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84B1 -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784B1
KR101773784B1 KR1020160131355A KR20160131355A KR101773784B1 KR 101773784 B1 KR101773784 B1 KR 101773784B1 KR 1020160131355 A KR1020160131355 A KR 1020160131355A KR 20160131355 A KR20160131355 A KR 20160131355A KR 101773784 B1 KR101773784 B1 KR 10177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nonwoven fabric
silicone
melt adhesiv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495A (ko
Inventor
임정묵
서경준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7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부재 및 가죽 원단이 접착제층에 의해 결합된 적층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또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핫멜트 접착제의 열 압착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는 경량이면서도 안락한 승차감 및 주름이나 형상 복원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eather sheet cover for vehicle}
본 기술은 차량용 시트 분야의 기술로서, 구체적으로는 경량이면서도 안락한 승차감 및 주름이나 형상 복원력이 우수한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에 관한 기술이다.
천연가죽은 동물의 몸을 감싸고 있는 질긴 껍질로 가죽에서 털을 제거하고, 무두질한 것을 유피라 하고, 이것들을 총칭해서 피혁(皮革)이라 한다. 벗겨낸 가죽을 그대로 방치해 두면 곧 부패해 버리지만 적당한 유제로 처리해서 유피로 만들면 물에 적셔도 부패하지 않고, 건조시켜도 딱딱해지지 않으며, 내수내열성(耐水耐熱性)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진다.
유피의 원료는 소말돼지양산양 등 주로 포유동물의 가죽이나, 타조와 같은 조류의 가죽, 악어도마뱀뱀 등과 같은 파충류의 가죽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천연가죽은 뛰어난 물성으로 고급소재에 해당하며, 주로 가구류나 구두, 가방 등의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천연가죽은 가구류로는 소파 또는 자동차 시트(seat) 등의 내장재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고급자동차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고급자동차에는 시트 등의 내장재로 천연가죽시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파 또는 자동차 시트에 천연가죽을 사용할 경우,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천연가죽에 주름에 의함 품질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에 적용된 천연가죽은 천연가죽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운전자가 승 하차 시 주름이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품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조 시트가 제작되고 있으나 근본적 개선이 미진한 상태이다. 특히 품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가죽 자체 물성을 개선하기 보다는 여러 소재를 덧대어 품질을 보완하고 있으나 다른 형태의 부수적인 품질문제가 발생되어 근본적으로 품질 문제를 개선하였다고 볼 수 없다.
상기 천연가죽 시트 주름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천연가죽 주름방지 기술들로는 가죽시트와 폴리우레탄폼 쿠션재를 동시에 봉제하여 라인을 삽입하여 주름을 개선하거나 봉제 라인이 없는 경우는 폴리우레탄폼을 열 융착하는 방식으로 접착하여 품질을 개선한 기술이 있으나 효과나 효율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된 발명으로서, 가벼운면서도 동시에 자체 주름 복원력이 우수하고 가죽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는 탄성 부재 및 가죽 원단이 접착제층에 의해 결합된 적층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또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핫멜트 접착제의 열 압착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40~60 중량%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40~6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30~50 중량%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30~5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10~3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유색 섬유이다.
상기 탄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및 부직포와 결합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이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가 웹 형태 또는 필름 형태인 경우 그 성분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가 웹 형태 또는 필름 형태인 경우 열 압착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 내로 일부가 침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열 압착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이고, 열 압착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5 bar이다. 또한, 상기 핫멜트 접착제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웹 형태 또는 필름 형태인 경우, 열 압착 온도는 핫멜트 접착제의 실제 온도가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성 이상의 온도 범위, 예를 들어 90 내지 120℃의 온도에 도달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는 핫멜트 접착 공정을 통한 제조시 부직포 및 가죽 원단의 물성 변화 및 치수 변화가 작아 원 소재의 특성을 그대로 보유할 수 있고, 나아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일 구성요소인 탄성부재가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자체 주름 복원력이 우수하며, 우수한 컴포트 성능 및 커버링성을 가지고 있어 역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백 상단부에 적용 시 잔주름 및 꺽임 주름 없이 가죽 들뜸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쿠션 허벅지 부위의 승차감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일 구성요소인 탄성부재가 부직포 및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경우, 반발력 및 탄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인조솜(PET) 층의 특성을 최대한 유지시켜 가죽표면에 접착 후 역곡면 및 복곡면 부위 적용 시 잔주름 및 꺽임 주름 없이 우수한 커버링성을 제공하여 포장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주름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주요 효과 부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차량용 가죽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주요 효과 부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차량용 가죽시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를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상기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에 대한 예시적인 기재일 뿐, 하기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후술할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100)는 탄성부재(110), 접착제층(120), 및 가죽 원단층(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100)에서 상기 탄성 부재(110) 및 가죽 원단층(130)은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의 의해 결합된 형태의 적층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110) 및 가죽 원단층(130) 사이에 핫멜트 접착제를 위치시키고 가열 분위기 하에서 롤러 등에 의하여 핫멜트 접착제를 열 압착함으로써 가죽시트 커버(100)를 성형할 수 있다. 시트의 형상에 따른 커버(100)의 평면 전개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는 시트 커버(100)의 적층 구조에 집중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10)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캘린더 본딩 공법, 에어스루 본딩 공법 등과 같은 서멀본딩 가공법, 케미컬 본딩 가공법, 니들 펀칭 가공법, 수류결합 가공법 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40~60 중량%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40~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섬유는 단섬유, 장섬유, 모노필라멘트사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공 섬유는 단면를 기준으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섬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공 섬유는 부직포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반면, 가죽시트 커버에 요구되는 부직포의 탄성 및 복원력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는 고분자의 용융 방사에 의하여 각각 준비될 수 있고, 융용 방사 장치의 노즐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섬유의 단면 형상 및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준비된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실리콘 수지 용액 내에서의 함침 방식에 의한 코팅 과정을 거쳐 표면에 실리콘이 코팅된 섬유로 가공될 수 있다. 실리콘 코팅은 함침 외에도 스프레이 방식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 용액으로서는 상용화된 다양한 실리콘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올레핀 섬유 30~50 중량%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30~5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섬유 10~30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유색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는 공지의 다양한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 섬유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에틸렌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폴리부텐-1, 폴리헥센-1, 폴리옥텐-1, 폴리 4-메틸펜텐-1, 폴리메틸펜텐, 1,2-폴리부타디엔, 1,4-폴리부타디엔, 에틸렌계 중합체의 무수 말레산 변성물,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무수 말레산 변성물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다양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섬도 대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의 섬도 비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섬도 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 비는 1 : 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 데니어의 폴리올레핀 섬유를 사용할 경우, 3 데니어 정도의 폴리에스테르 중공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죽 원단층(130)으로는 다양한 천연 가죽이 사용될 수 있고, 시트의 균일한 표면 특성을 위하여 동일한 두께의 막 형태로 가공되어 준비된다. 상기 가죽 원단층(130)은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120)을 매개로 상기 탄성부재(110)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20)은 핫멜트 접착제의 열 압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에서 선택된다. 상기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는 고분자 수지의 방사에 의하여 형성된 미세한 고분자 와이어들 사이의 다수의 공극, 즉 웹 구조 및 소정의 두께를 갖는 얇은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열 압착 과정의 공정 온도 내에서 용융점에 도달할 수 있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는 열 압착에 의하여 용융되면서, 탄성부재(110)와 가죽 원단층(130)의 접착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공극에 의한 신축성을 포함함으로써, 완성품의 복원력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열 압착 과정은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의 실제 온도가 90 내지 120℃에 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열 압착 과정에서 탄성부재(110) 또는 가죽 원단층(130)의 온도는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실제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 압착 온도는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열 압착을 수행하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의 온도 범위를 의미한다. 열 압착 과정에서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의 열은 열전도를 통해 핫멜트 접착제로 전달된다. 따라서, 열 압착 과정 중의 핫멜트 접착제의 실제 온도는 탄성부재(110)와 접촉하는 하부 롤러 및 가죽 원단층(130)과 접촉하는 상부 롤러의 온도에 의하여 지배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열 압착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이고, 열 압착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5 bar이다. 결국, 상부 및 하부 롤러에 의하여 전달되는 열은, 상기 탄성부재(110)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열전도 특성 및 상기 가죽 원단층(130)을 이루는 가죽 재질의 열전도 특성을 반영하여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주요 효과 부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차량용 가죽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100)는 자체 주름 복원력이 우수하며, 우수한 컴포트 성능 및 커버링성을 가지고 있어 역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백 상단부에 적용 시 잔주름 및 꺽임 주름 없이 가죽 들뜸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쿠션 허벅지 부위의 승차감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200)는 탄성부재(210), 접착제층(220) 및 가죽 원단층(230)을 포함한다. 전술한 도 2의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100)와 비교하여 탄성부재(2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도 2의 대응 구성과 동일함으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재(210)는 부직포(212) 및 상기 부직포(212) 상에 배치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층(214)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체층(214)의 예로서는 폴리우레탄 폼을 들 수 있다. 상기 부직포(212)과 폴리우레탄 발포체층(214)은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니들 펀칭에 의한 결합 수단을 들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주요 효과 부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차량용 가죽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의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200)와 같이 탄성부재(210)로서 부직포(212) 외에 폴리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층(214)을 포함하는 경우, 반발력 및 탄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인조솜(PET) 층의 특성을 최대한 유지시켜 가죽표면에 접착 후 역곡면 및 복곡면 부위 적용 시 잔주름 및 꺽임 주름 없이 우수한 커버링성을 제공하여 포장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주름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실험평가 결과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예시들일 뿐이며 아래의 내용 이외에도 변형 가능한 다양한 예들이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탄성 부재,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및 천연 가죽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이를 상부 및 하부에 가압 히팅 롤러를 구비한 핫멜트 접착 장치에 공급하고, 소정의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열 압착 시켜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4에서 사용한 탄성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하기 표 2는 TEX 타입의 탄성 부재에 대한 핫멜트 접착 공정의 작업 조건을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3은 COMB 타입의 탄성 부재에 대한 핫멜트 접착 공정의 작업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6098362469-pat00001
※ TEX 타입 :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
※ COMB 타입 :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폼이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된 탄성 부재
※ 탄성 부재 구성에 대한 설명 : 비교예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8T는 탄성 부재 전체 두께가 8mm인 것을 나타내고 3D PET 70% 및 3D 실리콘 코팅 PET 30%는 부직포가 3 데니어의 섬도를 가진 PET 섬유 70 중량% 및 3 데니어의 섬도를 가지고 표면이 실리콘(silicone)으로 코팅된 PET 30 중량%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P.P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나타낸다.
※ 중량: 부직포의 평량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98362469-pat00002
Figure 112016098362469-pat00003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상은 핫멜트 접착 장치의 상부 롤러 온도를 나타내고, 하는 핫멜트 접착 장치의 하부 롤러 온도를 나타내고, 속도는 탄성 부재,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및 천연 가죽의 적층체를 핫멜트 접착 장치에 공급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압력은 핫멜트 접착 장치의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 사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낸다.
물성평가 (TEX 타입)
TEX 타입(폴리우레탄폼 불포함)의 탄성 부재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 작업 후의 유연성(softness) 변화, 두께변화 및 원피 수축량을 평가하였다. 표 4는 물성평가 결과를 요약한 표이다.
Figure 112016098362469-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가죽시트 커버가 비교예 1의 가죽시트 커버에 비하여, 가죽 원피의 수축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경우가 핫멜트 접착 과정에서의 제품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물성평가 (COMB 타입)
COMB 타입(폴리우레탄폼 포함)의 탄성 부재를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 및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 작업 후의 유연성(softness) 변화, 두께변화 및 원피 수축량을 평가하였다. 표 5는 물성평가 결과를 요약한 표이다.
Figure 112016098362469-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2,3,4)의 가죽시트 커버가 비교예(2,3,4)의 가죽시트 커버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유연성 변화가 적고, 원피 수축 정도가 낮아 작업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실시예들의 경우가 핫멜트 접착 과정에서의 두께 감소 정도가 비교예들에 비하여 훨씬 적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탄성 부재 및 가죽 원단 사이에 핫멜트 접착제를 위치시키고 열 압착하여, 탄성 부재 및 가죽 원단이 접착제층에 의해 결합된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웹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또는 필름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에서 선택되고,
    상기 핫멜트 접착제의 열 압착 온도는 90 내지 140℃이고, 열 압착 압력은 1~5 bar이며,
    상기 탄성 부재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공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를 니들펀칭하여 형성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와 결합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프로필렌(PP) 섬유 30~50 중량% 및 표면에 실리콘(Silicone)이 코팅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공 섬유 30~50 중량%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1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PP) 섬유의 섬도 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공 섬유의 섬도 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섬유의 섬도 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의 섬도 비는 1 : 0.1 내지 1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60131355A 2016-10-11 2016-10-11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KR10177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55A KR101773784B1 (ko) 2016-10-11 2016-10-11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55A KR101773784B1 (ko) 2016-10-11 2016-10-11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23A Division KR20160083975A (ko) 2015-01-02 2015-01-02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495A KR20160121495A (ko) 2016-10-19
KR101773784B1 true KR101773784B1 (ko) 2017-09-04

Family

ID=5725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355A KR101773784B1 (ko) 2016-10-11 2016-10-11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50B1 (ko) 2018-07-12 2018-09-13 주식회사 태광앤코리아 스팀을 이용한 가죽과 완충 부재의 접착 장치 및 그 접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903A (ko) * 2017-11-16 2019-05-24 (주)엘지하우시스 원단 일체형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97747B1 (ko) * 2021-07-29 2023-11-03 (주)경보라인 차량용 내부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내부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431B1 (ko) * 1995-09-07 2000-01-15 야스이 쇼사꾸 미다공성 시트, 그 시트를 사용한 인조피혁용 기재 및 그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553159B1 (ko) 2003-05-13 2006-02-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353506B1 (ko) * 2012-07-24 2014-01-23 (주)진솔인더스트리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가죽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431B1 (ko) * 1995-09-07 2000-01-15 야스이 쇼사꾸 미다공성 시트, 그 시트를 사용한 인조피혁용 기재 및 그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553159B1 (ko) 2003-05-13 2006-02-2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353506B1 (ko) * 2012-07-24 2014-01-23 (주)진솔인더스트리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가죽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50B1 (ko) 2018-07-12 2018-09-13 주식회사 태광앤코리아 스팀을 이용한 가죽과 완충 부재의 접착 장치 및 그 접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495A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784B1 (ko)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RU2625359C2 (ru) Детали автомобиля
JP4847472B2 (ja) 人工皮革用基材およびその基材を用いた人工皮革
KR101755837B1 (ko) 통풍 시트용 인조가죽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3975A (ko)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
JP6429790B2 (ja) ヌバック調皮革様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7195661A1 (ja) 銀付調人工皮革
US6034009A (en) Lining for interio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680603B1 (ko) 차량용 가죽시트 커버
US20060234589A1 (en) Synthetic leather,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its use
JP2016044375A (ja) 難燃性人工皮革基材、難燃性銀付調人工皮革及び難燃性銀付調人工皮革の製造方法
JP4133553B2 (ja) 自動車内装材用表皮材及び自動車内装材
JP6263321B2 (ja) 人工皮革基材、人工皮革、及び皮革調三次元成形体
US7232776B2 (en) Surface material for an automobile internal trim panel and automobile internal trim panel
JP6889438B2 (ja) 車両用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782543B2 (ja) 車両用クッション材
KR20180104551A (ko) 자동차용 시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0104A (ko) 닥나무를 이용한 매트재의 제조방법
JP4180433B2 (ja) 自動車用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CS235055B2 (en) Coating material
JPH0445871Y2 (ko)
JPH04194065A (ja) 成形用自動車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法
JP4097933B2 (ja) 皮革様シート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40164B2 (ja) 不織布及び繊維処理剤
JP2000313081A (ja) ウレタン発泡成形用補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