블(1)은 네 점 지지된다. 즉, 각 다리(2)에 의해 삼각형(18)보다 면적이 큰 사각형(24)을 규정할 수 있다.
테이블(1)의 구조나 사용 환경에 의해, 중심선(22)이 삼각형(18)으로부터 이간된 곳을 통과하는 경우라고 해도, 중심선(22)이 삼각형(18)보다 큰 면적을 갖는 사각형(24) 내 또는 사각형(24) 근방을 통과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다리(2)를 구비한 테이블(1)을 전제로 했을 때, 예를 들어 천판(6)이 바닥의 경사나 요철에 따라 수평에서 경사진 상태가 된다고 하더라도 테이블(1)을 안정된 정지 자세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미소간극(G2)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을 받은 조절장치 본체(14)의 신장 속도, 및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한 조절장치 본체(14)의 수축 속도를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 다리(26)의 신장 또는 수축이 천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테이블을 사용하는 고객에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테이블(1)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고, 한층 더 쾌적한 점포 환경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다리 높이(Hm)가 서브 다리의 최소 높이(Hsmin)와 서브 다리의 최대 높이(Hsmax) 사이에 설정된다. 이로 인해, 바닥의 경사 방향이나 요철에 따라, 메인 다리(8)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신축 다리(26)의 신장 범위 및 수축 범위 쌍방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바닥의 경사 구배나 요철의 형태라도, 테이블(1)의 덜컹거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다리 높이 (Hm)가 최소 높이(Hsmin)와 최대 높이(Hsmax) 사이의 중간이 되는 위치에 설정됨으로써, 신축 다리(26)의 신축 범위를 신장 측과 수축 측으로 등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닥의 경사 방향이나 요철에 따라 신축 다리(26)의 신장 또는 수축을 동일한 정도로 행할 수 있고, 테이블(1)의 덜컹거림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의 중심선(22)이 3개의 메인 다리(8)에 의해 규정된 삼각형(18) 내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테이블(1)의 사용 환경에 의해 중심선(22)이 삼각형(18)으로부터 현저히 이간하여 벗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중심선(22)의 변화는 적고, 신축 다리(26)의 신축 빈도, 나아가서는 다리 조절장치(12)의 작동 빈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테이블(1)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한층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34)는 나사부(50) 이외가 육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개공(42)도 육각 구멍이다. 즉, 개공(42)의 내주면(42a)과 피스톤 로드(34)의 외주면(34a)은, 횡단면에서 볼 때 미소간극(G1)을 갖는 육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34)에 대한 외통(30)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렌치 등을 사용해서 외통(30)을 회전했을 때, 피스톤 로드(34)에 대하여 외통(30)이 공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서브 다리(10)에 대하여 나사부(50)를 용이하게 나사 결합해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의 다리 길이 조정의 작업 부담 경감 및 사용의 편리함에 있어서 더 나은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개공(42)의 내주면(42a)과 피스톤 로드(34)의 외주면(34a)은 육각형에 한하지 않고, 다른 다각형이나 타원이어도 좋고, 비진원 형상이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도 7a~도 1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다리 조절장치(100) 및 더미 조절장치(130)에 대하여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거나, 명세서 중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명칭으로 기재하는 등으로 하여 설명을 생략하는 일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리 조절장치(100)는 조절장치 본체(102)와, 압축 코일 스프링(바이어싱 수단)(28)을 구비하고 있다. 다리 조절장치(100)는 제 1 실시형태의 다리 조절장치(12)와 마찬가지로 액압 실린더(36)의 형태를 이루고,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을 받은 조절장치 본체(102)의 신장 속도, 및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한 조절장치 본체(102)의 수축 속도가 저속으로 규제된다(규제수단).
조절장치 본체(102)는, 신축 다리(26)의 다리 끝으로서의 외통(104)과, 외통(104) 내에 수용된 피스톤(106)과, 피스톤(106)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통(104)의 개공(104a)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10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절장치 본체(102)는, 외통(104) 내를 피스톤 로드(108)측의 액체실(52)과 구획해서 미소간극(G1)측에 공간(110)을 형성하는 밀봉부재(112)를 구비하고 있다.
도 8a~도 8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106)은 횡단면에서 볼 때 육각형을 이루는 외주면(106a)을 갖고 있다. 한편, 피스톤 로드(108)는 전체가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피스톤 로드(108)의 외주면(108a)은 횡단면에서 볼 때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외주면(108a)의 피스톤(106) 바로 위에는, 밀봉부재(112)의 후술하는 내측 끝단(112a)이 계지되는 둘레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104)으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108)의 선단부에는, 암나사의 나사부(116)가 개구, 내설되고 나사부(116)에는 서브 다리(10)의 하단부가 나사 삽입된다.
도 9a~도 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통(104)의 바닥이 있는 통 부재(118)는, 소경부(118a)와, 소경부(118a)의 상측에 위치 부여됨과 아울러 소경부(118a)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대경부(118b)가 단차 형태를 이룬다. 소경부(118a) 내에는 액압 실린더(36)의 각 액체실(52, 54)이 구획되고, 횡단면에서 볼 때 육각형을 이루는 내주면(118a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118a)의 외주면(118a2)에는 세레이션 가공 등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부재(118)의 높이 방향으로 직선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식입 치(118a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경부(118b)는 외통(104)의 덮개부재(120)가 감합 또는 나사 결합되어서 장착되는 원통 모양의 통부(118b1)와, 덮개부재(120)의 장착에 따라 덮개부재(120)의 하단이 접하는 플랜지부(118b2)를 갖고 있다. 또한, 대경부(118b)에 대한 덮개부재(120)의 장착에 의해서도, 통부(118b1)의 상단면(118b3)은 덮개부재(120)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118b)는 외통(104)에 대한 피스톤 로드(108)의 왕복운동에 따르는 밀봉부재(112)의 신축을 허용하는 용적을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106)의 외주면(106a)과 피스톤(106)이 수용되는 소경부(118a)의 내주면(118a1)은, 양쪽 모두 횡단면에서 볼 때 미소간극(G1)을 갖는 육각형을 이룬다. 이에 따라 피스톤(106)에 대한 외통(104)의 회동이 저지된다(회동 저지수단). 따라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렌치 등을 식입 치에 맞추어 외통(104)을 회전했을 때, 피스톤(106)에 대하여 외통(104)이 공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서브 다리(10)에 대하여 나사부(116)를 용이하게 나사 결합해서 접속할 수 있다.
도 11a~도 11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통(104)의 덮개부재(120)는 캡 모양을 하고, 그 중앙에는 피스톤 로드(108)가 삽입 통과되는 상술한 개공(104a)이 형성되어 있다. 개공(104a)은 횡단면에서 볼 때 원형의 내주면(104a1)과, 내주면(104a1)에 이어지는 하단면(104a2)을 갖고 있다. 또한, 덮개부재(120)의 내측 코너부 근방에는, 밀봉부재(112)의 후술하는 외측 끝단(112b)을 계지하는 둥근 고리 형상의 계지조(係止爪; 120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재(120)가 대경부(118b)에 장착됨으로써, 대경부(118b) 및 덮개부재(120)에 있어서 대략 면일(面一)로 되는 외통(104)의 외주면이 형성된다.
도 12a~도 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밀봉부재(112)는 고무 등의 신축성을 갖는 탄성체로부터 고리 띠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재(112)는 개공(112c)을 형성하는 단면 원 형상의 내측 끝단(112a)과, 밀봉부재(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단면 원 형상의 외측 끝단(112b)과, 내측 끝단(112a) 및 외측 끝단(112b)을 잇는 육박(肉薄)의 신축부(112d)를 가지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경부(118b)에 대한 덮개부재(120)의 장착에 따라, 덮개부재(120)의 계지조(120a)와 대경부(118b)의 통부(118b1)의 상단면(118b3)에 의해 밀봉부재(112)의 외측 끝단(112b)이 찌그러 눌려져 계지된다. 이로 인해 피스톤(106)의 상승 및 하강 쌍방에 있어서, 바닥이 있는 통 부재(118)와 덮개부재(120) 사이의 간극이 외측 끝단(112b)에 의해 상시 막힌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106)의 상승에 따라 내측 끝단(112a)도 상승하고, 신축부(112d)의 수축에 의해 공간(110)의 용적이 감소됨으로써 미소간극(G1)으로부터 공간(110)의 공기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피스톤(106)이 끝까지 상승했을 때에는 내측 끝단(112a)은 개공(104a)의 하단면(104a2)으로 가압되어 미소간극(G1)을 막는다.
한편,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106)의 하강에 따라 내측 끝단(112a)도 하강하고, 신축부(112d)의 신장에 의해 공간(110)의 용적이 증대됨으로써 미소간극(G1)으로부터 공간(110)으로의 공기 유입이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내측 끝단(112a)은 피스톤 로드(108)의 둘레 홈(114)에 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112)로 인해 내측 끝단(112a)과 외측 끝단(112b) 사이의 신축이 신축부(112d)로 허용됨으로써, 미소간극(G1)을 통한 통기에 의해 공간(110)의 용적이 증감되지만, 공간(110)은 액체실(52)과 미소간극(G1)의 격리를 유지한다.
도 13a~도 13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더미 조절장치(130)의 외주부는, 다리 조절장치(100)와 같은 소경부(130a) 및 대경부(130b)로 이루어지는 단차가 있는 외통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외통은 메인 다리(8)의 다리 끝으로서 기능하며, 소경부(130a)의 내부에 바닥이 없는 공동(132)을 가지면서, 대경부(130b)의 상단면(130b1)에 고리 띠 형상의 둘레 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더미 조절장치(130)는 공동(空洞; 132) 및 둘레 홈(134)에 의해 감육(減肉)되어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소경부(130a)의 외주면(130a1)에는 다리 조절장치(100)와 같은 식입 치(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130b)의 상단면(130b1)에는 나사부(138)가 개구되고, 이 나사부(138)에는 메인 다리(8)의 하단부가 나사 삽입된다. 그리고 더미 조절장치(130)는 메인 다리(8)와 협동해서 신축 및 수축하지 않는 기준다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이블(1)의 다리(2) 길이 조정의 작업 부담을 경감하고, 또한 테이블(1)의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피스톤(106)의 외주면(106a)과 피스톤(106)이 수용되는 소경부(118a)의 내주면(118a1)이 횡단면에서 볼 때 미소간극(G2)을 갖는 육각형을 이룬다.
이 경우에는, 렌치 등을 사용해서 외통(104)을 회전했을 때, 외통(104)의 회동부분과 외통(104) 및 피스톤(106)의 맞물림 부분을 외통(104)을 사이에 두고 근접해서 위치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피스톤 로드(34) 및 개공(42)을 육각형으로 한 경우에 비하여, 외통(104)의 덜컹거림을 방지하면서 피스톤(106)에 대하여 외통(104)을 한층 더 원활하게 나사 결합해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테이블(1)의 다리(2) 길이 조정의 작업 부담의 경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06)의 외주면(106a)과 소경부(118a)의 내주면(118a1)은 육각형에 한하지 않고, 다른 다각형이나 타원이어도 좋고, 비진원 형상이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112)를 설치함으로써, 바닥이 있는 통 부재(118)와 덮개부재(120) 사이의 간극을 외측 끝단(112b)으로 상시 막으면서, 액체실(52)과 미소간극(G1)의 격리를 유지하는 공간(110)을 외통(104) 내에 상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예의 ○링(44, 46)을 설치했을 경우에 비해, 한층 더 확실하게 외통(104) 내를 액체로 가득 채워 밀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통(104) 내에서 피스톤(106)이 상승 도중 위치, 피스톤(106)이 하강 도중 위치, 혹은 피스톤(106)이 끝까지 하강한 위치에 있을 때, 테이블(1)의 다리(2) 길이 조정 중에 테이블(1)을 기울였다고 해도, 액체실(52)의 오일이 미소간극(G1)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의 다리(2) 길이 조정 중에 오일 누설을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당 조정 중의 작업 부담의 경감을 더욱 꾀할 수 있다.
또한, 외통(104)을 각 액체실(52, 54)이 형성되는 소경부(108a)와, 공간(110)이 형성되는 대경부(108b)로 형성함으로써, 외통(104)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저감하면서, 피스톤(106)의 왕복운동에 따르는 외통(104) 내에 있어서의 밀봉부재(112)의 신축이 외통(104)의 높이 방향뿐만 아니라 외통(104)의 직경 방향을 포함한 영역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통(104), 나아가서는 조절장치 본체(102)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의 다리(2) 길이 조정 중에 테이블(1)을 극단(極端)으로 높이 들어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부담의 경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절장치 본체(102)를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테이블(1) 높이가 큰 폭으로 변화된 결과, 테이블(1)을 사용한 고객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이 방지되어 테이블(1) 사용의 편리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로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다리(2)를 갖는 테이블(1)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1)의 다리(2)는 5개 이상이어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5개의 다리(2)를 갖는 테이블(1)의 경우, 각 다리(2)에 의해 규정되는 오각형(74)의 중앙에 3개의 메인 다리(8)로 규정되는 삼각형(18)을 위치 부여하고, 나머지의 다리(2)를 서브 다리(10)로 하면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6개의 다리(2)를 갖는 테이블(1)의 경우, 각 다리(2)에 의해 규정되는 육각형(76)의 중앙에 3개의 메인 다리(8)로 규정되는 삼각형(18)을 위치 부여하고, 나머지의 다리(2)를 서브 다리(10)로 하면 된다. 또한, 삼각형(18)을 도 14 및 도 15와는 다른 정점으로 규정해도 좋다. 그러나, 도 14 및 도 15의 경우에는, 이들 도면에 나타냈듯이 테이블(1)의 중심선(22)이 메인 다리(8)에 의해 규정된 삼각형(18) 내를 통과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1)의 안정성이 더해져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한 새로운 테이블(1)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기존 테이블의 다리를 절단해서 짧게 하고, 짧아진 다리에 다리 조절장치(12)를 장착해서 신축 다리(26)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외통(30) 내에 오리피스를 갖는 조절장치 본체(14)와 압축 코일 스프링(28)으로 이루어지는 다리 조절장치(12)만 준비하면 충분하다. 또한 나머지의 다리는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메인 다리(8)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다리 조절장치(12)만 준비하면, 본 발명을 4개 이상의 다리(2)를 갖는 기존의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테이블(1)을 형성했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개의 다리 조절장치(12)와, 3개의 더미 조절장치(16)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리 조절장치 세트를 준비하고, 기존의 테이블의 각 다리(2)에 1개 또는 복수의 다리 조절장치 세트를 구성하는 다리 조절장치(12)와 더미 조절장치(16)를 각각 장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다리 조절장치 세트만을 준비하면, 본 발명을 4개 이상의 다리(2)를 갖는 기존의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테이블(1)을 형성했을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절장치 본체(14)를 신장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기 위해 압축 코일 스프링(28)을 사용하고 있지만, 압축 코일스프링(28) 대신에 다른 바이어싱 수단,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코일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을 받은 조절장치 본체(14)의 신장 속도 및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한 조절장치 본체(14)의 수축 속도를 규제하기 위해서, 미소간극(G2)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 미소간극(G2) 이외의 규제수단을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피스톤(32)을 관통한 미소 구멍을 형성해서 오리피스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절장치 본체(14)는 오일을 작동 유체로 한 액압 실린더(36)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작동 유체는 점성 유체라면 오일뿐만 아니라 각종 유체가 상정 가능하며, 또한 가스를 사용한 가스압 실린더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테이블(1)의 천판(6)은 다리(2)에 의해 지주(4)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각 다리(2)가 천판(6)의 하면으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각 다리(2)로 천판(6)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테이블에도 본 발명은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길이 L1을 갖는 3개의 메인 다리(8)와, L1보다 짧은 길이(L2)를 갖는 서브 다리(10)를 천판(6)에 접속해서 테이블(78)을 형성한다. 서브 다리(10)의 하단부 내에는 나사 구멍(80)을 형성하고, 이 나사 구멍(80)에, 선단에 나사부(82)를 갖는 다리 조절장치(84)를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다리 조절장치(84)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서브 다리(10)를 신축 다리(26)로서 바닥면(86)에 접촉시켜도 좋다. 이 경우라도,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18)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8)만의 사용으로 테이블(78)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리 조절장치(84)는 도 14 또는 도 15에 나타낸 수의 다리(2)를 갖는 테이블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뿐만 아니라, 의자를 포함하는 가구, 접사다리 등의 발판이나 하중 받침대를 포함하는 다리형 집기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78 : 테이블(다리형 집기) 32a : 하측 외주부(하부)
2 : 다리 32b, 106a : 외주면
6 : 천판(하중 받침대) 34, 108 : 피스톤 로드
8 : 메인 다리 34a, 108a : 외주면
10 : 서브 다리 36 : 액압 실린더
12, 84, 100 : 다리 조절장치 42, 104a : 개공
14, 102 : 조절장치 본체 44, 46 : ○링(누설 저지 수단)
16, 130 : 더미 조절장치 50 : 나사부
18 : 삼각형 52 : 상측 오일실(액체실)
22 : 중심선 54 : 하측 오일실(액체실)
26 : 신축 다리 62 : 외통
28 : 압축 코일 스프링(바이어싱 수단)
110 : 공간 30, 104 : 외통
112 : 밀봉부재(누설 저지 수단) 118a : 소경부
112a : 내측 끝단 118b : 대경부
112b : 외측 끝단 30a : 외주 홈(바닥)
G1 : 제 2 미소간극 30b : 내주면
G2 : 제 1 미소간극(규제수단) 32, 106 : 피스톤

Claims (14)

  1. 4개 이상의 다리와, 이들 다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하중 받침대를 갖는 다리형 집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 중, 삼각형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로서, 이들 메인 다리만의 사용으로 상기 다리형 집기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하중 받침대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는 3개의 메인 다리와,
    상기 메인 다리 이외의 서브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 조절장치로서, 상기 서브 다리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하중 받침대의 상기 정지 자세에 따라 상기 메인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신축 다리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하는 다리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리 조절장치는,
    상기 서브 다리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조절장치 본체와,
    상기 조절장치 본체를 신장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수단과,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받은 상기 조절장치 본체의 신장 속도 및 상기 바이어싱력에 저항한 상기 조절장치 본체의 수축 속도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 본체는, 액압 실린더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신축 다리의 다리 끝으로서, 개공 및 바닥부를 갖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수용된 피스톤과, 상기 개공을 통해 상기 외통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다리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된 나사부를 갖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외통 내에 수용되어, 상기 피스톤의 하부와 상기 외통의 바닥부 사이에 걸쳐져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갖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외통 내에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액체실과, 이들 액체실 간의 액체의 유통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확보된 제 1 미소간극을 갖고,
    상기 다리 조절장치는, 상기 개공으로부터의 상기 액체의 누설을 저지하는 누설 저지수단을 갖고,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개공 사이에는 제 2 미소간극이 확보되며,
    상기 누설 저지수단은, 상기 외통 내를 상기 피스톤 로드 측의 상기 액체실과 구획해서 상기 외통 내의 상기 제 2 미소간극 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계지되는 내측 끝단과, 상기 외통에 계지되는 외측 끝단이 고리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끝단과 상기 외측 끝단 사이의 신축이 허용되고 있는 다리형 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 본체는,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대한 상기 외통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저지수단을 갖는 다리형 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저지수단은,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횡단면에서 볼 때 비진원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피스톤 또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대한 상기 외통의 회동을 저지하는 다리형 집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각 액체실이 형성되는 소경부와,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대경부를 갖는 다리형 집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장치 본체와 같은 외관을 보이는 더미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더미 조절장치의 외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다리의 하단부까지의 메인 다리 높이는, 상기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수축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서브 다리의 최소 높이와 상기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신장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서브 다리의 최대 높이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다리형 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형 집기의 중심선은 상기 삼각형 내 또는 상기 삼각형의 근방을 통과하는 다리형 집기.
  9. 4개 이상의 다리와, 이들 다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하중 받침대를 갖는 다리형 집기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로서,
    상기 다리형 집기는, 상기 복수의 다리 중, 삼각형을 규정하는 3개의 메인 다리로서, 이들 메인 다리만의 사용으로 상기 다리형 집기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하중 받침대의 안정된 정지 자세를 가능하게 하는 3개의 메인 다리와, 상기 메인 다리 이외의 서브 다리를 갖고,
    상기 다리 조절장치는, 상기 서브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서브 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상기 서브 다리와 협동해서 신축 다리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하중 받침대의 상기 정지 자세에 따라 상기 메인 다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신축 다리의 신장 또는 수축을 자율적으로 허용하고,
    액압 실린더의 형태를 이루고, 개공 및 바닥부를 갖는 외통, 상기 외통 내에 수용된 피스톤, 상기 개공을 통해 상기 외통으로부터 돌출된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다리의 하단부 내에 나사 삽입된 나사부를 갖는 조절장치 본체와,
    상기 외통 내에 수용되어, 상기 피스톤의 하부와 상기 외통의 바닥부 사이에 걸쳐져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갖는 바이어싱 수단과,
    상기 외통 내에 상기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액체실과, 이들 액체실 간의 액체의 유통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외통의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 사이에 확보된 제 1 미소간극을 갖는 규제수단과,
    상기 개공으로부터의 상기 액체의 누설을 저지하는 누설 저지수단을 갖고,
    상기 피스톤 로드와 상기 개공 사이에는 제 2 미소간극이 확보되며,
    상기 누설 저지수단은, 상기 외통 내를 상기 피스톤 로드 측의 상기 액체실과 구획해서 상기 외통 내의 상기 제 2 미소간극 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계지되는 내측 끝단과, 상기 외통에 계지되는 외측 끝단이 고리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끝단과 상기 외측 끝단 사이의 신축이 허용되고 있는 다리 조절장치.
  10. 제 9 항에 기재된 적어도 1개의 상기 다리 조절장치와,
    상기 메인 다리의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메인 다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조절장치 본체와 같은 외관을 보이는 더미 조절장치로서, 상기 더미 조절장치의 외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다리의 하단부까지의 메인 다리 높이는, 상기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수축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서브 다리의 최소 높이와 상기 다리 조절장치가 최고 신장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서브 다리의 최대 높이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3개의 더미 조절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리 조절장치 세트.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7029348A 2014-12-02 2015-11-12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 KR101773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4/081851 2014-12-02
PCT/JP2014/081851 WO2016088198A1 (ja) 2014-12-02 2014-12-02 脚型什器、並びにそれに用いる脚アジャスタ及び脚アジャスタセット
PCT/JP2015/081866 WO2016088529A1 (ja) 2014-12-02 2015-11-12 脚型什器、並びにそれに用いる脚アジャスタ及び脚アジャスタ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841A KR20160127841A (ko) 2016-11-04
KR101773805B1 true KR101773805B1 (ko) 2017-09-04

Family

ID=5609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348A KR101773805B1 (ko) 2014-12-02 2015-11-12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55786B2 (ko)
EP (1) EP3167761B1 (ko)
JP (1) JP6134079B2 (ko)
KR (1) KR101773805B1 (ko)
CN (1) CN106455815B (ko)
AU (1) AU2015356303B2 (ko)
TW (1) TWI605774B (ko)
WO (2) WO2016088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1311B (zh) * 2016-08-16 2020-06-2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CN107761312B (zh) 2016-08-16 2020-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具有自动调平功能的洗衣机底脚及洗衣机
DE102016118184B3 (de) * 2016-09-27 2017-10-26 Sartorius Lab Instruments Gmbh & Co. Kg Verwendung eines hydraulischen Stoßdämpfers und Laborgerät
US11602474B2 (en) * 2016-11-28 2023-03-14 Verb Surgical Inc. Surgical table base with high stiffness and adjustable support members with force feedback
CN108626532B (zh) * 2017-03-23 2021-03-30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底脚及家用电器
US11297945B2 (en) * 2018-09-19 2022-04-12 Leonardo S.R.L. Telescopic foot for furniture and/or furnishing items with simplified assembly and system using said foot
EP3756509B1 (en) * 2019-06-26 2023-06-07 Ackurat Industriplast AB Stabilizing device for a furniture
US10786080B1 (en) 2019-12-06 2020-09-29 Dooli Products, LLC Anti-tipping mechanisms integrated into furni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269Y1 (ko) * 1996-12-31 1999-04-01 장명수 의자받침대의 지지구조
JP2008086609A (ja) * 2006-10-03 2008-04-17 Ishiguro Seisakusho:Kk 設置面段差吸収型の家具装着脚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1895A (en) 1963-03-06 1965-06-29 Gen Motors Corp Platform stabilizer
JPS51437Y2 (ko) * 1972-06-21 1976-01-08
CH591831A5 (ko) * 1975-11-12 1977-09-30 Planche Bernard
IT1077108B (it) * 1977-04-29 1985-05-04 Castelli Sas Anonima Tavolo smontabile ad una o piu' colonne di sostegno
JPS6013720B2 (ja) * 1977-07-11 1985-04-09 株式会社東芝 脚の高さ調整装置
JPS63117331U (ko) * 1987-01-24 1988-07-29
US5251858A (en) * 1992-05-29 1993-10-12 Ultee Arnoldus J Wobble-resisting furniture
JPH08336436A (ja) * 1995-06-12 1996-12-24 Chitose Kk シリンダ式伸縮ユニット及び昇降椅子
JP3731651B2 (ja) 2001-11-26 2006-01-05 エビスヤ工業株式会社 テーブル等の高さ調整機構
CN202190936U (zh) * 2011-05-28 2012-04-18 开平市三埠区尊爵全自动麻雀台总汇 一种可升降的麻将桌底座
US9144300B2 (en) * 2012-06-14 2015-09-29 Medline Industries, Inc. Application pertaining to an article that can be selectively tilted and roll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269Y1 (ko) * 1996-12-31 1999-04-01 장명수 의자받침대의 지지구조
JP2008086609A (ja) * 2006-10-03 2008-04-17 Ishiguro Seisakusho:Kk 設置面段差吸収型の家具装着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5815B (zh) 2018-11-23
JPWO2016088529A1 (ja) 2017-04-27
EP3167761A4 (en) 2017-11-15
AU2015356303B2 (en) 2017-02-02
US9955786B2 (en) 2018-05-01
WO2016088198A1 (ja) 2016-06-09
KR20160127841A (ko) 2016-11-04
CN106455815A (zh) 2017-02-22
TW201632113A (zh) 2016-09-16
EP3167761B1 (en) 2018-10-10
TWI605774B (zh) 2017-11-21
WO2016088529A1 (ja) 2016-06-09
JP6134079B2 (ja) 2017-05-24
AU2015356303A1 (en) 2017-01-12
EP3167761A1 (en) 2017-05-17
US20170258228A1 (en)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805B1 (ko) 다리형 집기, 및 그것에 사용하는 다리 조절장치 및 다리 조절장치 세트
US6009815A (en) Stabilized table, stabilizer for tables, and method of stabilizing tables
US20200214439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and components of same
CN107074412B (zh) 泵分配器
KR200478242Y1 (ko) 메쉬분배망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US5647286A (en) Extension for furniture legs
JP3073772B2 (ja) 調節可能な滑動部材の高さ調節機構
US20090278003A1 (en) Floor engaging device for workbench
AU7001398A (en) Pump
KR102085936B1 (ko) 스틱형 자외선 차단제 용기
JPH03158397A (ja) 無段階式にロック可能な昇降ユニット
CN207112230U (zh) 一种可伸缩保护罩
CN210196340U (zh) 一种可调节保护型气弹簧
CN205616555U (zh) 一种新型药剂灌装装置
KR200481524Y1 (ko) 스크린망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EP3854260B1 (en) Hydraulic self-adaptive adjusting foot
KR20010098539A (ko) 이미용 의자의 다리부
JP6147174B2 (ja) 液体容器装着用ポンプ
US5251858A (en) Wobble-resisting furniture
US10125763B1 (en) Height extended drywall pump
EP3756509B1 (en) Stabilizing device for a furniture
JP6345019B2 (ja) 載置用介助装置
KR200481525Y1 (ko) 스크린망을 구비한 액상 화장품 용기
US5848739A (en) Pump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JP3194527U (ja) マネキン人形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