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386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386B1
KR101770386B1 KR1020160090974A KR20160090974A KR101770386B1 KR 101770386 B1 KR101770386 B1 KR 101770386B1 KR 1020160090974 A KR1020160090974 A KR 1020160090974A KR 20160090974 A KR20160090974 A KR 20160090974A KR 101770386 B1 KR101770386 B1 KR 10177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frames
sides
illumin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크쉐이프
Priority to KR102016009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onto the supporting or suspending arrangements of the lighting device, e.g. power cords, stand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홈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전시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초부;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레일홈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립부; 및 상기 제1내측커버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1조명램프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전시물의 형태에 따라 조명 빛의 조사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하여 전시물의 시각적인 입체감 및 미려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각, 고대유품, 도자기 등의 전시물을 전시하는 경우에 실내의 조명과 별도로 각각의 전시물에 대한 조명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9002호(이하 인용문헌, 공개일자: 2010년 9월 10일)에는,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를 가지는 전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위 인용문헌의 전시시스템은, 전시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엘이디소자가 설치되는 엘이디기판을 포함하는 광발생부와, 상기 조명부와 상기 광발생부를 연결하여 상기 엘이디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을 상기 조명부로 전달하는 광전달부를 포함하는 엘이디조명장치(100); 및 내측 중심으로 상기 전시물이 설치되며, 내측 상부에 상기 엘이디조명장치(100)가 지지되게 설치되는 전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전시부(200)는 전면이 투명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전시물이 얹혀지는 전시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시시스템에 의하면, 전시대 위에 조각, 고대유품, 도자기 중 어느 하나의 전시물이 적재되며, 전시물의 상측에 대해 빛이 조사되어 전시물을 부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시시스템에 의하면, 조명이 전시물의 상측에서 일정한 빛의 세기로 조사됨으로써 전시물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방면에 대한 빛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전시물의 시각적인 입체감 및 미려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시물의 형태에 따라 조명 빛의 조사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폭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홈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전시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기초부;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의 레일홈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립부; 및
상기 제1내측커버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1조명램프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부;
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홈 사이에는,
케이블 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각각 대칭된 복수의 결합공이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들의 사이에 안착되어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이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의 일 측면은,
그 폭이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의 상단에는,
제1끼워맞춤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부는,
하단이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의 제1끼워맞춤돌기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내·외측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2내측커버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2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의 상단에는,
제2끼워맞춤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립부는,
하단이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의 제2끼워맞춤돌기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이 형성되며 양측 개구되어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유선지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3내·외측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3내측커버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3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하면, 전시물의 형태에 따라 조명 빛의 조사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하여 전시물의 시각적인 입체감 및 미려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해조립이 용이한 모듈형태로 구성되어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및
도 3은 도 2의 기립부의 저면(어느 하나의 제1지지프레임 제거)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및 도 3은 도 2의 기립부의 저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내측으로 전시공간을 형성하는 기초부(10); 상기 기초부(10)의 상부에 조립되는 복수의 기립부(20); 및 상기 각 기립부(20)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조명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10)는, 폭 방향(D1)으로 한 쌍의 레일홈(11a)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1)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전시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상기 기초부(10)의 내측으로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의 전시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11-1, 바깥쪽 단부)의 길이가 타측(11-2, 안쪽 단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1)의 한 쌍의 레일홈(11a) 사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케이블 통과홀(11b)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D2) 양측에는, 각각 대칭된 복수의 결합공(11c)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 통과홀(11b)과 레일홈(11a)들 사이에는, 후술할 결합편(22)이 결합될 수 있는 천공(11d)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플레이트(12)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들의 사이에 안착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11c)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12a)이 각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기립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1)의 레일홈(11a)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22)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23-1)(23-2)로 이루어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내·외측커버(23-1)(23-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홈(2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일 측면은, 그 폭이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곡면지게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결합편(22)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 하단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천공(11d)과 대응하는 결합구(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커버(23-1)는,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일측에 마련된 제1가이드홈(21-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이루는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제1조명램프(31-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외측커버(23-2)는,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타측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제1가이드홈(21-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이루는 타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된다.
이러한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4a)이 형성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내·외측커버(25-1)(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내·외측커버(25-1)(25-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홈(24-1)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는,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커버(25-1)는,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일측에 마련된 제2가이드홈(24-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이루는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24b)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제2조명램프(33-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외측커버(25-2)는,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타측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제2가이드홈(24-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이루는 타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된다.
아울러,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6a)이 형성되며 양측 개구되어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유선지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과,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내·외측커버(27-1)(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3지지프레임(26)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3내·외측커버(27-1)(27-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제3가이드홈(26-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커버(27-1)는, 상기 각 제3지지프레임(26)의 일측에 마련된 제3가이드홈(26-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이루는 일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홀(26b)이 형성되어 후술할 복수의 제3조명램프(35-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외측커버(27-2)는, 상기 각 제3지지프레임(26)의 타측에 마련된 다른 하나의 제3가이드홈(26-1)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이루는 타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기 조명부(30)는,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1조명램프(31-1)와, 상기 제2내측커버(25-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2조명램프(33-1)와, 상기 제3내측커버(27-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3조명램프(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1·2·3조명램프(31-1)(33-1)(35-1)는, 상기 각 제1·2·3내측커버(23-1)(25-1)(27-1)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각 제·2·3내측커버(2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홀(도면부호 생략)(24b)(26b)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1·2·3조명램프(31-1)(33-1)(35-1)에는,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케이블 통과홀(11b)을 통해 인입된 전원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물(도시 생략)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설치갯수를 가감하여 전시공간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시물에 대한 빛 조사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부(20)의 높이를 조절하여 내측에 전시물의 크기에 부합하는 전시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물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4), 상기 제2내·외측커버(25-1)(25-2) 및 상기 제2조명램프(33-1)의 설치를 생략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21)에 상기 제3지지프레임(26)을 바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기립부(20)의 높이를 낮추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 장치에 의하면, 전시물의 형태에 따라 조명 빛의 조사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하여 전시물의 시각적인 입체감 및 미려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해조립이 용이한 모듈형태로 구성되어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기초부 11: 베이스플레이트
12: 링크플레이트 20: 기립부
21: 제1지지프레임 21-2: 제1끼워맞춤돌기
22: 결합편 23-1: 제1내측커버
23-2: 제1외측커버 24: 제2지지프레임
24-2: 제2끼워맞춤돌기 25-1: 제2내측커버
25-2: 제2외측커버 26: 제3지지프레임
27-1: 제3내측커버 27-2: 제3외측커버
30: 조명부 31-1: 제1조명램프
33-1: 제2조명램프 35-1: 제3조명램프

Claims (11)

  1. 폭 방향(D1)으로 한 쌍의 레일홈(11a)이 대칭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1)들을 서로 연결하여 내부에 전시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 기초부(10);
    하단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11)의 레일홈(11a)에 안착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22)과,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내·외측커버(23-1)(23-2)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립부(20); 및
    상기 제1내측커버(23-1)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1조명램프(31-1)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명부(30);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홈(11a) 사이에는,
    케이블 통과홀(1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길이 방향(D2) 양측에는,
    각각 대칭된 복수의 결합공(11c)이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플레이트(12)의 양측에는,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들의 사이에 안착되어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공(11c)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통공(12a)이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일 측면은,
    그 폭이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곡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상단에는,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1지지프레임(21)의 제1끼워맞춤돌기(21-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4a)이 형성되어 양측 개구되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24)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2내·외측커버(25-1)(2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30)는,
    상기 제2내측커버(25-1)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2조명램프(3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상단에는,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20)는,
    하단이 상기 각 제2지지프레임(24)의 제2끼워맞춤돌기(24-2)가 삽입되는 끼워맞춤홈(26a)이 형성되며 양측 개구되어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유선지게 기립되는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과,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이 형성하는 양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3지지프레임(26)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3내·외측커버(27-1)(2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30)는,
    상기 제3내측커버(27-1)의 내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지지되어 상기 기초부(10)의 전시공간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복수의 제3조명램프(3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60090974A 2016-07-18 2016-07-18 조명 장치 KR10177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74A KR101770386B1 (ko) 2016-07-18 2016-07-18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974A KR101770386B1 (ko) 2016-07-18 2016-07-18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386B1 true KR101770386B1 (ko) 2017-08-22

Family

ID=5975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974A KR101770386B1 (ko) 2016-07-18 2016-07-1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526B1 (ko) * 2021-04-22 2021-10-07 김창연 우드 조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783A (ja) 2011-04-27 2012-11-29 Colcoat Kk 導光体を用いたled電球及び照明器具
JP3183300U (ja) 2013-01-31 2013-05-16 朝夫 渡久地 照明演出展示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4783A (ja) 2011-04-27 2012-11-29 Colcoat Kk 導光体を用いたled電球及び照明器具
JP3183300U (ja) 2013-01-31 2013-05-16 朝夫 渡久地 照明演出展示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526B1 (ko) * 2021-04-22 2021-10-07 김창연 우드 조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083B1 (ko)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가압 조립식 엘이디 천정등
KR101168386B1 (ko) 벽면 연출용 엘이디조명 프레임
KR101566453B1 (ko) 복합 엘이디 프레임 및 복합 엘이디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
KR101520224B1 (ko) 조명등의 투광판홀더 장착장치
US2994148A (en) Directional luminaire
KR101770386B1 (ko) 조명 장치
KR20200040340A (ko)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의 설치구조
KR200456593Y1 (ko) 지주 설치형 조명장치
KR101739333B1 (ko) 가변형 차단판을 갖는 경관등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101839707B1 (ko)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160001455U (ko) 천장에 장착되는 led 조명등기구
KR101474909B1 (ko) 천정매다는등용 조명장식체
KR100985249B1 (ko) 보조조명부가 구비된 채널간판용 채널
EP2416060B1 (en) Modular lighting apparatus
JPH11318656A (ja) 展示ケースの照明装置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RU2009130706A (ru) Модульный светильник дл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JP6163077B2 (ja) 照明装置
CN215722872U (zh) 灯具装置
KR100660439B1 (ko) 장식용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CN205824745U (zh) 泛光灯
KR200313626Y1 (ko) 라이트를 이용한 패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4656Y1 (ko) 천장 조명기구용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