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034B1 -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034B1
KR102492034B1 KR1020220055457A KR20220055457A KR102492034B1 KR 102492034 B1 KR102492034 B1 KR 102492034B1 KR 1020220055457 A KR1020220055457 A KR 1020220055457A KR 20220055457 A KR20220055457 A KR 20220055457A KR 102492034 B1 KR102492034 B1 KR 10249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base
unit
til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80Analysis of captured images to determine intrinsic or extrinsic camera parameters, i.e. camera calibration
    • G06T7/85Stereo camera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8Switch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촬영유닛에 다수의 촬영모듈을 다단 배치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에 다수의 촬영유닛을 간편하게 결합시키며, 다수의 촬영유닛 사이의 전기적 접속 또는 다수의 촬영모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원 스캔시스템은 대상물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도록 바닥에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베이스프레임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직립 배치되는 다수의 촬영유닛과, 베이스프레임과 촬영유닛의 결합에 따라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된 베이스전기수단과 촬영유닛에 구비된 촬영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베이스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PHOTOGRAPHING DEVICE FOR THREE DIMENSIONS SCANNING AND THREE DIMENSIONS SCANNING SYSTEM}
본 발명은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촬영유닛에 다수의 촬영모듈을 다단 배치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에 다수의 촬영유닛을 간편하게 결합시키며, 다수의 촬영유닛 사이의 전기적 접속 또는 다수의 촬영모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정 제품의 형상 정보를 얻기 위해 대상 제품을 일일이 캘리퍼스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대상물의 측정이 이루어졌다. 이런 종래의 방식은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센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레이저나 백색광을 대상물에 투사하여 대상물의 형상 정보를 취득, 디지털 정보로 전환하는 3차원 스캐닝기술이 널리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3차원 스캐닝기술을 활용하면 볼트와 너트를 비롯한 초소형 대상물을 비롯해 항공기, 선박 심지어는 빌딩이나 다리 혹은 지형 같은 초대형 대상물의 형상 정보를 손쉽게 취득할 수 있다.
3차원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형상 정보는 다양한 산업 군에 필요한 역설계(Reverse Engineering)나 품질 관리(Quality inspection)분야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대상물의 3차원 스캔을 위하여, 센서를 고정된 위치에 두고 대상물을 회전하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대상물의 형상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하지만, 대상물이 사람일 경우, 회전이나 승강에 의해 거부감이나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물체일 경우, 물체의 외형에 변형이 발생하여 대상물을 정확하게 스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상물이 대상물의 받침대에 의해 회전이나 승강하는 경우, 대상물의 위치가 바뀔 수가 있어서 회전이나 승강 속도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고속의 3차원 스캔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대상물의 변형이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고, 다양한 대상물의 3차원 스캔을 위한 3차원 스캐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4414호 (2020. 03. 04. 공고, 발명의 명칭 : 3차원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캔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촬영유닛에 다수의 촬영모듈을 다단 배치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에 다수의 촬영유닛을 간편하게 결합시키며, 다수의 촬영유닛 사이의 전기적 접속 또는 다수의 촬영모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은 대상물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도록 바닥에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직립 배치되는 다수의 촬영유닛;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된 베이스전기수단과 상기 촬영유닛에 구비된 촬영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베이스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커넥터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전기수단과 상기 촬영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베이스콘센트; 및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전기수단과 상기 촬영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베이스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대상물이 배치되는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에 구비되는 둘 이상의 단위베이스; 및 상호 인접한 둘 이상의 단위베이스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브라켓;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위베이스는, 다수의 촬영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베이스바디; 및 상기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고,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날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바디에는,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콘센트와 상기 베이스플러그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베이스장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날개에는, 마주보는 다른 단위베이스의 베이스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전기수단이 통과하는 베이스연통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은 다수의 촬영유닛의 상단부에서 다수의 촬영유닛을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촬영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이스결합모듈; 다수의 촬영유닛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제어유닛; 및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다수의 촬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다수의 촬영유닛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키오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결합모듈은,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돌부; 및 상기 베이스돌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다른 하나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끼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다수의 촬영유닛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통신부; 다수의 촬영유닛이 획득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하는 이미지수집부; 및 포토그래메트리를 이용하여 상기 2차원 이미지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3차원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다수의 촬영유닛에 각각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부여하는 아이피설정부; 다수의 촬영유닛의 동시 동작을 위한 촬영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시간동기화부; 및 다수의 촬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류를 감시하는 오류점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는 바닥에 형성된 베이스프레임에 직립 배치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직립 배치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촬영바디;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상기 촬영바디에 이단 이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둘 이상의 촬영모듈;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따라 상기 촬영전기수단 중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된 제1전기수단과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된 제2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촬영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촬영커넥터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기수단과 상기 제2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영콘센트;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따라 상기 촬영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기수단과 상기 제2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영플러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바디는, 대상물을 향해 일측면이 개구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바디브라켓; 대상물을 향해 개구된 상기 바디브라켓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촬영커버; 상기 바디브라켓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촬영상부커버; 및 상기 바디브라켓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촬영하부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모듈은, 상기 촬영바디에 결합되는 촬영브라켓; 및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대상물에 대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는 촬영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모듈은, 상기 촬영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결합되는 카메라바디;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는 틸팅바디; 및 상기 틸팅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바디를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틸팅커넥터는, 상기 카메라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틸팅연결부; 및 상기 틸팅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틸팅연결부가 끼움 결합되는 틸팅지지부;를 포함하낟.
여기서, 상기 틸팅지지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틸팅슬릿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틸팅바디는,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도록 상기 틸팅슬릿부의 일측에서 상기 틸팅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틸팅고정바디; 및 상기 틸팅고정바디와 마주보도록 상기 틸팅슬릿부의 타측에서 상기 틸팅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틸팅연장바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틸팅모듈은, 상호 이격된 상기 틸팅고정바디와 상기 틸팅연장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는 상기 제1바디에 상기 제2바디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결합모듈; 상기 촬영바디에 구비되고,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모듈; 및 둘 이상의 촬영모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영공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촬영바디에서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거나, 상기 촬영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바디를 투과하여 빛을 발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촬영유닛에 다수의 촬영모듈을 다단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변형이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고, 다양한 대상물의 3차원 스캔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대상물이 사람일 경우, 대상물의 회전이나 승강에 의해 거부감이나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물체일 경우, 물체의 외형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대상물을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이 대상물의 받침대에 의해 회전이나 승강하는 경우, 대상물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고속의 3차원 스캔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결합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에 다수의 촬영유닛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커넥터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에 다수의 촬영유닛이 결합될 때, 다수의 촬영유닛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에 구성품을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베이스프레임에서 베이스전기수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단위베이스에서 촬영유닛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에 구성품을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베이스프레임에서 베이스전기수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촬영유닛의 구성품과 베이스전기수단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된 다수의 촬영유닛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브라켓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과 촬영유닛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유닛마다 구비된 촬영모듈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간편하게 3차원 스캔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의 정렬품질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관련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3차원 스캔정보의 편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오스크의 결합 관계를 통해 무인으로 촬영유닛을 동작시키는 한편, 촬영유닛마다 구비된 촬영모듈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간편하게 3차원 스캔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에 포함된 아이피설정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모듈마다 부여된 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다수의 촬영모듈의 개별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에 포함된 시간동기화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셔터신호가 촬영모듈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에 개별적으로 전달될 때, 다수의 카메라모듈의 동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다수의 카메라모듈이 동작되는 촬영시점을 동일하게 하여 2차원 이미지정보의 연산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에 포함된 오류점검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다수의 카메라모듈의 동작 또는 오류를 개별적으로 감시하고, 다수의 카메라모듈 중 문제가 발생한 카메라모듈의 위치를 파악하며, 문제가 발생한 카메라모듈만을 점검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카메라모듈이 설치된 촬영바디만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결합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는 제1바디에 제2바디가 적층 배치될 때, 제1바디와 제2바디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커넥터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제1바디에 제2바디가 적층 결합될 때, 다수의 촬영모듈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바디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바디의 내부에 촬영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촬영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바디에 구비된 촬영점검구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바디브라켓과 촬영커버와 촬영상부커버와 촬영하부커버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촬영모듈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바디의 내부에 카메라모듈을 안정되게 배치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2차원 이미지정보의 획득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제어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셔터신호에 따라 이미지센서의 동작 제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제어모듈에 포함된 아이피세팅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카메라모듈마다 자동 할당된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의 개별적인 인식과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모듈의 설치 위치 판단을 간편하게 하고, 개별 카메라모듈의 오류 체크를 위한 기준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제어모듈에 포함된 타이머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신된 셔터신호와 연계하여 다수의 카메라모듈이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고, 명확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제어모듈에 포함된 오토포커싱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해당 카메라모듈에서 안정된 초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모듈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이미지센서의 시선 방향을 조절하고, 이미지센서가 안정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틸팅바디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의 틸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바디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틸팅바디에서 카메라바디의 틸팅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카메라바디의 틸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틸팅고정브라켓을 통해 틸팅고정바디를 촬영브라켓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이미지센서가 획득하는 2차원 이미지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모듈의 배치 구조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하고 대상물에 작용하는 조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공유기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카메라모듈들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하고, 제어유닛과 촬영제어모듈 사이의 신호 및 전기적 접속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에서 베이스프레임의 단위베이스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에서 촬영유닛을 도시한 정면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에서 촬영유닛을 도시한 배면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에 포함된 촬영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사시도이고, (b)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에 포함된 틸팅모듈의 일부와 카메라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사시도이고, (b)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에 포함된 틸팅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사시도이고, (b)는 배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은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3차원 스캔정보로 변경하여 대상물을 3차원화시키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0)과, 촬영유닛(100)과, 베이스커넥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은 대상물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도록 바닥에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은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베이스프레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일부가 개구된 원 형상 또는 호 형상을 나타내므로, 촬영유닛(100)과 대상물 사이의 이격거리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모듈(160)의 카메라모듈(140)이 대상물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프레임(10)에는 일부가 개구되어 출입구(OP)를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대상물이 배치되는 베이스공간(105)을 형성하도록 바닥에 구비되는 둘 이상의 단위베이스(11)와, 상호 인접한 둘 이상의 단위베이스(11)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브라켓(12)를 포함한다.
단위베이스(11)는 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단위베이스(11)는 다수의 촬영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베이스바디(101)와, 베이스공간(105)을 형성하도록 베이스바디(10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날개(10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101)에는 촬영유닛(100)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베이스콘센트(231)와 베이스플러그(23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베이스장착부(102)가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장착부(102)는 베이스바디(101)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므로, 베이스콘센트(231) 또는 베이스플러그(232)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베이스콘센트(231) 또는 베이스플러그(232)의 무리한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날개(103)는 바닥에 지지되므로, 베이스바디(101)와 바닥 사이에 베이스공간(105)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날개(103)에는 마주보는 다른 단위베이스(11)의 베이스공간(105)과 연통되고,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베이스전기수단이 통과하는 베이스연통홀부(104)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호 인접한 두 단위베이스(11)의 결합에 따라 베이스전기수단 중 일측의 단위베이스(11)에 구비된 제1단위전기수단과 베이스전기수단 중 타측의 단위베이스(11)에 구비된 제2단위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위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커넥터는 단위콘센트와, 단위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콘센트는 상호 인접한 두 단위베이스(11)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연통홀부(104)에 구비되고, 제1단위전기수단과 제2단위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위플러그는 상호 인접한 두 단위베이스(11) 중 다른 하나의 베이스연통홀부(104)에 구비되고, 제1단위전기수단과 제2단위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연결브라켓(12)은 상호 인접한 두 촬영유닛(100) 사이에서 상호 인접한 두 단위베이스(11)의 베이스바디(101)를 연결시킨다.
촬영유닛(100)은 다수 개가 베이스프레임(10)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직립 배치된다. 촬영유닛(100)은 대상물을 촬영한다. 촬영유닛(100)은 적어도 하나가 단위베이스(11)에 직립 배치될 수 있다. 촬영유닛(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는 촬영바디와, 촬영모듈(160)과, 촬영커넥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바디는 베이스프레임(10)의 단위베이스(11)에 직립 배치된다.
촬영바디는 대상물을 향해 일측면이 개구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바디브라켓과, 대상물을 향해 개구된 바디브라켓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촬영커버와, 바디브라켓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촬영상부커버와, 바디브라켓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촬영하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브라켓은 "ㄷ" 자 단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바디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점검구가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촬영바디는 촬영점검구를 개폐하는 촬영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촬영바디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안정되게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커버에는 촬영바디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노출되도록 투과홀부가 관통 형성되므로, 촬영바디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안정되게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하부커버에는 베이스콘센트(231)와 베이스플러그(232)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하부장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하부장착부는 촬영하부커버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므로, 베이스콘센트(231) 또는 베이스플러그(232)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베이스콘센트(231) 또는 베이스플러그(232)의 무리한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촬영바디는 바닥에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에 직립 배치되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직립 배치되는 제2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10)는 대상물을 향해 일측면이 개구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제1브라켓(111)과, 대상물을 향해 개구된 제1브라켓(111)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제1촬영커버(113)와, 제1브라켓(111)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제1상부커버(114)와, 제1브라켓(111)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1하부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111)은 "ㄷ" 자 단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1브라켓(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점검구(1111)가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제1바디(110)는 제1점검구(11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촬영커버(113)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1바디(110)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안정되게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촬영커버(113)에는 제1바디(110)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노출되도록 제1투과홀부(1131)가 관통 형성되므로, 제1바디(110)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안정되게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1하부커버(115)에는 베이스콘센트(231)와 베이스플러그(232)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1하부장착부(1151)가 포함될 수 있다. 제1하부장착부(1151)는 제1하부커버(115)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므로, 베이스콘센트(231) 또는 베이스플러그(232)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베이스콘센트(231) 또는 베이스플러그(232)의 무리한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상부커버(114)에는 촬영콘센트(241)와 촬영플러그(24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1상부장착부(1141)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상부장착부(1141)는 제1상부커버(114)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므로, 촬영콘센트(241) 또는 촬영플러그(242)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촬영콘센트(241) 또는 촬영플러그(242)의 무리한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바디(120)는 대상물을 향해 일측면이 개구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제2브라켓(121)과, 대상물을 향해 개구된 제2브라켓(121)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제2촬영커버(123)와, 제2브라켓(121)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제2상부커버(124)와, 제2브라켓(121)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제2하부커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121)은 "ㄷ" 자 단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브라켓(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점검구(1211)가 개구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120)는 제2점검구(1211)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촬영커버(123)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바디(120)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안정되게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촬영커버(123)에는 제2바디(120)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노출되도록 제2투과홀부(1231)가 관통 형성되므로, 제2바디(120)에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안정되게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2하부커버(125)에는 촬영콘센트(241)와 촬영플러그(242)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2하부장착부(1251)가 포함될 수 있다. 제2하부장착부(1251)는 제2하부커버(125)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므로, 촬영콘센트(241) 또는 촬영플러그(242)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촬영콘센트(241) 또는 촬영플러그(242)의 무리한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촬영바디는 제2바디(120)에 일단 이상 직립 배치되는 추가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바디는 상술한 제2바디(120)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바디의 추가와 더불어 상술한 촬영커넥터(240)는 제2바디(120)와 추가바디의 결합에 따라 촬영전기수단 중 제2바디(120)에 구비된 제2전기수단과 추가바디에 구비된 추가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상부커버(124)에는 촬영콘센트(241)와 촬영플러그(24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2상부장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촬영넥터는 상호 인접한 추가바디의 결합에 따라 촬영전기수단 중 추가바디에 구비된 추가전기수단을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때, 추가상부커버에는 촬영콘센트(241)와 촬영플러그(24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추가상부장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촬영모듈(160)은 촬영바디에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모듈(160)은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촬영바디에 이단 이상으로 이격 배치된다. 촬영바디가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경우, 각각의 촬영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촬영모듈(160)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모듈(160)은 촬영바디에 결합되는 촬영브라켓(130)과,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촬영브라켓(130)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브라켓(130)은 촬영바디의 바디브라켓에 결합되는 브라켓바디(131)와, 카메라모듈(140)이 결합되도록 브라켓바디(131)에 돌출 형성되는 거치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바디(131)에는 결합브라켓(1311)이 절곡 형성되어 바디브라켓과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거치브라켓은 브라켓바디(131)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브라켓(132)과, 카메라모듈(140)의 결합을 위해 돌출브라켓(132)에 절곡 또는 돌출 형성되는 안착브라켓(133)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40)은 대상물에 대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142)와, 이미지센서(142)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미지센서(142)의 동작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142)는 공지된 CCD 방식 또는 CMOS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촬영제어모듈(141)은 이미센서가 결합된 상태에서 촬영브라켓(130)에 결합될 수 있다. 촬영제어모듈(141)은 제어유닛(300) 또는 촬영공유기(180)와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카메라통신부와, 카메라통신부룰 통해 전달된 셔터신호에 따라 이미지센서(142)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제어모듈(141)은 해당 카메라모듈(140)에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세팅하는 아이피세팅부와, 셔터신호와 연계하여 이미지센서(142)가 동작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부와, 대상물의 초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오토포커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모듈(140)은 대상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다수의 촬영유닛(100) 사이에서 대상물의 배치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오토포커싱부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촬영모듈(160)은 촬영브라켓(130)을 기준으로 카메라모듈(140)을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촬영브라켓(130)의 안착브라켓(133)에는 틸팅모듈(150)이 결합되고, 틸팅모듈(150)에 카메라모듈(140)이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틸팅모듈(150)은 카메라모듈(140)의 촬영제어모듈(141)이 결합되는 카메라바디(151)와, 촬영브라켓(130)의 안착브라켓(133)에 결합되는 틸팅바디(152)와, 틸팅바디(152)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151)를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커넥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151)는 스페이서(1511)를 매개로 촬영제어모듈(141)과 결합되므로, 촬영제어모듈(141)은 카메라바디(151)로부터 이격되고, 촬영제어모듈(141)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틸팅바디(152)는 촬영브라켓(130)에 결합되도록 틸팅커넥터(153)의 틸팅지지부(1532)로부터 연장되는 틸팅고정바디(1523)와, 틸팅고정바디(1523)에서 이격되어 틸팅커넥터(153)의 틸팅지지부(1532)로부터 연장되는 틸팅연장바디(1525)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고정바디(1523)에는 틸팅고정바디(1523)를 촬영브라켓(130)의 안착브라켓(133)에 고정하기 위해 틸팅고정브라켓(1524)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틸팅커넥터(153)는 카메라바디(151)에 돌출 형성되는 틸팅연결부(1531)와, 틸팅바디(152)에 구비되고 틸팅연결부(1531)가 끼움 결합되는 틸팅지지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지지부(1532)에는 틸팅지지부(153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틸팅슬릿부(15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틸팅바디(152)는 촬영브라켓(130)에 결합되도록 틸팅슬릿부(1521)의 일측에서 틸팅지지부(1532)로부터 연장되는 틸팅고정바디(1523)와, 틸팅고정바디(1523)와 마주보도록 틸팅슬릿부(1521)의 타측에서 틸팅지지부(1532)로부터 연장되는 틸팅연장바디(1525)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모듈(150)은 틸팅바디(152)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151)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임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임부재(154)는 상호 이격된 틸팅고정바디(1523)와 틸팅연장바디(1525)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조임부재(154)의 동작에 따라 상호 이격된 틸팅고정바디(1523)와 틸팅연장바디(1525)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틸팅지지부(1532)가 틸팅연결부(1531)를 파지 고정하고, 틸팅바디(152)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151)의 틸팅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조임부재(154)의 동작에 따라 상호 이격된 틸팅고정바디(1523)와 틸팅연장바디(1525)의 간격이 넓어지는 경우, 틸팅지지부(1532)에서 틸팅연결부(153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틸팅바디(152)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151)를 틸팅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틸팅모듈(150)은 틸팅바디(152)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151)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수단은 인가되는 전원으로 동작될 수 있다.
촬영커넥터(24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결합에 따라 촬영전기수단 중 제1바디(110)에 구비된 제1전기수단과 제2바디(120)에 구비된 제2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촬영커넥터(24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촬영콘센트(241)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결합에 따라 촬영콘센트(2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촬영플러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콘센트(241)에는 제1전기수단과 제2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영플러그(242)에는 제1전기수단과 제2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면, 제1바디(110)에 제2바디(120)가 결합될 때, 제1바디(110)에 구비된 제1전기수단과 제2바디(120)에 구비된 제2전기수단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는 바디결합모듈(220)과, 조명모듈(170)과, 촬영공유기(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결합모듈(220)은 제1바디(110)에 제2바디(120)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바디결합모듈(220)은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221)와, 결합돌부(221)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다른 하나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결합끼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직립 배치될 때, 결합돌부(221)가 결합끼움부(222)에 끼움 결합되므로, 제1바디(110)에 제2바디(120)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조명모듈(170)은 촬영바디에 구비된다. 조명모듈(170)은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한다.
일예로, 조명모듈(170)은 촬영바디에서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인 촬영커버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조명모듈(170)은 촬영바디의 촬영커버에 구비되는 면발광모듈로 구성되므로, 대상물을 향해 직접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모듈(170)은 촬영바디의 바디브라켓의 내부에 구비되어 촬영바디의 촬영커버를 투과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조명모듈(170)은 촬영바디의 바디브라켓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모듈로 구성되므로, 촬영바디의 촬영커버를 투과하여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촬영공유기(180)는 둘 이상의 촬영모듈(16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영공유기(180)는 촬영바디마다 구비되고, 촬영바디에 배치되는 둘 이상의 촬영모듈(160)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다. 촬영공유기(180)는 촬영모듈(160)마다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촬영공유기(180)는 하부커버 또는 제1하부커버(115)에 결합되는 공유장착부(18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커넥터(230)는 베이스프레임(10)과 촬영유닛(100)의 결합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베이스전기수단과 촬영유닛(100)에 구비된 촬영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베이스커넥터(230)는 베이스프레임(10)에 포함된 단위베이스(11)의 베이스바디(101)와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바디의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베이스콘센트(231)와, 베이스유닛과 촬영유닛(100)의 결합에 따라 베이스콘센트(2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베이스프레임(10)에 포함된 단위베이스(11)의 베이스바디(101)와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바디의 하부커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러그(2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콘센트(231)에는 베이스전기수단과 촬영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베이스플러그(232)에는 베이스전기수단과 촬영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면, 베이스프레임(10)에 촬영유닛(100)이 결합될 때, 베이스유닛에 구비된 베이스전기수단과 촬영유닛(100)에 구비된 촬영전기수단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은 지지프레임(20)과, 베이스결합모듈(210)과, 제어유닛(300)과, 키오스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다수의 촬영유닛(100)의 상단부에서 다수의 촬영유닛(100)을 상호 연결시킨다. 지지프레임(20)은 다수의 촬영유닛(100) 중 둘 이상의 촬영유닛(100)과 결합되는 제1프레임(21)과, 상호 인접한 두 제1프레임(21)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2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결합모듈(210)은 베이스프레임(10)에 촬영유닛(100)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킨다.
일예로, 베이스결합모듈(210)은 베이스프레임(10)에 포함된 단위베이스(11)의 베이스바디(101)와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바디의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돌부(211)와, 베이스돌부(211)가 끼움 결합되도록 베이스프레임(10)에 포함된 단위베이스(11)의 베이스바디(101)와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바디의 하부커버 중 다른 하나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끼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베이스결합모듈(210)은 베이스프레임(10)과 촬영유닛(100)을 연결시키는 베이스브라켓(2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브라켓(250)은 앵글 형상을 나타내어 일측은 베이스프레임(10)에 포함된 단위베이스(11)에 결합되고, 타측은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바디의 측면에 결합된다.
그러면, 촬영유닛(100)이 베이스프레임(10)에 직립 배치될 때, 베이스돌부(211)가 베이스끼움부(212)에 끼움 결합되므로, 베이스프레임(10)에 촬영유닛(1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300)은 둘 이상의 촬영모듈(160)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킨다.
제어유닛(300)은 다수의 촬영유닛(100)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통신부와, 다수의 촬영유닛(100)이 획득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하는 이미지수집부와, 포토그래메트리를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정보를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3차원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통신부는 촬영유닛(100)에 포함된 촬영모듈(160)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제어통신부는 촬영모듈(160)에 포함된 촬영공유기(18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이미지수집부는 해당 촬영모듈(160)에 대응하여 2차원 이미지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3차원알고리즘은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 2차원 이미지정보를 겹치거나 합성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므로, 3차원 스캔정보로 3차원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유닛(300)은 다수의 촬영유닛(100)에 각각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부여하는 아이피설정부와, 다수의 촬영유닛(100)의 동시 동작을 위한 촬영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시간동기화부와, 다수의 촬영유닛(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류를 감시하는 오류점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피설정부는 촬영모듈(160)마다 고유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아이피설정부는 촬영모듈(160)과 개별 통신이 가능하거나 촬영공유기(180)와 개별 통신이 가능하므로, 촬영모듈(160)마다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시간동기화부는 촬영모듈(160)마다 셔터신호가 도달하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촬영모듈(160)마다 셔터신호가 도달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다음, 촬영모듈(160)이 동시에 동작되도록 촬영시간을 동기화시킨다.
오류점검부는 개별적인 촬영모듈(160)의 설치 위치를 확인 가능하므로, 촬영모듈(160)마다 발생되는 오류를 체크할 수 있고, 해당 촬영모듈(160)의 유지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오류점검부는 촬영모듈(160)마다 할당된 고유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바탕으로 개별적인 촬영모듈(160)의 설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키오스크(400)는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다수의 촬영유닛(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둘 이상의 촬영모듈(160)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킨다. 키오스크(400)에는 상술한 제어유닛(300)이 포함될 수 있다. 키오스크(400)가 구비됨에 따라 3차원 스캔시스템을 무인으로 운영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수단들은 전원의 인가를 위한 케이블과,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캔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별의 촬영모듈(160)에 포함된 개별의 카메라모듈(140)에는 각각 고유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대상물은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출입구(OP)를 거쳐 다수의 촬영유닛(100) 사이에 배치되면, 촬영모듈(160)의 카메라모듈(140)에서는 오토포커싱부가 동작되므로, 촬영모듈(160)마다 자동으로 초점을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개별의 카메라모듈(140)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오류점검부는 오류가 발생한 카메라모듈(140)만을 체크할 수 있으므로, 촬영유닛(100)에서 오류가 발생한 카메라모듈(140)만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키오스크(400)의 조작 또는 제어유닛(300)의 동작으로 셔터신호가 발생하면, 셔터신호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개별의 카메라모듈(140)에 전달되고, 동기화된 촬영시간을 바탕으로 개별의 카메라모듈(140)이 동시에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개별의 카메라모듈(140)이 촬영하여 획득한 2차원 이미지정보는 이미지수집부에 수집되고, 3차원알고리즘은 이미지수집부에 수집된 2차원 이미지정보를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3차원 스캔정보는 직접 확인 가능하거나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촬영유닛(100)에 다수의 촬영모듈(160)을 다단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변형이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고, 다양한 대상물의 3차원 스캔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대상물이 사람일 경우, 대상물의 회전이나 승강에 의해 거부감이나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물체일 경우, 물체의 외형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대상물을 정확하게 스캔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이 대상물의 받침대에 의해 회전이나 승강하는 경우, 대상물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고속의 3차원 스캔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결합모듈(21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다수의 촬영유닛(100)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커넥터(23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다수의 촬영유닛(100)이 결합될 때, 다수의 촬영유닛(10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구성품을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베이스프레임(10)에서 베이스전기수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단위베이스(11)에서 촬영유닛(100)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구성품을 간편하게 설치함은 물론 베이스프레임(10)에서 베이스전기수단을 간편하게 설치하고, 촬영유닛(100)의 구성품과 베이스전기수단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결합된 다수의 촬영유닛(10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브라켓(2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0)과 촬영유닛(10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0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유닛(100)마다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간편하게 3차원 스캔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40)의 정렬품질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관련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3차원 스캔정보의 편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40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무인으로 촬영유닛(100)을 동작시키는 한편, 촬영유닛(100)마다 구비된 촬영모듈(160)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간편하게 3차원 스캔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00)에 포함된 아이피설정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모듈(160)마다 부여된 인터넷프로토콜 주소가 다수의 촬영모듈(160)의 개별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00)에 포함된 시간동기화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셔터신호가 촬영모듈(16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140)에 개별적으로 전달될 때, 다수의 카메라모듈(140)의 동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다수의 카메라모듈(140)이 동작되는 촬영시점을 동일하게 하여 2차원 이미지정보의 연산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300)에 포함된 오류점검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다수의 카메라모듈(140)의 동작 또는 오류를 개별적으로 감시하고, 다수의 카메라모듈(140) 중 문제가 발생한 카메라모듈(140)의 위치를 파악하며, 문제가 발생한 카메라모듈(140)만을 점검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카메라모듈(140)이 설치된 촬영바디만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디결합모듈(2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는 제1바디(110)에 제2바디(120)가 적층 배치될 때,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커넥터(2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제1바디(110)에 제2바디(120)가 적층 결합될 때, 다수의 촬영모듈(16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바디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바디의 내부에 촬영모듈(160)이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촬영모듈(160)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바디에 구비된 촬영점검구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바디브라켓과 촬영커버와 촬영상부커버와 촬영하부커버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촬영모듈(160)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모듈(16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촬영바디의 내부에 카메라모듈(140)을 안정되게 배치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2차원 이미지정보의 획득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제어모듈(141)의 결합 관계를 통해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셔터신호에 따라 이미지센서(142)의 동작 제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영제어모듈(141)에 포함된 아이피세팅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카메라모듈(140)마다 자동 할당된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카메라모듈(140)의 개별적인 인식과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모듈(140)의 설치 위치 판단을 간편하게 하고, 개별 카메라모듈(140)의 오류 체크를 위한 기준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제어모듈(141)에 포함된 타이머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수신된 셔터신호와 연계하여 다수의 카메라모듈(140)이 동시에 동작되도록 하고, 명확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촬영제어모듈(141)에 포함된 오토포커싱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대상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해당 카메라모듈(140)에서 안정된 초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틸팅모듈(150)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이미지센서(142)의 시선 방향을 조절하고, 이미지센서(142)가 안정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또한, 틸팅모듈(15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틸팅바디(152)를 기준으로 카메라바디(151)의 틸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틸팅바디(152)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틸팅바디(152)에서 카메라바디(151)의 틸팅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카메라바디(151)의 틸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틸팅고정브라켓(1524)을 통해 틸팅고정바디(1523)를 촬영브라켓(13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모듈(1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이미지센서(142)가 획득하는 2차원 이미지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모듈(170)의 배치 구조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하고 대상물에 작용하는 조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촬영공유기(1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카메라모듈(140)들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하고, 제어유닛(300)과 촬영제어모듈(141) 사이의 신호 및 전기적 접속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베이스프레임 11: 단위베이스 101: 베이스바디
102: 베이스장착부 103: 베이스날개 104: 베이스연통홀부
105: 베이스공간 12: 연결브라켓 OP: 출입구
20: 지지프레임 21: 제1프레임 22: 제2프레임
100: 촬영유닛 110: 제1바디 111: 제1브라켓
1111: 제1점검구 112: 제1개폐부재 113: 제1촬영커버
1131: 제1투과홀부 114: 제1상부커버 1141: 제1상부장착부
115: 제1하부커버 1151: 제1하부장착부 120: 제2바디
121: 제2브라켓 1211: 제2점검구 123: 제2촬영커버
1231: 제2투과홀부 124: 제2상부커버 125: 제2하부커버
1251: 제2하부장착부 130: 촬영브라켓 131: 브라켓바디
1311: 결합브라켓 132: 돌출브라켓 133: 안착브라켓
140: 카메라모듈 141: 촬영제어모듈 142: 이미지센서
150: 틸팅모듈 151: 카메라바디 1511: 스페이서
152: 틸팅바디 1521: 틸팅슬릿부 1523: 틸팅고정바디
1524: 틸팅고정브라켓 1525: 틸팅연장바디 153: 틸팅커넥터
1531: 틸팅연결부 1532: 틸팅지지부 154: 조임부재
160: 촬영모듈 170: 조명모듈 180: 촬영공유기
181: 공유장착부
210: 베이스결합모듈 211: 베이스돌부 212: 베이스끼움부
220: 바디결합모듈 221: 결합돌부 222: 결합끼움부
230: 베이스커넥터 231: 베이스콘센트 232: 베이스플러그
240: 촬영커넥터 241: 촬영콘센트 242: 촬영플러그
250: 베이스브라켓 300: 제어유닛 400: 키오스크

Claims (15)

  1. 대상물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도록 바닥에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직립 배치되는 다수의 촬영유닛;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된 베이스전기수단과 상기 촬영유닛에 구비된 촬영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베이스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대상물이 배치되는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에 구비되는 둘 이상의 단위베이스; 상호 인접한 두 단위베이스의 결합에 따라 일측의 단위베이스에 구비된 제1단위전기수단과 타측의 단위베이스에 구비된 제2단위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단위커넥터; 및 상호 인접한 단위베이스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브라켓;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커넥터는 상호 인접한 두 단위베이스 중 어느 하나의 베이스연통홀부에 구비되는 단위콘센트; 및 다른 하나의 베이스연통홀부에 구비되는 단위 플러그;를 포함하여 상기 제1단위전기수단과 제2단위전기수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베이스커넥터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전기수단과 상기 촬영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베이스콘센트;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전기수단과 상기 촬영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베이스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유닛은,
    바닥에 형성된 베이스프레임에 직립 배치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직립 배치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촬영바디;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상기 촬영바디에 이단 이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둘 이상의 촬영모듈;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따라 상기 촬영전기수단 중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된 제1전기수단과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된 제2전기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촬영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커넥터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기수단과 상기 제2전기수단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영콘센트;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결합에 따라 상기 촬영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전기수단과 상기 제2전기수단 중 다른 하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영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베이스는,
    다수의 촬영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베이스바디; 및
    상기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고,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바디에는,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콘센트와 상기 베이스플러그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베이스장착부;가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날개에는,
    마주보는 다른 단위베이스의 베이스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전기수단이 통과하는 베이스연통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촬영유닛의 상단부에서 다수의 촬영유닛을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촬영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이스결합모듈;
    다수의 촬영유닛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제어유닛; 및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다수의 촬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다수의 촬영유닛이 촬영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 연산하여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키오스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결합모듈은,
    상기 촬영유닛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돌부; 및
    상기 베이스돌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촬영유닛 중 다른 하나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베이스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다수의 촬영유닛과 유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제어통신부;
    다수의 촬영유닛이 획득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수집하는 이미지수집부; 및
    포토그래메트리를 이용하여 상기 2차원 이미지정보를 연산하여 상기 3차원 스캔정보로 변환시키는 3차원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다수의 촬영유닛에 각각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부여하는 아이피설정부;
    다수의 촬영유닛의 동시 동작을 위한 촬영시간을 동기화시키는 시간동기화부; 및
    다수의 촬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류를 감시하는 오류점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바디는,
    대상물을 향해 일측면이 개구되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구된 바디브라켓;
    대상물을 향해 개구된 상기 바디브라켓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촬영커버;
    상기 바디브라켓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촬영상부커버; 및
    상기 바디브라켓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촬영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상기 촬영바디에 결합되는 촬영브라켓; 및
    대상물의 촬영을 위해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대상물에 대한 2차원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는 촬영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상기 촬영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결합되는 카메라바디;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는 틸팅바디; 및
    상기 틸팅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바디를 틸팅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틸팅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커넥터는,
    상기 카메라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틸팅연결부; 및
    상기 틸팅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틸팅연결부가 끼움 결합되는 틸팅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지지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틸팅슬릿부;가 구비되고,
    상기 틸팅바디는,
    상기 촬영브라켓에 결합되도록 상기 틸팅슬릿부의 일측에서 상기 틸팅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틸팅고정바디; 및
    상기 틸팅고정바디와 마주보도록 상기 틸팅슬릿부의 타측에서 상기 틸팅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틸팅연장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모듈은,
    상호 이격된 상기 틸팅고정바디와 상기 틸팅연장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 상기 제2바디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바디결합모듈;
    상기 촬영바디에 구비되고,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조명모듈; 및
    둘 이상의 촬영모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촬영공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촬영바디에서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향해 빛을 발산하거나, 상기 촬영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바디를 투과하여 빛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스캔시스템.
KR1020220055457A 2022-03-10 2022-05-04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KR102492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206 2022-03-10
KR20220030206 2022-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034B1 true KR102492034B1 (ko) 2023-01-26

Family

ID=851102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457A KR102492034B1 (ko) 2022-03-10 2022-05-04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KR1020220139343A KR20230133175A (ko) 2022-03-10 2022-10-26 3차원 스캔 컨텐츠 활용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343A KR20230133175A (ko) 2022-03-10 2022-10-26 3차원 스캔 컨텐츠 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20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410A (ko) * 2005-09-02 2007-03-08 (주) 이엔비 글로벌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
KR200477792Y1 (ko) * 2015-01-27 2015-07-28 주식회사 포디웰컴 3차원 촬영 시스템
KR101765321B1 (ko) * 2016-07-18 2017-08-04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입체영상 촬영장치
KR101773139B1 (ko) * 2016-10-13 2017-08-30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KR20190089357A (ko) * 2018-01-22 2019-07-31 오원재 상부 복합 연결구조를 적용한 3d 스캔 부스
KR102084414B1 (ko) 2018-11-15 2020-03-04 주식회사 레이젠 3차원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캔 방법
KR102305905B1 (ko) * 2020-06-05 2021-09-28 주식회사 더투에이치 삼차원 촬영장치 및 이것의 카메라 각도 조정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410A (ko) * 2005-09-02 2007-03-08 (주) 이엔비 글로벌 3차원 영상 생성 시스템
KR200477792Y1 (ko) * 2015-01-27 2015-07-28 주식회사 포디웰컴 3차원 촬영 시스템
KR101765321B1 (ko) * 2016-07-18 2017-08-04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입체영상 촬영장치
KR101773139B1 (ko) * 2016-10-13 2017-08-30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패턴 빔을 활용하는 영상 촬영장치
KR20190089357A (ko) * 2018-01-22 2019-07-31 오원재 상부 복합 연결구조를 적용한 3d 스캔 부스
KR102084414B1 (ko) 2018-11-15 2020-03-04 주식회사 레이젠 3차원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캔 방법
KR102305905B1 (ko) * 2020-06-05 2021-09-28 주식회사 더투에이치 삼차원 촬영장치 및 이것의 카메라 각도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75A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0588B2 (en) Surveying instrument for scanning an object and image acquistion of the object
EP2722645B1 (en)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measuring system
EP2619987B1 (en) Wide angle field of view active illumination imaging system
US201001345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area in 3d
US20150098075A1 (en) Scanner for space measurement
US7859572B2 (en) Enhancing digital images using secondary optical systems
US20150009295A1 (en) Three-dimension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6699636A (zh) 激光扫描仪
US20090058878A1 (en) Method for displaying adjustment images in multi-view imaging system, and multi-view imaging system
JP2016042194A (ja) 撮像装置
JP2019508663A (ja) 測距モジュール、3次元走査システム及び測距方法
KR102492034B1 (ko) 3차원 스캔용 촬영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3차원 스캔시스템
JP2012049999A (ja) 撮像装置および姿勢調整プログラム
US11350077B2 (en) Handheld three dimensional scanner with an autoaperture
KR20210065647A (ko) 다중 카메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모니터링 방법
KR20190089357A (ko) 상부 복합 연결구조를 적용한 3d 스캔 부스
CN215296170U (zh) 一种分光图像采集装置
JP2001304821A (ja) 画像撮像装置及び距離測定方法
US8063941B2 (en) Enhancing digital images using secondary optical systems
KR20100007444A (ko)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통한 감시 방법
JP7363892B2 (ja) 交換レンズ、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66759A (ko) 가시광선센서와 열영상센서의 광축 정렬 장치 및 방법
CN211502178U (zh) 多功能云台
CN113447245B (zh) 一种多光谱光轴一致性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4466122A (zh) 一种多光谱摄像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