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139B1 -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139B1
KR101773139B1 KR1020160132898A KR20160132898A KR101773139B1 KR 101773139 B1 KR101773139 B1 KR 101773139B1 KR 1020160132898 A KR1020160132898 A KR 1020160132898A KR 20160132898 A KR20160132898 A KR 20160132898A KR 101773139 B1 KR101773139 B1 KR 10177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frames
base
photograph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Priority to KR102016013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2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04N13/0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홈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촬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초부;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레일홈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립부; 상기 제1내측커버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1카메라와, 상기 제1내측커버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제1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제1카메라들의 다중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유닛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촬영부; 및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으로 격자패턴을 조사하여 사물에 격자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패턴조사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사물에 격자패턴을 조사하여 생성된 이미지와 텍스처를 조합하여 굴곡진 부분이 없이 매끄러운 표면의 고품질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A APPARATUS OF CAMERA USING PATTERN BEAM}
본 발명은 사물의 사방에서 촬영하고 이를 조합하여 입체 형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회가 고도화 및 멀티미디어화되면서 사물에 대한 영상정보, 특히 인터넷 쇼핑몰이나 입체(입체) 가상현실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 입체 영상정보에 대한 요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입체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입체 모델링 프로그램과 랜더링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해당 전문가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특정 사물에 대한 모양 및 색체를 입체적으로 형상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또한 정확하게 사물을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사물의 외관을 다양한 각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들 촬영된 2차원 이미지 정보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조합하여 입체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 예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410호(공개일자: 2007년 03월 08일)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를 올려놓기 위한 거치대(21)와, 상기 거치대(21)로 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원호 형상의 측벽(22),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카메라를 구비하며, 카메라의 설치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23) 및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21)의 상면에는 소정의 격자 패턴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격자 패턴을 촬영하고, 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근거로 카메라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설치각도가 조정 완료되면, 제어수단의 제어로 거치대(21)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서 복수의 카메라가 동시에 물체의 일면부터 모든 면을 시차를 두고 촬영 후, 이러한 촬영 데이터를 조합하여 입체 영상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영상 촬영장치에 의하면, 각 카메라에 작용하는 내부조명의 편차, 외부 빛의 영향 등으로 각 카메라가 생성하는 2차원 영상의 경계(접점)가 모호해지는 결과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입체 영상의 표면이 굴곡(깨지거나 뭉개지는 현상)지게 나타나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410호,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공개일자: 2007년 03월 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굴곡진 부분이 없이 매끄러운 표면의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는,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홈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촬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초부;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레일홈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립부;
상기 제1내측커버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1카메라와, 상기 제1내측커버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제1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제1카메라들의 다중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유닛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촬영부; 및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으로 격자패턴을 조사하여 사물에 격자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패턴조사부;
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홈 사이에는,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대칭된 복수의 결합공이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들의 사이에 안착되어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이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의 일 측면은,
그 폭이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의 상단에는,
제1끼워맞춤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부는,
하단이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의 제1끼워맞춤돌기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내·외측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2내측커버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2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의 상단에는,
제2끼워맞춤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부는,
하단이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의 제2끼워맞춤돌기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되며 양측 개구되어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유선지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의 양측 개구에 각각 결합되는 제3내·외측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3내측커버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3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부는,
제1·2·3내측커버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기초부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2·3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조사부는,
상기 복수의 기립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지지되어 격자패턴의 빔을 조사하기 위한 패턴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본체는,
상기 중앙처리유닛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에 의하면, 사물에 격자패턴을 조사하여 생성된 이미지와 텍스처를 조합하여 굴곡진 부분이 없이 매끄러운 표면의 고품질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링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동시에 작동시켜 단 한 번의 촬영으로 사물의 모든 면을 신속히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해조립이 용이한 모듈형태로 구성되어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물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동식 스튜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촬영장치로 2D 촬영 조합하여 생성된 입체 영상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기립부의 저면(어느 하나의 제1지지프레임 제거)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의 다른 측면을 보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로 생성된 2D 영상(S1, S2)과 이를 조합해서 생성된 입체 영상(S3)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기립부의 저면(어느 하나의 제1지지프레임 제거)을 보인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다른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는, 내측으로 촬영공간을 형성하는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의 상부에 조립되는 복수의 기립부(20); 상기 각 기립부(20)의 내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촬영부(30); 및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으로 격자패턴을 조사하기 위한 패턴조사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10)는, 폭 방향(D1)으로 한 쌍의 레일홈(11a)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1)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촬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상기 기초부(10)의 내측으로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촬영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11-1, 바깥쪽 단부)의 길이가 타측(11-2, 안쪽 단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1)의 한 쌍의 레일홈(11a) 사이에는, 후술할 중앙처리유닛(32)과 외부의 컴퓨터(도시 생략)를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 통과홀(11b)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D2) 양측에는, 각각 대칭된 복수의 결합공(11c)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 통과홀(11b)과 레일홈(11a)들 사이에는, 후술할 결합편(22)이 결합될 수 있는 천공(11d)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플레이트(12)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들의 사이에 안착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11c)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12a)이 각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기립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1)의 레일홈(11a)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22)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23-1)(23-2)으로 이루어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내·외측커버(23-1)(23-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홈(2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일 측면은, 그 폭이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곡면지게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결합편(22)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 하단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천공(11d)과 대응하는 결합구(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커버(23-1)는,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일측에 마련된 제1가이드홈(21-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이루는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제1카메라(31)와 제1조명램프(31-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외측커버(23-2)는,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타측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제1가이드홈(21-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이루는 타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된다.
이러한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4a)이 형성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내·외측커버(25-1)(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내·외측커버(25-1)(25-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홈(24-1)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는,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커버(25-1)는,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일측에 마련된 제2가이드홈(24-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이루는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24b)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제2카메라(33)와 제2조명램프(33-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외측커버(25-2)는,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타측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제2가이드홈(24-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이루는 타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된다.
아울러,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6a)이 형성되며 양측 개구되어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유선지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과,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내·외측커버(27-1)(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3지지프레임(26)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내·외측커버(27-1)(27-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3가이드홈(26-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커버(27-1)는, 상기 각 제3지지프레임(26)의 일측에 마련된 제3가이드홈(26-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이루는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26b)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제3카메라(35)와 제3조명램프(35-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외측커버(27-2)는, 상기 각 제3지지프레임(26)의 타측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제3가이드홈(26-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이루는 타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기 촬영부(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한 쌍의 제1카메라(31)와,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브라켓(B)으로 지지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카메라(3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카메라(31)들의 다중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유닛(32)과,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두 쌍의 제1조명램프(3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제1카메라(31)는,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브라켓(B)으로 일정간격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며, 2개가 한 세트가 되어 촬영공간의 하측을 향하도록 화각 조절될 수 있다. 이 한 쌍의 제1카메라(31)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로 외부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유닛(32)의 일측에는, 미 도시한 멀티플렉서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1카메라(31)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케이블 통과홀(11b)을 통해 인입된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소켓(S)이 마련되어 외부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중앙처리유닛(32)은, 싱글 보드가 마련된 초소형 컴퓨터(예: 라즈베리 파이)로서, 내부에 CPU칩, GPU칩 및 메모리 등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제1조명램프(31-1)는,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되되 각 제1카메라(31)의 상하에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촬영공간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촬영부(30)는, 상기 제2내측커버(25-1)와 상기 제3내측커버(27-1)에도 동일하게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촬영부(30)는, 상기 제2내측커버(25-1)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한 쌍의 제2카메라(33)와, 상기 제2내측커버(25-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두 쌍의 제2조명램프(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촬영부(30)는, 상기 제3내측커버(27-1)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한 쌍의 제3카메라(35)와, 상기 제3내측커버(27-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두 쌍의 제3조명램프(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3카메라(33)(35)는, 상기 중앙처리유닛(32)의 일측에 마련된 멀티플렉서를 통해 제1카메라(31)와 함께 상기 중앙처리유닛(32)에 연결되며, 상기 제2·3조명램프(33-1)(35-1)는, 상기 한 쌍의 제2·3카메라(33)(35)의 상하에 일직선상에 각각 배치되며, 촬영공간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패턴조사부(40)는, 상기 복수의 기립부(20)들의 측 후방에 배치되어 반복된 격자패턴을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패턴조사부(40)는, 바닥에 지지되는 삼각대 형상의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상측에 지지되는 패턴본체(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본체(42)는, 공지된 빔프로젝터나 레이저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패턴은 격자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바 사물(T)의 종류나 색상 등에 따라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패턴본체(42)는,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되어 온·오프(ON/OFF) 작동이 자동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촬영장치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T)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설치갯수를 가감하여 원형 또는 타원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물(T)에 대한 촬영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부(20)의 높이를 조절하여 내측에 사물(T)의 크기에 부합하는 촬영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T)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4), 상기 제2내·외측커버(25-1)(25-2), 상기 제2카메라(33) 및 상기 제2조명램프(33-1)의 설치를 생략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21)에 상기 제3지지프레임(26)을 바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기립부(20)의 높이를 낮추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장치로 생성된 2D 영상으로부터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촬영공간이 형성되면, 외부 컴퓨터에 의한 조작명령으로 상기 중앙처리유닛(32)을 제어하여 상기 제1·2·3카메라(31)(33)(35)들을 동시에 작동시키며, 상기 중앙처리유닛(32)으로부터 2차원 이미지 정보 즉, 텍스처(Texture, S1)(도 6 참조)를 제공받는다.
다음, 상기 패턴조사부(40)를 작동시켜 격자패턴을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사하여 사물(T)에 격자패턴을 형성시킨 후, 다시 한번 외부 컴퓨터에 의한 조작명령으로 상기 중앙처리유닛(32)을 제어하여 상기 제1·2·3카메라(31)(33)(35)들을 동시에 작동시키며, 상기 중앙처리유닛(32)으로부터 2차원의 격자패턴 이미지(S2)를 제공받는다.
그런 다음, 외부 컴퓨터에 설치된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수의 격자패턴 이미지(S2)로부터 사물(T)의 3차원 외형을 이루는 바디를 완성하는데, 이렇게 완성된 바디는, 각 카메라에 작용하는 내부조명의 편차, 외부 빛의 영향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므로 영상의 경계(접점)가 명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 바디에 복수의 텍스처(S1)를 입힘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러운 입체 영상(S3)을 생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촬영장치에 의하면, 사물에 격자패턴을 조사하여 생성된 이미지와 텍스처를 조합하여 굴곡진 부분이 없이 매끄러운 표면의 고품질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링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동시에 작동시켜 단 한 번의 촬영으로 사물의 모든 면을 신속히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해조립이 용이한 모듈형태로 구성되어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물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동식 스튜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기초부 11: 베이스플레이트
12: 링크플레이트 20: 기립부
21: 제1지지프레임 21-2: 제1끼워맞춤돌기
22: 결합편 23-1: 제1내측커버
23-2: 제1외측커버 24: 제2지지프레임
24-2: 제2끼워맞춤돌기 25-1: 제2내측커버
25-2: 제2외측커버 26: 제3지지프레임
27-1: 제3내측커버 27-2: 제3외측커버
30: 촬영부 31: 제1카메라
31-1: 제1조명램프 32: 중앙처리유닛
33: 제2카메라 33-1: 제2조명램프
35: 제3카메라 35-1: 제3조명램프
40: 패턴조사부 41: 지지대
42: 패턴본체

Claims (14)

  1. 폭 방향(D1)으로 한 쌍의 레일홈(11a)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1)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촬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 기초부(10);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1)의 레일홈(11a)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22)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23-1)(23-2)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립부(20);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1카메라(31)와,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제1카메라(3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카메라(31)들의 다중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유닛(32)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촬영부(30); 및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으로 격자패턴을 조사하여 사물(T)에 격자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패턴조사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D2) 양측에는,
    각각 대칭된 복수의 결합공(11c)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12)의 양측에는,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들의 사이에 안착되어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11c)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12a)이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홈(11a) 사이에는,
    케이블 통과홀(1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일 측면은,
    그 폭이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상단에는,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4a)이 형성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내·외측커버(25-1)(2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30)는,
    상기 제2내측커버(25-1)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2카메라(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상단에는,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6a)이 형성되며 양측 개구되어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유선지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과,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3내·외측커버(27-1)(2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30)는,
    상기 제3내측커버(27-1)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화각(view angle) 설정되는 복수의 제3카메라(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30)는,
    제1·2·3내측커버(23-1)(25-1)(27-1)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촬영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2·3조명램프(31-1)(33-1)(3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조사부(40)는,
    상기 복수의 기립부(2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상측에 지지되어 격자패턴의 빔을 조사하기 위한 패턴본체(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본체(42)는,
    상기 중앙처리유닛(32)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장치.
KR1020160132898A 2016-10-13 2016-10-13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KR10177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898A KR101773139B1 (ko) 2016-10-13 2016-10-13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898A KR101773139B1 (ko) 2016-10-13 2016-10-13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139B1 true KR101773139B1 (ko) 2017-08-30

Family

ID=5976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898A KR101773139B1 (ko) 2016-10-13 2016-10-13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34B1 (ko) * 2022-03-10 2023-01-26 주식회사 더에스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642A (ja) * 2003-10-10 2005-04-28 Mitsuru Kawaguchi 立体物形成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642A (ja) * 2003-10-10 2005-04-28 Mitsuru Kawaguchi 立体物形成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34B1 (ko) * 2022-03-10 2023-01-26 주식회사 더에스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834B1 (ko) 다면 상영 환경을 갖춘 공연 시스템
CA27626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three-dimensional object surface data
US201203000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ment, Calibration and Rendering for an Angular Slice True-3D Display
KR20170117361A (ko) 직접 조명 방식 및 소프트 라이트 방식의 전환 가능한 촬영용 led 조명등
KR100766860B1 (ko) 입체물 스캐너
CN104160333A (zh) 用于人周围头部分肌的3d数字化的自动扫描仪和方法
US20220217323A1 (en) Multi-camera image capture system
KR101765321B1 (ko) 입체영상 촬영장치
HK1021755A1 (en) Holographic system for large image production
KR101773139B1 (ko)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CN106814527A (zh) 投影仪
TW201346471A (zh) 顯示裝置
US6862410B2 (en) Stereoadapter, pattern projection adapter, and adapter for light-emitting member
US20150195434A1 (en) Three-dimensional face scanning apparatus
JP2007033264A (ja) 証明写真撮影装置及び証明写真撮影方法
KR20190089357A (ko) 상부 복합 연결구조를 적용한 3d 스캔 부스
KR200490619Y1 (ko) 입체 포토존 제공 시스템
JP2012008252A (ja) 画像データ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ならびに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作成システム
KR101770386B1 (ko) 조명 장치
JP6801246B2 (ja) 印画物作製装置
JP2008507873A5 (ko)
KR20070025410A (ko)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
JP2008507873A (ja) 画面における浮き出し映像方法および装置
KR102184339B1 (ko) 홀로그램 기반의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215297909U (zh) 360°全景拍摄灯光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